KR100374514B1 -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514B1
KR100374514B1 KR10-1998-0055817A KR19980055817A KR100374514B1 KR 100374514 B1 KR100374514 B1 KR 100374514B1 KR 19980055817 A KR19980055817 A KR 19980055817A KR 100374514 B1 KR100374514 B1 KR 10037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ud
shaped steel
shap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238A (ko
Inventor
김갑득
박완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1998-005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5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이나 바닥구조물에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와 H형강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고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부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물에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와 H형강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구조물의 큰 보가 되는 H형강(101)과, 장선이 되는 스틸스터드(102) 및, 상기 H형강(101)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스틸스터드(102)의 단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스틸스터드(102)는 상기 H형강(101)의 안쪽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130)와 결합하며, 상기 H형강(101)의 안쪽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재(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H형강(101)의 상하단의 끝단부가 굴절되며,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H형강(101)의 안쪽에 등 간격으로 연결판이 형성되어 상기 스틸스터드(102)의 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이치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Linker with a cold-formed steel and a shape steel}
본 발명은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이나 바닥구조물에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와 H형강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고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부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간성형강을 구조부재로 사용하는 건축구조물이 증가하고 있다.
구조물을 냉간성형강으로 건축하면 시공성과 경제성 등에서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구조물은 기둥을 세우고, 벽체를 벽돌이나 시멘트블록 등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건축되었기 때문에 구조물의 시공속도가 느리며, 경제성에서도 떨어졌다.
그러나, 냉간성형강을 사용하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을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시공속도가 빠르고 이에 따라 경제성 또한 향상된다.
한편 냉간성형강을 사용하는 구조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층과 층사이에 바닥구조물은 많아지며, 바닥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건축비용은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고층의 구조물일수록 수직하중은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큰 수직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수직하중이 미치는 곳에 H형강을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H형강이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부분은 기둥 또는 바닥구조물에서 큰 보에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스틸스터드는 바닥구조물의 큰 보와 큰 보 사이를 연결하는 장선으로 사용한다.
그럼으로써, 하중에 대한 역학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스틸스터드와 H형강을 동시에 사용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스틸스터드와 H형강을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생긴다. 이러한 연결부위는 스틸스터드와 H형강을 용접과 나사결합 및 이음부재 등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큰 보로 사용된 H형강(1)과, H형강(1)에 연결되는 스틸스터드(2)와, H형강(1)과 스틸스터드(2)를 연결하는 연결꺽쇠(7) 및, 연결꺽쇠(7)와 H형강(1) 및 스틸스터드(2)를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H형강(1)은 건축구조물의 지붕이나 바닥구조물에서 큰 보로 사용된다.
그리고 스틸스터드(2)는 ㄷ자 형상으로 두께가 0.8 ~ 1.8 mm내의 냉간성형강이며, 개방부 안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굴절된다.
연결꺽쇠(7)는 플레이트의 선후단부가 좌우방향으로 굴절되며, 굴절된 선후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연결꺽쇠(7)의 선단부는 H형강(1)의 상단에 위치하고, 후단부는 스틸스터드(2)의 하단에 위치한다.
체결부는 볼트(5)와 너트(4)로 구성되며, 볼트(5)는 연결꺽쇠(7)의 관통공과 H형강(1)의 관통공 및 스틸스터드(2)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볼트(5)에 너트(4)를 체결함으로써 스틸스터드(2)는 H형강(1)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H형강(1)에는 볼트(5)가 관통할 관통공을 형성시켜야 하며, 스틸스터드(2)를 H형강(1)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고 그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H형강(1)에 관통공이 등 간격으로 선정하고 관통공을 형성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H형강(1)과 스틸스터드(2)의 연결수단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용접수단이 있는데, 스틸스터드(2)와 H형강(1)을 용접하여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틸스터드(2)와 H형강(1)의 성분이 비슷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스틸스터드(2)의 두께는 얇고 H형강(1)의 두께는 두껍기 때문에 용접부에 품질관리가 어렵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고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부위의 두께를 낮출 수 있는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H형강과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H형강 2, 102 : 스틸스터드
5 : 볼트 7 : 연결꺽쇠
112 : 절단부 130 : 연결부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물에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와 H형강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구조물의 큰 보가 되는 H형강과, 장선이 되는 스틸스터드 및, 상기 H형강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스틸스터드의 단부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틸스터드는 상기 H형강의 안쪽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H형강의 안쪽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H형강의 상하단의 끝단부가 굴절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H형강의 안쪽에 등 간격으로 연결판이 형성되어 상기 스틸스터드의 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H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H형강과 스틸스터드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H형강과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보로 사용되는 H형강(101)과, 장선으로 사용되는 스틸스터드(102)와, H형강(101)의 안쪽에 삽입되며 스틸스터드(102)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H형강(101)의 양 플랜지는 그 끝단부가 소정의 길이만큼 내측으로 굴절된다.
스틸스터드(102)는 ㄷ형상이며 스틸스터드(10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는 H형강(101)에 삽입된 연결부재(130)에 연결되도록 상하단부가 절단된 절단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30)의 두께와 형상은 스틸스터드(102)와 비슷한 ㄷ형강이며, 연결부재(130)의 개방부는 다른 연결부재의 개방부에 접하고, 연결부재(130)의 폐쇄부인 웨브는 다른 연결부재의 폐쇄부에 접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가 연결된 연결부재(130)는 H형강(101)의 내측에 삽입 고정된다.
스틸스터드(102)는 H형강(101)의 개방부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연결부재(130)와 접한 후, 나사못(104)에 의해 고정된다.
H형강(101)의 안쪽에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130)가 등간격으로 일정하게 위치하고 있어, 스틸스터드(102)가 H형강(101)에 연결하고자 하는 위치에 있는 연결부재(130)의 폐쇄부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스틸스터드(102)와 연결부재(130)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나사못(104)으로도 연결부재(130)와 스틸스터드(102)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H형강(101)의 굴절부는 H형강(101)의 안쪽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H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는 H형강의 측면으로 스틸스터드가 연결꺽쇠 등의 이음없이 연결됨으로써, 건축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물의 두께를 낮출 수 있고, H형강에 고정될 스틸스터드의 위치에 쉽게 스틸스터드를 위치시키고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H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에 큰 보로 사용되는 H형강과 장선이 되는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H형강(101)의 상하단의 양 끝단부는 내측으로 각각 굴절되고, 상기 H형강(101)의 안쪽에는 개방부와 폐쇄부를 각각 갖는 연결부재(130) 다수개가 개방부는 개방부에 접하고 폐쇄부는 폐쇄부에 접하는 형식으로 삽입 고정되며,
    상기 다수개의 연결부재(130) 중 어느 임의의 연결부재의 폐쇄부에는 상기 스틸스터드(102)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틸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구조.
KR10-1998-0055817A 1998-12-17 1998-12-17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KR10037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17A KR100374514B1 (ko) 1998-12-17 1998-12-17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17A KR100374514B1 (ko) 1998-12-17 1998-12-17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38A KR20000040238A (ko) 2000-07-05
KR100374514B1 true KR100374514B1 (ko) 2003-05-01

Family

ID=1956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817A KR100374514B1 (ko) 1998-12-17 1998-12-17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5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3406U (ko) * 1980-03-31 1981-10-29
JPS5780502U (ko) * 1980-11-03 1982-05-18
JPH0411809U (ko) * 1990-05-21 1992-01-30
JPH0466206U (ko) * 1990-10-19 1992-06-10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3406U (ko) * 1980-03-31 1981-10-29
JPS5780502U (ko) * 1980-11-03 1982-05-18
JPH0411809U (ko) * 1990-05-21 1992-01-30
JPH0466206U (ko) * 1990-10-19 1992-06-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3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6453A (en) Light gauge steel building system
JP3782817B1 (ja) スチールハウスの構造形式および構築方法
US4416099A (en) Compound girder forming a rigid connection for prefabricated ceiling panels
JP2007177403A (ja) コンクリート充填角形鋼管柱と梁の高力ボルト引張接合構造
KR100374514B1 (ko)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US4091590A (en) Structural element
GB2131849A (en) Structural framework
JP3209111U (ja)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KR100341363B1 (ko) 스틸하우스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457173B1 (ko) 건축용 골조
JPH10266342A (ja) 構造材の接続構造
ITFI950190A1 (it) Sistema costruttivo costituito da profilati formati a freddo con lembi ondulati a passo costante, e dispositivi di accoppiamento e fissaggio
KR20190135784A (ko)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
KR19980022311A (ko) 건축물용 복합보 및 그를 이용한 수평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0294416Y1 (ko) 보강재를구비하고초기인장력이가해진스틸스터드
KR102585527B1 (ko) 박스형 보강 스터드
SU1760036A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KR200294415Y1 (ko) 스틸스터드와에이치형강의결합구조
KR970004437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반원봉강
JPH11269981A (ja) 多層階建築物におけるパネル式構造階と鉄骨式構造階との接合構造
KR200267465Y1 (ko)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GB2340140A (en) Cladding material
KR200269603Y1 (ko) 건축용 골조
KR200235360Y1 (ko) 프레임고정브라켓
KR100276865B1 (ko) 벽체 거푸집용 지지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