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465Y1 -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465Y1
KR200267465Y1 KR2020010003816U KR20010003816U KR200267465Y1 KR 200267465 Y1 KR200267465 Y1 KR 200267465Y1 KR 2020010003816 U KR2020010003816 U KR 2020010003816U KR 20010003816 U KR20010003816 U KR 20010003816U KR 200267465 Y1 KR200267465 Y1 KR 200267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hannel members
channel
colum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준
Original Assignee
이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준 filed Critical 이대준
Priority to KR102003701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988B1/ko
Priority to CNB028082613A priority patent/CN1302188C/zh
Priority to PCT/US2002/004280 priority patent/WO2002066760A1/en
Priority to US10/468,063 priority patent/US71558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465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립C형 단면의 찬넬부재(Rib C Type channel), C형단면은 찬넬부재(C Type channel) 및 L형 단면의 찬넬부재(L Type channel)로 조립되는 기둥 및 보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조물은 각각 소정 단면의 제 1찬넬부재; 상기 제 1찬넬부재와 동일단면의 제 2찬넬부재; 및 상기 제 1,및 제 2찬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한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는 상기 구조물과; 연결피스와;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연결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새로운 타입의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를 제공하여 시공성과 공기단축을 실현 시키고, 현장 용접을 최소화 하므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모든 부재를 경량 철골로 규격화함으로써 현장 제작의 최소화를 기하는 건식공법이 가능하게 되어 완성도 높은 시스템 건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A method of prefab construction for steel house and steel frame}
본 고안은 구조물(기둥과 보에 겸용하여 사용되는 구조물을 총칭하며, 이하에서는 기둥 및 보 구조물 혹은 구조물이라함)과 그의 연결구조(기둥과 보를 연결함에 필요한 연결구조를 칭하며, 이하에서는 연결구조라 함)에 관한 것으로 소정구조의 찬넬을 마주보게 대접체결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또한, 이 기둥 및 보 구조물을 연결함에 따른 간단한 조립구조의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현재 지어지고 있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을 이용한 구조물은 기둥을 이루는 골조부재가 경량화되어 공간활용도가 높아가고 있으며 단열성능이 뛰어 나고 습기에 강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둥 및 보 구조물은 그 연결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의 시공에서는 복잡한 공정을 거치고 있음으로, 시공자의 시공능력에 따라 조립성의 부족을 초래하여 일일이 용접을 요구하고, 연결부분에서는 단열의 처리가 불가능하여 때때로 결로와 내화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들면 종래의 철골조를 구조물로 한 주택의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와이드 플랜지(a)를 기둥구조물로 사용하고, 이 와이드 플랜지(a)에 보(b)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용접(c)을 한 뒤 용접장소에서 시공현장으로 운송하는 것이므로 구조물 자체가 커서 운반하기가 어렵고, 운반하면서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현장에서의 시공성에 일일이 부분적인 난해한 용접작업이 동원되어 시공자들에게 어려움을 주며, 기둥 및 보 구조물, 그의 조립부품의 구입에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도 있다.또한, 기존의 기둥 및 보 구조물은 물론 그의 연결구조에서는 외부와 접하는 와이드 플랜지가 내부에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접하는 부분을 모두 단열재로 감쌓아야 하였다. 이러한 부분적인 보완부분의 증가로 인하여 골격을 이루는 구조물시공에서도 고가의 건축물이 되었으며, 외관도 너무 투박해 보이게 되어 강구조 건축의 경쾌함과 날렵함을 표현 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물의 조립상의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해 용접공정없이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찬넬을 복수 조립함에 의하여 완성되는 기둥과 보에 적용가능한 구조물에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본 고안은 이와같은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어 단면현상이 C형인 단면중 끝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립을 형성한 타입의 찬넬(이하 립C형찬넬이라함), 단면형상이 C형인 찬넬(이하 C형찬넬이라함) 또는 단면형상이 L형인 찬넬(이하 L형찬넬이라함)등을 선택,적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본 고안은 상기한 기둥 및 보 구조물을 제공함과 아울러 기둥과 기둥, 기둥과 보, 보와 보의 연결에 필요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본 고안은 상기한 연결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에 필요한 연결피스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으며, 한쌍의 찬넬로 이루어진 기둥 및 보 구조물의 단열성을 개선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1의 A-A선단면도로서,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체결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1의 B-B선단면도로서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체결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구조물에 따른 찬넬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 제 3실시예가 찬넬부재가 적용된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구조물의 연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가"부분 확대도로서 본 고안 기둥구조물이 콘크리트 기초에 연결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a, 도 9b, 도 9c는 도 7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 기둥구조물의 연결구조에 제 1실시예의 찬넬이 적용된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 기둥구조물의 연결구조에 제 2실시예의 찬넬이 적용된 단면도이며, 도 9c는 본 고안 기둥구조물의 연결구조에 제 3실시예의 찬넬이 적용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나"부분 확대도로서 본 고안 기둥과 기둥,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 기둥과 기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a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보 구조물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보 구조물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2c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보 구조물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3a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에 적용되는 T자형 단면의 연결피스 사시도이며, 도 13b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에 적용되는 L자형 단면의 연결피스 사시도이고,도 14는 본 고안 보와 보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도 15는 본 고안 기둥구조물, 보 구조물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하수관,통신케이블,전력선,덕트등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6은 종래 기둥구조물과, 이 구조물에 보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기둥 및 보 구조물
10:콘크리트 기초 12:고정공
20,20a,20b:찬넬부재 21:작업공
22,23:체결공 24:체결공
25:립 26:지지판
30:와이어플랜지 32:체결공
40,42:연결피스 44:체결공50:마개 60:조절판
62:체결공 70:체결볼트
71:장볼트 72,73:너트
74:앵커볼트 76:스트로우
80:단열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제 1찬넬부재와; 상기 제 1찬넬부재와 동일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제 2찬넬부재; 및 서로 맞대접한 상기 제 1,및 제 2찬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달성된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체결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템과, 헤드로 이루어진 볼트와, 이 볼트의 스템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링형의 너트로 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1, 및 제 2찬넬부재는 소정위치에 각각 체결공들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1, 및 제 2찬넬부재 각각은 대략 C형의 단면, 립C형의 단면 L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는 세로방향의 기둥중간부를 가로질러 강도보강용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고, 이 보강부재는 상기 제 1,및 제 2찬넬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장볼트를 관통시키고 그 반대측에서 너트로서 체결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내측에 스트로우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은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수직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한 콘크리트기초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1, 및 제 2 찬넬부재의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에 수직입설되기 위하여 직각방향의 지지판을 더 구비하고, 이 콘크리트기초는 소정위치에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이에 대응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상에서 앵커볼트로서 체착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은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내측에는 이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빔형의 와이드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이 와이드플랜지는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체결시 함께 체결고정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은 제 1, 제 2찬넬부재에는 마주보게 고정되어 내부 와이드플랜지의 체결시 작업공을 형성하도록 개공을 더 구비하고 이 개공은 체결작업후 차단되는 마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는, 서로 대접되는 동일단면의 제 1,제 2찬넬부재와, 이 제 1,및 제 2찬넬부재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기둥구조물; 서로 대접되는 동일단면의 제 1,제 2찬넬부재와, 상기 제 1,및 제 2찬넬부재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보 구조물;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연결함에 필요한 체결력을 보강하고, 상기 찬넬들의 내부에 위치하며, 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한 와이드플랜지; 상기 기둥구조물에서 보 구조물을 수평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구조물의 소정위치에서 체착되며, 체결공들을 형성한 연결피스; 및 상기 기둥구조물, 와이드플랜지, 연결피스들의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의 상기 연결피스는 T형, L형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제 2찬넬부재에는 마주보게 고정되어 내부 와이드플랜지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작업공을 더 구비하고 이 작업공은 마개로서 차단됨이 바람직하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는 연결피스의 체결고정시 와이드플랜지의 요입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판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보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는 와이드 플랜지와 볼트와 찬넬을 고정시키는 볼트로 립C형 찬넬, C형찬넬 및 L형찬넬 2개와 결합하여 기둥을 형성하고, 외부와 내부가 만나는 립C형 찬넬, C형찬넬 및 L형찬넬과 와이드 플랜지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해서 결로를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상기한 본 고안 기둥, 보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는 덕트, 상,하수관, 전기 설비 및 통신케이블등이 상기 구조물들의 내부통로를 통해서 지나가므로써 다양한 건축 공간에 대응하는 특징도 갖는다.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A-A선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중간부분 보강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기둥 및 보 구조물은 립C형 단면의 두 개의 제 1,제 2찬넬부재(20)를 마주보게 대응시켜 조립한다. 이들 제 1, 제2의 찬넬(20)각각은 광폭면에 체결공(22)들이 형성되며, 협폭면의 개구부측 연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립(25)을 형성하며, 체결공(22)들이 형성된 구간에만 립(25)이 제거되어 있다.또한 이들 제 1, 제 2찬넬부재(20)의 협폭면에는 작업공(21)이 반분되어 천공되며, 결합후 마개(50)가 탈착되도록 구성된다.이 기둥 및 보 구조물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는 하나의 체결공(23)이 천공되어 장볼트(71)와 너트(73)로 체결되어 제 1, 제 2찬넬부재(20)의 중간부를 지지한다. 이때 제 1, 제 2찬넬부재(20)의 내측에는 장볼트(71)에 끼워지는 파이프형의 스트로우(76)가 관착되어 있다.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1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1, 제 2찬넬(20)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소정의 사각단면을 이루면서 기둥구조물 혹은 보 구조물로 사용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에 적용된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20)에서 체결공(22)과 작업공(21)을 광폭면과 협폭면을 변경하여 실시한 경우의 사시도이다.이 도면에 따르면 찬넬부재(20)의 구체적인 결합구조는 상기 도 1 내지 도 3b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것에서 광폭면과 협폭면을 바꾸어 실시한 것과 동일하다.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2실시예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1, 제 2찬넬부재의 사시도이다.이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2실시예의 제 1, 제 2찬넬부재(20a)는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20)와 달리 내측 절곡부에서 립(25)이 제거된 구조이다.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기둥 및 보 구조물은 두 개의 동일 단면의 제 1, 제 2찬넬부재(20a)인 C형 단면의 찬넬을 마주보게 대응하여 조립한다. 이들 제 1, 제2의 찬넬(20a)각각은 광폭면에 체결공(22)들이 형성되며,내측으로 절곡된 협폭면을 형성한다.또한, 이들 제 1, 제 2찬넬부재(20a) 역시 협폭면에 작업공(21)이 천공되며, 결합후 마개(50)가 탈착된다.이 기둥 및 보 구조물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도 체결공(23)이 천공되어 장볼트(71)와 너트(73)로 체결되며, 제 1, 제 2찬넬부재(20a)중간부를 보강지지한다.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제 2찬넬부재(20a)의 내측에도 장볼트(71)에 끼워진 스트로우(76)가 관착되어 있으며, 제 2실시예의 기둥구조물과 보구조물은 C형 단면의 제 1, 제 2찬넬(20a)을 대접결합한 상태에서 소정형상의 사각단면의 기둥을 이룬다.첨부 도면 도 5c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2실시예의 적용된 제 1 찬넬부재에 체결공(22)과 작업공(21)의 위치를 변경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이 제 1, 제 2찬넬부재(20a)는 개구연부인 협폭부에 체결공(22)을 형성하고, 광폭부에 작업공(2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첨부 도면중 도 6a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3실시예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3실시예에 적용된 찬넬부재의 사시도이다.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20b)는 대략 L자형 단면을 이루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추어 조립된다.상기 실시예1,2와 마찬가지로 작업공(21)과, 체결공(22)(23), 마개(50),보강수단등이 상기 실시예등과 동일하게 실시되므로 조립구성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 중 도 7은 본 고안 기둥과 기둥,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부분 조립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조물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기둥구조물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은 콘크리트기초(10)에 수직고정되는 부분("가")이다.이 도면에 따르는 보 구조물은 상기 기둥구조물의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 ("나")이다.즉, 기둥구조물은 콘크리트기초(10)위에 수직고정되고 이 기둥구조물의 적당한 위치에서 보 구조물이 연장되어 나간다.
첨부 도면중 도 8은 도 7의 "가"부분 확대도로서 본 고안 기둥구조물이 콘크리트 기초에 연결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상기 도면에 따르는 기둥구조물의 조립은 콘크리트기초(10)위에 설치됨으로써 시작된다.콘크리트기초(10)는 대략 사각형의 콘크리트제의 중량품이며, 네곳에 길이가 비교적 긴 고정공(12)가 형성되며, 앵커볼트(74)가 나사맞춤 가능한 구조로 갖는다.이 콘크리트 기초(10)위에 상술한 기둥구조물을 설치하려면 각 찬넬부재(20)(20a)(20b)의 하단에 지지판(26)을 형성함이 필요하다.예를들면 제 1, 제 2찬넬부재(20)의 하단에 지지판(26)을 일체로 용접형성하고, 여기에 체결공(24)를 형성함으로써 완성된다. 물론 하단의 형성이 다른 찬넬부재에 맞도록 지지판을 결합함으로써 모든 실시예의 찬넬부재의 적용이 가능하다.도면에서는 립C형 단면의 제 1, 제 2찬넬부재(20)로 이루어진 기둥구조물의 수직설치상태를 나타낸다.지지판(26)에는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볼트(74)로서 체결고정되어 기둥구조물의 수직고정을 기한다.상기한 기둥구조물의 내부에는 소정길이의 와이드플랜지(20)가 사이에 끼이게 설치된다. 와이드플랜지(30)에도 체결공(32)를 형성하여 찬넬부재(20)(20a)(20b)와의 체결시 함께 체결된다.참고도 상기 도면에서는 콘크리트기초(20)위에 설치된 기둥구조물을 설명하나, 기둥구조물끼리의 연결도 가능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첨부 도면 도 11의 연결구조에서 설명된다.
첨부 도면중 도 9a 내지 9b는 도 7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9a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기둥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기둥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9c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기둥구조물의 단면도이다.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제 1찬넬부재(20)는 립C형의 단면으로 이루며 첨부 도면 도 9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찬넬부재(20)는 광폭면과, 이 광폭면의 상,하단에서 내측으로 직각절곡된 협폭면으로 이루어지며, 협폭면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립(25)을 형성한다.이 찬넬부재(20)를 적용한 기둥구조물은 광폭면 내측으로 와이드플랜지(30)를 관통하여 볼트(70)와 너트(72)를 체착함으로써 조립된다. 협폭면으로는 작업공(21)이 형성되어 마개(50)가 탈착되며, 내부 와이드플랜지(30)와의 사이에 단열재(80)를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20a)는 C형의 단면을 이루며, 첨부 도면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다. 이 찬넬부재(20a)는 광폭면과, 이 광폭면의 상,하단에서 내측으로 직각절곡된 협폭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찬넬부재(20a)를 적용한 기둥구조물은 광폭면 내측으로 볼트(70)와 너트(72)를 체착함으로써 조립된다. 협폭면으로는 작업공(21)이 형성되어 마개(50)가 탈착되며, 내부에 와이드플랜지(30)를 개지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 와이드플랜지(30)와의 사이에 단열재(80)를 부가하여 결로를 방지한다.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20b)는 대략 L형의 단면을 이루며, 첨부 도면 도 9c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찬넬부재(20b)는 동일폭의 두면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찬넬부재(20b)를 적용한 기둥구조물은 두 개의 찬넬부재(20c)를 서로 반대방향에서 맞대응한 상태로 볼트(70)와 너트(72)를 체착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때 와이드플랜지(30)를 사이에 개재시켜 실시할 수 있으며, 어느 한면을 선택하여 작업공(21)과 마개(50)를 탈착실시한다. 또한, 내부 와이드플랜지(30)와의 사이에 단열재(80)를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단열재(80)를 찬넬(20)(20a)(20b)들과 와이드플랜지(30)가 만나는 사이에 개재시키는 이유는 내,외부 온도차이로 인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첨부 도면중 도 10은 도 7의 "나"부분 확대로로서 본 고안 기둥과 기둥구조물,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 기둥과 기둥구조물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기둥과 기둥구조물의 연결구조는 간단한다.즉,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하부기둥구조물과 상부기둥구조물사이에는 찬넬(20)(20a)(20b)로 이루어진 공간내측으로 와이드플랜지(30)을 수직입설한 뒤 상,하기둥구조물의 상,하단부가 맞닿게 한 뒤 볼트(70),너트(72)로서 체결하면 된다. 도 10에서는 보 구조물도 함께 연결되므로 보 구조물의 고정간격을 벌려 놓은 상태에서 상,하 기둥구조물이 조립된다.첨부 도면중 도 12a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보 구조물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보 구조물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2c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가 적용된 보 구조물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3a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에 적용되는 T자형 단면의 연결피스 사시도이며, 도 13b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에 적용되는 L자형 단면의 연결피스 사시도이다.이 도면들외에 앞서 언급된 도 10과 함께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이 연결구조는 수직 연장되는 기둥구조물과의 사이에 도 13a,도 13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체결공(44)가 형성된 T자형 연결피스(40), L자형 연결피스(42)를 사용하며, 그외에도 상술한 와이드플랜지(30)와, 볼트(70),너트(72) 및 체결공(62)가 형성된 두께 조절판(60)이 함께 사용된다.먼저, 수직입설됨을 전제로 한 하부 기둥구조물과 상부 기둥구조물 사이에 와이드플랜지(30)을 개재시키고, 적당간격을 두고 T자형 단면의 연결피스(40)두개를 기둥구조물과의 사이에 노출된 와이드플랜지(30)에 보 구조물의 공간간격에 맞게 체결하여 고정시킨다.이어서 이미 설명한 찬넬부재(20)(20a)(20b)들을 한쌍씩 대접시킨 보 구조물을 수직방향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벌어져 있는 와이드플랜지(30)의 해당위치에 수평으로 대응시킨다.즉, 도 12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찬넬부재(20) 두개를 대접시킨 뒤 장볼트(71),너트(73)로서 체결하여 보 구조물을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보 구조물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체결고정된 상술한 T형단면의 연결피스(40)의 체결공(44)에 맞추어 삽착시킨 뒤 볼트(70)와 너트(72)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립C형 단면의 찬넬부재(20)의 립(25)부분 일부는 연결피스(40)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거되어 있다.도 12b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제 2실시에의 찬넬부재(20a)와, 도 12c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20b) 역시 같은 방법으로 보 구조물을 조립하여 T형단면의 연결피스(40)의 체결공(44)에 맞추어 삽착시킨 뒤 체결함으로써 제 2,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20a)(20b)에 의한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가 완성된다.첨부 도면 도 14는 본 고안 보와 보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보 구조물 역시 본 고안 제 1, 제 2, 제 3실시예의 찬넬부재(20)(20a)(20b)에 의하여 여러가지 타입의 보 구조물을 준비한다.보 구조물이 준비되면 이미 설치된 수평방향의 보 구조물 소정위치에 L자형 단면의 연결피스(42)를 상,하 두개 고정한 뒤 기 조립된 보 구조물을 삽착,체결함으로써 보와 보의 연결을 이루게 된다.첨부 도면 도 15는 본 고안 기둥 및 보 구조물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하수관,전기케이블,덕트등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 구조물은 소정의 건축물이 완성된 뒤 이들 구조물을 통하여 상,하수관, 전기케이블,덕트, 통신케이블등의 배관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소정구조의 찬넬부재와 체결부재로서 간단한 기둥구조물과,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무용접이 가능하게 되었고, 현장까지 사전에 구조물의 작업없이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시공이 이루어지며, 조립구조의 간단화로 인하여 설치비용은 물론 시공성이 뛰어나 공기를 단축하며,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구조물을 설치시공할 수 있으며, 연결부분에서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부품의 경량화로 운반이 용이하고, 구조물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상,하수관,전기설비,덕트,및 통신케이블등 기타용도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5)

  1. 기둥 및 보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제 1찬넬부재;
    상기 제 1찬넬부재와 동일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제 2찬넬부재; 및
    상기 제 1, 제 2찬넬부재를 마주보게 대응시켜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제 2찬넬부재 각각은 대략 C형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제 2찬넬부재 각각은 상,하단 연부를 내측으로 절곡연장한 대략 립C형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제 2찬넬부재 각각은 그 단면이 L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5.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찬넬부재는 세로방향의 기둥중간부를 가로질러 강도보강용 보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6.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찬넬부재는 소정위치에 각각 체결공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찬넬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스템과 헤드로 이루어진 볼트와, 이 볼트의 스템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링형의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제 1,및 제 2찬넬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를 관통시키고 그 반대측에서 너트로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내측에 간격유지용 스트로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기둥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2.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하단에 지지되어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하단 지지력이 유지되는 콘크리트기초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기초 상면에 대응하는 직각방향의 지지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기초는 소정위치에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이에 대응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상에서 앵커볼트로서 체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5. 제 2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내측에는 이 제 1, 및 제 2찬넬부재의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빔형의 와이드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플랜지는 상기 제 1, 및 제 2찬넬부재는 체결공에 대응하는 체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찬넬부재는 와이드플랜지의 체결시 체결이 용이하도록 작업공을 형성하고, 이 작업공은 마개로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조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찬넬부재와 상기 와이드플랜지 사이에는 결로방지용 단열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9. 서로 대접하는 동일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제 1, 제 2찬넬부재와, 상기 제 1,제 2찬넬부재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조립된 기둥과 보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기둥, 기둥과 보 및 보와 보를 연결함에 적당한 체결공들을 형성한 연결피스; 및
    상기 기둥구조물, 보 구조물 및 연결피스들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스템과, 헤드로 이루어진 볼트와, 이 볼트의 스템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링형의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피스는 T형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피스는 L형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찬넬들의 내부에 위치하며, 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한 와이드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소정위치에 와이드플랜지의 체결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공을 형성하고, 그 작업공은 마개로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피스의 체결고정시 와이드플랜지의 요입된 부분의 높낮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및 보 구조물의 연결구조.
KR2020010003816U 2000-08-17 2001-02-15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KR200267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7010617A KR100903988B1 (ko) 2001-02-15 2002-02-14 관상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듈식건물조립체
CNB028082613A CN1302188C (zh) 2001-02-15 2002-02-14 管状构造物及其模块式建筑组合体
PCT/US2002/004280 WO2002066760A1 (en) 2001-02-15 2002-02-14 Tubular structure and modular building assembly using the same
US10/468,063 US7155874B2 (en) 2001-02-15 2002-02-14 Tubular structure and modular building assembl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324 2000-08-17
KR20000023324 2000-08-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23A Division KR20020014651A (ko) 2001-02-15 2001-02-15 철골 및 스틸하우스용 구조체의 조립공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465Y1 true KR200267465Y1 (ko) 2002-03-09

Family

ID=7306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816U KR200267465Y1 (ko) 2000-08-17 2001-02-15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4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73B1 (ko) * 2001-12-12 2004-11-16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골조
US11994314B2 (en) 2020-03-10 2024-05-28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Rectangular flanged bubble tight damp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73B1 (ko) * 2001-12-12 2004-11-16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골조
US11994314B2 (en) 2020-03-10 2024-05-28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Rectangular flanged bubble tight dam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874B2 (en) Tubular structure and modular building assembly using the same
US4742665A (en) Metallic spatial framework structure composed of single elements for erecting buildings
US5289665A (en) Orthogonal framework for modular building systems
US5579622A (en) Floor frame assembly
AU2021203737A1 (en) An elongate structural element, a bracket and an elongate structural section
KR100903988B1 (ko) 관상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듈식건물조립체
KR102112600B1 (ko)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152557A (ja) スチールハウスの構造形式および構築方法
KR20190012700A (ko) 복공판 일체형 합성거더,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81056A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200267465Y1 (ko) 구조물과 그의 연결구조
KR100968018B1 (ko)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US4091590A (en) Structural element
JP4520401B2 (ja) 柱・梁構造
JPH01322042A (ja) 閉鎖形断面柱と鉄骨梁との接合部構造
JPH10266342A (ja) 構造材の接続構造
JPH10131394A (ja) 鋼板ウェブ材を用いた組立補強梁
JP2883655B2 (ja) 建築用水平耐力部材
KR20020014651A (ko) 철골 및 스틸하우스용 구조체의 조립공법 시스템
JP2524409B2 (ja) 軸組、パネル工法の家屋
JPS6215366Y2 (ko)
JP3090659U (ja) スチールハウスのパネル接合構造
JP3979284B2 (ja) 壁構面と屋根構面との連結構造
JPS6324734Y2 (ko)
KR100374514B1 (ko) 에이치형강과스틸스터드를연결하는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7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