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439B1 -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 Google Patents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439B1
KR100373439B1 KR1019980034745A KR19980034745A KR100373439B1 KR 100373439 B1 KR100373439 B1 KR 100373439B1 KR 1019980034745 A KR1019980034745 A KR 1019980034745A KR 19980034745 A KR19980034745 A KR 19980034745A KR 100373439 B1 KR100373439 B1 KR 10037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lephone
signal
main bod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115A (ko
Inventor
서완용
Original Assignee
서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완용 filed Critical 서완용
Priority to KR101998003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4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전화선로에 원격체크기 본체를 연결하고 원거리의 또 다른 전화번호의 선로에는 감지기 본체를 연결하고 감지기 본체를 연결한 전화선로가 단선인가를 원거리에서 체크하여 단선이면 원격체크기 본체는 경보장치를 구동하고 또한 표시기에 표시하여 주는 것으로 특히 무인경비시스템을 설치한 전화선로에 감지기 본체를 같이 연결하고 원거리에서 원격체크기 본체는 전화통신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방법으로 감지기 본체가 연결된 전화선로가 단선인가를 원거리에서 체크하며 이때에 감지기 본체의 전화선로가 단선으로 체크되면 원격체크기본체는 경보수단을 구동하고 또한 표시기에 표시하여 주는 과정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며, 무인경비시스템의 통보불능 상태를 사전에 체크하여 무인경비시스템이 방법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거리 전화단선체크장치
본 발명은 원거리 전화 단선체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전화선로에는 원격체크기 본체를 연결하고 원거리의 또 다른 전화번호의 선로에는 감지기 본체를 연결하며 감지기 본체를 연결한 전화선로의 단선여부를 원거리에서 알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선을 이용한 방법통보장치는 침입자를 센서로부터 감지해서 입력시킨 전화번호의 장소로 전화국의 교환기를 경유해서 통보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어지며, 입력되어진 장소의 관제컴퓨터 또는 전화로 해당 가입자의 장소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을 알 수가 있었으나 자연 재해, 등으로 전화선이 단선되면 통보를 할 수가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단 침입자가 외부에서 전화선을 절단하고 침입하게 되면 방범통보기 운 용자는 전화선이 절단된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속수무책으로 도난을 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전화선로에 원격체크기 본체를 연결하고 원거리와 다른 전화번호의 선로에는 감지기 본체를 연결할 상태에서 감지기 본체가 부착된 전화선로가 단선인가를 원거리에서 체크하는 방법으로 구성된 원격체크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전화 선로에 원격체크기 본체를 연결하고, 원거리의 전화선로에는 감지기 본체를 연결하며, 감지기 본체가 연결된 전화선로가 단선인가를 원격체크기 본체는 기존의 전화국교환기 (EXCHANGE ESS 등) 기종에 관계없이 전화통신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방법으로 감지기 본체의 전화선로가 단선인가를 원거리에서 체크하는여, 원격 체크기 본체의 경보수단을 구동하고 표시기에 표시를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원격체크기 본체의 블록구성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감지기 본체의 블록구성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원격체크기 본체가 동작하는 흐름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감지기 본체가 동작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와 설명>
100 :원격체크기 본체 119 :전화국선 120 :전화회로부 130 :DTMF발생기
140 :신호검출부 150 :전압비교기 160 :적분기 170 :마이컴
180 :경보수단 199 :표시기
200 :감지기본체 210 :전화국선 220 :벨 신호감지기
239 :전화 훅 스윗치 부 240: 마이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체크기 본체(100)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는 상기 마이컴(170)에 기억되어있는 감지기 본체(200)가 연결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DTMF발생기(130)를 구동하여 DTMF신호를 상기 전화회로부(120)쪽으로 출력하면 상기 전화회로부(120)를 경유하여 다이얼링 된 DTMF 신호가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출력되어지고 전화가 걸려가게 된 후, 이때에 상기 전화국선(110)에는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복합주파수로 형성된 착신음이나 화중음이 유지되고, 상기 신호 검출부(140)에서 신호를 검출 증폭하여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인가하면, 상기 전압비교기(150)는 트리거구간과 스페이스구간을 생성하여 상기 적분기(160)로 인가하고, 상기 적분기(160)는 상기 신호들을 변별하여 출력한다.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출력된 화중음이나, 착신음의 변별신호를 받아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팅해서 카운팅값이 1개이면, 상기 감지기본체(200)쪽의 선로가 정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전화회로부(120)의 작동 상태를 해제시키고, 설정시간 휴지한 후 활성화되며, 상기 카운팅 값이 2개이상이면, 상기 감지기쪽의 선로가 단선으로 판단하여, 경보수단을 구동하고 표시기에 단선상태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마이컴(170)과 출력된 단선상태데이터틀 받아 표시하는 상기표시기(190)와 경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경보수단(180)으로 구성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 본체(200)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감지기 본체(200)에는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서 전화가 걸려(원격신호가)오면,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링 신호(100V 20HZ)가 상기 전화국선(210)에 유기되며, 이 링 신호를 상기 벨 신호감지기(220)에 의해서 감지되어 상기 마이컴 (240)으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240)은 벨 신호 감지기(220)에 의해 링 펄스가 감지된 후 설정타임이 시작되고, 설정타임이 종료한 후에 링 펄스 주기를 분석하여 1싸이클 이상의 링 펄스이면,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와 원격(요구)신호가 아니므로 상기 마이컴(240)은 휴지한다. 상기 링 펄스 검출이 안되면,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의 원격(요구)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마이컴(240)을 상기 전화 훅 스윗치부(230)를 구동하여 상기 전화국선(210)을 설정 시간동안 통화중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전화 훅 스윗치 부(230)를 해제하고 초기화상태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원거리의 선로가 단선이라 판단하는 과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는 원거리의 상기 감지기 본체(200)가 연결된 선로를 단선체크하려면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는 두 번의 작동과정을 수행하여 단선을 체크한다.
첫 번째는 상기 감지기 본체(200)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서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가게 되고, 전화가 걸려가는 착신음을 판단하여 즉시 상기 전화회로부(120)를 차단시키게 되는데, 이유는 상기 감지기 본체(200)가 응답을 하게되며, 전화통신 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상기 감지기 본체(200)가 응답을 하기전에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를 상기 전화국선(11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후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전화선로에는 링신호(100v 20Hz)가 약 0.2초 동안 유기되는테, 이 링신호를 상기 벨선호 감지기(220)가 검출하여 설정시간(예를 들어 1초)후에 상기 전화훅 스위치부(230)를 온시켜 통화중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만든 상태에서 두 번째는 전화선로의 단선상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서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가게 되고 상기 감지기 본체(200)로 전화가 걸려간 후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는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중음이나 착심음을 수신하여 통화중(화중음)으로 판단되면 선로가 정상 상태이고 전화가 걸려가는(착신음) 신호로 판단되면 전화선로가 단선된 상태로 판단한다.
단선으로 판단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더 설명하면, 상기의 작동원리가 마치 레이더같이 신호를 보내서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화중음)를 검출하는 원리인데,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선로가 단선 상태이면 근본적으로 상기 감지기 본체(200)는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서 보내온 원격신호에 의혜서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치 물체(화중음=통화중 상태가 아닌)가 없는 상태가 되어, 즉 전화가 걸려 가는 착신음 신호(물체가 없는 상태)만이 교환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원격 체크기 본체(100)로 유입되고 이 신호를 단선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 원리에 의해서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는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전화선로가 정상 또는 단선인가를 원거리에서 체크하여 판단한다. 상기 과정을 다음과 같이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첫 번째 과정으로, 원거리 단선체크를 하기 위해서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는 상기 감지기 본체(200)쪽으로 원격(요구) 신호를 보내게 되는 실시예로 도면3 흐름도(513,514,515,516,523,524)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그 동작은 아래와 같다.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내에는 상기 마이컴(170)에 기억되어있는 감지기 본체(200)가 연결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DTMF발생기(130)를 구동하여 DTMF신호를 상기 전화회로부(120)쪽으로 출력하면 상기 전화회로부(120)를 경유하여 다이얼링된 DTMF 신호가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출력되어지고 전화국의 교환기를 통하여 전화가 걸려가게 된다.
이때 감지기 본체(200)가 동작하게 되는데,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동작과정을 도면4흐름도를 참조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감지기(200)가 연결된 상기 전화국선(210)에는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링 신호(100V 20HZ)가 유기되며, 이 링 신호를 상기 감지기 본체(200)내의 상기 벨 신호감지기(220)에 의해서 감지되어 상기 마이컴 (240)으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240)은 벨 신호감지기(220)에 의해 링 신호가 감지된 후 설정타임이 시작되고, 설정타입이 종료한 후에 벨 신호감지기(220)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1싸이클 이상의 링 펄스이면,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의 요구신호가 아니므로 상기 마이컴(240)은 휴지한다. 상기 링 펄스 검출이 안되면,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의 요구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마이컴(240)은 상기 전화 훅 스윗치부(230)를 구동하여 상기 전화국선(210)을 설정 시간동안 통화중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전화 훅 스윗치 부(230)를 해제하고 초기화상태로 활성화된다.
위와 내용 중에서,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서 상기 감지기 본체(200)가 연결된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 가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전화국선(11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선로잡음과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복합주파수 형식의 레벨이 일정한 화중음(48)+620HZ)과 레벨의 진폭이 변화하는 착식음(440+480HZ)이 전송되어온다. 상기 전화국선(110)을 통해 전송되어온 신호들은 상기 신호검출부(140)로 유입되고, 상기 신호 검출부(140)는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 들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140)에서 증폭된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은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선로잡음레벨은 최대 최대1.2V이하이며 화중음 레벨은 1.7V 이상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며, 착신음은 500mV내지 2.5V까지 레벨의 진폭이 변화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 들은 상기 신호검출부(140)로부터 출력되어진다.
상기 출력된 신호들을 그대로 상기 적분기(160)로 인가하게 되면 잡음 및 화중음과 착신음 로우레벨에 의해서 상기 적분기(160)를 트리거하게 되어 상기 마이컴(170)에서 판단이 불가능하므로 먼저, 상기 전압비교기(150)의 기준전압을 1.7V로 설정(구성)하고, 상기 신호 검출부(140)로부터 증폭출력된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을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인가한다.
상기 전압비교기(150)에서는 증폭출력된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을 기준전압 1.7V와 비교하여 선로잡음(1.2V)일 경우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잡음이 제거되고 불필요한 신호레벨은 커트(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중음이나 착신음을 경우 기준전압1.7V 보다 레벨이 높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필요한 신호만을통과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착신음(440+480HZ)의 진폭레벨이 변화하는 상태가 상기 전압비교기(150)의 기준전압(1.7V)보다 낮으면 상기 전압비교기(150)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되고 그 로우레벨이 출력되는 구간이 착신음 스페이스 타임이 되며, 착신음 진폭레벨이 변화하는 상태가 기준전압(1.7V)보다 높으면 전압비교기(15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어 그 하이레벨의 구간이 트리거 구간이된다.
상기 신호들은 사인파인데, 상기 전압비교기(150)를 통과하면서 구형파로 정형되어, 상기 적분기(160)의 트리거 타임이나, 스페이스 타임으로 사용하게 되며, 상기 신호들은 상기 전압비교기(150)에서 출력되어지고, 그 신호들을 상기적분기(160)로 인가한다.
상기 적분기(160)의 내부는 타이머 IC(TIMER IC)로 적분타임(T=CR)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화중음(480+620HZ=3.6msec)의 펄스 주기보다 길게, 착신음(440+480HZ=4.2msec)과 스페이스타임(약:10msec)을 더한 14.2msec의 펄스 주기보다 짧게 적분 타임(7msec)을 설정(구성)한다.
일 예로 화중음(480HZ/1=2msec)+(620HZ/1=1.6msec)=3.6msec가 될 수 있고,
착신음(440HZ/1=2.2msec)+(480HZ/1=2msec)=4.2msesc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 타임은 전압비교기(150)의 기준전압에 의해 변화 가능. 현재는 약:10msec이다.
교환기로부터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화중음신호가 전송되고 있을 경우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화중음신호가 출력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적분기(160)가 트리거되면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고, 적분타임보다 펄스의 주기가 빠르게 트리거 되므로,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계속 유지되며 즉 펄스 1개로 출력된다.
교환기로부터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착신음신호가 전송되고 있을 경우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착심음이 출력되어 이로 인해 상기 적분기(160)가 트리거되면 상기 적분기(160)는, 하이로 출력되고 있다가, 적분타임보다 스페이스타임 주기가 (길다)느리므로 상기 적분기(160)의 적분타임동안 방전되어서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은 로우로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적분기(160)는 상기 착신음신호의 펄스가 누락되는 것을 체크한다. 즉 주기마다 트리거되는 상태와, 적분타임동안 방전되는 상태가 상기 적분기(160)에서 한 사이클의 주기 (예를 들어20msec이하)의 펄스로 출력된다.
따라서, 화중음이나 착신음일 때 각각 신호가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변별되어 출력된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하이신호가 인가될 때 인터럽트가 작동되어 프로그램의 설정타임를 스타트하고, 그 프로그램된 타임동안(설정시간=예를 들어70msec)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출력되는 변별 신호를 카운트한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적분기(160)의 변별신호를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 값이 1이면 화중음으로 판단하고 2이상이면 착신음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카운팅 값 1 또는 2이상은 변별신호의 펄스가 1개가 검출되거나 2개이상 검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설명하면,상기 화중음은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유지하므로 상기 설정타임에 판계없이 1개(소수)의 변별신호로 출력되지만, 상기 적분기(160)로 출력된 착신음은 한 사이클 주기(약20msec이하)의 변별신호로 출력되므로 예를 들어 상기 설정타임동안(70msec) 상기 마이컴(170)이 카운트하게 되면 값이 2개(다수)이상의 펄스로 되는 것이다.
상기 마이컴(170)은 통화중(화중음)으로 판단되면 모든 작동 상태를 해제시키고 설정 시간동안 유지한 후, 다시 상기 원격체크기 분체 (100)는 활성화되며 초기화부터 다시 동작을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70)에서 판단한 결과가 전화가 걸려 가는(착신음) 중이면, 즉 상기 감지기(200)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중이므로,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감지기(200)가 응답을(응답을 하면 통화요금이 부과되므로)하기전에 즉시 상기 전화회로부(120)의 동작를 해제시키고 설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상기 원격 체크기 본체(100)는 활성화 된 후 상기 감지기 본체(200)의 작동여부를 체크하는 다음과정을 수행하게된다.
상기 두 번째 과정으로, 상기 감지기 본체(200)가 연결되어진 전화선로가 단선 및 정상인가를 체크하는 실시예로 도면3 흐름도(513,514,515,516221,522) 과정으로 그 동작은 아래와 같다.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내에는 상기 마이컴(170)에 기억되어있는 감지기 본체(200)가 연결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DTMF발생기(130)를 구동하여 DTMF신호를 상기 전화회로부(120)쪽으로 출력하면 상기 전화회로부(120)틀 경유하여 다이얼링 된 DTMF신호가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출력되어 감지기 본체(200)의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 가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전화국선(11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선로잡음과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복합주파수 형식의 레벨이 일정한 화중음(480+620HZ)과 레벨의 진폭이 변화하는 착신음(440+480HZ)이 전송되어온다. 상기 전화국선(110)을 통해 전송되어온 신호들은 상기 신호검출부(140)로 유입되고, 상기 신호 검출부(140)는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 등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140)에서 증폭된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은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선로잡음레벨은 최대 최대1.2V이하이며 화중음 레벨은 1.7V 이상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며, 착신음은 500mV내지 2.5V까지 레벨의 진폭이 변화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 들은 상기 신호검출부(140)로부터 출력되어진다.
상기 출력된 신호들을 그대로 상기 적분기(160)로 인가하게 되면, 잡음 및 화중음과 착신음 로우레벨에 의해서 상기 적분기(160)를 트리거하게 되어 상기 마이컴(170)에서 판단이 불가능하므로 먼저, 상기 전압비교기(150)의 기준전압을 1.7V로 구성(설정)하고, 상기 신호 검출부(140)로부터 증폭출력된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을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인가한다.
상기 전압비교기(150)에서는 증폭출력된 선로잡음과 화중음이나 착신음을 기준전압 1.7V와 비교하여 선로잡음(1.2V)일 경우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잡음이 제거되고 불필요한 신호레벨은 커트(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중음이나 착신음일 경우 기준전압1.7V 보다 레벨이 높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필요한 신호만을통과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착신음(440+480HZ)의 진폭레벨이 변화하는 상태가 상기 전압비교기(150)의 기준전압(1.7V)보다 낮으면 상기 전압비교기(150)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되고 그 로우레벨이 출력되는 구간이 착신음 스페이스 타임이 되며, 착심음 진폭레벨이 변화하는 상태가 기준전압(1.7V)보다 높으면 전압비교기(15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어 그 하이레벨의 구간이 트리거 구간이된다.
상기 신호들은 사인파인데, 상기 전압비교기(150)를 통과하면서 구형파로 정형되어, 상기 적분기(160)의 트리거 타임이나, 스페이스 타임으로 사용하게 되며, 상기 신호들은 상기 전압비교기(150)에서 출력되어지고, 그 신호들을 상기적분기(160)로 인가한다.
상기 적분기(160)의 내부는 타이머 IC(TIMER IC)로 적분타임(T=CR)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화중음(480+620HZ=3.6msec)의 펄스 주기보다 길게, 착신음(440+480HZ=4.2msec)과 스페이스 타임(약:10msec)을 더한 14.2msec의 펄스 주기보다 짧게 적분 타임(7msec)을 설정(구성)한다.
일 예로 화중음(480HZ/1=2msec)+(620HZ/1=1.6msec)=3.6msec가 될 수 있고,
착신음(440HZ/1=2.2msec)+(480HZ/1=2msec)=4.2msec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 타임은 전압비교기(150)의 기준전압에 의해 변화 가능. 현재는 약:10msec이다.
교환기로부터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화중음신호가 전송되고 있을 경우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화중음신호가 출력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적분기(160)가 트리거되면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고, 적분타임보다 펄스의 주기가빠르게 트리거 되므로,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계속 유지되며 즉 펄스 1개로 출력된다.
교환기로부터 상기 전화국선(110)으로 착신음 신호가 전송되고 있을 경우 상기 전압비교기(150)로 착신음이 출력되어 이로 인해 상기 적분기(160)가 트리거되면 상기 적분기(160)는, 하이로 출력되고 있다가, 적분타임보다 스페이스타임 주기가 (길다)느리므로 상기 적분기(160)의 적분타임동안 방전되어서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은 로우로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적분기(160)는 상기 착신음신호의 펄스가 누락되는 것을 체크한다. 즉, 주기마다 트리거되는 상태와, 적분타임동안 방전되는 상태가 상기 적분기(160)에서 한 사이클의 주기 (예를 들어 20msec이하)의 펄스로 출력된다.
따라서, 화중음이나 착신음일 때 각각 신호가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변별되어 출력된다.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출력되어진 신호들을 분석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170)에 인가한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하이신호가 인가될 때 인터럽트가 작동되어 프로그램의 설정타임를 스타트하고, 그 프로그램된 타임동안(설정시간= 예를 들어70msec)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출력되는 변별 신호를 카운트한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적분기(160)의 변별신호를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 값이 1이면 화중음으로 판단하고 2이상이면 착신음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카운팅 값 1 또는 2이상은 변별신호의 펄스가 1개가 검출되거나 2개이상 검출되는것을 나타낸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화중음은 상기 적분기(160)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유지하므로 상기 설정타임에 관계없이 1개(소수)의 변별신호로 출력되지만, 상기 적분기(160)로 출력된 착신음은 한 사이클 주기(약20msec이하)의 변별신호로 출력되므로 예를 들어 상기 설정타임동안(70msec) 상기 마이컴(170)이 카운트하게 되면 값이 2개(다수)이상의 펄스로 되는 것이다.
상기 마이컴(170)은 통화중(화중음)으로 판단되면 원거리의 상기 전화선로가 단선되지 않고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화회로부(120)의 작동상태를 해제시키고 설정시간동안 유지한 후에 다시 상기 원격 체크기본체(100)는 활성화되어 원거리 단선체크를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판단 결과 전화가 걸려 가는(착신음)중으로 판단되면 원거리의 상기 전화선로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선상태 데이터 (예를 들어 단선전화번호)를 출력하여 상기 표시기(190)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180)을 구동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범통보기 운영자들에게 전화 기본요금만으로 통신요금은 부가되지 않는 방법으로 원거리(시내 및 시외 국외)와 전화선로를 단선체크하는 장치로서 전화교환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운용되어질 수 있으며 컴퓨터와 원격체크기를 기술적으로 조합시키면 경제적으로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1)

  1. 특정전화선로에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를 연결하고 원거리의 다른 전화번호의 선로에는 상기 감지기 본체(200)를 연결한 원거리 전화단선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체크기 본체(100)에는 교환기로부터 전화선로를 통해 제공되는 복합주파수 신호를 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복합주파수 신호로부터 트리거구간과 스페이스 구간을 갖는 한 싸이클로 이루어진 구형파 신호를 생성하며, 잡음을 제거하는 상기 전압비교기(150)와, 상기 전압비교기(150)로부터 출력된 트리거구간과 스페이스구간을 갖는 한 싸이클로 이루어진 구형파 신호를 적분하여 화중음이나 착신음을 변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적분기(160)와 상기 적분기(160)로부터 출력된 화중음이나 착신음의 변별신호를 받아,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팅하여 카운팅값이 1개의 펄스이면 선로정상으로 판단하여 설정시간 후에 초기화되고, 2개이상의 펄스이면 선로단선상태로 판단하여 경보제어 신호와 단선상태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마이컴(170)과 상기 마이컴(170)으로부터 출력된 단선상태의 데이터를 받아 표시하는 상기 표시기(190)를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전화 단선체크장치.
KR1019980034745A 1998-08-27 1998-08-27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KR10037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45A KR100373439B1 (ko) 1998-08-27 1998-08-27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45A KR100373439B1 (ko) 1998-08-27 1998-08-27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115A KR19980082115A (ko) 1998-11-25
KR100373439B1 true KR100373439B1 (ko) 2003-05-17

Family

ID=3741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745A KR100373439B1 (ko) 1998-08-27 1998-08-27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4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970A (ko) * 1981-10-29 1984-06-07 베리 에이 뉴삼 아미노 사이클로펜탄산 및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970A (ko) * 1981-10-29 1984-06-07 베리 에이 뉴삼 아미노 사이클로펜탄산 및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115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731A (en) Telephone monitoring and alarm device
JPH0349491Y2 (ko)
JPH08172474A (ja) 発呼者id用電話装置
US5369690A (en) Telephone call detecting circuit and a method of remotely accessing and testing a telephone
CA227968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hone call fraud detection and prevention
KR100373439B1 (ko) 원거리전화단선체크장치
US4811386A (en) Called party response detecting apparatus
JPH0427748B2 (ko)
JPH10243122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に使用する送信装置、受信装置
JP3249021B2 (ja) 自動通報装置
JP3004156B2 (ja) 自動情報送信装置
JP3453985B2 (ja) 端末網制御装置
KR960012545B1 (ko) 팩시밀리의 통화시간 감지 방법
KR920004154B1 (ko) 음성 통신과 데이타 통신 병행 방법 및 장치
JP2556396B2 (ja) 公衆電話機
JP3365323B2 (ja) 公衆電話機
JP2002125060A (ja) 回線端末装置
JP2684279B2 (ja) 公衆電話機
JP3367032B2 (ja) 料金徴収式電話機
JPH11316887A (ja) 通報装置
JPH0122788B2 (ko)
JPH1166468A (ja) 監視機能付きテレビ装置
JPH10155021A (ja) 発信電話番号表示装置
JPH03107264A (ja) データ通信機能付公衆電話機
JPH10155022A (ja) 電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