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195B1 - 전원공급장치및전원공급장치를구비한송신기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및전원공급장치를구비한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195B1
KR100373195B1 KR1019960700586A KR19960700586A KR100373195B1 KR 100373195 B1 KR100373195 B1 KR 100373195B1 KR 1019960700586 A KR1019960700586 A KR 1019960700586A KR 19960700586 A KR19960700586 A KR 19960700586A KR 100373195 B1 KR100373195 B1 KR 100373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voltage
output voltage
outpu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386A (ko
Inventor
에밀 요젭 아필탄스 코엔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96070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코일(1)과, 온타임 동안 상기 코일(1)과 입력 단자(20) 간에 도통 경로를 확립하고, 오프타임 동안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1) 간의 도통 경로를 중단시키는 스위칭 수단(2)과, 상기 입력 단자(20)와 상기 코일(1) 간의 도통 경로의 중단시 상기 코일(1)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도통 경로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3), 및 부하(5) 양단의 출력 전압과 제 1 기준 전압(V1) 간의 차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2)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을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4)을 포함하는 전원이 제공되어, 그 출력 전압이 두 기준값들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효율이 개선된다. 두 기준값들에 의해 규정된 전압 윈도우내에서, 전원은 자기 조정되고, 그 결과 제어가 디스에이블링되고 효율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한 송신기
본 발명은, 전원(power supply)에 있어서,
-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단자와, 부하를 접속하기 위한 출력 단자,
- 코일,
-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수단으로서,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타임 동안 상기 코일과 상기 입력 단자 사이에 도통 경로를 확립하고, 오프타임 동안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에 상기 도통 경로를 중단시키는, 상기 스위칭 수단,
- 상기 코일과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의 상기 도통 경로의 중단시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도통 경로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및
-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 및 제 1 기준 전압에 연결된 제 1 비교기의 입력들과,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어 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 변경 수단으로서,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 1 기준 전압 사이의 차를 나타내는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사이의 비율을 변경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원은 일반적으로 그 전압이 원하는 값으로 유지되는 출력 전압을부하(load)에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출력단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출력단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가능한 전원에 연결된 전원 단자를 갖는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원은 1992년 10월 15일자 'Electronic Design' 제40권, 제21호의 104페이지에 공지되어 있으며, 스위칭 수단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연속 도통 모드에서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원을 개시하고 있다. 연속 도통 모드는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0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원의 단점은, 부하가 변하지 않거나 거의 변하지 않고 그 결과로 출력 전압 역시 변하지 않거나 거의 변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 전압이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런 제어는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류를 소모시켜, 그 결과로 전원에서의 전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초래한다. 따라서, 전원의 효율은 엄밀히 필요한 것보다 더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을 향상시킨 전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 규정된 유형의 전원은, 상기 변경 수단이,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 및 제 2 기준 전압 간의 차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 및 상기 제 2 기준 전압에 연결된 입력들을 갖는 제 2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준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더 작으며, 상기 변경 수단의 상기 회로가,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더 크다는 것을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비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더 작다는 것을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비율을 증가시키며,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더 작다는 것을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고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더 크다는 것을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이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기준 진압에 의해 규정된 전압 윈도우내의 연속 도통 모드에서 출력 전압의 변동을 허용함으로써, 부하에 공급된 전력이 온타임과 오프타임 사이에 일정 비율을 갖는 부하 변동들에 자동적으로 적응된다는 사실의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 결과, 큰 부하 변동이 발생할 때만 비율 제어가 활성화되어, 그 제어는 작은 부하 변동들의 경우에 디스에이블(disabled)되며 이 제어를 위해 소모된 평균 전류는 감소된다. 이것은 부하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들 사이에서 변화하는 실제 상황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 예로는 라디오/카세트 플레이어가 있으며, 라디오로서의 이용은 전원에 대해 작은 부하를 형성하고, 카세트 플레이어로서의 이용은 전원에 대해 높은 부하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에 의해, 공지된 전원보다 전력 소모가 더 적고 따라서 효율이 더 높은 출력 전압 제어를 갖는전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원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더 큰 경우 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불연속 도통 모드로 전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의 스위칭 사이클에서,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소정 값까지 상승되며 그 후 0까지 감소되고, 그 후 다음 사이클은 출력 전압이 제한값 아래로 감소할 때까지 시작되지 않는다. 이 결과로 펄스 주파수 변조에 의해서 출력 전압 제어가 이루어진다.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 펄스 주파수 변조에 의한 작은 부하 제어의 경우는 연속 도통 모드에서의 제어보다 더 효율적이다. 연속의 도통 모드로부터 불연속의 도통 모드로의 스위칭에 의해, 작은 부하들에 대해 전원을 고효율화할 수 있고, 따라서 큰 전력 범위 및 고효율을 갖는 전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0으로 감소된 후, 상기 출력 전압이 제 3 기준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 불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연속 도통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으로 된 직후 출력 전압이 제 3 기준 전압 아래로 떨어지면, 부하는 너무 커지고, 전원은 연속 도통 모드로 스위칭되어야 하며, 더 큰 전력이 부하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원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 상기 오프타임을 제 1 시간 간격에 제한하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내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 3 기준 전압보다 작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온타임이 소정의 값과 같지 않은 경우 상기 온타임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스텝(step)들의 결과로, 전원에 접속된 회로들내에서 오디오 밴드에서의 간섭을 생성하는 주파수를 갖는 출력 전압에 대해 리플(ripple)없이도 출력 전압 제어를 제공하는 전원이 얻어진다. 큰 전류 펄스들의 경우에, 출력 전압에 리플을 야기하는 전류 펄스들의 최소 주파수는 제한된다. 만일 온타임이 미리 정해진 작은 값을 갖고, 그 결과로 전류 펄스가 비례하는 작은 값을 갖는다면, 출력 전압에 대한 리플은 너무 작아서 가청 범위내의 리플 주파수는 문제시되지 않고 주파수 제한은 불필요해진다.
자기 학습(self-learning) 성질을 갖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상기 불연속 도통 모드로의 전이에서 얻어진 감소된 비율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자기 학습 성질은 출력 전압이 너무 높고 불연속 도통 모드로의 전환이 유효할 때 연속 도통 모드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의 감소를 초래한다. 이 결과, 연속 도통 모드에서 공급된 전력은 부하에 보다 더 양호하게 적응된다. 이것은 연속 도통 모드와 불연속 도통 모드 사이의 스위칭 빈도를 감소시킨다.
출력 전압이 전압 윈도우 아래로 떨어지면 유사한 자기 학습 성질을 갖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경 수단은, 연속 도통 모드에서,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율을 제 1 값으로부터 제 2 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값과 제 2 값 사이의 차보다 더 작은양만큼 상기 제 1 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을 초과하자마자 상기 제 2 값으로부터 제 1 값까지 상기 온타임을 변화시키며,
상기 출력 전압이 제 2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의 도통 경로를 중단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값으로부터 제 2 값으로 상기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예컨대 제 2 값을 제 1 값보다 현저히 더 크게 하여 부하 증가에 대한 신속한 응답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부하가 너무 높으면-이것은 출력 전압이 제 2 시간 간격 동안 제 2 기준 전압 미만으로 유지됨을 나타냄-, 전원은 자체적으로 디스에이블링한다. 전류는 단지 제 2 시간 간격에 제한되는 시간 동안 최대 범위까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유효 전류 제한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전류 감지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필요가 없게 한다. 공지된 전원에서, 전류 감지는 측정될 전류가 흐르는 저항 양단의 전압 강하를 측정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저항은 전력을 소모한다. 이 저항은 없어도 되므로, 전원의 효율은 전류 감지를 이용하는 전원의 효율에 비해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의 한 실시예는,
클럭 펄스들을 발생시키는 수단,
클럭 펄스들의 수들을 나타내는 수들의 저장을 위한 저장 수단,
클럭 펄스들을 카운팅하고 소정 수의 클럭 펄스들이 도달될 때 정지 신호를 공급하는 카운팅 수단,
상기 제 1 기준 전압, 상기 제 2 기준 전압 및 제 3 기준 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출력 전압과의 비교에 응답하여 비교 신호를 공급하는 전압 비교 수단, 및
상기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카운팅 수단으로 수를 로딩하며, 상기 로딩되는 수는 이전의 로딩된 수와 상기 비교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수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로딩된 수와 상기 비교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스텝(step)들에 의해서 MOS 기술로 구현되는 경우 전류 소모가 낮으며 집적화에 적합한 디지털 제어가 달성된다.
훨씬 더 양호한 효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원의 한 실시예에서, 유지수단은 다이오드와 스위치의 병렬 배열을 포함한다. 다이오드가 도통 상태인 기간에 스위치를 닫는 것은 이 기간에서의 다이오드 소산을 제거하여, 전원의 효율을 행상시킨다.
전원의 한 실시예는 적어도 스위칭 수단 또는 스위치가 MOS 트랜지스터이다. MOS 트랜지스터는 집적화에 적합하며, 낮은 포워드 저항을 갖는다. 이 스텝에 의해서 전원은 집적화에 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은 별개로 집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반도체 재료상에서 또다른 회로와 함께 집적될 수 있으며, 다른 회로가 전원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의 실시예는, 상기 전원이 출력 전압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기준 전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측정은 전원의 출력 전압의 외부 제어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력 출력단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출력단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가능한 전원에 연결된 전원 단자를 갖는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제 11 항의 전원이여, 상기 전력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 제어 신호인 송신기가 제공된다.
제어 가능한 출력 전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원은, 송신기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며, 전력 출력단의 출력 전력은 전력 제어 신호를 통해 제어된다. 전력 출력단의 공급 전압을 조정하여 출력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공지된 부스트(boost) 컨버터를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공지된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를 도시한 도면.
제 3 도는 공지된 벅(buck) 컨버터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부스트 컨버터에 기초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을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의 스위칭 사이클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제 6 도는 연속 도통 모드에서 스위칭 사이클동안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의 출력 전압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제 8 도는 부스트 컨버터와 벅 컨버터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
이들 도면에서 동일 소자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에 사용하기 적합한 공지된 전원 토폴로지(topology)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토폴로지들에서 T 네트워크는 본 경우에 스위치(2)로서 구성된 스위칭 수단, 코일(1), 다이오드(3)로 이루어지며, T 네트워크는 입력 단자(20, 21)와 출력 단자(30, 31) 사이애 배열되며, 스무딩(smoothing) 캐패시터(12)는 이들 출력 단자(30, 31)를 가로질러 배열된다. 제 1 도의 부스트 컨버터는 코일(1)에 결합된 입력 단자(20)와, 다이오드(3)의 캐소드에 결합된 출력 단자(30)를 가지며, 스위치(2)는 입력 단자(21) 및 출력 단자(31)에 결합된 수직 브렌치(T)를 형성한다. 제 2 도의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는 다이오드(3)의 애노드에 결합된 출력 단자(30)와, 스위치(2)에 결합된 입력 단자(20)를 가지며, 코일(1)은 수직 브렌치 T를 형성한다. 제 3 도에서의 벅 컨버터는 스위치(2)에 결합된 입력 단자(20) 및 코일(1)에 결합된 출력 단자(30)를 가지며, 다이오드(3)는 코일(1) 및 스위치(2)에 결합된 캐소드를 갖고, 수직 브렌치 T를 형성한다.
제 4 도는 제 1 도의 부스트 컨버터에 기초한 발명에 따른 전원을 단지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그것의 토폴로지는 입력 전압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스위치(2)는 NMOS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된다. 본 경우에, 유지 수단은 PMOS 트랜지스터의 형태로 추가 스위치(11)와 다이오드(3)의 병렬 배열에 의해 구성되며, 이 스위치(11)는 본 발명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NMOS 트랜지스터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의 사용은 이 트랜지스터를 턴온하기 위해 게이트 전압이 전원의출력 진압보다 더 클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전원은 스무딩 캐패시터(12)를 또한 구비하며, 이 스무딩 캐패시터(12)는 출력 단자(30, 31) 및 부하(5)를 가로질러 배열되며, 이 부하(5) 역시 출력 단자(30, 31)들을 가로질러 배열된다. 상기 변경 수단(4)은:
- 주기 T의 클럭 펄스들을 발생하는 클럭 펄스 발생기(6)와;
-인덱스 i(1 = 1 ... 5) 및 j(1 ... 4)를 갖는 수들 Nij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7)으로서, 여기서 N41은 제어 수단(10)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클럭 주기 T의 단위로서 표현된, 즉,
- Ni1은 스위치(2)의 온타임(on-time)이며,
- Ni2는 스위치(11)의 온타임(on-time)이며,
- Ni3는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되게 하는데 필요한 제 1 대기 시간이며,
- Ni4는 불연속의 도통 모드에서의 제 2 및 최대 대기 시간인, 상기 저장 수단(7)과,
- 카운트가 제로가 될 때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펄스 계수용 하향 카운터(8)와,
- 제 1 기준 전압(V1) 및 제 2 기준 전압(V2)과 출력 전압과의 비교에 응답하여 비교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기준 전압(V2)의 값은 상기 제 1 기준전압(V1)의 값보다 작으며, 상기 두 기준 전압들은 전압 윈도우를 형성하는 전압 비교 회로(9)와,
상기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 수단(7)으로부터의 수를 하향 카운터(8)에 로딩하고 로드된 수(number)에 따라 스위치(2, 11)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0)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10)은 상태 카운터 및 위상 카운터를 포함하며, 이들 카운터들 각각은 전원의 상태 1의 순간 상태 i 및 순간 위상을 계속해서 카운팅한다. 상태 카운터의 카운트 i는 값 1, 2, 3, 4, 또는 5를 가정할 수 있다. 불연속 도통모드에 대응하는 상태 i = 1, 2, 3에서, 위상 카운터의 카운트 j는 1로부터 4까지 변화하며, 4가 된 후 다시 1로 복귀한다. 연속의 도통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 i = 4, 5에서, 위상 카운터의 카운트는 1 에서 2로 변화하며 계속하여 1로 복귀한다. 제어 수단(10)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태 카운터의 카운트 i를 제어한다. 즉,
- 다음 위상들의 종료시에 상태 1, 2, 3에서:
- 위상의 종료 시에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보다 작다면 1만큼 증분되며;
- 위상의 종료 시에 하향 카운터(8)가 제로 카운트에 도달하면 상태 i = 2, 3에서 1만큼 감소된다;
- 위상의 종료시에 상태 4에서:
-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보다 크다면 1만큼 감소되며;
- 출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V2 보다 작다면 1만큼 증가된다;
- 위상의 종료시의 상태 5에서:
- 출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V2 보다 크다면 1만큼 감소된다.
상태 카운터의 카운트 i의 변화의 경우, 위상 카운터의 카운트 j는 1이 된다. 모든 다른 경우에, 최대값(상태 1, 2, 3에서는 4, 상태 4, 5에서는 2)이 이미 도달되지 않았고 카운트 j는 l인 경우에, 상태 카운터의 카운트 i는 변하지 않으며 위상 카운터의 카운트 j가 각 위상의 종료 시에 1 증가된다.
두 카운터의 카운트 i 및 j를 이용하여, 제어 수단(10)은 각 위상의 시작 시에 수 Nij를 선택하며, 이 수는 하향 카운터(8)에 연속적으로 로딩된다. 하향 카운터(8)의 카운트는 제로 카운트에 도달될 때까지 각 클럭 주기후에 1 감소된다. 그후, 하향 카운터(8)는 정지하며 정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정지 신호는 또한 위상의 종료를 나타낸다. 상기에 대한 예외가 위상(i = 1, 2, 3)인 경우이다. 위상(i = 2, 3)은 하향 카운터(8)의 카운트가 제로가 되기 전에 상기 경우가 발생하면,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미만의 값으로 떨어지는 순간 종료된다. 위상은 제한이 없으며, 이 위상은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미만으로 감소하는 순간에서 배타적으로 종료한다, 이것은 상태 2 및 3을 제한하는 주파수에 의해 상태 1, 2, 3에서 펄스 주파수 변조를 초래한다.
제어 수단(10)은 위상동안 A 신호를 하이로 함으로써 위상(j = 1)에서만 스위치(2)를 턴온하며 위상(j = 2)에서만 위상동안의 B 신호를 로우로 함으로써 스위치(11)를 턴온한다. 다른 위상들에서는, 스위치(2, 11)는 각각 A 및 B 신호를 로우 및 하이로 함으로써 턴오프된다. '하이'는 출력 전압과 동일하며 '로우'는 제로 볼트와 동일하다. 이것의 목적은 위상및 위상에서 스위치(2, 11)를 각각 턴온하며, 다른 위상에서는 턴 오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지 상기 목적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가의 예로서, 비제한적인 예이다.
수 Nij는 더 큰 수를 갖는 상태에서 고전력이 부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예를 들어, i가 증가함에 따라 수 Ni1및 Ni2를 더 크게 선택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수의 값 선택은 입력 전압의 크기, 출력 전압의 크기, 및 예측된 최대 및 최소 부하의 값 및 소정의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 영향 받는다.
제 5 도는 불연속 도통 모드(상태 i = 1, 2, 3)에서의 스위칭 사이클을 도시한 것이며, 코일(1)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시간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상태 i = 1, 2, 3 는 더 큰 수를 갖는 상태에서 Ni1및 Ni2값이 더욱 커진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위상에서, 스위치(2)는 닫히고 스위치(11)는 개방되며, 입력 전압이 코일(1)에 인가되고 코일(1)을 흐르는 전류가 조성되게 된다. 위상에서 스위치(2)는 개방되고 스위치(11)는 닫히며, 그 결과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간의 차와 동일한 크기 및 입력 전압에 반대인 부호를 갖는 전압이 코일(1)에 인가된다. 코일(1)을 흐르는 전류는 중단될 수 없으므로, 스위치(11)를 통해 부하(5) 및 캐패시터(12)의 병렬 배열내에 흐르게 된다. 코일(1) 양단의 전압이 네가티브이므로, 전류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위상에서, 스위치(2, 11)는 둘 다 개방된다. 전류는 그 전류가 제로가 될 때까지 다이오드(3) 및 부하(5)를 통해 흐르게 된다. 다이오드(3)는 전류가 네가티브가 될 수 없도록 한다. 다이오드(3)는 위상의 시작 시에 스위치(2)가 턴오프되고 스위치(11)가 아직 턴온되지 않았다면 전류 경로를 제공한다. 위상의 시작에서, 즉, 스위치(2)가 개방된 후 시간 간격(Ni2+ Ni3)*T 후에, 출력 전압은 제 1 기준 전압 V1과 비교된다.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보다 작다면, 제어 수단은 상태가 1 증가하며, 새로운 스위칭 사이클이 더욱 긴 제 1 위상으로 시작되며, 코일(1)을 흐르는 전류는 더 큰 값을 조성한다.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보다 크다면, 위상이 시작되어 스위칭 사이클이 반복된 후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미만으로 감소될 때까지 대기 시간을 준수한다. 상태 i = 2, 3에서 출력 전압이 제로 카운트가 되기 전에 제 1 기준 전압 V1 미만으로 감소되지 않는다면, 제어 수단(10)은 하향 카운터(8)가 제로 카운트가 된 후 그 상태가 1 감소되며 새로운 스위칭 사이클은 더 짧은 제 1 위상 (i-1)1을 갖는 더 낮은 수치 상태에서 개시된다. 상태 1 = 2, 3에서, 총 대기 시간은 하향 카운터(8)가 제로 카운트에 도달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이것은 상태 i = 2, 3 에서의 스위치(2)의 오프타임의 최대 지속기간이 (Ni2+ Ni3+ Ni4)*T에 제한되고 스위칭 사이클의 최대 지속기간이 (Ni1+ Ni2+ Ni3+ Ni4)*T에 제한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대 스위칭 주파수가 얻어진다. 스위칭으로 인한 가청 주파수 이상에 상기 최대 스위칭 주파수가 위치되게 선택함으로써, 전원에 접속된 회로를 통해 가청할수 없게 된다. 스위치(2)의 매우 짧은 온타임을 갖는 상태 i = 1에서, 대기 시간을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V1 미만으로 떨어질 때까지 준수되며, 이후, 새로운 스위칭 사이클은 위상으로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류 펄스가 너무 작아 가청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파수 제한이 불필요 하다.
제 6 도는 연속의 도통 모드(상태 i = 4, 5)에서의 스위칭 사이클을 도시한 것이며, 코일(1)을 흐르는 전류를 시간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상태 i = 4, 5에서의 위상은 그 관련된 수치 값에 관해서는 다르며, 상태 i = 1, 2, 3에서의 위상와는 유사하다. 본 경우에서, 위상는 상태 i = 4, 5의 특성이 전류가 제로가 되도록 하는 대기 시간이 없는 상태이므로 사용되지 않는다. 위상의 종료 대신에 위상의 종료 시에 전압 비교가 영향받는다는 또다른 차이가 있다. 상태 i = 4에서의 위상의 종료시에, 제어 수단(10)은 제 7 도에 도시된 것처럼 출력 전압의 값에 따라 위상중의 한 위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I 범위에서, 출력 전압은 제 1 기준 전압 V1 보다 크며, 제어 수단(10)은 전원이 부하(5)에 너무 큰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더 낮은 상태 i = 3으로 전환되며, 그 결과 출력 전압은 하이가 된다. 또한, 제어 수단(10)은 N41의 값을 1 감소시킨다. 이러한 단계에 의해, 상태 i = 4에서의 온타임은 1 클럭주기 감소되며, 이 상태 i = 4에서의 평균 전류는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상태 i = 4에 복귀된 후 전력 공급으로 제공된 전력은 부하에 더욱 잘 인가될 것이며, 이것은 상태 i = 3 과 i = 4간의 반복된 스위칭을 금지한다. II 범위에서, 출력 전압이 기준전압 V1 및 V2에 의해 규정된 전압 윈도우내에 있으며, 온타임 및 오프타임과 N4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온타임(위상) 동안 일정 전압이 코일(1) 양단에 얻어지며 스위치(2)가 닫혀진다. 이 결과, 위상동안 코일(1)을 흐르는 전류는 위상에서 스위치(2)가 개방되고 스위치(11)가 닫혀질 때까지 시간의 함수로서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위상에서, 코일(1)을 흐르는 전류는 스위치(2)가 닫히고 스위치(11)가 개방될 때까지 감소하며, 이후, 사이클은 다시 시작된다. 부하(5)에 공급된 전력은 스위치(11)의 온타임 동안 부하(5)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부하(5) 양단의 전압의 곱이다. 전류의 감소는 출력 전압에 비례하며, 이것은 출력 전압이 증가한다면 출력 전압이 감소할 때보다 더욱 신속하게 전류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것은 증가 출력 전압이 더 적은 전류를 소모하는 더 작은 부하를 나타내기 때문에, 출력 전압에서의 변화에 대한 소정의 응답이다. 이것은 제어가 활성화되지 않은 출력 전압에 대해 작은 부하 변동의 효과를 보상하는 출력 전압 제어를 제공한다. 제어가 디스에이블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전류를 절약하고, 결과적으로, 전력 공급의 효율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보상은 전압 윈도우 및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실질적으로, 출력 전압이 변화하도록 허용된 범위는 약 5V의 평균 출력 전압에 대해 100mV 정도이다. 작은 부하의 변동은 충분히 큰 스위칭 주파수(100KHz 이상)에 의해 적절하게 보상된다. III 범위에서, 출력 전압은 제 2 기준 전압 V2 미만으로 감소되며, 이것은 일정한 온타임 및 오프타임으로, 부하(5)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상태가 i = 5 로 증가되면,스위치(2)의 온타임은 상당히 연장되고 수 N51은 수 N41보다 크게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평균 전류는 부하(5)에 과잉 전력을 신속하게 공급하며, 부하 증가에 대한 신속한 응답이 얻어진다. 더욱이, 제어 수단(10)은 1 클럭 주기만큼 온타임(N41)을 연장함으로써 상태 i = 4에서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 평균 전류값이 증가하므로 공급될 전력이 증가되며, 연속의 도통모드의 설정은 부하(5)에 더욱 잘 적용된다. 상태 i = 4 로의 복귀 후에, N41의 적용은 상태 i = 4와 i = 5 간의 스위칭 횟수를 덜 요구하게 된다. 상태 i = 4 로의 복귀는 위상의 종료시에 출력 전압이 다시 제 2 기준 전압 V2을 초과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위상의 종료시에 상태 i = 5 에서, 그 출력 전압의 값에 따라 위상로의 전이가 가능하다. 즉,
- 출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V2 보다 크다면 그 상태는 i = 4로 변화되며,
- 출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V2 보다 작다면 그 상태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태 i = 5에서, 그 상태 동안 얼마나 많은 전력 공급의 연속 사이클이 있는지를 카운팅함으로써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수가 제한 값을 초과한다면, 부하가 지나치게 하이가 됨을 나타내게 되며 전력 공급은 요구된 전력을 전달할 수 없다. 연속적으로 제어 수단(10)은 도통 경로를 방해할 수도 있다. 상태 i = 5에서와 같이, 전류는 최대 범위까지 증가하며 이 상태는 시간에 제한되고, 이러한 시간의 제한은 유효한 전류 제한을 실현한다. 결과적으로, 전류 제한을 목적으로한 전류 측정이 더 이상 불필요하다. 전류 측정 방법은 전류가 흐르는 저항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은 전력을 소모하며, 이것은 전력 공급의 효율성에 역효과를 준다. 전류 측정의 생략은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더욱 개선시킨다. 간단히 요약하면, 이것은,
- I 범위에서는, 전환이 불연속 도통 모드(상태 i = 3)에 영향받고 상태 i = 4 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이 감소된다.
- II 범위에서는, 연속 도통 모드(상태 i = 4)에서 아무 변화가 없다.
- III 범위에서는, 연속 도통 모드(상태 i = 5)에서 출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V2 보다 작고 상태 4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이 증가되는 한, 온타임이 증가되어 유지된다.
불연속 도통 모드(상태 i =1, 2, 3)에서, 출력 전압은 항상 I 범위내에 있게 된다. 출력 전압이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벗어나려는 순간, 순간 상태에 따라, 전환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하여 만약 요구된다면 그 상태가 된다. 부하에 대해 더욱 양호한 출력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전력 공급의 자기 학습 성질은 II 범위로부터 I 범위 또는 III 범위로 각각 전환한 후 수 N41의 감소 또는 증가를 초래한다.
제 8 도는 부스트(boost) 및 벅(buck) 컨버터의 조합을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S1, S2)는 입력 단자들(20과 21) 사이에 직렬로 위치된다. 스위치(S4, S3)는 출력 단자들(30과 31) 사이에 직렬로 위치된다. 다이오드(14)는 그 애노드가 입력 단자(21)에 접속되고 스위치(S2)에 병렬로 위치된다. 다이오드(3)는 그 캐소드가 출력 단자(30)에 접속되고 스위치(S4)에 병렬로 위치된다. 코일(1)은 그 한 측이 스위치들(S1, S2)의 접속부에, 또다른 한 측이 스위치들(S3, S4)의 접속부에 접속된다. 캐패시터(12)는 출력 단자(30, 31)에 접속된다.
스위치(S3)가 개방되고 스위치(S4)가 닫혀 있다면, 스위치(S1, S2)는 각각 스위치(11, 2)로서 동작하며, 이로써,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벅 컨버터가 입력 단자(20, 21)에 인가된 입력 전압을 하향 변환하도록, 입력 전압보다 더 낮은 출력 전압으로 구현된다. 스위치(S1)가 닫히고 스위치(S2)가 개방된다면, 스위치(S3, S4)는 각각 스위치(2, 11)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 4 도에 도시된 바의 부스트 컨버터가 입력 단자(20, 21)에 인가된 입력 전압을 상향 변환하도록, 입력 전압보다 큰 출력 전압으로 구현된다. 또다른 구성은 스위치(S1, S4)를 닫고 스위치(S2, S3)를 개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이렉트(direct)" 컨버터는 입력 단자(20, 21)에 인가된 입력 전압을 출력 단자(30, 31)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실현된다. 가용의 입력 전압 및 요구된 출력 전압에 따라, 제 8 도의 회로는 한 구성으로부터 가용 입력 전압에 무관한 요구 출력 전압을 전하는 또다른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세 가지의 가능한 구성들 간의 전환은 입력 및 출력 전압의 비교에 기초할 수 있다. 입력 전압이 출력 전압보다 크다면, 그 회로는 벅 컨버터로서 구현된다. 입력 전압이 출력 전압과 동일하면, 그 회로는 다이렉트 컨버터로서 구현된다. 입력 전압이 출력 전압보다 더 낮다면, 그 회로는 부스트 컨버터로서 구성된다.
세 가지의 가능한 구성들 간의 전환을 결정하는 또다른 방법은 듀티 사이클의 측정에 기초할 수 있다. 듀티 사이클의 값이 소정값을 초과하거나 이하로 떨어진다면, 한 구성으로부터 또다른 한 구성으로의 전환이 유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벅 컨버터 구성에서 듀티 사이클이 상태 i = 4에서 소정값(약 95%)을 초과할때, 이것은 전력 공급이 그 소정 값에서의 출력 전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 구성은 다이렉트 컨버터로 스위칭된다. 만일,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V1과 V2로 규정된 윈도우내에 머무른다면, 이러한 구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출력 전압이 더욱 낮은 기준 전압 V2 보다 더 낮아질 때, 컨버터는 부스트 컨버터 구성으로 스위칭 된다. 다이렉트 컨버터 모드에서의 출력 전압이 더욱 큰 기준 전압 V1 이상으로 상승하면, 컨버터는 벅 컨버터 구성으로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다이렉트 컨버터 구성에서, 다른 구성으로의 전환은 출력 전압 값에만 근거할 수 있다. 부스트 컨버터 구성에서, 듀티 사이클이 약 5%의 소정값 이하로 떨어질 때, 다이렉트 컨버터 구성으로의 전환이 유효하게 된다.
또한 듀티 사이클의 측정과 입력 및 출력 전압의 비교를 조합하여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 구성을 가용 입력 전압에 적용하여, 입력 전압에 무관한 일정의 출력 전압을 발생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방식에서, 광범위의 입력 전압에 대해 동일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꾸준히 감소하는 입력 전압과 비교될 때, 그 출력 전압은 벅 컨버터로부터 다이렉트 컨버터로, 최종적으로 부스트 컨버터로 전환시킴으로써 소정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입력 전압이 천천히 유도된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때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은, 그 출력 단자(30, 31) 양단에 가변 및 제어가능한 출력 전압을 전달하도록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출력 전압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기준 전압(V1, V2)을 발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전압(V1, V2)을 가변의 또다른 기준 전압에 비례시킴으로써, 상태 4 및 5에서, 변경 수단은 기준 전압(V1, V2)에 의해 결정된 윈도우내에 출력 전압을 유지하고 그 전압을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상태 1, 2, 3에서 기준 전압 V1에 근접하도록 한다. 이들 기준 전압(V1, V2)이 또다른 기준 전압에 비례함에 따라, 출력 전압은 상기 또다른 기준 전압에 비례하게 된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의존성을 실현하는 여러 방법이 있다. 기준 전압(V1, V2)이 또다른 기준 전압에 비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윈도우 크기는 또다른 기준 전압에 비례한다. 윈도우 크기가 또다른 기준 전압에 독립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들 의존성을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가능 출력 전압을 갖는 전원은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 가능한 용도는 송신기의 전력 출력단에 공급하는데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전력 출력단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송신기의 출력 전력은 이에 따라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전력 출력단의 출력 전력은 트랜지스터 증폭단에서의 바이어스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되지만, 그 결과, 저출력 전력에서 낮은 효율이 발생한다. 전력 출력단의 공급 전압의 제어를 통한 전력 제어는 전력이 감소될때 조차도 전력 출력단의 효율이 높게 유지되는 주요 장점을 갖는다. 송신기의 전력 출력단의 공급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의 사용은 증가된 효율로 더욱 긴 배터리 수명을 가질때송신기에 배터리를 사용하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송신기는 GSM 표준 방식에 따른 이동국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국은 수신기 및 송신기를 구비하며 코드가 없는 전화로서 사용된다. 전화 호출동안, 이동국은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기지국은 전화 회선에 결합된다. GSM 표준 방식에서, 특히 "이동국 전력 제어" 메시지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발신에 제공된다. 이들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그 기지국에 수신된 소정 레벨로 그 출력 전력을 설정하기 위해 이동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국에서, 그 사용된 송신기의 전력 출력단에 공급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어가능의 출력 전압을 갖는 전력 공급원을 구비한다. "이동국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전원용 출력 전압 제어 신호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기의 출력 전력은 "이동국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출력 전압 제어 신호를 적정 레벨에 설전함으로써 설정 가능하다. 이동국의 전력 출력단에 본 발명의 전원을 사용하여, 더욱 큰 전력 효율의 이동국이 실현되며, 결과적으로, 이동국의 배터리의 대체 또는 연속적인 충전 시기의 간격이 더욱 길어진다.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에서 일탈하지 않는 여러 변형예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4 도에 도시된 변경 수단(4)은 제 2 도 및 3 도에 도시된 컨버터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 Nij는 적절한 방식으로 응용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 Nij의 값은 전원이 동작하는 주파수 범위 및 부하에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다수의 상태들은 5개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상기 수는 예견된 부하 변동 및 소정의 제어 특성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도 있다. 원리적으로, 위상의 길이는 전류 측정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때, 위상은 불필요하다.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은 제 1 및 제 2 기준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교에 기초하여 전류의 제한값에 영향을 줌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수단은 또다른 유형의 것이어도 된다. 상태 i = 1, 2, 3에 대한 기준 전압은 제 1 기준 전압 V1과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제 1 기준 전압 V1과 제 2 기준 전압 V2 사이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태 4에서 수 N41로 표현된 온타임의 확장 및 감소는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온타임과 오프타임 간의 비율이 정확하게 변화된다면, 수 N42로 표현된 오프타임을 줄이거나 연장할 수 있다. 스위치(2, 11)는 MOS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은 간단히 집적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이오드에 병렬인 제 2 스위치(11)는 불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상태 1, 2, 3에서의 위상가 단일 위상에 조합될 수 있게 한다.

Claims (17)

  1. 전원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단자와, 부하를 접속하기 위한 출력 단자,
    코일,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수단으로서,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타임 동안 상기 코일과 상기 입력 단자 사이에 도통 경로를 확립하고, 오프타임 동안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에 상기 도통 경로를 중단시키는, 상기 스위칭 수단,
    상기 코일과 상기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의 상기 도통 경로의 중단시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도통 경로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및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 및 제 1 기준 전압에 연결된 제 1 비교기의 입력들과,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어 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 변경 수단으로서, 상기 부하(5) 양단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 1 기준 전압(V1) 사이의 차를 나타내는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2)의 온타임과 오프타임 사이의 비율을 변경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변경 수단(4)은,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 및 제 2 기준 전압간의 차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 및상기 제 2 기준 전압에 연결된 입력들을 갖는 제 2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더 작으며,
    상기 변경 수단의 상기 회로는,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V1)보다 더 크다는 것을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비율을 감소시키고,
    상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V2)보다 더 작다는 것을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비율을 증가시키며,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더 작다는 것을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고 상기 부하 양단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더 크다는 것을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전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V1)보다 더 큰 경우 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불연속 도통 모드로 전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0으로 감소된 후, 상기 출력 전압이 제 3 기준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 불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연속 도통모드로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 상기 오프타임을 제 1 시간 간격에 제한하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내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 3 기준 전압보다 작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온타임이 소정의 값과 같지 않은 경우 상기 온타임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상기 불연속 도통 모드로의 전이에서 얻어진 감소된 비율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 전압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V1)과 같은, 전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연속 도통 모드에서,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율을 제 1 값으로부터 제 2 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값과 제 2 값 사이의 차보다 더 작은 양만큼 상기 제 1 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V2)을 초과하자마자 상기 제 2 값으로부터 제 1 값까지 상기 온타임을 변화시키며,
    상기 출력 전압이 제 2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제 2 기준 전압(V2)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의 도통 경로를 중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8. 제 1 항에 있어서,
    클럭 펄스들을 발생시키는 수단,
    클럭 펄스들의 수들을 나타내는 수들의 저장을 위한 저장 수단,
    클럭 펄스들을 카운팅하고 소정 수의 클럭 펄스들이 도달될 때 정지 신호를 공급하는 카운팅 수단,
    상기 제 1 기준 전압(V1), 상기 제 2 기준 전압(V2) 및 제 3 기준 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출력 전압과의 비교에 응답하여 비교 신호를 공급하는 전압 비교 수단, 및
    상기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카운팅 수단으로 수를 로딩하며, 상기 로딩되는 수는 이전의 로딩된 수와 상기 비교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수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로딩된 수와 상기 비교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다이오드와 스위치의 병렬 배열을 포함하는, 전원.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위칭 수단 또는 스위치는 MOS 트랜지스터인, 전원.
  11.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전압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기준 전압들(V1, V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원.
  12. 전력 출력단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출력단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가능한 전원에 연결된 전원 단자를 갖는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제 11 항의 전원이며, 상기 전력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의 출력 전압 제어 신호인, 송신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불연속 도통 모드에서 상기 오프타임을 제 1 시간 간격에 제한하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내의 출력 전압이 제 3 기준 전압보다 작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온타임이 소정의 값과 같지 않은 경우에 상기 온타임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연속 도통 모드로부터 상기 불연속 도통 모드로의 전이에서 얻어진 감소전 비율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 전압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과 같은 전원.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연속 도통 모드에서,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율을 제 1 값으로부터 제 2 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값과 제 2 값 사이의 차보다 더 작은 양만큼 상기 제 1 값을 증가시키며,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V2)을 초과하자마자 상기 제 2 값으로부터 제 1 값까지 상기 온타임을 변화시키며,
    상기 출력 전압이 제 2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제 2 기준 전압(V2)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코일 사이의 도통 경로를 중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
  17. 제 2 항에 있어서,
    출력 전압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기준 전압들(V1, V2)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원.
KR1019960700586A 1994-06-03 1995-05-31 전원공급장치및전원공급장치를구비한송신기 KR100373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201588.4 1994-06-03
EP94201588 1994-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386A KR960704386A (ko) 1996-08-31
KR100373195B1 true KR100373195B1 (ko) 2003-06-09

Family

ID=821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586A KR100373195B1 (ko) 1994-06-03 1995-05-31 전원공급장치및전원공급장치를구비한송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52694A (ko)
EP (1) EP0712547B1 (ko)
JP (1) JP3727064B2 (ko)
KR (1) KR100373195B1 (ko)
DE (1) DE69513491T2 (ko)
WO (1) WO1995034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553A (ja) * 1996-07-25 1998-02-13 Rohm Co Ltd 電源装置
DE69809020T2 (de) * 1997-03-27 2003-08-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Numerisch gesteuerter schaltspannungswandler
DE59805643D1 (de) 1997-11-03 2002-10-24 Siemens Ag Drosselwandler
US6020729A (en) * 1997-12-16 2000-02-01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Discrete-time sampling of data for use in switching regulators
US6268716B1 (en) * 1998-10-30 2001-07-31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Digital voltage regulator using current control
US6198261B1 (en) 1998-10-30 2001-03-06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 power transistor in a digital voltage regulator
US6160441A (en) 1998-10-30 2000-12-12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ensors for measuring current passing through a load
US6100676A (en) * 1998-10-30 2000-08-08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voltage regulation
DE19853626A1 (de) * 1998-11-20 2000-05-31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Schaltregl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von Schaltreglern
EP1118149B1 (en) * 1999-08-03 2008-11-05 Nxp B.V. A dc/dc buck-boost converter
US6194880B1 (en) * 1999-10-22 2001-02-27 Lucent Technologies Inc. Boost converter, method of converting power and power supply employing the same
DE10035418A1 (de) * 2000-07-20 2002-02-14 Infineon Technologies Ag Volldigitaler Spannungswandler
WO2002058221A1 (en) 2001-01-18 2002-07-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c/dc up/down converter
WO2002058220A1 (en) * 2001-01-18 2002-07-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ingle reference dc/dc converter
EP1356577A2 (en) * 2001-01-18 2003-10-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ingle level time-shifted reference dc/dc converter
EP1356578A1 (en) 2001-01-23 2003-10-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igitally controlled dc/dc converter
CN100492843C (zh) * 2001-03-16 2009-05-27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直流-直流变换器和配置该变换器的电路装置
US6853173B2 (en) * 2002-01-25 2005-02-08 Broadcom Corporation Programmable dual mode hysteretic power output controller
US6869436B2 (en) * 2002-02-07 2005-03-22 Scimed Life Systems, Inc. Surgical clip with a self-releasing fluid reservoir
US6747442B2 (en) 2002-02-19 2004-06-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hase integrated DC-to-DC voltage converter
US6781353B2 (en) * 2002-03-20 2004-08-2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ynchronous regulator with switchable current reference source
US7058374B2 (en) * 2002-10-15 2006-06-06 Skyworks Solutions, Inc. Low noise switching voltage regulator
DE10255357B4 (de) * 2002-11-27 2009-12-10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Gleichspanungswandlerschaltung und Verfahren zur Gleichspannungswandlung
US7102340B1 (en) 2003-01-21 2006-09-05 Microsemi Corporation Dual-mode PFM boost converter
US7102339B1 (en) 2003-01-21 2006-09-05 Microsemi, Inc. Method and apparatus to switch operating modes in a PFM converter
US7075280B2 (en) * 2003-07-02 2006-07-11 Sigmatel, Inc. Pulse-skipping PFM DC-DC converter using a voltage mode control loop
US6940189B2 (en) 2003-07-31 2005-09-06 Andrew Roman Gizara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digital core with a switch mode power supply
US7295949B2 (en) * 2004-06-28 2007-11-13 Broadcom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achievement of integrated circuit performance goals
US7161333B2 (en) * 2004-12-08 2007-01-09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ad current in switching regulators operable in pulse skipping mode
US7466112B2 (en) * 2005-02-08 2008-12-1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 frequency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256570B2 (en) 2005-02-08 2007-08-1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Light load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365525B2 (en) * 2005-02-08 2008-04-29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Protection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394231B2 (en) * 2005-02-08 2008-07-01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756681B2 (en) * 2005-03-10 201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upply circuit
US7506180B2 (en) * 2005-03-10 2009-03-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wer drawn from a switching power supply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 switching power supply switch is enabled
US7692417B2 (en) 2005-09-19 2010-04-06 Skyworks Solutions, Inc.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US11881814B2 (en) 2005-12-05 2024-01-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10693415B2 (en) 2007-12-05 2020-06-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JP2007202273A (ja) * 2006-01-25 2007-08-09 Ricoh Co Ltd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7272523B1 (en) * 2006-02-28 2007-09-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imming for accurate reference voltage
US7889019B2 (en) 2006-10-13 2011-02-15 Andrew Roman Gizara Pulse width modulation sequence generating a near critical damped step response
US7719336B2 (en) * 2006-10-31 2010-05-18 Andrew Roman Gizara Pulse width modulation sequence maintaining maximally flat voltage during current transients
US11735910B2 (en) 2006-12-06 2023-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963369B2 (en) 2007-12-04 2015-02-24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728768B2 (en) 2006-12-06 2023-08-15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11309832B2 (en) 2006-12-06 2022-04-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013472B2 (en) 2006-12-06 2011-09-06 Solaredge, Ltd. Method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using DC power sources
US8319471B2 (en) 2006-12-06 2012-11-27 Solaredge, Ltd. Battery power delivery module
US9112379B2 (en) 2006-12-06 2015-08-18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11888387B2 (en) 2006-12-06 2024-01-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mechanisms, wake up and shutdown methods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11855231B2 (en) 2006-12-06 2023-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687112B2 (en) 2006-12-06 2023-06-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473250B2 (en) 2006-12-06 2013-06-25 Solaredge, Ltd.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569659B2 (en) 2006-12-06 2023-01-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816535B2 (en) 2007-10-10 2014-08-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9130401B2 (en) 2006-12-06 2015-09-08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319483B2 (en) 2007-08-06 2012-11-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gital average input current control in power converter
CN101636847B (zh) 2006-12-06 2011-05-04 太阳能安吉有限公司 用于使用直流电源的分布式电力获取系统的监测系统
US9088178B2 (en) 2006-12-06 2015-07-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384243B2 (en) 2007-12-04 2013-0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947194B2 (en) 2009-05-26 2015-02-0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heft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1296650B2 (en) 2006-12-06 2022-04-0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8618692B2 (en) 2007-12-04 2013-12-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004111B2 (en) * 2007-01-19 2011-08-23 Astec International Limited DC-DC switching cell modules for on-board power systems
JP4577331B2 (ja) * 2007-06-22 2010-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圧生成装置
US8150339B2 (en) * 2007-11-05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Switchable-level voltage supplies for multimode communications
KR100806295B1 (ko) * 2007-11-26 2008-02-22 주식회사 룩센테크놀러지 출력전압 순응형 전압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WO2009072076A2 (en) 2007-12-05 2009-06-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Current sensing on a mosfet
US11264947B2 (en) 2007-12-05 2022-03-01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7906943B2 (en) * 2007-12-20 2011-03-15 Microsemi Corporation Boost converter with adaptive coil peak current
US8169081B1 (en) 2007-12-27 2012-05-01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ductive routings in integrated circuits using under bump metallization
EP2722979B1 (en) 2008-03-24 2022-11-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Switch mode converter including auxiliary commutation circuit for achieving zero current switching
US8239694B2 (en) * 2008-03-31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frequency scaling of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EP2294669B8 (en) 2008-05-05 2016-12-0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power combiner
US10673222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673229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230310B2 (en) 2016-04-05 2019-03-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GB2485527B (en) 2010-11-09 2012-12-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GB2486408A (en) 2010-12-09 2012-06-20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connection of a string carrying direct current
US8582329B2 (en) * 2011-01-10 2013-11-12 Iwatt Inc. Adaptively controlled soft start-up scheme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s
GB2483317B (en) 2011-01-12 2012-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erially connected inverters
US8570005B2 (en) 2011-09-12 2013-10-2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link circuit
GB2498365A (en) 2012-01-11 2013-07-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module
US9853565B2 (en) 2012-01-30 2017-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zed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8790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sing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8791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GB2499991A (en) 2012-03-05 2013-09-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C link circuit for photovoltaic array
US10115841B2 (en) 2012-06-04 2018-10-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Integrate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US9395738B2 (en) 2013-01-28 2016-07-19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with a split inductor
US9800158B2 (en) * 2013-01-30 2017-10-24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US9804621B2 (en) 2013-02-05 2017-10-31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pre-driver
US9459635B2 (en) 2013-02-08 2016-10-04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upstream controller
US9639102B2 (en) 2013-02-19 2017-05-02 Nvidia Corporation Predictive current sensing
US9389617B2 (en) 2013-02-19 2016-07-12 Nvidia Corporation Pulsed current sensing
US9548619B2 (en) 2013-03-14 2017-01-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epleting energy
EP2779251B1 (en) 2013-03-15 2019-02-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Bypass mechanism
US9366702B2 (en) * 2013-08-23 2016-06-14 Green Edge Technologi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al device or component can sustain variations in voltage
CN105612470B (zh) * 2013-10-07 2019-04-30 莱恩半导体股份有限公司 混合电压调节器中的反馈控制
KR102199378B1 (ko) * 2014-04-30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T516328B1 (de) * 2014-09-15 2020-11-15 Dipl Ing Dr Himmelstoss Felix Hoch-Tiefsetzsteller mit reduziertem Tastverhältnis für Einquadrantenbetrieb
US10599113B2 (en) 2016-03-03 2020-03-24 Solaredge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rder of power devices in power generation systems
US11081608B2 (en) 2016-03-03 2021-08-03 Solaredge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rder of power devices in power generation systems
CN107153212B (zh) 2016-03-03 2023-07-28 太阳能安吉科技有限公司 用于映射发电设施的方法
US11177663B2 (en) 2016-04-05 2021-11-16 Solaredge Technologies Ltd. Chain of power devices
US11018623B2 (en) 2016-04-05 2021-05-2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CN108390561A (zh) * 2018-03-06 2018-08-10 安徽卓越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dc/dc数控电源设计
CN113410989B (zh) * 2021-07-13 2022-10-04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数字升压电路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3540A1 (de) * 1987-04-22 1988-11-10 Siemens Ag Kombinierter sekundaerschalter
US4835454A (en) * 1987-12-15 1989-05-30 Sundstrand Corp. Advanced feed forward switch mode power suppply control
JP2706740B2 (ja) * 1990-05-16 1998-01-28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H05137267A (ja) * 1991-11-12 1993-06-01 Dia Semikon Syst Kk 電源装置
US5264780A (en) * 1992-08-10 1993-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 time control and gain circuit
DE59308738D1 (de) * 1992-09-30 1998-08-13 Siemens Ag Verfahren zur Vorsteuerung eines Schaltnetzteiles zum Ausgleich von Schwankungen der Speisespannung und Schaltungs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422562A (en) * 1994-01-19 1995-06-06 Unitrode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with improved Dynamic respon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01300A (ja) 1997-02-04
DE69513491T2 (de) 2000-05-18
WO1995034121A1 (en) 1995-12-14
EP0712547B1 (en) 1999-11-24
JP3727064B2 (ja) 2005-12-14
KR960704386A (ko) 1996-08-31
EP0712547A1 (en) 1996-05-22
DE69513491D1 (de) 1999-12-30
US5552694A (en) 1996-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195B1 (ko) 전원공급장치및전원공급장치를구비한송신기
US8179113B2 (en) Buck-Boost switching regulator and method thereof for DC/DC conversion
JP3259262B2 (ja) 電圧レギュレータ
US679808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ual-mode load circuit
US6798177B1 (en) Boost-buck cascade converter for pulsating loads
EP1813011B1 (en) A power converter
US8040121B2 (en) Switching regulator
JP5326551B2 (ja) 電源装置および電源装置の制御方法
US20090167279A1 (en) DC Power Converter and Mode-Switching Method
FI117772B (fi) Menetelmä ja laite häviötyyppisen jännitesäätimen yli olevan jännitteen pienentämiseksi
KR20020092995A (ko) 디지털적으로 제어되는 dc/dc 컨버터
JP2007082273A (ja) Dc−dcコンバー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KR20220078705A (ko) 벅 변환기 전류 재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4155112A (en) Power supply circuitry
CN110875686B (zh) 电子转换器和操作电子转换器的方法
US20090015230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tep-up dc-dc converter and related converter
US7142040B2 (en) Stabilized power supply circuit
US10461638B2 (en) DC-DC converter
US20030001546A1 (en) A voltage regulation circuit and related methods having a dynamically determined minimum discharge time
US7336053B2 (en) Battery-powered electronic equipment with charge control circuit
US7427852B2 (en) Low power control mode for power supply
CN114342234B (zh) 用于转换器电路的基于电流负载的模式控制
JPH0787730A (ja) Dc−dcコンバータ回路
JPS6097764A (ja) 回線電流供給方式
JP200433692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