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051B1 -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 Google Patents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051B1
KR100373051B1 KR10-2000-0078405A KR20000078405A KR100373051B1 KR 100373051 B1 KR100373051 B1 KR 100373051B1 KR 20000078405 A KR20000078405 A KR 20000078405A KR 100373051 B1 KR100373051 B1 KR 10037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isfied
condition
accelerator pedal
determining wheth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274A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0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02D41/123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cut-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퓨얼 컷(fuel cut) 구간 확대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은, (a)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이고,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중단하는 단계와; (c)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경우, 요구 출력이 펌핑로스 저감량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METHOD FOR MAGNIFYING RANGE OF FUEL CUT}
본 발명은 퓨얼 컷(fuel cut) 구간 확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성 주행시 펌핑로스(pumping loss) 저감을 이용한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내리막길 주행시 엔진 회전수가 일정값 또는 그 이상이거나(RPM >= N_Cut), 가속페달이 밟혀있지 않은 경우(TPS=0)를 판단한다.(단계 10)
이어서, 상기 단계 10을 만족하는 경우,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은 차단한다.(단계 20)
그리고, 엔진 회전수가 일정값 또는 그 이상(RPM > =N_Cut)인지를 다시판단한다.(단계 30)
상기 단계 30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다시 가속페달이 밟혀있지 않은 경우(TPS=0)를 판단한다.(단계 40)
상기 단계 40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연료분사를 계속한다.(단계 50)
한편, 상기 단계 30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50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40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30을 다시 수행한다.
이와 같이, 내리막길 주행시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이상이고, 가속페달이 밟혀 있지 않은 경우,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은 차단되나, 차량은 차체의 관성에 따른 운동에너지와 경사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의해 계속 주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차량에 작용하는 타이어와 구동계의 마찰, 공기저항, 엔진의 펌핑 등에 의해 손실되는 에너지의 양이 차량의 위치에너지 감소에 따라 공급되는 에너지의 양보다 클 경우 차량 속도는 점차 줄어든다.
이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운전자가 원하는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차량이 아직 내리막에 있다 하더라도 운전자는 다시 가속페달을 밟아 원하는 속도를 유지하려 하게 된다. 이럴 경우(TPS>0) 연료 공급은 다시 재개된다.
이와 같이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를 유지하기에는 내리막길의 경사가 좀 모자라는 예컨대 완만한 경우, 내리막 길이 아무리 길게 이어져도 운전자는 가속페달을 조금이나마 계속 밟고 있어야 하고, 연료 공급도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관성주행이 가능한 구간을 확대하여 주행시 손실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여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플로차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은, (a)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이고,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중단하는 단계와; (c)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경우, 요구 출력이 펌핑로스 저감량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은, 우선,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이고(RPM>=N_Cut),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TPS=0) 판단한다.(단계 110)
이어서, 상기 110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중단한다.(단계120) 즉,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이고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으며 연료분사를 중단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인지를(RPM>=N_Cut) 판단한다.(단계 130)
또한, 상기 130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TPS=0) 판단한다.(단계 140)
상기 단계 140에서, 상기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경우, 요구 출력이 펌핑로스 저감량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150)
여기서, 상기 요구 출력은, 기본 맵핑(basic mapping)시 만드는 데이터 테이블로, 엔진 회전수와 TPS에 따라 연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엔진에서 발생되는 출력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펌핑로스 저감량은 TPS=0일 때, 엔진 회전수에 따른 맵(MAP)값을 기준으로(기본 맵핑시 측정), 현재(TPS≠0)의 맵값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TPS 개도 차이에 따라 계산한다.
상기 150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계속한다.(단계 160)
한편, 상기 단계 130에서, 이 130단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 160을 수행토록 한다. 즉,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이거나 그 이상이지를 못하는 경우에는 연료분사를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140에서, 이 140단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130을 수행토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 150에서, 이 150단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130을 수행토록 한다.
즉, 가속페달이 밟혀 있는 상태이고, 요구 출력이 펌핑로스 저감량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 130을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서와 같이, 내리막길 관성 주행시 원하는 수준 이하로 속도가 떨어지게 되어 가속페달을 밟을 때, 무조건 연료 공급을 재개해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할 것이 아니라, 연료 공급을 계속해서 중단한 채 쓰로틀 밸브를 조금씩 열어 펌핑로스를 줄여준다.
이에 따라 주행시 손실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여준다면, 저항으로 손실되던 에너지를 차량 주행에 쓰게 되므로 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성주행 초기에 차량이 갖고 있던 에너지가 줄어드는 속도를 늦춰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완만한 경사의 내리막길에서 보다 적은 양의 위치에너지까지도 차량의 관성주행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요구하는 출력이 펌핑로스의 저감에 의해서 얻게 되는 게인(gain)에 비해 클 경우에는 다시 연료분사를 재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으로, 감속시 관성주행이 가능한 구간을 확대할 수 있어 연료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이고,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중단하는 단계와;
    (c)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값 내지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경우, 요구 출력이 펌핑로스 저감량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연료분사를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c)단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 (f)를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d)단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c)를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e)단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c)를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KR10-2000-0078405A 2000-12-19 2000-12-19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KR10037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405A KR100373051B1 (ko) 2000-12-19 2000-12-19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405A KR100373051B1 (ko) 2000-12-19 2000-12-19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274A KR20020049274A (ko) 2002-06-26
KR100373051B1 true KR100373051B1 (ko) 2003-02-15

Family

ID=2768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405A KR100373051B1 (ko) 2000-12-19 2000-12-19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0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644A (ja) * 1984-04-09 1985-10-2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868351A (ja) * 1994-08-29 1996-03-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カット制御装置
KR970044819A (ko) * 1995-12-16 1997-07-26 전성원 엔진 브레이크시의 연료 컷(Fuel Cut) 시스템
JPH1077882A (ja) * 1996-08-30 1998-03-24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減速制御装置
KR19980052091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연비가 개선된 엔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644A (ja) * 1984-04-09 1985-10-2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868351A (ja) * 1994-08-29 1996-03-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カット制御装置
KR970044819A (ko) * 1995-12-16 1997-07-26 전성원 엔진 브레이크시의 연료 컷(Fuel Cut) 시스템
JPH1077882A (ja) * 1996-08-30 1998-03-24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減速制御装置
KR19980052091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연비가 개선된 엔진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274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871B1 (ko) Isg 로직 제어 장치 및 방법
EP1366949A1 (en) Hybrid vehicle
JP2006233870A (ja) 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エンジン出力制御方法およびエンジン出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373051B1 (ko) 퓨얼 컷 구간 확대방법
JP2001132489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US2005011321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unit
JP2002061536A (ja) 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KR100957332B1 (ko) 소프트 타입 hev 의 엔진 연료 차단 영역의 확장 제어방법
KR100428366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KR100774311B1 (ko) 자동차의 고지 연료 제어방법
JP2001140672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4123932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9018632A (ja) 定速走行制御装置および定速走行制御方法
KR100190880B1 (ko) 대시포트공기량테일링제어방법
KR100222850B1 (ko) 자동차 엔진의 아이들 회전수 제어방법
KR100569439B1 (ko) 디젤차량의 스모그 배출 감소 방법
JP3596358B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KR100373053B1 (ko) 디젤 엔진의 시동 연료량 보상 제어방법
KR19980044805A (ko) 엔진공회전시 연료차단방법
KR100373141B1 (ko) 연료 차단 제어방법
KR100357590B1 (ko) 연료 차단 해제시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KR100360803B1 (ko) 무부하 주행 및 감속시의 연료량 보정방법
KR100412708B1 (ko) 무단변속기 장착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0220480B1 (ko) 차량용 에어컨 컷-오프 제어 방법
KR100836295B1 (ko) 서지 댐퍼를 이용한 토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