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937B1 - 스프링 힌지 - Google Patents
스프링 힌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2937B1 KR100372937B1 KR10-2000-7001485A KR20007001485A KR100372937B1 KR 100372937 B1 KR100372937 B1 KR 100372937B1 KR 20007001485 A KR20007001485 A KR 20007001485A KR 100372937 B1 KR100372937 B1 KR 100372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pring
- hinge
- locking member
- cuto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0—Pis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ring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3),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 부재(5), 하우징(3) 속에 배치된 잠금 부재(7), 일측으로 힌지 부재(5)에 지지되고 타측으로 잠금 부재(7)에 지지되는 스프링(9) 및 2개의 스토퍼 요소가 마련된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9)의 힘을 거슬러 이동될 수 있는 힌지 부재(5)의 이동성이 미리 정해진 거리(W)로 한정되도록 하는 형식으로 스토퍼 요소 중의 하나의 스토퍼 요소(33)가 힌지 부재(5)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스토퍼 요소(63, 67)가 하우징(3) 또는 잠금 부재(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용 스프링 힌지는 이미 오래 전부터 공지된 것이다. 그러한 스프링 힌지는 내부에 힌지 부재가 스프링의 힘을 거슬러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 위에 장착된 안경 다리가 스윙 개방 위치를 넘어 더욱 외측으로 선회되면, 스프링이 압축된다. 그 경우, 스프링이 최대 범위까지 압축되는 문제가 흔히 발생된다. 그것은 스프링이 그 최소 스프링 길이에 도달되어 더 이상 압축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러한 현상은 스프링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최악의 경우에는 그로 인해 스프링이 파괴될 수도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서는 스프링이 그 최소 길이로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요소가 마련되었다. 즉, 예컨대 문헌 DE 91 14 917 U1로부터 외래 스토퍼 장치, 즉 스프링 힌지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는 스토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스토퍼 장치는 힌지 구멍의 구역에 마련된 제1 스토퍼 요소 및 힌지를 경유하여 안경 다리에 결합되는 중간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2 스토퍼 요소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그 스토퍼 장치의 기능은 안경 다리에 결합된 힌지 부재가 중간 부재 상에 어떻게 장착되는지의 여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한 작업이란 안경테의 제조자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스프링 힌지의 제조자는 스토퍼 장치의 기능을 만족시키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문헌 EP 0 426 947로부터 스프링 힌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토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스토퍼 장치에서는 제1 스토퍼 요소가 스프링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핀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에, 제2 스토퍼 요소는 힌지 부재에 장착되어 힌지 하우징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연장부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한 장치의 단점은 제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 부재, 하우징 속에 배치된 잠금 부재, 일측으로 힌지 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으로 잠금 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2개의 스토퍼 요소가 마련된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결부된 실시예에 입각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힌지를 제1 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힌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C는 스프링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2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잠금 부재를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힌지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힌지를 제1 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2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힌지를 제1 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2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되는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안경용 스프링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수반하는 스프링 힌지에 의해 달성된다. 2개의 스토퍼 요소 중의 하나를 힌지 부재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스토퍼 요소를 하우징 또는 잠금 부재에 배치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되고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스토퍼 장치가 제공된다. 그와 관련하여, 스프링용의 고정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그러한 부재를 잠금 부재로서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잠금 부재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하우징 속에 집어넣어지는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구성에서는 잠금 부재가 자유 단부를 구비한 탄성 설부(舌部)를 구비하는데, 그 탄성 설부는 힌지 부재 쪽으로 만곡되어 힌지 부재에 있는 절결부 속에 맞물리고 제2 스토퍼 요소로서 제1 스토퍼 요소와 연동한다. 즉, 잠금 부재의 그러한 탄성 설부는 이중의 기능을 한다. 한편으로, 탄성 설부는 그 자유 단부에 의해 스토퍼 요소를 형성하여 힌지 부재가 스프링의 힘을 거슬러 이동될 수 있는 정도를 미리 정해진 거리로 한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탄성 설부는 그것이 힌지 부재 쪽으로 만곡되어 힌지 부재에 있는 절결부 속에 맞물리기 때문에 그 힌지 부재의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를 형성한다. 따라서, 잠금 부재 속에 일단 삽입된 힌지 부재가 다시 빠져 나올 수 없도록 하는 구속 장치가 제공된다. 그에 의해, 이제는 하우징을 폐쇄할 때에 혹시 어떤 부품이 미리 주어진 위치에 있지 않는지에 대해 신경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 힌지의 조립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또한, 힌지 부재가 저절로 잠금 부재 속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 힌지의 조립을 매구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부재와 잠금 부재가 예비 조립된 부품군으로서 준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한 경우, 스프링 힌지의 조립은 단지 힌지 부재, 스프링 및 잠금 부재로 예비 조립된 부품군을 하우징 속에 끼워넣거나 밀어넣고 연이어 하우징이 안경 다리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만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오직 단부 면에만 개구부를 구비하여 그 개구부를 통해 예비 조립된 부품군이 밀어 넣어지도록 하는 폐쇄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에서는 힌지 부재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홈을구비하는데, 그 홈 속에는 제2 스토퍼 요소가 맞물린다. 그 경우, 그 홈의 벽이 제1 스토퍼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한 부가의 구성은 그러한 홈이 다른 이유로 종래의 힌지 부재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단지 제2 스토퍼 요소만을 마련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에서는 잠금 부재가 힌지 부재의 하나 이상의 종방향 부분을 둘러싸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에서는 잠금 부재가 하우징에 있는 절결부와 연동하여 그 잠금 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 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에서는 하우징의 하측면과 대면된 힌지 부재의 측면에 홈이 마련된다. 안경 다리와 대면된 그러한 측면을 하우징의 하측면으로서 지칭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구성에서는 하우징에 제2 스토퍼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힌지 부재의 홈 속에 맞물리는 돌출부가 마련된다. 그러한 실시 형태는 제조 기술상의 이유로 하우징의 하측면이 안경 다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스프링 힌지 하우징의 하측면 그 자체는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에서는 잠금 부재와 제 2 스토퍼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설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도 1A에는 안경에서 안경테에 장착된 중간 부재 힌지와 결합되어 안경 다리를 안경테와 결합시키는 스프링 힌지(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스프링 힌지(1)는 이하에서 하우징이라 부르게 되는 가늘고 긴 스프링 힌지 하우징(3), 힌지 부재(5), 잠금 부재(7) 및 순전히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프링(9)을 포함한다.
하우징(3)은 도 1A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횡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횡단면은 종방향을 따라 변경된다. 물론, 다른 횡단면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3)은 필요에 따라 사각형 횡단면으로 형성되거나 원형의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절결부(11)를 구비한다. 가늘고 긴 절결부(11)는 하우징(3)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5개의 하우징 벽(13)에 의해 한정되는데, 도 1A에서는 3개의 하우징 벽(13.1, 13.2, 13.3)을 찾아볼 수 있다. 2개의 다른 하우징 벽은 도면 평면과 평행하여 위치하고 있어 볼 수가 없다.
상측면으로서도 지칭되는 도 1A의 위쪽에 놓인 하우징 벽(13.1)에는 절결부(11)와 대면된 그 측면에 하우징의 종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벽(17)을 구비한 절결부(15)가 마련된다. 그러한 벽(17)은 절결부(11)의 개구부(19)를 구비한 그러한 하우징의 종방향 단부와 대면된다.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힌지 부재(5)는 구멍(23)이 마련되어 있고, 힌지 구멍이라 일컫는 제1 종방향 부분(21)을 구비한다. 그러한 구멍(23)은 힌지 부재(5)의 종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나사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나사는 힌지 부재(5)를 선회가 가능하게 중간 부재 힌지의 또 다른 힌지 부재(1A)(도 1B 및 도 1C 참조)와 결합시킨다. 그 제1 종방향 부분(21)에 연접된 제2 종방향 부분(25)은 그 높이(H)가 제1 종방향 부분(21)보다 더 낮고, 그에 따라 종방향 부분(21)과 종방향 부분(25)과의 사이에 계단부(27)가 형성된다.
종방향 부분(25)의 하측면(29)에는 종방향으로 일정 거리(s)에 걸쳐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탬핑에 의해 구현되는 절결부(31)가 마련된다. 그러한 절결부(31)는 종방향으로 제1 견부(肩部)(33) 및 제2 견부(35)에 의해 한정되는데, 견부(35)는 종방향 부분(21)쪽에 있다. 도 4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31)는 종방향 부분(25)의 전 폭(B)에 걸쳐 연장된다. 그에 의해, 절결부(31)는 양자의 종방향 측면(37.1, 37.2) 쪽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절결부(31)가 단지 하나의 종방향 측면(37) 쪽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잠금 부재(7)가 하우징(3) 속에 어떻게 삽입되는지에 따라 절결부(31')(점선으로 도시됨)를 종방향 부분(25)의 상측면(29')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방향 부분(25)에는 이후로 볼트(41)로서 지칭되는 추가의 종방향 부분(39)이 연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41)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것은 도 4c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볼트(41)는 스프링(9)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종방향 부분(25)의 높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4c로부터 종방향 부분(21, 25)의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잠금 부재(7)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측벽(43, 45)을 구비하는데, 양자의 측벽(43, 45)은 하나의 종방향 측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면에서 브리지(4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양자의 측벽(43, 45)의 종방향 단부(49)에는 양자의 측벽(43, 45)의 상측면에 장착되어 아치형으로 잠금 부재의 하측면(U) 쪽으로 연장되는 폐쇄 요소(51)가 마련된다. 그러한 폐쇄 요소(51)는 종방향으로 어느 정도는 잠금 부재(7)를 폐쇄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요소(51)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관통 개구부(53)를 구비한다.
또한, 폐쇄 요소(51)는 종방향으로 폐쇄 요소(51)와 대향된 잠금 부재(7)의 종방향 측면(57) 쪽으로 연장되는 탄성 멈춤 러그(55)를 구비한다. 또한, 멈춤 러그(55)는 위쪽으로, 즉 측벽(43, 45)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만곡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것과 관련하여 말하자면 멈춤 러그(55)는 우하측으로부터 좌상측으로 연장된다.
측벽(45)은 하측면(U) 쪽으로 가장자리가 개방된 채로 잠금 부재(7)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59)를 구비한다. 절결부(59) 속에는 역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설부(舌部)(61)가 돌출되어 있는데, 그 설부(61)는 종방향 측면(57) 쪽을 향한 그 단부에서 측벽(45)에 결합된다. 측벽(45)과 설부(6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부(61)는 양자의 측벽(43, 45)에 의해 한정된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유 단부(63), 즉 측벽(45)과 결합되지 않은 단부(63)를 구비한다.
도 3c로부터 설부(61)가 안쪽으로, 즉 잠금 부재(7)의 중심 쪽으로 만곡되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설부(61)는 적절한 재료의 선택에 의해 탄성 특성을 지니고, 그에 따라 측벽(45)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눌려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1)를 조립할 경우에는 우선 힌지 부재(5)를 그 종방향 부분(39)에 의해 종방향 측면(57)으로부터 시작하여 잠금 부재(7) 속에 집어넣는다. 그와 같이 집어넣은 위치에서는 종방향 부분(25)이 완전히 잠금 부재(7) 속에 놓여지고, 볼트(41)가 개구부(53)를 통해 맞물리게 된다. 그 경우,브리지(47)는 종방향 부분(25) 상에 맞물린다.
이어서, 스프링(9)을 볼트(41) 상에 장착하고, 폐쇄 요소(51)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볼트(41)의 대향 단부에 장착된 고정 장치(65)와의 사이에 클램핑 고정한다. 고정 장치(65)는 예컨대 장착 링이거나 단순히 볼트(41)를 압착한 부분(65')(도 1B 및 도 1C 참조)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힌지 부재(5), 잠금 부재(7) 및 스프링(9)으로 이루어지는 부품 유닛을 멈춤 러그(55)가 절결부(15) 속에 맞물려 그 부품 유닛이 고정되도록 하는 형식으로 하우징(3)의 절결부(11) 속에 집어넣는다.
도 1A에 도시된 힌지 부재(5)와 잠금 부재(7)와의 상대 위치에서는 설부(61)의 자유 단부(63)가 인접 절결부(31)의 구역에 위치된다. 그 자유 단부(63)는 도 1A에 "w"로 지시된 간격만큼 견부(33)에 대해 이격된다.
예컨대 안경 다리에 과도한 압력이 걸릴 때에 일어나는 바와 같이 힌지 부재(5)가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견부(33)가 자유 단부(63) 쪽으로 이동된다. 이울러, 그로 인해 양자의 견부(33, 35)의 구역, 즉 절결부(31)에 위치되는 설부(61)의 종방향 부분이 증대된다. 그러한 이동이 많아짐에 따라 설부(61)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 설부(61)가 도 1A의 도면 평면에 수직하게 절결부(31) 속에 맞물리게 된다. 힌지 부재(5)가 화살표 "P"의 방향으로 거리 "w"만큼 이동되고 나면, 그 즉시로 견부(33)가 설부(61)의 자유 단부(63)에 접하게 된다. 그러한 위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 도면에는 동일한 부분이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어 있다. 설부(61)의 자유 단부(63)가 견부(33)에 직접 접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로써, 절결부(31) 속에 돌출된 자유 단부(63)는 힌지 부재(5)가 스프링(9)의 힘을 거슬러 이동되는 거리를 한정하게 된다. 도 1A 및 도 2로부터 최대 이동 거리는 거리 "w"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즉, 자유 단부(63)를 구비한 설부(61)는 절결부(31)의 견부(33)에 의해 형성된 다른 스토퍼 요소와 연동하는 스토퍼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절결부(31)는 종래의 힌지 부재(5)에 이미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잠금 부재(7)에 단순히 설부(61)를 마련하는 것만에 의해 이동 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는 추가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도 1B에는 하우징(3)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2 내지 도 4에서와 동일한 부분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므로, 단지 도 1A의 하우징(3)과 관련된 차이점만을 다루기로 한다. 힌지 부재(5)는 가상 수평면에 대해 각을 이룬 채로 연장되는 계단부(27)를 구비한다. 즉, 힌지 부재(3)의 종방향 부분(21, 25)(도 4a)은 경사면을 경유하여 서로 결합된다. 하우징(3) 또는 상부 하우징 벽(13.1)의 단부면(T)도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즉, 단부 벽(T)은 계단부(27)를 갖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힌지 부재(5)가 하우징(3) 또는 절결부(11) 속에 지나치게 많이 끌려 들어갈 수 없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 벽(13.1)에는 절결부(15)로 연통되는 관통 개구부(3C)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잠금 부재(7)의 멈춤 러그(55)가 관통 개구부(3C) 속에 삽입될 수 있는 물체에 의해 작동되어 도 1B에 도시된 멈춤 러그(55)와 절결부(15)의 벽(17)과의 맞물림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제가 가능한 고정 장치(55B)가 형성되고, 그에 의해 잠금 부재(7)를 힌지 부재(5) 및 스프링(9)과 함께 다시 하우징(3)으로부터 빼내야 할 경우에 스프링 힌지(1)가 다시 분해될 수 있게 된다. 관통 개구부(3C)는 구멍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절결부(15)의 경계 벽(17B)에 의해 형성되는 벽(17)은 도 1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상측면(3B)에 배치된다.
또한, 도 1B로부터 하우징(3)이 잔여 하우징 벽과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바닥(3A)을 포함하는 폐쇄 하우징으로서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하우징(3)은 힌지 부재(5)가 잠금 부재(7) 및 스프링(9)과 함께 하우징(3) 속에 집어넣어질 수 있도록 단지 그 단부 면에서만 개방된 채로 형성된다.
잠금 부재(7)는 그 브리지(47)에 의해 하우징 내벽에 지지된다. 하부에서의 지지는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E)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돌출부(E)는 하우징(3)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2개의 브리지(S)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잠금 부재(7)는 하우징 바닥(3A)에 대해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S)는 하우징 바닥(3A) 또는 하우징(3)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에는 스프링 힌지(1)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실시예는 잠금 부재(7)가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회전된 채로 하우징(3) 속에 집어 넣어진다는 점에서 도 1B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멈춤 러그(55)는 이제 하우징 바닥(3A)에 형성된 절결부(15)와 연동하게 된다. 그러한 절결부(15)는 멈춤 러그(55)가 절결부(15)의 벽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맞물림 고정 장치(55B)가 구현되도록 관통 개구부로서 실시될 수 있다.
잠금 부재(7)가 회전된 채로 하우징(3) 속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4a에 점선으로 도시된 절결부(31')를 그 상측면(29')에 구비한 힌지 부재(5)가 사용된다. 즉, 잠금 부재(7)의 탄성 설부(61)가 상측면(29')에 마련된 그러한 절결부(31')와 연동하게 된다. 물론, 하측면(29)뿐만 아니라 상측면(29')에도 절결부(31)를 구비한 힌지 부재(5)를 준비하여, 상이한 하우징 및 그 하우징 속에 삽입되는 상이한 잠금 부재에 대해서도 그 각각의 하우징 속에서 또는 그 각각의 잠금 부재와 연동할 수 있는 힌지 부재로 완성하기만 하면 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도 1A, 도 1B 및 도 2 내지 도 4의 잔여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수반한다. 그와 같은 한 그들 부분에 관한 재차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C에서는 하우징 바닥(3A)의 하측면에 하나 이상, 필요에 따라 2개일 수도 있지만 특히 4개의 용접 돌기(X)가 마련되는데, 그 용접 돌기(X)는 하우징 바닥(3A)의 각각의 단부에 2개씩 배정되어 서로 전후로 놓여지기 때문에 도 1C에서는 단지 하나의 용접 돌기(X)만을 볼 수 있다. 그러한 용접 돌기(X)는 안경 다리(69)(도 1B를 참조)를 용접에 의해 하우징(3)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용접 돌기(X)는 용접 과정 중에 가열되어 변형될 수 있고, 그 때에 안경 다리(69)와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1')는 그 기능성에 있어서 이미 도 1에 의해 설명된 스프링 힌지(1)에 상응한다. 그 때문에,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 부분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한다. 또한, 이해를 쉽게 하려는 이유로 모든 부품을 전부 도시하지는 않기로 한다. 예컨대, 스프링용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잠금 부재가 하우징(3)의 일부분이라는 것을 알아 볼 수는 없다. 그러한 받침대는 순전히 개략적으로 직선 "66"으로 나타낸 절결부(11)의 협착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힌지 부재(5)는 종방향으로 2개의 견부(33, 35)에 의해 한정되는 절결부(31)를 구비한다. 양자의 견부(33, 35) 사이의 구역에는 절결부(31) 속으로 돌출부(67)가 돌출되어 있다. 그러한 돌출부(67)는 하우징(3)의 하측면(13.3)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제조 기술상의 이유로 하측면(13.3)이 안경 다리(69)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조립시에는 하우징(3)과 스프링(9)을 동반한 힌지 부재(5)로 이루어진 부품 유닛을 하우징(3)의 개방된 측면(13.3)에 의해 안경 다리(69) 상에 위치시켜 돌출부(67)가 절결부(31) 속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제 힌지 부재(5)가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돌출부(67)와 견부(33)와의 사이에 "w"로 지시된 거리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원하는 최대 이동 거리에 도달되고 나면, 그 즉시로 견부(33)가 돌출부(67)에 맞닿아서 화살표 "P"의 방향으로의 추가의 이동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스토퍼 요소(67, 33)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장치가 제공된다. 본 경우에도 단지 돌출부(67)만을 안경 다리(69)에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스토퍼 장치의 제조가 매우 간단하다. 그 이외의 부품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프링 힌지(1")는 그 기능성에 있어서 이미 도 1에 의해 설명된 스프링 힌지(1)에 상응한다. 그 때문에,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 부분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잠금 부재(7)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도 3에 도시된 잠금 부재(7)의 2개의 측벽(43, 45)의 기능을 담당하는 2개의 측면 요소(81)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의 양자의 도면에서는 단지 2개의 측면 요소(81) 중의 하나만을 알아 볼 수 있다. 제1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양자의 측면 요소(81)는 평면형이 아니라 오히려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양자의 측면 요소(81)는 종방향 부분(83.1)이 폐쇄 요소(51)를 형성하고 그에 연접된 종방향 부분(83.2)이 하우징 하측면(13.3)에 인접된 채로 그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에 연접된 종방향 부분(83.3)이 개구부(19)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단부 부분(83.4)이 하우징 상측면(13.1)에 인접된 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양자의 측면 요소(81)는 종방향 부분(83.4)의 구역에서 도면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브리지(85) 및 마찬가지로 도면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브리지(87)를 경유하여 서로 결합된다. 물론, 또 다른 결합 요소가 마련될 수도 있다.
잠금 부재(7)의 종방향 부분(83.2)의 구역에, 즉 하나의 또는 양자의 측면 요소(81)에는 멈춤 러그(55)가 마련되는데, 그 멈춤 러그(55)는 하우징(3)의 하측면(13.3)에 마련된 절결부(15)와 연동하여 고정을 실현한다. 그러한 고정의 작용 형식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단지, 멈춤 러그(55) 및 절결부(15)가 하우징 하측면(13.3)에 마련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힌지 부재(5)는 하우징 상측면(13.1)과 대면된 측면에 계단부(89)를 구비하는데, 그 계단부(89)의 계단 면(91)은 스프링 힌지(1")의 종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그러한 계단 면(91)은 마찬가지로 스프링 힌지(1")의 종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브리지(85)의 면(93)과 대면된다. 개구부(19)를 기준으로 계단부(89)는 브리지(85)의 배후에서 힌지 부재(5)에 마련된다. 도 7에는 브리지(85)의 면(93)과 계단 면(91)과의 사이의 거리가 "w"로 지시되어 있다.
힌지 부재(5)가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브리지(85)의 면(93)과 계단 면(91)과의 사이에 형성된 거리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힌지 부재(5)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고 나면, 그 즉시로 계단 면(91)이 브리지(85)의 면(93)에 맞닿아서 힌지 부재(5)의 추가의 인출이 방지된다. 그러한 위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계단 면(91)이 브리지(85)의 면(93)에 접하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잠금 부재(7)는 표준 부품이기 때문에, 2개의 스토퍼 요소(91, 93)로 이루어지는 그러한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단지 계단 면(91)만을 힌지 부재(5)에 마련하기만 하면 된다. 추가의 개조는 필요하지 않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히 제조될 수 있는 내부 스토퍼가 실현된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에서는 최대 이동 거리를 말하는 거리 "w"를 견부(33)가 스토퍼 요소(63 또는 67)에 도달되었을 때에 스프링(9)이 완전히 압축되지 않게 되도록, 즉 한 덩어리로 뭉쳐지지 않게 되도록 선택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물론, 힌지 부재(5)의 견부(33) 또는 다른 면(91)과 연동하는 스토퍼 요소에 대해 다른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스프링 힌지(1, 1', 1")의 하우징(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말 사출 성형법 또는 금속 사출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그러한 방법에서는 적절한 금속 분말을 분말 형상의 바인더(결합제)와 혼합한다. 양자의 기본 물질의 균일한 혼합에 특히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분말/바인더 혼합물을 적절한 사출 성형기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열한 채로 주형 속에 압입하는데, 그 주형은 외형 윤곽이 스프링 힌지(1, 1',1")의 하우징(3)에 상응하는 것이다. 그러한 주형은 절결부(11)와 바람직하게는 절결부(15) 및 관통 개구부(3C)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 코어를 구비한다. 그러나, 하우징(3)의 제조 후에 절결부(11) 및 절결부(15)를 도입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법과 유사하게 진행되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는 하우징(3)의 제1 예비 성형체, 소위 녹색 성형체가 생성된다.
사출 성형 과정 후에 제1 예비 성형체를 주형으로부터 꺼내고 코어를 제거하여 절결부(11)와 필요한 경우의 절결부(15) 및 관통 개구부(3C)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절결부(11)를 절삭법으로 제조하지 않는데, 그것은 스프링 힌지의 제조 비용을 현격히 절감해 준다. 또한, 절결부 및 필요한 경우의 관통 개구부는 그 치수가 매우 정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매끄럽다. 특히, 추가의 가공 단계 또는 제조 단계를 필요로 함이 없이 스프링 힌지(1)의 외관을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에 의해, 미적으로 매우 수려한 스프링 힌지가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의 제1 예비 성형체를 가열함으로써 제1 성형체로부터 바인더를 구축하여 제2 예비 성형체를 생성한다. 제2 예비 성형체를 갈색 성형체로서 지칭하기도 한다.
추가의 단계에서는 제2 예비 성형체를 소결하는데, 그 경우에 통상의 소결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 단계에서 최종 완성품의 하우징(3)이 생성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이후로 하우징의 표면 코팅을 실시할 수 있지만, 통상 그러한 표면 코팅은 필요하지 않다(그것이 본 방법의 큰 장점임).
또한, 금속 분말의 선택의 자유가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특히, 스프링 하우징(3)의 제조 시에 티타늄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21)
- 하우징(3),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 부재(5), 하우징(3) 속에 배치된 잠금 부재(7), 일측으로 힌지 부재(5)에 지지되고 타측으로 잠금 부재(7)에 지지되는 스프링(9) 및 2개의 스토퍼 요소가 마련된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에 있어서,제1 스토퍼 요소(33)는 힌지 부재(5)에 배치되고 제2 스토퍼 요소(63)는 잠금 부재(7)에 배치되며, 제1 스토퍼 요소(33)를 형성하기 위해 힌지 부재(5)는 힌지 부재(5)의 이동 방향으로 잠금 부재(7)의 탄성 설부(61)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절결부(31, 31')를 형성하고, 잠금 부재(7)의 탄성 설부(61)는 힌지 부재(5) 쪽으로 만곡되어 절결부(31, 31') 속에 맞물리며, 스토퍼 장치에 의해 한정되는 힌지 부재(5)의 최대 이동 거리(w)는 스프링 요소(9)의 최대 스프링 압축 거리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스프링 힌지.
- 제1항에 있어서, 제2 스토퍼 요소(63)는 절결부(31) 속에 맞물리고, 절결부(31, 31')의 벽(33)은 제1 스토퍼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7)는 힌지 부재(5)의 하나 이상의 종방향 부분(25)을 둘러싸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7)는 고정 요소(55)를 구비하고 하우징(3)은 절결부(15)를 구비하며, 고정 요소(55)는 절결부(15) 속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2항에 있어서, 절결부(31, 31')는 하우징(3)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과 대면된 힌지 부재(5)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부(61)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는 잠금 부재(7)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종방향 단부(63)는 자유로운 채로 힌지 부재(5)의 절결부(31) 속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6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7)와 설부(6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7)는 자유 단부(55A)가 마련된 탄성 멈춤 러그(55)를 구비하고, 그 탄성 멈춤 러그(55)는 하우징(3)에 형성된 벽(17)과 함께 고정 장치(55B)로서 서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8항에 있어서, 벽(17)은 하우징 상측면(3B) 또는 하우징 바닥(3A)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9항에 있어서, 벽(17)은 절결부(15)의 경계 벽(17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3)은 관통 개구부(3C)를 구비하고, 그 관통 개구부(3C)를 통해 탄성 멈춤 러그(55)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1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부(3C)는 절결부(15)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8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7)는 하우징 바닥(3A)에 대해 이격된 채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3항에 있어서, 하우징 바닥(3A)에는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E)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4항에 있어서, 돌출부(E)는 하우징(3)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2개의 브리지(S)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5항에 있어서, 브리지(S)는 하우징 바닥(3A)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3)은 분말 사출 성형법 또는 금속 사출 성형법(PIM, powder-injection-molding; MIM, metal-injection-molding)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힌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735230A DE19735230C2 (de) | 1997-08-14 | 1997-08-14 | Federscharnier |
DE19735230.8 | 1997-08-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0235A KR20010040235A (ko) | 2001-05-15 |
KR100372937B1 true KR100372937B1 (ko) | 2003-02-25 |
Family
ID=783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1485A KR100372937B1 (ko) | 1997-08-14 | 1998-08-05 | 스프링 힌지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6241354B1 (ko) |
EP (1) | EP1008010B1 (ko) |
JP (1) | JP3222450B2 (ko) |
KR (1) | KR100372937B1 (ko) |
CN (1) | CN1147754C (ko) |
AT (1) | ATE208913T1 (ko) |
DE (2) | DE19735230C2 (ko) |
FR (1) | FR2767390B1 (ko) |
HK (1) | HK1027167A1 (ko) |
WO (1) | WO19990094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93323B1 (fr) * | 1999-05-06 | 2001-08-17 | Veuve Henri Chevassus Soc | Composant d'articulation elastique pour monture optique |
DE10128383A1 (de) * | 2001-06-06 | 2003-02-27 | Obe Ohnmacht & Baumgaertner | Federscharnier |
DE10204821A1 (de) | 2002-02-01 | 2003-08-14 | Obe Ohnmacht & Baumgaertner | Federscharnier |
ATE361483T1 (de) * | 2002-02-22 | 2007-05-15 | Obe Ohnmacht & Baumgaertner | Federscharnier für brillen |
DE10216514C1 (de) * | 2002-04-09 | 2003-12-18 | Obe Ohnmacht & Baumgaertner | Demontierbares Federscharnier |
FR2870011B3 (fr) * | 2004-05-06 | 2006-07-21 | Comotec Sa |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compact pour monture de lunettes |
CN100374909C (zh) * | 2004-09-01 | 2008-03-12 | 泰诺意大利(香港)有限公司 | 眼镜架弹簧铰链结构 |
ITVE20060015A1 (it) * | 2006-03-21 | 2007-09-22 | Visottica Ind Spa | Cerniera elastica perfezionata per occhiali. |
WO2009132809A1 (de) * | 2008-04-30 | 2009-11-05 | OBE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 Federscharnier für brillen |
EP2344924B1 (fr) * | 2008-10-06 | 2017-12-13 | Visottica Industrie S. P. A. | Élément de charnière élastique pour monture de lunettes |
FR2938350A1 (fr) * | 2008-11-12 | 2010-05-14 | Comotec |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pour monture de lunettes. |
WO2013016874A1 (zh) * | 2011-08-04 | 2013-02-07 | 深圳市龙岗区横岗镇高雅眼镜厂 | 眼镜快换镜腿的弹性铰链 |
ITTV20130051A1 (it) * | 2013-04-11 | 2014-10-12 | Matrix Srl | Cerniera per montature d'occhiali |
US9465238B2 (en) | 2013-09-10 | 2016-10-11 | Jonathan Matthew Mazzola | Eyeglass system and method of use |
CN107797303A (zh) * | 2017-11-15 | 2018-03-13 | 台州华强眼镜有限公司 | 一种能使眼镜脚外展的弹性铰链及其生产方法 |
AT17371U1 (de) | 2020-12-22 | 2022-02-15 | Redtenbacher Praez Ges M B H | Federschanier für eine Brille |
CN113798830B (zh) * | 2021-09-02 | 2022-09-02 | 台州华强眼镜有限公司 | 一种便于装配的稳定型弹弓壳及其组装工艺 |
CN115003072B (zh) * | 2022-05-23 | 2023-05-26 |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二三研究所 | 一种高承载自限位的铰链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622623A5 (ko) * | 1978-05-30 | 1981-04-15 | Nationale Sa | |
FR2455754A1 (fr) * | 1979-05-02 | 1980-11-28 | Rege Alain | Perfectionnements aux branches pour montures de lunettes |
IT8022092V0 (it) * | 1980-06-23 | 1980-06-23 | Safilo Spa | Cerniera per l'articolazione ad una montatura di occhiali di una asta elasticamente divaricabile. |
IT208189Z2 (it) * | 1986-09-23 | 1988-04-11 | Safilo Spa | Cerniera per l'articolazione elastica di un'astina al telaio frontale di una montatura d'occhiali. |
DE4008086A1 (de) | 1989-11-04 | 1991-09-19 | Obe Werk Kg | Federscharnier fuer brillen |
DE9114917U1 (de) | 1991-11-30 | 1993-03-25 | OBE-Werk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 Federscharnier für Brillen |
GB2268282A (en) * | 1992-06-23 | 1994-01-05 | Ottica Far East Ltd | Elastic hinge for spectacles |
DE9210056U1 (de) * | 1992-07-27 | 1992-09-17 | OBE-Werk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 Federscharnier für Brillen |
DE9306387U1 (de) | 1992-07-27 | 1993-07-08 | OBE-Werk Ohnmacht & Baumgärtner GmbH & Co KG, 7536 Ispringen | Federscharnier für Brille |
DE4415308C1 (de) * | 1994-04-30 | 1995-11-09 | Obe Werk Kg | Federscharnier |
DE4415307C2 (de) | 1994-04-30 | 1998-02-19 | Obe Werk Kg | Federscharnier für Brillen, mit einem Gehäuse |
DE19511167A1 (de) * | 1995-03-28 | 1996-10-10 | Obe Werk Kg | Federscharnier für Brillen |
IT1281512B1 (it) * | 1995-05-25 | 1998-02-18 | Marcolin S P A | Astina per occhiali con cerniera elastica a divaricazione regolabile |
-
1997
- 1997-08-14 DE DE19735230A patent/DE19735230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8-05 CN CNB988069202A patent/CN114775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05 KR KR10-2000-7001485A patent/KR1003729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8-05 US US09/485,655 patent/US62413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05 JP JP2000510056A patent/JP322245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05 WO PCT/EP1998/004867 patent/WO1999009450A1/de active IP Right Grant
- 1998-08-05 AT AT98943843T patent/ATE20891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8-05 EP EP98943843A patent/EP1008010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8-05 DE DE59802163T patent/DE59802163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8-13 FR FR9810380A patent/FR2767390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9-28 HK HK00106188A patent/HK1027167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2767390A1 (fr) | 1999-02-19 |
HK1027167A1 (en) | 2001-01-05 |
CN1147754C (zh) | 2004-04-28 |
ATE208913T1 (de) | 2001-11-15 |
CN1261960A (zh) | 2000-08-02 |
DE19735230C2 (de) | 1999-10-14 |
DE59802163D1 (de) | 2001-12-20 |
EP1008010B1 (de) | 2001-11-14 |
JP2001516064A (ja) | 2001-09-25 |
FR2767390B1 (fr) | 2000-02-25 |
EP1008010A1 (de) | 2000-06-14 |
JP3222450B2 (ja) | 2001-10-29 |
WO1999009450A1 (de) | 1999-02-25 |
DE19735230A1 (de) | 1999-02-25 |
KR20010040235A (ko) | 2001-05-15 |
US6241354B1 (en) | 2001-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2937B1 (ko) | 스프링 힌지 | |
KR100700943B1 (ko) | 광학 프레임용 탄성 굴절식 구성부품 | |
KR100254854B1 (ko) | 안경용 스프링 힌지 | |
JPH1190957A (ja) | インサート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US10260267B2 (en) |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 |
US20030020867A1 (en) |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 |
US6354746B1 (en) | Plug and receptacle connection for optical fiber cables | |
EP1322991B1 (en) | A spectacle frame with arms which can be opened out resiliently | |
US7452072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lient hinge device for spectacles, device obtained by the method, and spectacles comprising said device | |
KR20000068576A (ko) | 신축성을 갖는 안경테 측면부의 경첩 | |
KR20050037601A (ko) | 오프셋 지지점 주위에서 넓게 개방될 수 있는 아암을 포함하는 안경테 | |
JP2001088142A (ja) | 金型のルーズコアユニット | |
KR100435823B1 (ko) | 합성수지제의 선회형 스냅후크 | |
JPH11502637A (ja) | 八角形カラーを有するオーバーモールドした光ファイバコネクタフェルールキャピラリ | |
JPH05188253A (ja) | プラスチックレンズ保持機構 | |
JP3398946B2 (ja) | 記録ディスクのシャッター成形用金型装置 | |
KR200235766Y1 (ko) | 도어 면의 두께편차 없이도 입체감이 유발되는 구조의 도어 몰 | |
KR19990007712U (ko) | 도어록킹장치 | |
JP2548058Y2 (ja) | 二部品の合わせ構造 | |
JPS6349944Y2 (ko) | ||
JPH0755531Y2 (ja) | めがね蝶番 | |
JP2004181634A (ja) | 成形金型装置 | |
JPS6349945Y2 (ko) | ||
JPH0821141A (ja) | 開閉扉のストッパ | |
KR20130062003A (ko) |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20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