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549B1 - 차량용 발판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549B1
KR100372549B1 KR10-1999-0067274A KR19990067274A KR100372549B1 KR 100372549 B1 KR100372549 B1 KR 100372549B1 KR 19990067274 A KR19990067274 A KR 19990067274A KR 100372549 B1 KR100372549 B1 KR 10037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loor panel
vehicle
angle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745A (ko
Inventor
문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5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시트가 장착되는 후방측의 차체 바닥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설치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리어 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발판은 리어시트가 장착되는 차체의 플널의 일측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측면과 플로워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발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로워 패널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플로워 패널에는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플로워 패널에 형성된 삽입 홈에 끼워져 발판을 고정하는 고정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발판 { Foot rest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시트의 앞쪽에 장착되는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리어시트의 앞쪽 바닥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설치하여 뒷좌석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편의 시설이 구비된다.
이러한 편의 시설은 대부분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프론트 시트 부분에는 운전 조작에 이용하지 않는 발을 거취하도록 발판이 장착되는 구조가 상용화되고 있다. 물론, 후방석에 탑승한 사람을 위하여 프론트 시트의 중앙측이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하여 리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발판구조를 갖도록 하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발판구조는 리어시트와 수평한 상태로 발을 올려 놓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각도조절이 불가능하므로 탑승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시트가 장착되는 후방측의 차체 바닥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설치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리어 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발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발판의 설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발판이 도시된 측면도,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록킹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리어 시트 4 : 플로워 패널
5 : 삽입 홈 6 : 발판7 : 고정돌기 16 : 지지로드
18 : 탄성부재 24 : 걸림부재
26 : 고정로드 28 : 걸림돌기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가 장착되는 차체의 플로워 패널의 일측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측면과 플로워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발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로워 패널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플로워 패널에는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플로워 패널에 형성된 삽입 홈에 끼워져 발판을 고정하는 고정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이 차량 내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발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록킹부재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발판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2)가 장착되는 차체의 플로워 패널(4)의 일측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발판(6)과, 이 발판(6)의 후측면과 플로워 패널(4)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6)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판(6)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발판(6)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로워 패널(4)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플로워 패널(4)에는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장착부(10)와, 상기 발판(6)의 선단에 형성되어 플로워 패널(4)에 형성된 삽입 홈(5)에 끼워져 발판(6)을 고정하는 고정돌기(7)로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고정돌기(7)와 삽입 홈(5)의 관계는 통상의 푸시버튼 구조를 이용한 것으로서, 올려진 발판(6)을 서서히 누를 경우에는 고정돌기(7)가 삽입홈(5)에 끼워져 발판(6)이 고정되고, 플로워 패널(4)에 고정된 발판(6)의 선단 부분을 세게 누를 경우 고정돌기(7)가 삽입 홈(5)으로부터 이탈된 후 탄성부재(18)에 의하여 발판(6)이 회전되면서 올라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푸시버튼 구조는 매우 일반적이므로 구체적인 형상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발판(6)은 일측이 플로워 패널의 장착부(10) 한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2) 결합되는 발을 올려 놓기 적당한 크기를 갖는 일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일측이 발판(6)의 후방측에 힌지(14) 결합되고 타측이 플로워 패널의 장착부(10) 내측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발판(6)을 지지하는 지지로드(16)와, 이 지지로드(16)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6)을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시키는 록킹기구와, 상기 발판(6)과 장착부(10) 사이에 개재되어 발판(6)에 일정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8)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로드(16)가 장착부(1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착부(1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부재(2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20)에 상기 지지로드(6)의 끝부분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록킹기구는 가이드 부재(20)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측에 걸림돌기(28)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재(24)와, 일단이 상기 지지로드(6)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재(24)에 걸림 작용되어 상기 지지로드(6)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로드(2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발판(6)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6)의 선단 부분을 밟으면 발판(6)의 고정돌기(7)와 삽입 홈(5)의 결합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면서,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발판(6)이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튀어나온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판(6)을 회전시키면 지지로드(16)가 가이드 부재(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발판(6)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 상황에서 발판(6)이 원하는 각도에 위치되면 고정로드(26)를 걸림부재(24)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8)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로드(16)의 각도를 고정하여 발판(6)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상기 발판(6)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로드(26)에 의한 지지로드(16)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고, 발판(6)을 서서히 누르면 된다. 발판(6)을 서서히 누르게 되면 상기 지지로드(16)가 가이드 부재(2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그 설치각도가 점점 작아지게 되며, 발판(6)에 형성된 고정돌기(7)가 플로워(4)에 형성된 삽입홈(5)에 결합됨으로써 발판(6)이 고정된다.따라서, 발판(6)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판(6)을 세게 눌러 발판(6)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발판(6)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발판(6)을 서서히 눌러서 발판(6)의 고정돌기(7)가 플로워(4)의 삽입 홈(5)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발판(6) 전체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발판은 차량의 후방석의 플로워 패널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설치하여 후방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나 여성고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리어시트가 장착되는 장착되는 차체의 플로워 패널의 일측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측면과 플로워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발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로워 패널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플로워 패널에는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플로워 패널에 형성된 삽입 홈에 끼워져 발판을 고정하는 고정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일측이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플로워 패널의 장착부 내측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을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시키는 록킹기구와, 상기 발판과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발판에 일정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부재와, 일단이 상기 지지로드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 작용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
KR10-1999-0067274A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발판 KR10037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274A KR100372549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274A KR100372549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745A KR20010059745A (ko) 2001-07-06
KR100372549B1 true KR100372549B1 (ko) 2003-02-17

Family

ID=1963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274A KR100372549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477B1 (ko) * 2021-03-09 2022-10-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의 풋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745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6856B1 (en) Headrest for seat
US6250680B1 (en) Passenger safety belt restraint arrangement
JPH08308680A (ja) 乗物用座席のレグレスト
JPH06482B2 (ja) シ−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EP0331299A2 (en) Child&#39;s safety seat
KR100372549B1 (ko) 차량용 발판
JPH05300820A (ja) シートの可動式アームレスト
KR100209021B1 (ko) 차량용 시트의 스위블 시스템
JPH0246754Y2 (ko)
KR0126214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로킹장치
JPH11244092A (ja) 椅子の肘掛け装置及びその肘掛け装置の高さ調整機構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JPS6310344Y2 (ko)
JPS61193938A (ja) 車両等の格納式座席
JPH042821Y2 (ko)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JPH0350779Y2 (ko)
JPH04212638A (ja) シートトラックのロック機構
KR200250544Y1 (ko) 등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용 의자
JP278864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S637548Y2 (ko)
KR101562617B1 (ko) 가변 지지구를 갖는 카시트
KR200207968Y1 (ko)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위치 조절장치
KR0126209Y1 (ko) 자동차의 발판 조절장치
KR19980052532U (ko) 전후 및 경사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