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807B1 -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 Google Patents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807B1
KR100371807B1 KR10-2001-0001403A KR20010001403A KR100371807B1 KR 100371807 B1 KR100371807 B1 KR 100371807B1 KR 20010001403 A KR20010001403 A KR 20010001403A KR 100371807 B1 KR100371807 B1 KR 10037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core
wedge
gripping members
outer gripp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368A (ko
Inventor
성달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2001-000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8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파지부재가 페라이트코어의 내벽을 밀착파지할 때 발생된 충격에 의해 페라이트코어 외벽을 지지하는 외측파지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하여 이 페라이트코어에 감기는 코일이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권선되게 하는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이 유니트는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21)(21a) 선단부가 압축된 한 쌍의 탄성부재(22)(22a)의 팽창력에 의해 센터링된 페라이트코어(1) 외측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실린더(30) 로드의 구동에 의해 각 쐐기부재(29)가 이동하여 그 선단부의 쐐기경사면(28)이 샤프트(26)(26a)의 제 2 경사면(25b)과 접촉하여 샤프트(26)(26a)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이 샤프트(26)(26a)의 제 1 경사면(25a)이 외측파지부재(21)(21a)의 경사마찰면(27)과 접촉되게 하고, 이후 실린더(18)(18a) 로드의 구동에 의해 레버(17)(17a)가 회전하여 내측파지부재(19)(19a)를 이동시켜 그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1)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와 함께 페라이트코어(1)를 양측면 상하를 파지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각 쐐기부재(29)의 쐐기경사면(28)이 샤프트(26)(26a)의 제 2 경사면(25b)과 접촉되고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는 샤프트(26)(26a)의 제 1 경사면(25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측파지부재(21)(21a)를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Chuck unit for troridal core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에서 코일이 감기는 페라이트코어를 고정하는 척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파지부재가 페라이트코어의 내벽을 밀착파지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페라이트코어 외벽을 지지하는 외측파지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하여 코일이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권선되게 함으로써 코일의 특성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트라이달코어 권선기는 자기발생코일, 전자유도코일 등을 제조하기 위해 각종 코일 선재를 권취하는 것인데, 특히 브라운관의 축과 직교되는 관의 목부분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동기시키는 전자유도코일 주로 제조한다.
이러한 트라이달코어 권선기는 도 1 과 같이 중공체 형상의 페라이트코어(1)에 코일(2)을 감아 코일어셈블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페라이트코어(1)는 브라운관의 목부분에 설치되므로 몸체 양측이 구경이 다르게 통공된 중공형상을 가지고 곡면처리되어 전체적으로 관통된 주발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코일(2)을 권선할 때 견고하게 고정시키기가 난이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상기 도 1 은 종래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페라이트코어를 세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지그(미도시)가 페라이트코어(1)를 센터링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페라이트코어(1) 외측벽에 밀착된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3)(3a)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탄성부재(4)(4a)를 압축하게 되고 이후 페라이트코어(1)의 센터링이 완료되면 고정수단(5)이 외측파지부재(3)(3a)들을 파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프레임(6)에 일정각도로 왕복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레버(7)(7a)가 실린더(8)(8a) 로드의 이동에 따라 직선운동하여 내측파지부재(9)(9a)를 직선왕복이동시킴으로써 이 내측파지부재(9)(9a)의 각 단부가 페라이트코어(1) 내측벽에 밀착되어 외측파지부재(3)(3a)와 함께 페라이트코어(1)를 센터링위치에 고정시켜 코일을 권선할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은 도 2 에서와 같이 프레임(6)에 실린더(10)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10) 로드(10a) 단부에 스톱퍼(11)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10a)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톱퍼(11)가 왕복운동하여 외측파지부재(3)(3a)를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하여 내측파지부재(9)(9a)가 페라이트코어(1) 내측벽을 밀착파지할 때 상기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3)(3a)가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정수단(5)은 상기 스톱퍼(11)가 면접촉 방식으로 외측파지부재(3)(3a)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내측파지부재(9)(9a)가 페라이트코어(1)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이들 접면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외측파지부재(3)(3a)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페라이트코어(1)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페라이트코어에 코일이 편심되게 감기게 되어 불량 코일어셈블리를양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측파지부재가 페라이트코어의 내벽을 밀착파지할 때 페라이트코어 외벽을 지지하는 외측파지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하여 코일이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권선되게 함으로써 코일의 특성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는 외측파지부재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실린더 로드가 레버를 회전시키고 이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파지부재가 직선운동하여 그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 내측벽을 밀착파지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상기 외측파지부재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외측파지부재를 쐐기형태로 고정하는 쐐기수단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쐐기수단은 상기 외측파지부재들의 이동 경로상의 프레임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공; 상기 외측파지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의 대향되는 양측면은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수용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샤프트; 상기 내측파지부재들이 페라이트코어를 밀착파지할 때 샤프트의 절개부 어느 일측 경사면과 접면하여 외측파지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상기 외측파지부재들 소정위치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마찰면; 선단부에 상기 샤프트의 절개부 타측 경사면과 슬라이드 접면하는 쐐기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과 교차되게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파재부재들이 페라이트코어를 밀착파지할 때 외측파지부재들이 밀리지 않도록 그 선단부의 쐐기경사면이 상기 샤프트의 타측 경사면과 접면하는 한 쌍의 쐐기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쐐기경사면이 상기 샤프트의 수용공에 삽탈될 수 있도록 쐐기부재를 슬라이드 직선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도 1 은 종래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의 정면도,
도 2 는 종래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외측파지부재 밀림방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가 페라이트코어를 밀리지 않도록 고정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가 페라이트코어를 밀리지 않도록 고정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 척유니트 16 : 프레임
17,17a : 레버 18,18a,30 :실린더
19,19a : 내측파지부재 21,21a : 외측파지부재
22,22a : 탄성부재 23 : 쐐기수단
24,24a : 수용공 25 : 절개부
25a : 제 1 경사면 25b: 제 2 경사면
26.26a : 샤프트 27 : 경사마찰면
28 : 쐐기경사면 29 : 쐐기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가 페라이트코어를 고정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15)는 프레임(16) 후방 양측에 왕복회전가능하게 한 쌍의 레버(17)(17a)가 연결되고, 상기 각 레버(17)(17a)에 실린더(18)(18a)가 연결되어 이들 레버(17)(17a)들을 소정각도로 왕복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프레임(16) 내부에 한 쌍의 내측파지부재(19)(19a)가 관통되게 삽입되어 그 후단부가 상기 레버(17)(17a)와 연결되어 이 레버(17)(17a)의 왕복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1) 내측면을 파지 및 해지하며, 상기 프레임(16) 전방 양측에 형성된 각 통로(20)에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21)(21a)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센터링되는 페라이트코어(1) 외측면과 접촉되고 코일 권선시 상기 페라이트코어(1) 외측면을 밀착파지하고,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 후방과 대응되는 프레임(16) 내부에 탄성부재(22)(22a)가 설치되어 외측파지부재(21)(21a)들이 센터링되는 페라이트코어(1)를 밀착할 때 반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15)는 페라이트코어(1)의 센터링이 완료되어 외측파지부재(21)(21a)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1)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8)(18a)에 의한 레버(17)(17a)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파지부재(19)(19a)가 직선운동하여 그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1) 내측벽을 밀착파지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를 쐐기형태로 고정하는 쐐기수단(23)을 갖는다.
상기 쐐기수단(23)은 도 3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21)(21a)의 이동 경로상의 프레임(16) 적당위치에 한 쌍의 수용공(24)(24a)을 형성하고, 몸체가 관통되어 그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경사면이 형성된 절개부(25)를 갖는 한 쌍의 샤프트(26)(26a)를 상기 수용공(2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들 소정위치에 경사진 경사마찰면(27)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파지부재(19)(19a)들이 페라이트코어(1)를 밀착파지할 때 상기 경사마찰면(27)이 상기 절개부(25)의 어느 일측 경사면과 접면하여 외측파지부재(21)(21a)가 밀리지 않도록 하고, 선단부에 상기 샤프트(26)(26a)의 절개부(25) 타측 경사면과 슬라이드 접면하는 쐐기경사면(28)을 갖는 한 쌍의 쐐기부재(29)를 상기 각 절개부(25)에 삽탈가능하게 조립하여 내측파지부재(19)(19a)들이 페라이트코어(1)를 밀착파지할 때 상기 쐐기경사면(28)이 절개부(25)의 타측 경사면과 접면하여 상기 샤프트(26)(26a)를 정지시키며, 상기 각 쐐기부재(29) 후단부에 이 쐐기부재(29)를 직선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30)를 연결하여, 이 실린더(30)가 외측파지부재(21)(21a)가 페라이트코어(1)를 밀착지지할 때 상기 쐐기부재(29)의 쐐기경사면(28)이 샤프트(26)(26a)의 타측 경사면과 접면토록 하고 페라이트코어(1)의 파지상태를 해제할 때 쐐기경사면(28)이 그와 접면하는 경사면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26)(26a)는 몸체 내부에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절개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5)는 대향되는 양측에 소정각도 경사진 제 1 경사면(25a)과 제 2 경사면(25b)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1,2 경사면(25a)(25b)은 동일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외측파지부재(21)(21a)가 페라이트코어(1)를 파지할 때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 경사마찰면(27)과 쐐기부재(29)의 쐐기경사면(28)과 동시에 접촉된다.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는 각각의 몸체 적당위치에 샤프트(26)(26a)의 제 1 경사면(25a)과 접면하는 경사마찰면(27)이 형성되어, 페라이트코어(1) 파지시 상기 경사마찰면(27)이 상기 샤프트(26)(26a)의 제 1 경사면(25a)과 접면하여 페라이트코어(1)를 파지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쐐기부재(29)는 그 선단부에 경사마찰면(27)이 형성되어, 그와 연결된 실린더(30)의 로드 구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경사마찰면(27)이 샤프트(26)(26a)의 제 2 경사면(25b)과 접촉하여 외측파지부재(21)(21a)가 페라이트코어(1)를 밀착파지할 때 외측파지부재(21)(21a)의 경사마찰면(27)과 샤프트(26)(26a)의 제 1 경사면(25a)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페라이트코어(1)에 코일(2)을 선권하기 전에 통상과 같이 별도의 지그(미도시)가 페라이트코어(1)를 센터링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페라이트코어(1) 외측벽에 밀착된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21)(21a)는 밀리면서 탄성부재(22)(22a)를 압축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페라이트코어(1)가 지정된 위치에 센터링 되면, 본 발명의 쐐기수단(23)이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를 쐐기형태로 파지하여 이후 내측파지부재(19)(19a)가 페라이트코어(1)에 밀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외측파지부재(21)(21a)가 밀리지 않게 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와 도 4a 와 같이 페라이트코어(1)를 센터링 완료하게 되면 도 3a와 도 4a 와 같이 외측파지부재(21)(21a) 선단부는 압축된 탄성부재(22)(22a)의 팽창력에 의해 센터링된 페라이트코어(1) 외측면을 가압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 와 같이 실린더(30) 로드의 구동에 의해 쐐기부재(29)가 이동하여 그 선단부의 쐐기경사면(28)이 상기 샤프트(26)(26a)의 제 2 경사면(25b)과 접촉하여 샤프트(26)(26a)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이 샤프트(26)(26a)의 제 2 경사면(25b)이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의 경사마찰면(27)과 접촉되어 외측파지부재(21)(21a)를 고정시킨게 된다.
이후 순서에 따라 실린더(18)(18a) 로드의 구동에 의해 레버(17)(17a)가 회전하여 내측파지부재(19)(19a)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3b 도 4b 와 같이 내측파지부재(19)(19a)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1)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와 함께 페라이트코어(1)를 양측면을 파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쐐기부재(29)의 쐐기경사면(28)이 샤프트(26)(26a)의 제 2 경사면(25b)과 접촉되어 샤프트(26)(26a)의 상승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외측파지부재(21)(21a)는 샤프트(26)(26a)의 제 1 경사면(25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측파지부재(21)(21a)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페라이트코어(1)는 센터링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이 페라이트코어(1)에 코일(2)을 권선하여 양질의 코일어셈블리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코일(2)이 권선된 코일어셈블리를 해제할 때는 먼저, 실린더(18)(18a)에 의해 레버(17)(17a)가 회전하여 내측파지부재(19)(19a)를 이동시켜 내측파지부재(19)(19a)의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1)에서 벗어나게 되면, 이후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쐐기부재(29)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탄성부재(22)(22a)의 팽창력에 의해 외측파지부재(21)(21a)가 페라이트코어(1)를 밀어내고, 이 때 샤프트(26)(26a)는 이동하는 외측파지부재(21)(21a)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페라이트코어를 파지할 때 샤프트의 2 경사면에 쐐기부재의 쐐기경사면이 접촉되어 쐐기기능을 함으로써 내측파지부재가 페라이트코어를 파지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도 외측파지부재는 후방으로 밀지지 않아 페라이트코어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페라이트코어는 센터링된 상태를 유지하여 양질의 코일어셈블리를 양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2)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후방 양측에 왕복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레버; 로드가 상기 각 레버와 연결되어 이들 레버들을 소정각도로 왕복회전시키는 한 쌍의 실린더; 상기 프레임 내부에 관통되게 삽입되고 후단부가 상기 각 레버와 연결되어 이 레버의 왕복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 내측면을 파지 및 해지하는 한 쌍의 내측파지부재; 상기 프레임 전방 양측에 형성된 각 통로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코일 권선시 상기 페라이트코어 외측면을 밀착파지하는 한 쌍의 외측파지부재; 상기 외측파지부재들 후방과 대응되는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외측파지부재들이 센터링되는 페라이트코어를 밀착할 때 반발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들;을 포함하는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에 있어서,
    페라이트코어의 센터링이 완료되어 상기 외측파지부재들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로드가 레버들을 회전시키고 이 레버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파지부재들이 직선운동하여 그 선단부가 페라이트코어 내측벽을 밀착파지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상기 외측파지부재들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외측파지부재들을 쐐기형태로 고정하는 쐐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단은
    상기 외측파지부재들의 이동 경로상의 프레임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공;
    상기 외측파지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의 대향되는 양측면은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수용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샤프트;
    상기 내측파지부재들이 페라이트코어를 밀착파지할 때 샤프트의 절개부 어느 일측 경사면과 접면하여 외측파지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상기 외측파지부재들 소정위치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마찰면;
    선단부에 상기 샤프트의 절개부 타측 경사면과 슬라이드 접면하는 쐐기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과 교차되게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파재부재들이 페라이트코어를 밀착파지할 때 외측파지부재들이 밀리지 않도록 그 선단부의 쐐기경사면이 상기 샤프트의 타측 경사면과 접면하는 한 쌍의 쐐기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쐐기경사면이 상기 샤프트의 수용공에 삽탈될 수 있도록 쐐기부재를 슬라이드 직선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KR10-2001-0001403A 2001-01-10 2001-01-10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KR10037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403A KR100371807B1 (ko) 2001-01-10 2001-01-10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403A KR100371807B1 (ko) 2001-01-10 2001-01-10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368A KR20020060368A (ko) 2002-07-18
KR100371807B1 true KR100371807B1 (ko) 2003-02-12

Family

ID=2769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403A KR100371807B1 (ko) 2001-01-10 2001-01-10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3106A (ja) * 1985-06-07 198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巻線装置の部品把持具
KR950020987U (ko) * 1993-12-11 1995-07-26 저압보빈의 코일 쇄기형 고정돌기 구조
JPH09306771A (ja) * 1996-05-10 1997-11-28 Toshiba Corp フライヤ式コイル巻回装置
JP2000353635A (ja) * 1999-06-11 2000-12-19 Toyota Motor Corp 巻線装置用の巻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3106A (ja) * 1985-06-07 198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巻線装置の部品把持具
KR950020987U (ko) * 1993-12-11 1995-07-26 저압보빈의 코일 쇄기형 고정돌기 구조
JPH09306771A (ja) * 1996-05-10 1997-11-28 Toshiba Corp フライヤ式コイル巻回装置
JP2000353635A (ja) * 1999-06-11 2000-12-19 Toyota Motor Corp 巻線装置用の巻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368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85149A1 (en) Apparatus for reshaping a conductor piece arranged in a stator core and a corresponding method
KR100371807B1 (ko) 트라이달코어 권선기의 척 유니트
JPH10309680A (ja) ドリル・チゼル装置
US5685061A (en) Stator manufacturing method
US5945779A (en) Split type deflection coil separator for avoiding axial deviation and eccentricity
US7024978B1 (en) Concentric alignment device for dies and die stripper
JP4411167B2 (ja) 巻線方法とその巻線装置
JPH0714735A (ja) 自動巻線機のボビン保持部とそのボビン保持方法
CN219696067U (zh) 音乐盒
JP2662812B2 (ja) ステータコアへの直巻線用治具
JP2000215507A (ja) マグネット供給装置
KR200274050Y1 (ko) 튜브용 척
JP2017094361A (ja) パイプ加工装置
JP3011658B2 (ja) 自動巻線機のチャック機構とそのワーク保持方法
JPH0714734A (ja) 自動巻線機のボビン保持方法
KR960010317Y1 (ko) 새들새들타입 편향요크의 크로스토크 조정치구
KR20230167584A (ko) 분지관 조립 그리퍼
JP3358794B2 (ja) 挿入ピン金型構造
KR200155792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장착 구조
KR100210021B1 (ko) 컨버젼스 얌 조정용 치구
KR200280981Y1 (ko) 요크간격 조절 및 포지션장치
JPH07214431A (ja) ワーク把持装置
JP2006181679A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ワーク位置決め方法
KR19990031316A (ko) 음극선관의 제조장치
JPH10255951A (ja) 接点自動組立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