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24B1 - 컬러 브라운관 - Google Patents

컬러 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24B1
KR100370524B1 KR10-2000-0067363A KR20000067363A KR100370524B1 KR 100370524 B1 KR100370524 B1 KR 100370524B1 KR 20000067363 A KR20000067363 A KR 20000067363A KR 100370524 B1 KR100370524 B1 KR 10037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lor crt
rod
panel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140A (ko
Inventor
이또요시노리
가네끼다께시
와따나베미쯔루
사꾸라이소이찌
Original Assignee
히다치디바이스 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디바이스 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히다치디바이스 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2Permanently magnetised materials,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패널 외면이 평평한 컬러 브라운관에서는 화면 왜곡과 컨버전스가 문제가 된다. 화면 왜곡과 컨버전스의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컬러 브라운관을 제공한다.
막대 형상 마그네트를 화면과 평행하게 또한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 혹은 하단보다도 관축과 수직 방향으로 10㎜ 이상 이격시켜서 설치한다.

Description

컬러 브라운관{COLOR BRAUN TUBE}
본 발명은 컬러 음극 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의 왜곡을 개선한 컬러 음극 선관에 관한 것이다.
패널 외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보기 편안한 화면으로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패널 외면을 평평하게 하면 소위 화면의 래스터 왜곡이 증대한다.
이 래스터-왜곡은 화면이 장방형이 되지 않고 특히 화면의 상하로 핀 왜곡이 되는 현상이다. 이 래스터 왜곡은 예를 들면 패널 외면이 라운드인 컬러 브라운관인 경우, 거의 0으로 되어 있었다.
화면의 래스터 왜곡은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 및 보조로서 사용되는 마그네트의 착자 강도에 의해서 어느 정도는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로서 사용되는 마그네트는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코일의 상하단 부근 수평 코일 권선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은 곳에 설치된다.
편향 요크는 비용, 소비 전력의 요청으로부터 가능한 한 소형으로 한다는 요청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패널 외면이 거의 평평한 브라운관에서는 마찬가지의 수법으로는 화면의 핀 왜곡(이후, 래스터 왜곡이라 함)을 다 보정할 수 없다는 현상이 생겼다.
그리고, 종래의 방법으로 래스터 왜곡을 없애려고 하면 컨버전스가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겼다. 여기에서 컨버전스란, 적, 청, 녹의 형광체를 빛나게 하는 전자 빔을 형광면 상에서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평평한 패널의 컬러 브라운관으로 컨버전스나 래스터 왜곡도 동시에 대책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래스터 왜곡 및 컨버전스 보정용 막대 형상 마그네트를 편향 요크의 형상에 상관없이,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 혹은 하단에서부터 관축과 수직 방향으로 10㎜ 이상의 거리에 설치한다. 또한, 마그네트의 착자 강도뿐만아니라 마그네트의 길이를 소정 값 이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컬러 브라운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컬러 음극 선관의 패널의 단면도.
도 3은 화면에 투영해내는 화상의 래스터 왜곡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원형 편향 요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원형 편향 요크의 측면도.
도 6은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사시도.
도 7은 화면 사이드에서의 활형 미스컨버전스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화면 사이드에서의 종선 미스컨버전스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화면 중앙에서의 활형 미스컨버전스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화면 상하에서의 가로선의 수직 방향 미스컨버전스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화면의 중간 위치에서의 가로선의 수직 방향 미스컨버전스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착자 강도를 바꾼 경우의 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수평 편향 코일과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거리를 바꾼 경우의 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를 바꾼 경우의 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위치를 파라미터로 하여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위치를 파라미터로 하여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를 바꾼 경우의 컨버전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위치를 파라미터로 하여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를 바꾼 경우의 컨버전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컨버전스를 최적화하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와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각형 편향 요크의 정면도.
도 20은 각형 편향 요크를 사용한 경우의 최적 컨버전스를 제공하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부
2 : 네크부
3 : 퍼넬부
4 : 형광면
5 : 섀도 마스크
101 : 수평 편향 코일
102 : 세퍼레이터
103 : 수직 편향 코일
11 : 막대 형상 마그네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패널(1)의 외면이 평평한 컬리 디스플레이관의 개략도이다. 패널(1)은 외면이 평평하고 내면은 곡면을 가지고 있다. 패널 내면이 곡률을 포함하는 것은 패널 내면에 대향하는 섀도 마스크(5)에 곡률을 가지기 때문이다.
네크(2)는 인라인 배치된 전자 총을 내장하고 퍼넬(3)로 패널과 연접하고 있다.
기준 라인(31)과 관축과의 교점(32)을 편향 중심으로 정의한다. 전자 빔이패널 내면에 충돌하는 점과 편향 중심(32)을 연결하는 선과 관축과의 각도를 편향각으로 정의한다.
이 기준 라인(31)은 컬러 수상관 설계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네크와 퍼넬의 시일부보다도 패널측에 설정된다. 여기서, 최대 편향 각도란, 패널 내면의 유효 화면의 대각축 단부와 편향 중심(32)을 연결하는 선과 관축이 이루는 각도의 2배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최대 편향각은 약 100도이다.
형광면(4)에는 도트 타입의 형광체가 형성되며, 섀도 마스크(5)는 다수의 원형 구멍을 포함하고, 서포트 프레임(6)에 의해서 지탱되어 스프링(8)에 의해 패널(1)에 장착되고 있다. 섀도 마스크(5)는 전자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유효부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자기 실드(7)는 서포트 프레임에 세트되어 있다. 전자 빔을 편향하는 편향 요크(10)는 퍼넬의 콘부(33)에 부착된다. 편향 요크(10)의 주요부는 수평 편향 코일(101), 세퍼레이터(102), 수직 편향 코일(103) 및 코어(104)로 이루어진다. 수평 편향 코일(101)의 상측 및 하측에는 래스터 왜곡 및 컨버전스를 조절하기 위한 막대 형상 마그네트(11)가 부착되어 있다. 마그네트 조립(12)에 의해서 전자 빔의 컨버전스, 순도를 가진다. 텐션 밴드 (13)에 의해서 벌브의 폭축(爆縮)을 방지한다.
패널 외면의 평평함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패널의 대각 유효 직경을 V로 했을 때, 대각 방향의 등가 곡률 반경이 Ro=42.5V+45의 몇배로 되어 있는지로 평가하는 방법이 있다. 이 Ro의 값이 클수록 평평하다.
유효 직경이 20인치의 브라운관인 경우, 대각 방향의 등가 곡률 반경이Ro=42.5×20+45=895㎜인 경우를 1R이라고 부르고, 895㎜×2=1790㎜일 때를 2R이라고 부르고 있다. 대각 방향 등가 곡률 반경이 10,000㎜ 이상이면 거의 완전히 평평하게 보인다. 평가에 이용한 유효 직경 20인치인 패널 외면의 대각 방향 등가 곡률은 62,500㎜이다. 또, 등가 곡률 반경 Re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Re=(D2+Z2)/2Z
여기서, D는 대각 유효 직경의 반 정도이고, Z는 패널 중앙과 대각 유효면 단부의 높이의 차이다. 이 모습을 도 2에 도시한다.
패널이 평평해지면, 래스터 왜곡, 컨버전스의 문제가 현저해진다. 예를 들면, 2R 패널일 때 화면 왜곡, 컨버전스 모두 적정이던 편향 요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외면이 평평한 브라운에 화상을 내보내면 약 1㎜의 핀 왜곡이 생긴다.
도 3에 이 래스터 왜곡의 상황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참조 번호 41은 정상적인 구형 래스터이다. 참조 번호 42는 핀 왜곡이 있는 경우의 래스터이다.
래스터 왜곡을 도 3에서 화면 단축에서의 왜곡량 P로 나타낸다. 이 핀 왜곡 P를 보정하고자 하면 컨버전스가 변화한다. 이 래스터 왜곡과 컨버전스는 일반적으로는 편향 요크(10)의 권선 분포와 막대 형상 보정 마그네트(11)의 착자 강도에 의해서 보정한다. .
그런데, 편향 요크의 사이즈는 편향 요크의 비용에 큰 영향을 갖기 때문에, 사이즈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래스터 왜곡,컨버전스의 보정에 사용되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도 편향 요크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등의 요청에 의해 수평 편향 코일의 선단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으로서는 래스터-왜곡과 컨버전스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성에 상관없이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위치를 수평 편향 코일로부터 상당량 분리함으로써 래스터 왜곡과 컨버전스의 특성을 동시에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일정한 컨버전스 레벨을 유지한 채,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것은 여러가지 편향 요크 시스템에 대하여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예는 대각 외형이 17인치로 퍼넬(3)의 콘부(33)가 원형으로 최대 편향각이 100도인 경우의 브라운관과 그것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에 대한 평가이다.
도 4에 이 편향 요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이 편향 요크는 편향각이 100도로 크기 때문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90도 편향의 편향 요크보다도 대형이다. 수평 편향 코일(101)은 세퍼레이터(102)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도 4에서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중심과 편향 요크의 중심과의 거리를 L1, 수평 편향 코일(101)의 상단과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중심과의 거리를 L2로 한다. 요크 중심에서부터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58㎜이다.
도 5는 동일 편향 코일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에서 참조 번호 103은 수직 편향 코일, 참조 번호 104는 코어이다. 세퍼레이터(102)의 내측에는 수평 편향 코일(101)이 유지되고 있다. 세퍼레이터(102)의 플랜지부의 상하로 막대 형상 마그네트(11)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는 세퍼레이터-플랜지의 후단부에 맞춰서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단면적 MW×MH는 4.5㎜×5.0㎜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부는 상하로 커지고 있고,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위치 L1을 편향 요크 중심에서부터 충분한 거리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향 요크는 종래의 편향 요크에 비하여 더욱 대형이 된다.
미스컨버전스에는 여러가지의 타입이 있다. 발명자는 핀 왜곡 P와의 관계에서는 도 7 - 도 11의 미스컨버전스가 중요하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도 7 - 도 9는 수평 방향의 미스컨버전스를 정의하는 것이다. 도 7은 화면 사이드에서 활형의 미스컨버전스이다. R은 적색 라인이고, B는 청색 라인이다. a1 내지 a4는 미스컨버전스의 양이지만, 도면의 적색과 청색 라인의 위치 관계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마이너스의 값이 된다. 이 미스컨버전스의 정량적 평가를 PQH=(a1+a2+a3+a4)/4로 나타낸다.
도 8은 화면 사이드에서의 적색과 청색 라인이 평행한 미스컨버전스이다. 이 경우도 적색과 청색의 위치 관계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값은 마이너스가 된다. 이 미스컨버전스의 정량적 평가를 (a1+a2)/2로 나타낸다.
도 9는 화면 중심에서의 활형의 미스컨버전스이며, 정량적 평가로서 YH=(a1+a2)/2를 이용한다. 청과 적의 위치 관계가 역회전한 경우에는 값은 마이너스가 된다. 도 7 및 도 9의 a1-a4는 화면의 상하 단부에서 측정한다. 도 7 내지도 9를 통합한 수평 방향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량으로서 FT=PQH-XH-YH를 이용한다.
도 10 및 도 11은 수직 방향의 미스컨버전스를 평가하는 것이다. 도 10은 화면 상하에서 화면 사이드와 화면 중심과의 중간에서의 미스컨버전스이다. 이 정량적 평가를 S1=(c1+c2+c3+c4)/4를 이용한다. 이 경우도 적색과 청색 라인이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마이너스의 값을 이용한다.
도 11은 화면 사이드에서의 화면 중앙과 화면 상하와의 중간부에서의 미스컨버전스이다. 이 정량적 평가로서 S3=(c1+c2+c3+c4)/4를 이용한다. 수직 방향 미스컨버전스의 평가로서 SS=S1-S2를 이용한다. 핀 왜곡 P와의 관계에서는 FT 및 SS도 절대량은 작은 쪽이 좋다.
도 12는 마그네트의 위치 L2를 편향 코일단에서부터 5㎜로 또한 마그네트의 길이 LM을 31.5㎜로 고정한 경우에 마그네트의 착자 강도를 변화시켜서 미스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래스터 왜곡이 핀인 경우에는 플러스 값이고, 래스터 왜곡이 배럴인 경우에는 마이너스 값이 된다.
도 12는 착자 강도가 11 가우스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11 가우스일 때가 최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면, 11 가우스 시에 화면 왜곡이 핀 형상인 경우, 착자 강도를 13 가우스로 함으로써 0.56㎜ 정도로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컨버전스도 예를 들면, SS는 0.15㎜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착자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 만으로는 래스터 왜곡과 컨버전스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도 13은 마그네트의 길이를 일정한 31. 5㎜로 착자 강도를 11가우스로 일정하게 하여 수평 편향 코일 상단에서부터 마그네트의 중심까지의 위치 L2를 변화시킨 경우의 미스컨버전스,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은 기준 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의 기준을 마그네트의 위치 L2가 5㎜인 경우로 한 것으로 L2=5㎜가 최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도 14는 마그네트의 위치 L2를 5㎜에, 착자 강도를 11 가우스에 고정하여, 마그네트의 길이 ML을 변화시킨 경우의 미스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마그네트의 길이가 31.5㎜인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마그네트의 길이가 31. 5㎜일 때가 최적이라는 뜻은 아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래스터 왜곡을 크게 보정할 수 있지만 컨버전스도 변화한다.
한편, 도 13에서는 마그네트의 위치 L2를 변화시킴으로써 컨버전스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지만, 래스터 왜곡은 도 14에 비하여 현저하지 못하다.
또한 컨버전스의 변화는 도 13에서 위치 L2를 증대시킨 경우와, 도 14에서 마그네트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와는 역방향이다. 따라서, 마그네트의 위치 L2를 크게 하고 마그네트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핀 왜곡을 보정하면서 컨버전스를 실질 제로로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조건이 존재하는 것이 시사된다.
도 15는 마그네트의 위치 L2를 각각 5㎜, 10㎜, 15㎜로 고정한 경우의 마그네트의 길이와 래스터 왜곡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래스터 왜곡을 1㎜ 보정하기 위해서는 L2가 5㎜일 때는 마그네트의 길이를 31.5㎜에서 38.3㎜로 변화하면 된다.
도 16은 마그네트의 위치 L2를 각각 5㎜, 10㎜, 15㎜로 고정하고 마그네트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컨버전스 FT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런데, 2R 패널의 경우, 마그네트의 위치 L2가 5㎜에, 마그네트의 길이가 31.5㎜에, 착자 강도가 11가우스일 때는 래스터 왜곡, 컨버전스 FT도 실용 레벨이므로 이 경우의 컨버전스 FT의 레벨을 기준으로서 평가하고 있다.
도 16에서의 곡선 D는 화면의 핀 왜곡을 1㎜ 보정하는 조건이다. 즉, 도 16은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각 L2에서 마그네트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에 컨버전스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조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6에서는 L2=15㎜ 부근의 최적치가 존재하고, L2=10㎜라도 허용 레벨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도 16과 동일 평가를 컨버전스 SS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다. FT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L2=15㎜ 부근에 최적치가 존재하고, L2=10㎜ 정도라도 허용 레벨로 할 수 있다.
이상은 패널 외면을 평평하게 한 경우에는 1㎜ 정도의 핀 왜곡이 문제가 되므로 상기 평가를 기재했지만, 만일 1㎜보다도 큰 핀 왜곡을 보정하는 경우에는 L2 및 마그네트의 길이 ML의 값은 큰 쪽으로 시프트한다.
도 18은 컨버전스 FT, SS의 레벨을 거의 제로로 유지하는 경우의 마그네트의 길이 ML과 마그네트의 위치 L2의 관계를 나타낸다. 컨버전스 FT와 컨버전스 SS에서의 최적 조건은 약간 다르지만, 어느 쪽의 컨버전스를 중시하던가 혹은 2개의 특성의 중간 특성을 취함으로써 결정하면 된다. 그리고, 1㎜ 정도의 래스터 왜곡을보정하기 위해서는 L2는 10㎜ 이상이다.
이상은 17인치 편향각 100도의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원형 편향 요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마찬가지의 기술은 다른 시스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대각 외형이 21인치로 패널 외면이 평평하고 퍼넬(3)의 콘부(33)가 각형인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의 예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부품과 같은 것은 동일 번호를 붙인다. 편향 요크의 중심에서부터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까지의 치수는 43.9㎜(약 44㎜)이다. 각형 편향 요크는 편향 파워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편향 요크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패널 외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핀 왜곡이 문제가 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편향 요크 개구부에서의 세퍼레이터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여 마그네트를 편향 요크의 수평 코일로부터 멀리할 필요가 있다.
도 20은 패널이 평평하고 대각이 21인치인 컬리 디스플레이관에 각형 편향 요크를 이용한 경우, 컨버전스를 거의 제로로 할 수 있는 마그네트의 길이 ML과 마그네트의 위치 L2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L2가 15㎜ 정도이면 왜곡도 컨버전스도 거의 제로로 할 수 있다. L2가 10㎜ 정도로부터 미스컨버전스와 래스터 왜곡이 허용 레벨로 들어가지만, 이 경우 관축으로부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중심까지의 거리 L1은 약 54㎜가 된다.
각형 편향 요크로서는 요크 자체가 원형 편향 요크에 비하여 작은 관계상 컨버전스를 제로로 하는 마그네트의 길이 ML은 작아진다. 본 실시예인 대각 외형이21인치인 컬러 디스플레이관의 패널 외면의 대각 방향 등가 곡률 반경은 57800㎜이며 편향각은 90도이다. 이 경우의 최적 L2는 14.4㎜이다. 또한, 브라운관의 중심에서부터 마그네트의 중심까지의 거리 L1은 58.3㎜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스터 왜곡과 컨버전스의 특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3)

  1. 내면에 형광면을 포함하는 패널부와 퍼넬부와 전자 총을 내장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넬의 네크부와 연접하는 부분에는 콘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부에는 전자 빔을 편향하는 편향 요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편향 요크는 코어와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요크의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상하에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가 패널면과 거의 평행하고 수평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단면 방향의 중심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 또는 하단과의 거리는 브라운관의 관축과 수직 방향으로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브라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단면 방향의 중심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 또는 하단과의 상기 거리는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단면 방향의 중심과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상단 또는 하단과의 상기 거리는 약 1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부는 관축과 수직 방향의 단면 외형이 각형이고,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관축과 수직 방향의 단면 외형은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외면의 대각 방향 등가 곡률 반경은 10,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브라운관의 최대 편향 각도는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길이는 31.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8. 내면에 형광면을 포함하는 패널부와 퍼넬부와 전자 총을 내장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넬의 네크부와 연접하는 부분에는 콘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부에는 전자 빔을 편향하는 편향 요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편향 요크는 코어와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요크에는 막대 형상 마그네트가 패널면과 거의 평행하고 수평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콘부의 관축과 직각 방향인 단면은 거의 각형이고, 상기 편향 요크의 상기 콘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관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단면은 거의 각형이고, 상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단면 방향의 중심과 관축과의 거리는 관축과 수직 방향으로 54㎜ 이상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마그네트의 단면 방향의 중심과 관축과의 거리는 관축과 수직 방향으로 5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자석의 길이는 2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브라운관의 최대 편향각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외면의 대각 방향 등가 곡률 반경은 10,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자석의 길이는 3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KR10-2000-0067363A 2000-10-04 2000-11-14 컬러 브라운관 KR100370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9295 2000-10-04
JP2000309295A JP2002117788A (ja) 2000-10-04 2000-10-04 カラーブラウン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140A KR20020027140A (ko) 2002-04-13
KR100370524B1 true KR100370524B1 (ko) 2003-01-30

Family

ID=1878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363A KR100370524B1 (ko) 2000-10-04 2000-11-14 컬러 브라운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73202B1 (ko)
JP (1) JP2002117788A (ko)
KR (1) KR100370524B1 (ko)
CN (1) CN13461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0327B2 (en) * 2001-05-01 2003-07-08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flat outer face
US6586893B2 (en) * 2001-09-12 2003-07-01 Song O Shik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for electron beams in color picture tube and process of using
JP2004039583A (ja) * 2002-07-08 2004-02-05 Hitachi Displays Ltd 投射形陰極線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526A (en) * 1972-04-07 1973-07-24 Philco Ford Corp Color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adjustment
US4159456A (en) * 1977-07-26 1979-06-26 Rca Corporation Magnet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correcting color purity in a cathode ray tube and product thereof
EP0689223B1 (en) * 1994-06-22 1998-12-16 THOMSON TUBES &amp; DISPLAYS S.A. Deflection yo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3202B1 (en) 2002-04-16
CN1346140A (zh) 2002-04-24
KR20020027140A (ko) 2002-04-13
JP2002117788A (ja) 200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2975B2 (ja) 陰極線管装置
US4357586A (en) Color TV display system
US4229720A (en) Deflection unit for a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US5378961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KR100370524B1 (ko) 컬러 브라운관
US4939415A (en) Deflection yoke
KR100443611B1 (ko) 음극선관용 패널
KR100196200B1 (ko) 편향요우크 및 이 편향요우크를 장치한 컬러음극선관
US664264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curved shadow mask with arrangement of holes therein and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JPH11265666A (ja) 陰極線管装置
KR100393876B1 (ko) 컬러 수상관 장치
KR20020000378A (ko) 편향 요크
US7411342B1 (en) Deflection unit for self-converging cathode-ray tubes with reduced trapezoid differential
US551493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mages
US6573648B1 (en) Deflection yoke with openings in neck bend section
JP3048503B2 (ja) 偏向ヨーク及びこの偏向ヨークを装着したカラー陰極線管
JPH11345579A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偏向ヨ―ク
JP3818190B2 (ja) 偏向ヨーク
KR10029545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1064449A (ja) 偏向ヨーク
US6720727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deflection power reducing shape
KR200258828Y1 (ko) 편향요크의페라이트코어
KR100403773B1 (ko) 보정용 마그네트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JPH0869762A (ja) 偏向ヨーク及びこの偏向ヨークを装着したカラー陰極線管
KR19990035258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