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452B1 -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452B1
KR100369452B1 KR10-2000-0026296A KR20000026296A KR100369452B1 KR 100369452 B1 KR100369452 B1 KR 100369452B1 KR 20000026296 A KR20000026296 A KR 20000026296A KR 100369452 B1 KR100369452 B1 KR 10036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tter
funnel
cornice
stepp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123A (ko
Inventor
이회랑
Original Assignee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4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8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에 고인 물을 모아 지면으로 흘러내리도록 건물의 처마끝에 수평으로 구비된 처마홈통(100)과 깔때기홈통(200), 선홈통(300)과 그 선홈통(300)을 지지하기 위한 선홈통걸이(310)로 구성된 물받이홈통에 관한 것으로,
상기 깔때기홈통(200)은 본체 상부에 처마홈통(100)의 소정위치에 천공된 홀(110)에 삽입한 후 밀착, 고정되도록 소(小)망치로 가볍게 타격하여 절곡하는 플랜지(220)와, 그 플랜지(220)의 하부에 돌출로 형성되어 상기 처마홈통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타격으로 절곡된 플랜지와 함께 처마홈통(100)과의 결합강도를 크게 한 단턱(21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깔때기 홈통의 상측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처마홈통의 하부에서 비숙련공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결합부 주변의 주름을 없애 깔끔한 시공이 되도록 하였고, 결합강도가 보강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 제조방법{Combination Structure of Eaves Gutter and Funnel Gut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unnel Gutter}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에 고인 물을 모아 지면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물받이홈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깔때기홈통에 단턱을 형성하여 처마홈통과 용이하게 결합하고 상부로 돌출된 플랜지를 소망치로 절곡한 후 실리콘도포 또는 납땜으로 고정하여 상기 깔때기홈통과 연결되는 선홈통으로 고인 물이 누수없이 안정적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시공작업을 간략화하고 초보시공자도 시공이 가능하게 한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와 그 깔때기홈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을 연결하여 우천으로 고인물을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한 깔때기홈통(2)의 상부를 꺾어 90도 각도로 절곡한 플랜지(2a)를 형성한 후, 수직으로 평면을 유지하고 있는 하부를 처마홈통(1)의 소정 장소에 대고 모양을 그려 홈을 따낸다.
이때, 따내는 방법은 처마홈통(1)의 표면에 그려진 모양의 일측에 통상의 드릴로 홀(Hole)을 천공한 후 지그 톱(Jig Saw)을 이용하여 그려진 모양대로 컷팅을 하여 따내고, 상세도시한 바와 같이, 각 따낸부위를 하부로 꺽어 엣지벤딩을 시행한 후 상부에서 깔때기홈통(2)을 삽입한 후, 상기의 90도 각도로 절곡된 플랜지(2a)와 처마홈통(1)에 다음작업인 리벳팅을 위해 소정위치에 리벳홀을 천공하고 통상의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으로 고정한다.
상기의 리벳팅이 완료되면, 납땜이나 실란트(Sealant), 즉, 실리콘을 상기의 플랜지(2a)와 리벳주위와 리벳의 상부까지 도포하여 실링을 함으로써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이 완료된 깔때기홈통의 하부에 선홈통(3)의 상부를 끼운 후 중심홀에 장착되어 있는 선홈통걸이(3a)에 선홈통(3)을 고정하므로써 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홈통(3)의 상부에 구비된 집수통(4)과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 하부에 단면으로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리벳의 성형된 모양이 돌출됨으로써 그 마감이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깔때기홈통의 모양대로 따낸부위의 처마홈통 주변으로 리벳이 성형되며 주름이 생겨 외관을 중요시 하는 박물관, 미술관등의 건축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로 삽입된 깔때기홈통의 플랜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폭우시 처마홈통 내부에 고인 물의 중량으로 처마홈통이 쳐지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주름이 더 크게 잡히므로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깔때기홈통 삽입을 위해 숙련된 시공자가 지붕위로 올라가서 깔때기홈통을 끼운 후 납땜 및 실링을 해야함으로 지붕에서의 추락사고 위험성이 있고, 다만 하나의 깔때기홈통을 결합하기 위해서 복잡한 작업을 시행해야 함으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벳고정 자체를 필요없도록 돌출로 형성된 단턱에 의해 외부를 깔끔하게 마감하도록 하는데 있고,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련된 작업자뿐 아니라 초보 작업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이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크게하기 위하여 처마홈통 하부를 깔끔하게 마감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 처마홈통와 깔때기홈통의 작업방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물받이홈통의 시공작업을 도시한 공정블록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 홈통의 단턱을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내지 마)는 도 3의 방법을 이용하여 성형이 완료된 다양한 단면의 홈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깔때기홈통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처마홈통와 홈통의 분해사시도와 시공이 완료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로써 시공이 완료된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처마홈통 110; 홀
200; 깔때기홈통 210; 단턱
220; 플랜지 230; 몸체
300; 선홈통 310; 선홈통걸이
400; 집수통
본 발명은 지붕에 고인 물을 모아 지면으로 흘러내리도록 건물의 처마끝에 수평으로 구비된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 선홈통과 그 선홈통을 지지하기 위한 선홈통걸이로 구성된 물받이홈통에 관한 것으로,
상기 깔때기홈통은 본체 상부에 처마홈통의 소정위치에 천공된 홀에 삽입한 후 밀착, 고정되도록 소(小)망치로 가볍게 타격하여 절곡하는 플랜지와, 그 플랜지의 하부에 돌출로 형성되어 상기 처마홈통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타격으로 절곡된 플랜지와 함께 처마홈통과의 결합강도를 크게 한 단턱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 홈통의 단턱을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내지 마)는 도 3의 방법을 이용하여 성형이 완료된 다양한 단면의 홈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깔때기홈통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처마홈통와 홈통의 분해사시도와 시공이 완료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로써 시공이 완료된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시공공정에 비해 간략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시공방법에서 엣지벤딩과 리벳트홀 천공, 리벳팅 작업이 생략됨으로 시공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깔때기홈통(200) 제작시 일측에 돌출된 단턱(210)을 형성함으로써 상부로 돌출된 플랜지(220)를 소(小)망치로 가볍게 타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 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리벳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외부에서 처마홈통(100)의 마감선을 보이지 않도록 하여 그 마감이 깔끔하도록 하였고, 처마홈통(100)을 받쳐주는 역할과 함께상부의 플랜지(220)를 절곡하여 처마홈통(100)과 깔때기홈통(200)의 결합강도를 크게하여 시공이 완료된 후 처마홈통(100) 내부에 고인 물의 중량에도 쳐지며 주름이 지는 변형을 예방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깔때기홈통(200)에 단턱(210)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가)는 상, 하부롤러(10)(20)의 사이에 본 발명의 깔때기홈통(200)을 구비시킨 후 상부롤러(10)를 회전시켜 단턱(210)을 형성하는 비딩(Beading)작업을 도시한 것이다.
즉, 하부다이(20)에는 중앙부에 돌출된 단턱(210)의 외경에 해당하는 반원형의 요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하고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상부에는 상기의 하부롤러(20)와 반대로 돌출된 돌출턱(11)이 형성된 상부롤러(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의 돌출턱(11)은 깔때기홈통(200)의 단턱(210) 내경에 해당하는 것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평면의 깔때기홈통(200)을 상, 하부롤러(10)(20) 사이에 구비시킨 후 하부롤러(20)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부롤러(10)를 회전시키면 깔때기홈통(200)의 외부에 맞닿아 있는 하부롤러(20)가 연동(連動)하게된다.
이때, 하부롤러(20)를 상부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면 본 발명의 깔때기홈통(2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의 압축력에 의해 점점돌출된 형상으로 단턱(210)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시한 것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4의 가), 나),다)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육각, 팔각, 사각의 깔때기홈통(200)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이 가능하고, 상부롤러(10)의 외경은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기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깔때기홈통(200)의 각(角)진 코너부가 롤러에 의해 펴지며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상부롤러(10)에 의해 다각형의 각진 모서리부위가 펴질경우 다시한번 내측과 외측으로 압축을 가해 단턱(210)의 하부에 형성된 평면의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나)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프레스금형(Press die)을 이용하여 깔때기홈통(200)의 단턱(210)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우선 하부틀(30)은 하부고정다이(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하부고정다이(31)는 말 그대로 프레스에 고정되어 후술할 상부다이(40)의 하강시 상부다이(40)와 함께 깔때기홈통(200)의 단턱(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깔때기홈통(200)의 몸체 외부를 지지하도록하는 중심홀(32)이 구비되고 그 중심홀(32)의 상부에는 단턱(210)의 폭에 해당하는 B의 칫수만큼의 요홈(33)이 상기의 중심홀(32)과 이중단턱으로 형성되고, 단턱(210)의 높이에 해당하는 A의 칫수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그 중심에는 깔때기홈통(200)이 삽입, 고정되고 좌, 우로의 유동을 없애도록 형성된 중심홀(32)에는 상, 하 운동을 하도록 펀치다이(34)가 구비되고, 그 펀치다이(34)의 하부에는 상부다이(40)의 압축력에 대응하는 완충력을 구비한 압축스프링(35)이 구비되어 상부다이(40)와 맞물려 하강하며 몸체(230)가 찌그러지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강하며 그 형상을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부다이(40)는 하강하며 상기 펀치다이(34)와 맞물리도록 하는 하부접촉면(41)이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깔때기홈통(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돌출부(42)가 구비되고 깔때기홈통(200)의 두께에 해당하는 C로 표기된 요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요홈(43)의 깊이 D가 깔때기홈통(200)의 플랜지(220)가 형성되는 것이고, 그 요홈(43) 측면에 돌출로 형성된 측부형틀(44)에 의해 깔때기홈통(200)의 상부가 구속되며 타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21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의 가), 나), 다)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작방법으로 단턱(210)이 형성된 다양한 단면의 깔때기홈통(200)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한 순서대로 육각, 팔각, 사각,원형의 단면 이외에 더욱 다양한 단면의 홈통에도 단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가)와 나)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작방법으로 단턱(210)을 형성한 깔때기홈통(200)을 이용하여 처마홈통(100)과 선홈통(300)을 결합하도록 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가)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깔때기홈통(200)을 이용해서 시공작업을 시행하는 방법에 대해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처마홈통(100)의 내부에 천공된 홀(110)에 깔때기홈통(200) 상부의 플랜지(220)를 삽입하면 상기 플랜지(220)의 하부에 돌출로 형성된 단턱(210)이 처마홈통(100)의 하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부에 구비된 플랜지(220)를 소망치로 타격하여 절곡하면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소(小)망치로 타격하는 과정에서 단턱(210)과 처마홈통(100) 사이에 갭(Gap)이 발생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단턱(210)을 상부로 밀어 밀착시킨 후 다시 소망치로 플랜지(220) 부위를 타격하면 견고한 고정이 되게 된다.
나)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이 완료된 깔때기홈통(200)의 하부로 집수통(400)과 결합된 선홈통(300)을 구비시킨 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선홈통걸이(310)로 선홈통(300)을 고정시킴으로써 하나의 홈통작업은 완료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깔때기홈통(200)과 선홈통(300)의 시공을 하게 되면 용이하게 시공이 완료됨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공이 완료된 각 깔때기홈통(200)의 플랜지(220) 상부로 실란트(Sealant), 즉, 실리콘 또는 납땜등으로 실링하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작업이 완료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플랜지(220)의 절곡과 실링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절곡된 플랜지(220)와 처마홈통(100)의 하부에 구비된 단턱에 의해 상, 하로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종래의 리벳을 시행하지 않아도 홈통의 결합강도를 높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상부에 도포된 실링재와 하부의 단턱(210)에 의해 물이 새어 나오는 누수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세히 설명 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의 집수통(400)과 결합하는 선홈통(300)의 상단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단턱(210)을 형성하여 시행할 수 있다.
선홈통(300)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210)에 의해 집수통(400)과 결합한 후 지면에서 보았을 때 처마홈통(100)의 홀(110) 절단면이 단턱(210)에 가려짐으로 그 마감을 보다 깔끔하게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홈통 재질은 수분 또는 물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인 동판(銅版) 및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의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판 및 스테인레스판의 다양한 표면처리, 즉, 헤어라인(Hair Line), 폴리싱(Polishing) 등에 의해 그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금속판재는 통상적인 금속에 비해 니켈(Ni)과 크롬(Cr)의 함유량이 높아 수분에 의한 부식, 즉, 녹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 실시는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돌출로 형성된 단턱에 의해 리벳고정을 하지 않아도 그 결합강도는 높게 하되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고, 상기 단턱에 의해 깔때기홈통의 자체강도도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숙련된 작업자뿐 아니라 초보 작업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인 효과가 있고, 상기 단턱에 의해 처마홈통 하부를 깔끔하게 마감하여 외관을 중요시하는 미술관이나 박물관 건물의 격조를 높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붕에 고인 물을 모아 지면으로 흘러내리도록 건물의 처마끝에 수평으로 구비된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 선홈통과 그 선홈통을 지지하기 위한 선홈통걸이로 구성된 물받이홈통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홈통은 본체 상부에 처마홈통의 소정위치에 천공된 홀에 삽입한 후 밀착, 고정되도록 소(小)망치로 가볍게 타격하여 절곡하는 플랜지와, 그 플랜지의 하부에 돌출로 형성되어 상기 처마홈통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타격으로 절곡된 플랜지와 함께 상기 처마홈통과의 결합강도를 크게 한 단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홈통은 돌출로 형성된 단턱에 의해 처마홈통과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시공작업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3. 롤러 외주연에 반원형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하며 회전하도록 하는 하부롤러와, 그 하부롤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요홈과 맞닿는 위치에 반원형으로 돌출턱이 형성되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 사이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깔때기홈통을 끼워넣고, 상부롤러의 회전에 의해 하부롤러와 깔때기 홈통이 연동하고, 상기 하부롤러를 점진적으로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요홈과 돌출턱의 형상대로 반원형의 단턱을 형성시킴으로 깔때기홈통의 강도를 보강하고, 용이한 시공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홈통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홈통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은 프레스금형으로도 한번에 성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홈통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홈통의 재질은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홈통의 제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홈통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때기홈통의 제조방법.
KR10-2000-0026296A 2000-05-17 2000-05-17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KR10036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296A KR100369452B1 (ko) 2000-05-17 2000-05-17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296A KR100369452B1 (ko) 2000-05-17 2000-05-17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23A KR20010000123A (ko) 2001-01-05
KR100369452B1 true KR100369452B1 (ko) 2003-01-24

Family

ID=1966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296A KR100369452B1 (ko) 2000-05-17 2000-05-17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4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820A (ja) * 1994-06-14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軒樋用ドレン
JPH08109714A (ja) * 1994-10-12 1996-04-30 Sanwa Kinzoku Kk 雨樋のエルボ構造
JPH08239967A (ja) * 1995-03-01 1996-09-17 Sekisui Chem Co Ltd 軒樋用ドレン
KR980000680A (ko) * 1997-10-01 1998-03-30 배미련 홈통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홈통
JPH10292576A (ja) * 1997-04-15 1998-11-04 Sekisui Chem Co Ltd ワンタッチ自在ドレン
KR19980076261A (ko) * 1997-04-08 1998-11-16 유병섭 조리용기 뚜껑용 링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820A (ja) * 1994-06-14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軒樋用ドレン
JPH08109714A (ja) * 1994-10-12 1996-04-30 Sanwa Kinzoku Kk 雨樋のエルボ構造
JPH08239967A (ja) * 1995-03-01 1996-09-17 Sekisui Chem Co Ltd 軒樋用ドレン
KR19980076261A (ko) * 1997-04-08 1998-11-16 유병섭 조리용기 뚜껑용 링 성형장치
JPH10292576A (ja) * 1997-04-15 1998-11-04 Sekisui Chem Co Ltd ワンタッチ自在ドレン
KR980000680A (ko) * 1997-10-01 1998-03-30 배미련 홈통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홈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23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612A (en) Flexible trim member
KR100369452B1 (ko)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AU735006B2 (en) Rainwater products
JP3459405B2 (ja) リフォーム時における開口部周り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開口部周り化粧部材
EP1203129B1 (en) Use of a fastening device for a roof-flashing
JPH0433288Y2 (ko)
TWI586879B (zh) Automatic multi-functional multi-functional high-strength embedded wall panels and wall panels
EP4257793A1 (en) Device for collecting condensation
JP3363127B2 (ja) オーバハング部材
JP7385530B2 (ja) 建具及び窓装置
JP2005330790A (ja) 隅角部材とそれを使用する壁構造
KR200223155Y1 (ko)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JP2006112230A (ja) 折板屋根材
JPH0419131Y2 (ko)
JPS6344506Y2 (ko)
JPH0743338Y2 (ja) 建築用スタータ付き水切り
JPH054516Y2 (ko)
JP2005290671A (ja) 折板屋根材
JP3012289U (ja) サイディング材の土台水切り
KR200242464Y1 (ko) 고무띠가 부착된 금속기와
JP2941259B1 (ja) 湾曲状笠木
JPH0743340Y2 (ja) 建築用スタータ
JP3137021U (ja) 縦張り補助部材
JPS631695Y2 (ko)
JPH02564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