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155Y1 -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 Google Patents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155Y1
KR200223155Y1 KR2020000034925U KR20000034925U KR200223155Y1 KR 200223155 Y1 KR200223155 Y1 KR 200223155Y1 KR 2020000034925 U KR2020000034925 U KR 2020000034925U KR 20000034925 U KR20000034925 U KR 20000034925U KR 200223155 Y1 KR200223155 Y1 KR 200223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anda
rainwater blocking
formwork
blocking groov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범
김성길
Original Assignee
고동범
김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동범, 김성길 filed Critical 고동범
Priority to KR2020000034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155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밀착설치되어, 타설되는 베란다 등에 빗물차단홈이 깔끔하고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된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그 상면에 수절목부(10)가 돌출 형성되도록 띠형상으로 압출제작되며 거푸집(15)의 선단부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타설되는 베란다(17) 등의 선단부 저면에 빗물차단홈(20)이 형성되도록 하는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수절목부(10)의 대략 중앙부 저면에는 오목홈(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구성되어, 그 저면이 상기 거푸집(15)의 상면에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rainwater isolation groove formation implement for veranda etc.}
본 고안은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밀착설치되어, 타설되는 베란다 등에 빗물차단홈이 깔끔하고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된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축물에는 베란다나 창틀 등에 대략 수평의 베란다가 형성되는데, 통상 이 베란다의 선단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 등이 이 베란다의 저면을 따라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란다 타설시 거푸집의 선단부 상면에 빗물차단홈 성형구(통상적으로 콤비라 칭함)를 설치하여, 타설되는 베란다의 선단부 저면에 빗물차단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빗물차단홈 성형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상으로 압출제작되며, 그 전단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면목부(7)가 마련되어 베란다(17) 선단면의 하부에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8)를 형성하도록 하며, 그 내측단에는 상기 면목부(5)에 대향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수절목부(10)가 마련되어 베란다(17)의 선단부 저면에 오목한 빗물차단홈(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빗물차단홈 성형구는 통상 압출에 의해 길게 성형되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형구는 그 수절목부(10)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므로, 압출되어 나오면서 그 압출 압력이 해제될 때, 이 수절목부(10)의 부피 팽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그 저면이 평탄하지 못하고 상기 수절목부(10) 중앙에서 볼록하게 굴곡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형구를 거푸집(15)의 선단부 상면에 설치하게 되면, 성형구의 저면이 거푸집(15)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상기 수절목부(10) 저면의 굴곡부(12)에 의해 들려져 성형구와 거푸집(15) 사이에 갭이 발생되어, 베란다(17) 타설시 콘크리트가 이 갭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15)을 분리하려고 할 때, 상기 성형구가 베란다(17)의 저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거푸집(15) 제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 성형구를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망치 등으로 양생된 콘크리트를 깨뜨려야 하기 때문에, 베란다(17)의 저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등 베란다(17)가 매끄럽게 마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에 밀착설치되어, 타설되는 베란다 등에 빗물차단홈이 깔끔하고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된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빗물차단홈 성형구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차단홈 성형구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면목부 10. 수절목부
15. 거푸집 17. 베란다
19. 굴곡부 20. 빗물차단홈
30. 오목홈
본 고안에 따르면, 그 상면에 수절목부(10)가 돌출 형성되도록 띠형상으로 압출제작되며 거푸집(15)의 선단부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타설되는 베란다(17) 등의 선단부 저면에 빗물차단홈(20)이 형성되도록 하는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수절목부(10)의 대략 중앙부 저면에는 오목홈(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구성되어, 그 저면이 상기 거푸집(15)의 상면에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베란다의 빗물차단홈 성형구는 그 상면에 수절목부(10)가 형성된 띠형상으로 제작되며, 이 수절목부(10)의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3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구는 띠형상으로 길게 압출 제작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며, 그 상면 전단에는 경사진 면목부(5)가 마련되고, 그 상면 내측단에는 대략 사라리꼴의 수절목부(10)가 마련되며, 이 수절목부(10)에 의해 타설되는 베란다(17) 등의 선단부 저면에 오목한 빗물차단홈(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수절목부(10) 저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자형의 오목홈(30)이 형성되어, 압출 압력 해제시 상대적으로 부피 팽창이 큰 수절목부(10)의 저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성형구가 거푸집(15) 상면에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는 그 저면이 베란다(17)의 거푸집(15)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거푸집(15)과의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베란다(17) 시공시 타설되는 콘트리트가 그 저면과 거푸집(15)의 상면 사이의 갭으로 스며들지 않게 되어 거푸집(15)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양생된 베란다(17)의 저면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베란다(17) 이외에도 지붕의 처마나 창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는 베란다 시공 후의 거푸집 분리 작업 등이 용이하고, 베란다의 저면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그 상면에 수절목부(10)가 돌출 형성되도록 띠형상으로 압출제작되며 거푸집(15)의 선단부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타설되는 베란다(17) 등의 선단부 저면에 빗물차단홈(20)이 형성되도록 하는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수절목부(10)의 대략 중앙부 저면에는 오목홈(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구성되어, 그 저면이 상기 거푸집(15)의 상면에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KR2020000034925U 2000-12-13 2000-12-13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KR200223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25U KR200223155Y1 (ko) 2000-12-13 2000-12-13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25U KR200223155Y1 (ko) 2000-12-13 2000-12-13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155Y1 true KR200223155Y1 (ko) 2001-05-15

Family

ID=7306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25U KR200223155Y1 (ko) 2000-12-13 2000-12-13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1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621B1 (ko) * 2016-04-15 2016-12-06 이상훈 처마 시공용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621B1 (ko) * 2016-04-15 2016-12-06 이상훈 처마 시공용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155Y1 (ko) 베란다 등의 빗물차단홈 성형구
US4193231A (en) Sills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0941381B1 (ko) 거푸집 코너용 면귀
JP2005146802A (ja) 固定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外装材の施工構造
KR102274045B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20010059643A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JP2007303178A (ja) 建築用縦葺き外装材、及び縦葺き外装構造
KR200211916Y1 (ko) 미장용 흙손의 본체구조
JP3585395B2 (ja) 外壁材の受け材
KR200226634Y1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JPS6337225B2 (ko)
CN217480443U (zh) 一种便于铺设导水台的人造石英石板材
KR20028140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KR200213587Y1 (ko) 배수관 연결용 슬리브
KR100369452B1 (ko) 처마홈통과 깔때기홈통의 결합구조 및 깔때기 홈통의제조방법
JP2941259B1 (ja) 湾曲状笠木
JP3887056B2 (ja) 雨樋の集水装置
JPS586980Y2 (ja) 軒樋
CN2546490Y (zh) 桥梁伸缩缝装置
KR200197237Y1 (ko)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JPH0620835Y2 (ja) 建築用スターター付き水切り
KR200342356Y1 (ko) 빗물받이용 물동이 캡
JPH0516328Y2 (ko)
KR200275326Y1 (ko) 빗물받이통
KR200312639Y1 (ko) 홈이 파여진 죠인트필라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