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381B1 -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381B1
KR100369381B1 KR10-1999-0029103A KR19990029103A KR100369381B1 KR 100369381 B1 KR100369381 B1 KR 100369381B1 KR 19990029103 A KR19990029103 A KR 19990029103A KR 100369381 B1 KR100369381 B1 KR 10036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divided
printing
docum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299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3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작성한 한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한번에 확대 인쇄할 수 있도록 한 페이지가 인쇄되는 매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매수만큼 한 페이지를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별로 사용자가 지정한 확대배율로 인쇄하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페이지 단위로 프린터로 전송할 때, 페이지의 내용을 소정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쇄하는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으면 프린터로 전송되는 한 페이지를 소정영역으로 분할하며, 소정영역으로 분할된 한 페이지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분할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며; 소정영역으로 분할된 영역에 대한 인쇄가 종료될 때까지 분할영역 검출단계부터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확대 인쇄할 때, 한 페이지의 내용을 소정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각각의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때문에, 한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손실없이 확대 인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Method for printing partition of document}
본 발명은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의 한 페이지를 여러 장의 인쇄용지에 분할 인쇄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한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한번에 확대 인쇄할 수 있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Printer)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인쇄용지에 결과물을 출력하는 사무용 기기로서, 컴퓨터에서 작성되거나 편집된 문서 또는 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세팅된 인쇄 조건에 적합한 인쇄 언어로 변환하고 잉크나 토너 등의 유색 염료를 사용하여 용지로 출력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프린터는 컴퓨터와 함께 사무자동화기기의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장치이며, 컴퓨터에서 작성된 문서를 프린터에서 인쇄하는 경우, 컴퓨터에는 프린터를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가 필요하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데이터를 프린터에서 해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한 인쇄명령이 실행되면, 인쇄데이터를 페이지단위로 분할하고, 한 페이지분량의 인쇄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와 제어코드 등을 적절하게 가공하여 프린터에서 해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프린터로 전송한다.
컴퓨터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는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pickup)하여 이송하고, 상형성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 위에 토너(toner)와 같은 염료로 상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프린터 드라이버에는 사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프린터로 전송하기 전에, 해당 문서에 대한 여러 가지 인쇄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쇄정보 선택화면을 제공하는데, 이 인쇄정보에는 인쇄범위, 인쇄매수, 인쇄방식, 용지카세트, 확대/축소 인쇄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문서를 프린터로 확대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에서 인쇄명령을 선택하면, 프린터 드라이버가 구동되어 인쇄정보 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컴퓨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인쇄정보 선택화면에서 확대배율을 선택한 후 인쇄명령을 실행시키게 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응용 프로그램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문서를 사용자가 선택한 배율로 확대하여 프린터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프린터에서 확대된 문서가 인쇄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문서의 편집용지는 A4 이고, 프린터의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용지는 A4 이며, 사용자가 인쇄정보 선택화면에서 확대배율을 200% 로 선택하였다고 가정해보면, 프린터에서 페이지 단위로 확대되어 출력되는 결과물은 실제 문서의 한 페이지의 내용 중에서 1/4 만이 확대되어 출력된다.
즉, 프린터 드라이버는 문서의 편집용지를 200%로 확대하여 프린터에 적재된인쇄용지에 인쇄할 수 있는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영역의 데이터만을 확대하여 프린터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 페이지의 내용을 200% 배율로 확대 인쇄하고자 할 때, 프린터에 적재된 인쇄용지의 크기가 편집용지를 200% 확대한 크기보다 작을 때에는 한 페이지의 내용 중에서 일부분만이 확대 인쇄가 가능하고, 나머지 부분은 인쇄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작성한 한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한번에 확대 인쇄할 수 있도록 한 페이지가 인쇄되는 매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매수만큼 한 페이지를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별로 사용자가 지정한 확대배율로 인쇄하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컴퓨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문서의 분할기능을 선택하는 표시창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문서를 분할하여 확대 인쇄한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11 : 메모리
12 : 응용 프로그램 13 : 프린터 드라이버
14 : 인쇄영역 관리부 15 : 입/출력포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한 페이지의 문서를 한번에 확대 인쇄하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있어서,상기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페이지 단위로 프린터로 전송할 때,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의 확대배율 및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의 분할하고자 하는 소정 영역에 대응하는 분할 인쇄매수의 설정을 포함하는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상기 프린터로 전송되는 한 페이지의 문서를 상기 소정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상기 소정영역으로 분할된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분할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 중에서 상기 검출된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확대배율에 따라 확대하여 프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소정영역으로 분할된 영역에 대한 인쇄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분할영역 검출단계를 포함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분할 인쇄기능의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분할 인쇄매수가 2매 이상이면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컴퓨터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고의 확대 인쇄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원고의 확대기능을 선택하는 표시창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원고를 확대 인쇄한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응용 프로그램(12)에서 작성된 문서의 한 페이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매수로 분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확대배율로 인쇄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1)는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10)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응용 프로그램(12)은 사용자가 각종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프린터 드라이버(13)는 응용 프로그램(12)에서 작성된 인쇄데이터를 프린터가 해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12)에서 작성된 문서의 각종 인쇄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인쇄정보에는 인쇄범위, 인쇄매수 등이 포함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12)에서 작성된 문서의 한 페이지의 내용을 여러 장의 용지에 분할하여 확대 인쇄할 수 있는 분할 인쇄 항목이 포함된다.
즉, 사용자는 확대/축소 항목에서 한 페이지를 분할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분할 인쇄매수를 입력하여, 한 페이지의 분할 영역 수를 지정할 수 있다.
인쇄영역 관리부(14)는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13)에서 설정한 분할 인쇄매수에 대응하도록 한 페이지를 분할하고, 소정개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한 페이지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각각의 인쇄영역의 위치를 검출한다.
입/출력포트(15)는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프린터 드라이버(13)에서 선택된 인쇄정보 및 인쇄영역 관리부(14)에서 검출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13)에서 문서의 한 페이지를 여러 장의 인쇄용지에 분할하여 확대 인쇄하는 분할 인쇄기능을 선택하는 분할 인쇄 설정단계(S10)와, 사용자가 선택한 분할 인쇄매수에 대응하는 인쇄영역을 검출하는 인쇄영역 검출단계(S20)와, 검출된 인쇄영역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여 인쇄하는 단계(S30)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12)에서 작성된 문서를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인쇄명령을 선택하였는지 확인한다(S11).
사용자가 인쇄명령을 선택하였으면, 중앙처리장치(10)는 프린터 드라이버(13)를 구동시키고(S12), 프린터 드라이버(13)는 사용자가 인쇄작업에 관련된 각종 인쇄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S13),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인쇄정보 중에서 필요한 인쇄정보를 선택한다(S14).
즉, 사용자는 프린터 드라이버(13)의 구동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정보 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인쇄정보 선택화면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인쇄기능을 설정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12)에서 편집용지 A4 크기를 기준으로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6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대응하는 내용을 가로 150%, 세로 150%의 배율로 확대하여 인쇄하고자 한다고 가정하자.
이를 위해, 사용자는 단계 13(S13)에서 디스플레이된 인쇄정보 선택화면의 확대/축소 항목 중에서 가로 확대 배율과 세로 확대 배율을 각각 150%으로 입력하고, 한 페이지의 내용을 분할하고자 하는 분할 인쇄 매수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인쇄정보 중에서 필요한 항목에 대한 입력을 완료한 후 인쇄명령을 실행시키면(S15), 프린터 드라이버(13)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정보 중에서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21). 여기서, 프린터 드라이버(13)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정보 중에서 확대/축소 항목에 포함되는 분할 인쇄 매수를 체크하여 분할 인쇄기능의 설정여부를 확인한다. 즉, 분할 인쇄 매수가 2매 이상이면,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확인결과, 사용자에 의해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중앙처리장치(10)는 현재 응용 프로그램(12)에 디스플레이된 문서를 페이지 단위로 입/출력포트(15)를 통하여 프린터로 전송하는 일반적인 인쇄동작을 수행한다(S40).
확인결과, 사용자에 의해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인쇄영역 관리부(14)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현재 응용 프로그램(12)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의 한 페이지를 사용자가 단계 14(S14)에서 선택한 분할 인쇄매수로 분할한다(S22).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분할 인쇄매수가 6인 경우, 인쇄영역 관리부(14)는 문서의 한 페이지를 6개의 영역(A영역∼F영역)으로 분할하고, 6개로 분할된 각각의 영역의 위치를 저장한다.
한 페이지의 영역 분할이 완료되면, 인쇄영역 관리부(14)는 6개의 영역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영역의 위치를 검출하여 이를 프린터 드라이버(13)로 전송한다(S23).
여기서, 기 설정된 순서는 편집용지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검출하는 것으로, A영역→B영역→C영역→D영역→E영역→F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터 드라이버(13)는 인쇄영역 관리부(14)로부터 해당 영역의 위치가 수신되면, 한 페이지의 내용 중에서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단계 14(S14)에서 선택한 확대배율, 즉 가로, 세로 확대배율이 각각 150%로검출된 데이터를 확대한다(S24).
프린터 드라이버(13)는 사용자가 지정한 배율로 데이터를 확대한 후, 인쇄 데이터를 입/출력포트(15)를 통하여 프린터로 전송한다(S31).
여기서, A영역의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의 데이터가 가로, 세로가 150%로 확대되어 한 장의 인쇄용지에 출력된다.
이후, 중앙처리장치(10)는 다음 분할 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32), 확인결과 다음 분할 영역이 존재하면 인쇄영역 관리부(14)에서 해당 영역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23(S23)으로 복귀하고, 확인결과 다음 분할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12)에서 작성한 문서의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3).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면 인쇄영역 관리부(14)에서 한 페이지의 영역을 분할 인쇄매수로 분할하는 단계 22(S22)로 복귀하고,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따라서, 한 페이지의 내용을 데이터의 손실없이 한번에 확대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서의 확대 인쇄방법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확대 인쇄할 때, 한 페이지의 내용을 소정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각각의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때문에, 한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손실없이 확대 인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한 페이지의 문서를 한번에 확대 인쇄하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페이지 단위로 프린터로 전송할 때,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의 확대배율 및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의 분할하고자 하는 소정 영역에 대응하는 분할 인쇄매수의 설정을 포함하는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상기 프린터로 전송되는 한 페이지의 문서를 상기 소정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소정영역으로 분할된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분할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한 페이지의 문서 중에서 상기 검출된 분할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확대배율에 따라 확대하여 프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영역으로 분할된 영역에 대한 인쇄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분할영역 검출단계를 포함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인쇄기능의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 인쇄매수가 2매 이상이면 상기 분할 인쇄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KR10-1999-0029103A 1999-07-19 1999-07-19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KR10036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03A KR100369381B1 (ko) 1999-07-19 1999-07-19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03A KR100369381B1 (ko) 1999-07-19 1999-07-19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99A KR20010010299A (ko) 2001-02-05
KR100369381B1 true KR100369381B1 (ko) 2003-01-29

Family

ID=1960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03A KR100369381B1 (ko) 1999-07-19 1999-07-19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28B1 (ko) * 2002-08-14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터 프린트 기능을 구비하는 복사장치
KR20050050753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 및 그의 인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28B1 (ko) * 2002-08-14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터 프린트 기능을 구비하는 복사장치
KR20050050753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인쇄장치 및 그의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9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3986A (en) Image processing system
US7233403B2 (en) Pri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78395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US20110013227A1 (en) Printing using multiple paper sources
US74091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020054343A1 (en) Print control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memory medium
JPH10222319A (ja) 印刷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20002244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US20070091330A1 (en) Prin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ata loss
KR100369381B1 (ko) 문서의 분할 인쇄방법
US20050134890A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a method of selecting emulation automatically thereof
JP454157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0137798A (ja) 画像入出力装置、画像入出力方法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712264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1018494A (ja) 印刷出力装置、その給紙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により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345880B1 (ko) 프린터의 용지카세트 선택방법
JP4047058B2 (ja) 印刷制御装置及びそれを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印刷制御方法
US20040212819A1 (en) Image printing system, image printing method and image printing apparatus
JPH11180005A (ja) 画像形成装置の再印刷方法および装置
JP2008074005A (ja) 印刷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193559A (ja) 画像形成装置
JP3471870B2 (ja) 印刷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5025772A (ja) 印刷データのプレビュー方法および装置、記録媒体
JP2005092586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出力印刷データ生成方法
KR20010019455A (ko) 프린터의 이력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