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76B1 - 다단식 컵홀더 - Google Patents

다단식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76B1
KR100368376B1 KR10-2000-0043487A KR20000043487A KR100368376B1 KR 100368376 B1 KR100368376 B1 KR 100368376B1 KR 20000043487 A KR20000043487 A KR 20000043487A KR 100368376 B1 KR100368376 B1 KR 10036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using
pedestal
cylinder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203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3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음료캔 및 컵이나 병(이하 컵이라 칭함)을 거치할 수 있는 다단식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컵홀더로 사용되는 케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컵홀더 역할을 하는 통체를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연결설치하여 각기 다른 크기의 컵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통형의 케이스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이 안착되고 그 하우징의 내부에는 직경이 서로 다르고 하단부에 받침대가 마련된 2개 이상의 통체가 상호 포개어지게 마련되며 상기 포개어지게 마련된 통체의 받침대와 하우징 및 케이스는 보스가 관통 설치되고 그 보스의 받침대와 받침대 및 받침대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식 컵홀더{A Multiple-Stage Cupholder}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음료캔 및 컵이나 병(이하 컵이라 칭함)을 거치할 수 있는 다단식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홀더에 2개 이상의 통체를 마련하여 이에 크기가 서로다른 컵을 선택적으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그 거치된 컵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컵홀더는 운행중 운전자게 청량음료나 물을 마신후 그 컵을 안전하게 거치하는 것으로써, 첫째는 다양한 종류의 컵 크기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고, 둘째는 거치된 컵이 안전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종래의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컵홀더는 도 1a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안착부(11)가 형성된 통형의 케이스(10)나 컵안착부(11a)가 형성되고 하부에 단턱(12)이 마련된 통형의 케이스(10a)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케이스(10,10a)들은 컵안착부(11,11a)의 사이즈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점점 다양해져 가는 컵의 사이즈를 대응할 수 없었고 또 상기 컵안착부(11,11a)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컵이 안착되게 되면 운행중 컵이 유동하게 되어 마시다 남은 음료나 물이 엎질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상기 컵안착부(11,11a)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의 컵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그 컵을 컵안착부(11,11a)에 안착시킬 수 없어 한 손으로 컵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운전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상기 도 1b에 나타낸 컵홀더의 경우에는 2종류의 컵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또한 컵안착부(11a)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을 받는 것은 도 1a와 마찬가지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컵홀더로 사용되는 케이스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컵홀더 역할을 하는 통체를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연결설치하여 각기 다른 크기의 컵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단식 컵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컵홀더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 결합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20 : 하우징
30 : 통체 31 : 받침대
32 : 돌기 33 : 가이드홈
34 : 파지부 40 : 보스
41 : 스프링 42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통형의 케이스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이 안착되고 그 하우징의 내부에는 직경이 서로 다르고 하단부에 받침대가 마련된 2개 이상의 통체가 상호 포개어지게 마련되며 상기 포개어지게 마련된 통체의 받침대와 하우징 및 케이스는 보스가 관통 설치되고 그 보스의 받침대와 받침대 및 받침대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체의 상호 접촉면 중 일측 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상부에 위치한 통체의 상부는 절곡하여 파지부를 마련하고 그 파지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시켰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단식컵홀더 결합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 실시예도로써,
본 발명은 먼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컵홀더로 사용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통형의 케이스(10)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하우징(20)이 안착되고 그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직경이 서로 다르고 하단부에 받침대(31)가 마련된 통체(30)가 상호 포개어지게 마련되는데, 이 포개어지게 마련된 통체(30)는 제1,2,3 통체(30a,30b,30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3 통체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31a,31b,31c)는 컵이나 캔 및 병(이하 컵이라 칭함)(50)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단턱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단턱의 폭은 제1,2,3 통체(30a,30b,30c) 및 하우징(20)에 크기가 서로다른 컵(50)들을 안착시킬때에 그 컵(50)들이 상호 간섭되지 않을 정도면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상기 제1,2,3 통체(30a,30b,30c)의 받침대(31a,31b,31c) 및 하우징(20)에는 그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보스(40)가 관통 설치되는데, 그 보스(40)의 상단부는 제1통체(30a)의 받침대(31a)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스(40)의 하부는 케이스(10)를 관통하며 너트(42)로 고정된다.
또 상기 제2통체(30b)의 받침대(31b) 하면과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 상면 사이에 위치한 보스(40)와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 하면과 하우징(2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보스(40)에는 각각의 스프링(41)이 끼워져 탄성력을 발휘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제1,2,3 통체(30a,30b,30c) 및 하우징(20)이 상호 포개어지면서접촉되는 면중 일측 면에는 돌기(32)가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돌기(32)를 수용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제2,3 통체(30b,30c)에 컵(50)을 안착시 그 컵(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3 통체(30b,30c)가 슬라이딩 될때에 그 슬라이딩 되는 제2,3 통체(30b,30c)의 회전을 제어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3 통체(30a,30b,30c)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1통체(30a)의 상부는 "ㄷ"형으로 절곡하여 파지부(34)를 마련하고 그 파지부(34)는 제2,3 통체(30b,30c)의 상부 및 하우징(20)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제2,3 통체(30b,30c)들이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를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은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에 컵을 안착시킬때에 그 컵의 직경이 제일 작은 컵을 안착시키는 것으로써 이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의 하단부가 하우징(20)의 상면에 안착되고 그 안착된 컵의 하부 외주연은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 선단부가 감싸며 지지해주기 때문에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에 컵을 안착시킬때에 그 컵의 직경이 상기 실시예1의 컵보다 큰 컵을 안착시키는 것으로써 이는 도 4b에 나타낸바와 같이 컵의 하단부가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 상면에 안착되고 그 안착된 컵의 하부 외주연은 제2통체(30b)의 받침대(31b) 선단부가 감싸며 지지해주기 때문에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 상면에 컵이 안착되면 그 안착된 컵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3통체(30c)는 보스(40)를 따라 하부로 내려가고 이때 하우징(20)과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41)은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컵을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로부터 인출해 내면 상기 수축된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제3통체(30c)가 원위치 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3은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에 컵을 안착시킬때에 그 컵의 직경이 상기 실시예2의 컵보다 큰 컵을 안착시키는 것으로써 이는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의 하단부가 제2통체(30b)의 받침대(31b) 상면에 안착되고 그 안착된 컵의 하부 외주연은 제1통체(30a)의 받침대(31a) 선단부가 감싸며 지지해주기 때문에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통체(30b)의 받침대(31b) 상면에 컵이 안착되면 그 안착된 컵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통체(30b)는 보스(40)를 따라 하부로 내려가고 이때 제3통체(30c)의 받침대(31c)와 제2통체(30b)의 받침대(31b)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41)은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컵을 제2통체(30b)의 받침대(31b)로부터 인출해 내면 상기 수축된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제2통체(30b)가 원위치 된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실시예4는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에 컵을 안착시킬때에 그 컵의 직경이 상기 실시예3의 컵보다 큰 컵을 안착시키는 것으로써 이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의 하단부가 제1통체(30a)의 받침대(31a) 상면에 안착되고 그 안착된 컵의 하부 외주연은 제1통체(30a)의 내주연과 접촉되기 때문에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통체(30a)의 받침대(31a) 상면에 컵이 안착될 때에는 보스(40)의 지지력 및 제2,3 통체(30b,30c)의 상부와 하우징(20)의 상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파지부(34)에 의해서 상/하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 그대로 지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단식 컵홀더는 컵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어떠한 크기의 컵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컵홀더로 사용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하우징과 받침대가 마련된 각각의 통체를 상호 포개지게 마련하고 그 포개지게 마련된 통체의 받침대와 하우징 및 케이스에는 스프링을 개재시킨 보스를 관통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컵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통체의 상호 접촉면 중 일측 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형성시킴으로써 통체의 슬라이딩시 그 통체가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상부에 위치한 통체의 상부를 절곡하여 파지부를 마련하고그 파지부가 나머지 통체의 상부 및 하우징의 상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컵홀더의 균형을 상실하지 않고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통형의 케이스(10)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20)이 안착되고 그 하우징의 내부에는 직경이 서로 다르고 하단부에 받침대(31)가 마련된 2개 이상의 통체(30)가 상호 포개어지게 마련되며 상기 포개어지게 마련된 통체의 받침대와 하우징 및 케이스는 보스(40)가 관통 설치되고 그 보스의 받침대와 받침대 및 받침대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스프링(41)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상호 접촉면 중 일측 면에는 돌기(32)가 형성되고 타측 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컵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에 위치한 통체의 상부는 절곡하여 파지부(34)를 마련하고 그 파지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컵홀더.
KR10-2000-0043487A 2000-07-27 2000-07-27 다단식 컵홀더 KR10036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87A KR100368376B1 (ko) 2000-07-27 2000-07-27 다단식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87A KR100368376B1 (ko) 2000-07-27 2000-07-27 다단식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203A KR20020010203A (ko) 2002-02-04
KR100368376B1 true KR100368376B1 (ko) 2003-01-24

Family

ID=196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487A KR100368376B1 (ko) 2000-07-27 2000-07-27 다단식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845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845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203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477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beverage container
US20060076468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0368376B1 (ko) 다단식 컵홀더
KR10074735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380355B1 (ko) 컵 홀더의 컵 지지장치
JP3579523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EP1410946A1 (en) Cupholder
JPH08238969A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KR200218795Y1 (ko)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보조 핸들 구조
KR20030024989A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20090049217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32040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20030024507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100324665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30039482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376444B1 (ko) 컵 크기 조절용 컵 홀더
KR100510299B1 (ko) 차량용 조립식 컵 홀더
KR0166282B1 (ko) 자동차용 다중 컵 홀더
KR100825404B1 (ko) 탈.부착식 보조 컵홀더
KR100488789B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141417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197395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37825Y1 (ko) 캔홀더 겸용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