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091B1 -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091B1
KR100368091B1 KR1019960006954A KR19960006954A KR100368091B1 KR 100368091 B1 KR100368091 B1 KR 100368091B1 KR 1019960006954 A KR1019960006954 A KR 1019960006954A KR 19960006954 A KR19960006954 A KR 19960006954A KR 100368091 B1 KR100368091 B1 KR 10036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loading
chassis
lead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838A (ko
Inventor
다까히로 오꾸이에
오사무 다까오
하루히꼬 오네다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809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792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8356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875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8502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71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86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7103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11B15/6658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with two loading ring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샤시(1)에는 가이드 홈(12)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고,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럭(5, 5)과,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미끄럼이동시키는 로딩 링크(7, 7)와, 샤시(1) 상의 로딩 완료 위치에 배치하고, 선도 가이드 블럭(5, 5)가 압착하는 캐처(3, 3)가 설치되어 있다. 로딩 링크(7)는 샤시(1) 상의 피봇축(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 레버(71)와, 회전 레버(71)의 자유 단부에 피봇 지지부(74)가 연결되고, 자유 단부에 선도 가이드 블럭(5)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크 판(72)으로 이루어지며, 샤시(1)상에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삽입 가능하고, 캐처(3)에 의해 덮이고, 가이드 홈(12)에 연속한 창 구멍(13)이 개설되어 있다. 피봇축(10)과 상기 피봇부(74)를 잇는 중심선 L1과, 상기 피봇 지지부(74)와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링크 판(72)의 연결부를 잇는 중심선 L2가 로딩 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창 구멍(13)은 링크판(72)의 선단부 보다도 피봇축(10)으로부터 더욱 떨어진 위치에 개설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여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 로딩 기구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여 회전 실린더로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로서, 출원인은 미합중국 특허 제4,951,164호에 도시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종래 장치를 개량한 것이므로, 종래 장치의 개략을 우선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테이프 로딩 방향을 전방, 언로딩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 상의 회전 실린더(도시 않음)의 부착 위치에는 개구(14)가 개설되고, 상기 개구(14)의 양측에는 로딩 대기 위치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12, 12)이 개설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12)에는 카세트(도시 않음)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이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 홈(12)의 로딩 방향의 단부는 확대하여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조립시에 선도 가이드 블랙(5)이 삽입되는 창구멍(13)을 형성한다. 선도가이드 블럭(5)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9) 상에 가이드 롤러(51)와 경사 핀(50)을 구비하고, 후단부에는 보스(92)를 하향으로 돌출한 주지의 구성이다.
각 선도 가이드 블럭(5)은 샤시(1) 이면에 설치된 로딩 링크(7)에 의해 구동된다. 로딩 링크(7)는 샤시(1)의 이면으로부터 돌출한 피봇축(10)에 끼워지는 회전 레버(71)와, 상기 회전 레버(71)의 선단부에 피봇되고, 자유 단부가 보스(92)에 끼워지는 링크 판(72)으로 이루어진다.
개구(14)와 창구멍(13)은 회전 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베이스(35)에 덮인다. 실린더 베이스(35)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압착하는 캐처(3, 3)와, 회전 실린더가 적재되는 부착 다이(6)와, 창구멍(13)에 끼워지며 가이드 홈(12)에 연속하는 레일 아암(36)을 일체로 구비하고, 개구(14)에 부착 다이(6)가 창 구멍(13)에 캐처(3)와 레일 아암(36)이 각각 덮인다. 캐처(3)는 창 구멍(13)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다.
로딩 링크(7)을 피봇축(10)과 선도 가이드 블럭(5)에 부착하기에 앞서, 우선 창 구멍(13)에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끼우고, 일단 가이드 홈(12)에 따라서 로딩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선도 가이드 블럭(5)은 하면에 지지편(9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9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크 판(72)의 선단을 지지한다.
다음에,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를 뒤집고, 창구멍(13)에 지그(37)를 덮는다. 지그(37)에는 가이드 홈(12)에 연속하는 보조 가이드 홈(38)이 개설되고, 지그(37)의 부착 후에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도가이드 블럭(5)을다시 전진시키고, 보조 가이드 홈(38)의 선단에 맞닿게 한다.
로딩 링크(7)를 회전 레버(71)와 링크 판(72)이 거의 일직선으로 되도록 회전시키고 나서, 링크 판(72)의 선단부를 선도 가이드 블럭(5)에 회전 레버(71)의 기단을 피봇축(10)에 각각 끼운다. 링크판(72)은 받침 편(93)에 방해되지 않고, 선도 가이드 블럭(5)에 장착된다.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로딩 링크(7)의 부착시에 지그(37)를 이용하지 않으면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창 구멍(13)으로부터 탈락하므로 상기 부착 지그는 불가결하다.
이 후에, 로딩 링크(7)를 회전시켜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로딩 대기 위치로 복귀시킨다(제31도 참조). 링크 판(72)의 선단은 지지편(93)와 샤시(1) 사이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진동이 가해진 때에 로딩 링크(7)와 선도 가이드 블럭(5)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후에, 지그(37)를 샤시(1)로부터 벗기고, 실린더(35)를 샤시(1)에 부착한다.
로딩 완료시에는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캐처(3)의 V홈 개구에 압착하고, 보스(92)가 로딩 링크(7)에 의해 레일 아암(36)의 측면에 압접한다. 이리하여,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캐처(3)와의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하여 샤시(1)에 평행인 면 내에 있어서 회전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실린더(2)는 실린더 베이스(3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핀(39, 39)에 끼워 맞추어져서 위치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1. 지그(37)를 이용하여,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로딩 링크(7)를 부착하므로, 수고가 들고, 작업성이 나쁘다. 또, 선도 가이드 블럭(5)을 샤시(1)에 부착한 후에 지그(37)를 벗기면,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창 구멍(13)으로부터 벗겨질 우려가 있다.
2. 선도 가이드 블럭(5)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딩 시에, 베이스(9)의 보스(92)가 가이드 홈(12)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마모되기 쉽다. 따라서, 로딩 완료 위치에서 레일 아암(36)의 측면과 보스(92)가 맞닿은 때에 샤시(1)에 평행인 면 내에 있어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정규 상태로부터 회전 진동하여 정확한 테이프 주행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3. 로딩 링크(7)와 보스(92)의 끼워 맞춤 부분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7)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여 끼워 맞춤 통(70)을 상향으로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로딩시에 로딩 링크(7)의 상향 진동에 의해 끼워 맞춤 통(70)의 선단면과 보스(92)의 시트면이 접촉하여 보스(92)가 긁혀지고, 로딩 부하가 된다. 즉, 원활한 로딩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전 출원인은 제조 비용을 삭감하기 위해 부착 다이(6)를 샤시(1)의 드로잉 가공에 의해 샤시(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발명 제안하고 있다(제18도,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 공고 공보 소64-2319호 참조). 이 경우, 부착 다이(6)와는 별도로 캐처(3)를 샤시(1) 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부착 다이(6)를 드로잉 가공으로 설치하면, 부착 다이(6)의 주변부를 왜곡시키기 쉬우므로 창 구멍(13)을 왜곡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창 구멍(13)과 부착 다이(6)의 간격을 넓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출원인은 창 구멍(13)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시에,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로딩 링크(7)의 조립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본 발명은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선도 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를 조립할 수 있고, 또 샤시 운반시에 선도 가이드 블럭이 샤시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로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선도 가이드 블럭과 가이드 홈의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동시에, 선도 가이드 블럭의 캐처와의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 진동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로딩 링크의 상하 진동에 의한 끼워 맞춤 통의 선단면과 보스의 긁힘을 방지하고, 원활한 로딩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선도 가이드가 맞닿는 캐처를 보강하여 선도 가이드 블럭의 기울어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봇축과 링크판과 회전 레버의 피봇 지지부를 잇는 중심선 L1과, 상기 피봇 지지부와 선도 가이드 블럭과 링크판의 연결부를 잇는 중심선 L2가 로딩 방향을 향해 일적선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링크 판의 선단부는 가이드 홈상에 위치한다. 선도 가이드 블럭이 삽입되는 창 구멍은, 상기 링크판의 선단부보다 더욱 피봇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개설되어 있다. 캐처와 선도 가이드 블럭의 맞닿음부는 창 구멍 보다 로딩 대기 위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선도 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의 부착은 선도 가이드 블럭을 창구멍에 삽입한 후에 로딩 대기 위치를 향해 약간 복귀된 상태에서 행한다. 그러나, 일단 선도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를 조립해 버리면 선도 가이드 블럭이 창구멍으로부터 탈락할 우려는 없다. 이 때문에,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선도 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를 부착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 로딩 링크와, 선도 가이드 블럭을 부착한 상태에서 로딩 링크가 부주의하게 회전해도 선도 가이드 블럭은 샤시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선도 가이드 블럭과 캐처의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한 샤시와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의 선도 가이드 블럭의 회전 진동은 맞닿음면과 위치 결정 돌기의 맞닿음에 의해 규제된다. 즉, 미끄럼 이동 마찰에 영향이 없는 부위 끼리를 맞닿게 하여 선도 가이드 블럭의 위치 결정으로 함으로써, 선도 가이드 블럭의 회전 진동의 변동을 없애고, 테이프 주행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로딩 링크는 선도 가이드 블럭으로부터 돌출한 돌편에 의해 상방향의 진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로딩 링크의 긁힘이 방지되고, 원활한 로딩이 가능하다. 또, 돌편은 가이드 홈의 대략 중앙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도 가이드 블럭의 미끄럼 이동 중에 돌편이 가이드 홈의 단부 모서리에 접하여 긁힘을 초래할 우려는 없다.
캐처의 양단 지지 아암 사이에는 보강 로드가 가설되어 있으며, 지지 아암에 선도 가이드 블랙의 압착력이 가해져도 지지 아암의 휨 변형은 작다.
제1도는 테이프 로딩 완료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의 도시를 생략한 샤시(1)의 평면도이며, 제2도는 회전 실린더(2)를 제외한 샤시(1)의 평면도이다. 샤시(1)상의 부착 다이(6)에는 기록 재생을 행하는 회전 실린더(2)가 배치되고, 회전 실린더(2)의 양측에서 가이드 홈(12, 12) 상의 로딩 완료 위치에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압접하는 캐처(3, 3)가 부착 다이(6)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다이(6)는 샤시(1)의 드로잉 가공에 의해 설치되고, 각 가이드 홈(12)의 부착 다이(6)측의 단부는 확대하여 창구멍(13)을 형성한다. 상기 창 구멍(13)에 상기 캐처(3)가 씌워진다. 상기 창 구멍(13)은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로딩 완료 위치 보다도 또 로딩 진행 방향측으로 개설되어 있다.
샤시(1)의 이면에는 부착 다이(6) 보다도 언로딩 방향 근처로 선도 가이드 블럭(5)을 구동하는 로딩 링크(7)의 회전 중심인 피봇축(10, 1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는 우측의 로딩 링크(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로딩 링크(7)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피봇축(10)에 끼워지는 회전 레버(71)의 선단부에 링크 판(72)을 피봇 지지하고, 상기 링크 판(72)의 자유 단부에 선도 가이드 블럭(5)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 통(70)이 드로잉 가공에 의해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제3도 참조). 피봇축(10)에는 회전 레버(71)에 연계하는 로딩 기어(73)가 회전 레버(71)와 동축으로 끼워진다.
서로간의 로딩 기어(73, 73)가 맞물리고, 한 쪽 기어(73)에 래크 기구(도시않음)가 맞물려서 양 로딩 링크(7, 7)는 회전 구동된다. 또, 로딩 기어(73)와 로딩 링크(7) 사이에는 선도 가이드 로크(5)를 캐처(3)에 압접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걸려 있으나, 도시는 생략한다.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베이스(9)는 PPS수지(폴리프로필렌 설파이드) 등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제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9)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제1축(90)에 가이드 롤러(51)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베이스(9)의 하면으로부터는 제1축(90)과 동심으로, 제2축(91)이 돌출한다. 베이스(9)의 타단부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보스(9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링크 판(72)의 끼워맞춤 통(70)에 끼워진다.
베이스(9)의 후단부에서, 가이드 홈(12)의 홈 폭의 대략 중앙에 대응한 위치에 돌편(94)이 하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돌편(9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크 판(72)의 상면에 맞닿아서 링크판(72)의 상방향 진동을 방지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92)의 주위면에는 절결(96)이 설치되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캐처(3)에 압착한 때에 보스(92)와 가이드 홈(1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 제2축(91)의 주위면상에서 보스(92)와 제2축(91)을 잇는 중심선 L을 끼워서 보스(92)의 절결(96)과 반대측에는 제2측(91)에 절결부(97)가 설치되고, 제2축(91)은 절결부(97) 측의 가이드홈(12)의 단부면의 접촉을 방지한다.
보스(92)와 제2축(91)사이에는 중심선 L에 직교하여 샤시(1)의 이면에 접하는 빠짐 방지편(98)이 설치되고, 상기 빠짐 방지편(98)의 우측 하단부는 보스(92)를 향해 연장되고, 로딩 링크(7)의 링크판(72)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편(93)을 형성한다. 보스(92)의 좌측에 위치하는 기대(9)의 단부면은 중심선 L에 대략 평행한 맞닿음면(95)을 형성한다. 또, 제4도는 좌측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도시하였으나, 우측 선도 가이드 블럭(5)은 맞닿음면(95), 절결부(97)를 좌측 선도 가이드 블럭(5)과는 중심선 L을 끼워서 반대측으로 형성한다.
후기하는 바와 같이, 샤시(1)상의 로딩 완료 위치 근방에서 맞닿음면(95)에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 결정 돌기(11)가 상향 돌출한다. 또, 가이드 홈(12)의 종단부에는 로딩 대기 상태로서, 돌편(94)이 끼워질 수납 구멍(15)이 개설되어 있다. (제1도 참조).
또, 캐처(3)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 상에 적재하는 베이스(30) 상에 선도 가이드 블럭(5)이 맞닿는 유지편(31)을 구비하고, 베이스(30)의 하측으로부터는 상기 창 구멍을 통하여 샤시(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 아암(4, 4)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아암(4, 4)은 서로 평행하고, 언로딩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아암(4, 4) 사이에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제2축(91)이 끼워진다. 양 지지 아암(4, 4) 의 선단 하단부는 보강 로드(40)로 접속되고, 이런 라멘 구조에 의해 지지 아암(4, 4)의 횡방향 하중이 가해져도 휨 변형량은 적어진다. 캐처(3)는 상면으로부터 보아 유지편(31)의 측면과, 지지 아암(4, 4)의 내면은 간극 S만큼 이격되고, 유지편(31)의 선단과 보강 로드(40)는 간극 T 만큼 이격되어 있다.
(선도 가이드 블럭의 부착)
선도 가이드 블럭(5)을 샤시(1)에 부착하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편(98)을 창구멍(13)에 맞추어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을 샤시(1)에 삽입하고, 베이스(9)의 하면을 샤시(1)의 표면에, 빠짐 방지편(98)의 상면을 샤시(1)의 하면에 맞닿게 한다. 이 후에, 일단 선도 가이드 블럭(5)을 가이드 홈(12)에 따라서 약간 인입한다. 빠짐 방지편(98)이 샤시(1)의 이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선도 가이드 블럭(5)은 샤시(1)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링크(7)의 링크 판(72)과 회전 레버(71)의 피봇 지지부(74)가 역으로 접힌 상태, 즉 피봇 지지부(74)가 피봇축(10)과 보스(92)를 잇는 가상선 M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링크판(72)을 보스(92)에, 회전 레버(71)를 피봇축(10)에 부착한다. 링크판(72)의 선단은 지지편(93)에 방해되지 않고, 보스(92)에 끼워진다. 양 로딩 기어(73, 73)가 서로 맞물려서 피봇축(10, 10)에 끼워진다.
다음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축(10)과 상기 피봇 지지부(74)를 잇는 중심선 L1 및 상기 피봇 지지부(74)와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링크판(72)의 연결부를 잇는 중심선 L2가 로딩 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 레버(71)를 약간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창구멍(13)은 연결부 보다 피봇축(10)으로부터 더욱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선도 가이드 블럭(5)은 로딩 방향으로 약간 미끄럼 이동하지만, 빠짐 방지편(98)이 창 구멍(13)에 달하지 않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샤시(1)로부터의 빠짐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레버(71)를 회전시키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로딩 대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링크판(72)의 선단부는 지지편(93)에 적재되고, 로딩 링크(7)가 선도 가이드 블럭(5)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캐처(3)의 지지 아암(4, 4) 을 창구멍(13)을 통해 샤시(1)에 삽입하고, 베이스(30)를 창구멍(13)에 비운 후에 샤시(1)에 나사 멈춤한다.
상기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로딩 링크(7)와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부착한 후에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은 창 구멍(13) 까지 이동할 수 없으므로, 샤시(1)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로딩 링크(7)를 부착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로딩 링크(7)를 부착한 후에, 로딩 링크(7)를 회전시켜도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샤시(1)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없고, 샤시(1)의 운반시의 작업성의 개선이 도모된다.
캐처(3)가 샤시(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캐처(3) 상의 유지편(31)은 창 구멍(13) 보다도 로딩 대기 위치측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딩시에는 로딩 기어(73)의 회전에 의해 로딩 링크(7)를 거쳐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자기 테이프를 인장하면서 캐처(3)를 향해 진행한다.
로딩 완료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 지지부(74)는 가상선 M 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링크판(72)과 회전 레버(71)가 일직선상에 배치하는 일은 없고, 로딩 링크(7)의 압착력이 선도 가이드 블럭(5)에 전달된다.
(선도 가이드 블럭 압착 완료 상태)
선도 가이드 블럭(5)은 로딩 완료 상태에 있어서, 제1축(90)이 캐처(3)의 유지편(31)에 압착한다. 제11도 및 제14도는 각각 좌측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캐처(3)에 압착하기 직전의 평면도 및 사시도, 제12도는 그 압착한 상태의 평면도, 제13도는 그 측면도이다.
선도 가이드 블럭(5)은 로딩 링크(7)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된다. 제2축(91)이 좌측 지지 아암(4)의 내면에 압접하고, 맞닿음면(95)은 상기 위치 결정 돌기(11)에 맞닿는다. 보스(92)에는 절결(9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홈(12)의 좌측 단부면과 보스(92)가 접촉하는 일은 없고, 맞닿음면(95)과 위치 결정 돌기(11)는 확실하게 맞닿는다.
제2축(91)과 지지 아암(4)의 맞닿음에 의해 선도 가이드 블럭(5)은 로딩 방향과 직교한 면 내에 있어서의 회전 요동이 규제된다. 또, 선도 가이드 블럭(5)은 맞닿음면(95)이 위치 결정 돌기(11)에 맞닿으므로, 유지편(31)과 제1축(90)의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한 샤시(1)에 평행인 면 내에 있어서의 회전 진동은 규제된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주행 안정화에 비추어, 좌우 선도 가이드 블럭(5, 5)은 캐처(3, 3)에의 압착시에 로딩 방향에 직교한 면 내에 있어서의 기울어전 상태가 서로 약간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캐처(3, 3)는 지지 아암(4, 4)의 치수 형상이 서로 약간 다르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제2축(91)에 절결부(97)를 형성함으로써, 좌우 캐처(3, 3)에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제시한다.
좌우 선도 가이드 블럭(5)에서는 로딩 링크(7)의 가압 방향이 역이므로, 맞닿는 지지 아암(4)이 반대이다. 여기에 있어서, 제2축(91)에 절결부(97)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선도 가이드 블럭(5)은 캐처(3)의 압착시에 맞닿지 않는 쪽 지지 아암(4)과는 간극이 형성된다. 선도 가이드 블럭(5)의 기울어진 상태는 제2축(91)이 맞닿지 않는 쪽의 지지 아암(4)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2축(91)이 맞닿는 한 쪽 지지 아암(4)을 선도 가이드 블럭(5)의 기울어진 상태에 대응하여 설치하면, 캐처(3)는 좌우 모두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돌편(94)에 의해 로딩 링크(7)의 상방향 요동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로딩 링크(7)의 끼워 맞춤 통(70)의 선단과 보스(92)의 시트면의 긁힘이 방지되고, 원활한 로딩이 가능하다. 여기서, 돌편(94)이 대략 중앙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편(94)이 가이드 홈(12)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샤시(1)는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가이드 홈(12)의 단부 모서리 내측에 버어가 발생하고 있는 일이 많다.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베이스(9)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편(94)과 상기 버어가 닿으면, 긁힘 등에 의해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동작 불량이 되기 쉽다. 따라서, 돌편(94)과 가이드 홈(12)의 단부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선도 가이드 블럭(5) 상의 상기 위치로부터 돌편(94)을 돌출시켜서 돌편(94)이 가이드 홈(12)의 단부 모서리에 접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부착 다이의 상세)
본 예에 있어서의 회전 실린더(2)의 부착 다이(6)는 샤시(1)의 드로잉 가공에 의해 샤시(1)에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의 개구(14)의 주변부를 드로잉하여 샤시(1)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보강벽(60)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벽(60)의 상단부를 또 개구(14)측으로 내향 절곡하여 회전 실린더(2)의 하면에 대향하는 경사편(61)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보강벽(60)과 경사편(61)에 의해 부착 다이(6)를 구성한다.
경사편(61)으로부터는 회전 실린더(2)의 하면이 적재되는 세 개의 돌기면(62, 62, 62)이 상향 돌출하고, 그 중 두 개의 돌기면(62, 62)의 측방헤은 경사편(61)으로부터 드로잉 가공에 의해 위치 맞춤 돌기(64)가 돌출하고 있다. 위치 맞춤 돌기(64)는 회전 실린더(2)의 하면에 끼워 맞춤하고, 상기 끼워 맞춤에 의해 회전 실린더(2)와 부착 다이(6)의 상대 위치가 정해진다(제16도 참조). 또, 위치 맞춤 돌기(64, 64)를 두 개로 한 것은 두 개의 위치 맞춤 돌기(64, 64)에 의해 화전 실린더(2)와 부착 다이(6)의 상대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이며, 위치 맞춤 돌기(64)의 수를 두 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 개의 돌기면(62, 62)의 근방에는 보강벽(60) 상에 제1, 제2 릴리프 구멍(17, 18)이 개설되어 있다. 제2 릴리프 구멍(18)은 보강벽(60)과 샤시(1)의 상면에 걸치도록, 제1 릴리프 구멍(17)은 보강벽(60)과 샤시(1) 면의 경계면으로부터 보강벽(60)을 향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릴리프 구멍(17)의 근방에 우측 피봇축(10)이 세워 설치되는 코오킹 구멍(16)이 개설되어 있다.
부착 다이(6)의 형성은 이하와 같이 행한다. 우선,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시에 샤시(1)를 고정하는 기준 구멍(19, 19, 19, 19)을 형성하고, 각 기준 구멍(19)에 지그를 끼워 맞추어 샤시(1)를 고정한 후에, 개구(14), 릴리프 구멍(17, 18)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를 고정한 상태에서 한 번의 프레스 가공으로 보강벽(60)과 경사편(61)을 성형하고, 부착 다이(6)를 설치한다. 드로잉 가공의 성형에 의한 왜곡이 샤시(1)상의 평면도를 필요로 하는 곳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릴리프 구멍(17, 18)을 개설하고 있는 것이다. 보강벽(60)과 경사편(61)의 형성 후에, 경사편(61)을 다시 프레스 가공하여 돌기면(62)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면(62, 62, 62)에 나사 관통 구멍(63, 63, 63)을 형성하는 동시에, 위치 맞춤 돌기(64, 64)를 성형한다. 샤시(1) 상의 릴리프 구멍(17)의 근방에 코오킹 구멍(16)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샤시(1) 외측 4변을 하방으로 절곡한다. 또, 제1 릴리프 구멍(17)이 보강벽(60)에만 형성되고 샤시(1) 상에 덮이지 않는 것은 코오킹 구멍(16)을 개설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드로잉 가공된 샤시(1)에 대해 각종 테이프 주행 부품을 유지하기 위해, 공지의 외삽 성형을 실시하고(도시 않음), 코오킹 구멍(16)에 피봇축(10)을 코오킹하여 샤시(1)가 완성된다.
이런 샤시(1)에 회전 실린더를 부착하려면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회전 실린더(2)를 위치 맞춤 돌기(64, 64)에 끼워 맞춤시키면서 경사편(61) 상의 돌편(62, 62, 62)에 적재시킨다. 이 후, 나사 관통 구멍(63, 63, 63)을 관통하여 나사(66, 66, 66)를 회전 실린더(2)에 나사 결합시킨다.
회전 실린더(2)를 부착 다이(6)에 부착할 때는 회전 실린더(2)와 위치 맞춤 돌기(64)를 끼워 맞춤 시키므로, 회전 실린더(2)는 경사편(61)과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지고, 기록 재새이 정상적으로 행해진다. 또, 위치 맞춤 돌기(64)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성 부품 갯수는 증가하지 않는다. 부착 다이(6)를 샤시(1)의 드로잉 가공으로 형성하는 내용은 일본국 특허 공고 공보 평 4-12553호 및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 공고 공보 소64-2319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위치 맞춤 돌기(64)를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한 점에 신규성이있다.
또, 보강벽(60)과 샤시(1)면의 경계부로부터 보강벽(60)을 향해 릴리프 구멍(17)이 개설되어 있으므로, 릴리프 구멍(17)의 주위부의 왜곡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봇축(10)의 수직도도 변동이 적고, 로딩 링크(7)는 정확히 동작한다.
(캐처의 상세)
캐처(3)는 PPS수지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지만, 상기와 같이, 유지편(31)과 지지 아암(4, 4) 및 보강 로드(40)가 각각 거리 S, T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제6도 참조), 캐처(3)를 금형을 상하로 분리시키는 구조로 성형할 수 있다.
금형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정 형(80)과 가동 형(8)으로 이루어지며, 제19도는 가동형(8)의 평면도, 제20도는 가동형(8)과 고정형(80)의 정면도, 제21도 및 제22도는 각각 양 형(8, 80)을 마주 합친 상태의 종단면도, 횡단면도이다. 가동형(8)으로부터는 돌기(81)가 상향 돌출하고, 상기 돌기(81)의 주위에 요홈(82)이 개설되어 있다. 고정 형(80)에는 하면이 개구되고, 돌기(81)가 끼워지는 요부(83)가 개설되고, 요부(83)와 돌기(81) 사이의 공간에, 사출 구멍(84)으로부터 주입된 용융 수지가 충만하여 베이스(30)와 유지편(31)을 형성한다. 또, 요홈(82)을 충만한 용융 수지는 지지 아암(4, 4)과 보강 로드(40)를 형성한다. 고정 형(80)으로부터 돌출한 돌편(85)의 하면은 요홈(82)의 보강 로드(40)가 될 곳의 상단에 위치한다.
유지편(31)과 지지 아암(4, 4) 및 보강 로드(40)는 서로 평면적으로 겹치지않는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형(8)의 돌기(81)는 지지 아암(4, 4)이 될 곳의 사이를 미끄러져 빠지나가고 고정 형(80)과 만나게 할 수 있다. 또, 보강 로드(40)는 유지편(31)과 평면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보강 로드(40)를 설치해도 금형 이형시에 돌기(81)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금형 구조로, 보강 로드(40)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 실린더의 스테이터 기판의 휨 방지)
상기 부착 다이(6)의 응용예로서, 출원인은 제24도에 도시한 것을 착상하였다.
회전 실린더(2)는, 부착 다이(6) 상에 고정되는 하부 실린더(21) 상에 상부 실린더(20)를 회전 가능하게 적재하고, 상부 실린더(20)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유니트(22)를 하부 실린더(21)에 부착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모터 유니트(22)는 소켓(25)을 구비한 스테이터 기판(23)과, 내주에 착자된 로우터(24)로 이루어지며, 스테이터 기판(23) 상에는 로우터(24)의 회전에 의해 각각 PC 펄스, FG 펄스를 발생하는 코일 및 도전 패턴(모두 도시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PG 펄스와는 회전 실린더(2)의 회전 위상을 제어하고, FG 펄스와는 회전 실린더(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펄스이며, 로우터(24)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유도 전류이다. 모터 유니트(22)의 하측에는 소켓(25)에 끼워 맞춰지는 플랙(26)을 갖는 회로 기판(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 유니트(22)에 있어서 플랙(26)과 소켓(25)의 삽탈시에 스테이터기판(23)이 휨 변형하면 스테이터 기판(23)과 로우터(24)의 간격이 바뀌므로, PG펄스, FG 펄스의 출력이 변동하고, 상부 실린더(20)의 회전 제어에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스테이터 기판(23)의 휨 방지를 위해 개구(14)의 주위로부터 적재편(67)과 빠짐 방지편(68)을 내향 돌출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5도 및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실린더(2)가 부착 다이(6)에 적재된 상태에서, 적재편(67)은 스테이터 기판(23)의 하면에 빠짐 방지편(68)은 상면에 각각 접한다. 이리하여, 스테이터 기판(23)을 협지함으로써, 스테이터 기판(23)의 휨 변형이 방지된다.
또, 회전 실린더(2)를 부착 다이(6)에 부착할 때, 하부 실린더(21)의 하면과, 부착 다이(6) 상의 위치 맞춤 돌기(64, 64)를 맞대어 그대로 상방으로부터 적재하게 해도 빠짐 방지편(68)이 스테이터 기판(23)에 닿고 삽입할 수 없다.
따라서, 스테이터 기판(23)과 빠짐 방지편(68)이 간섭하지 않도록 회전 실린더(2)를 본래의 부착 위치로부터 약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린 후에, 스테이터 기판(23)을 빠짐 방지편(68)과 적재편(67) 사이에 잠기도록 부착한다.
또, 출원인은 샤시(1)와는 독립한 종래의 실린더 베이스(35)를 이용한 것으로도, 제27도 내지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테이터 기판(23)의 휨 방지 구조를 착상하였다. 이는, 실린더 베이스(35)의 부착 다이(6)가 끼워지는 개구(14)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스테이터 기판(23)의 하면에 접하는 적재편(67)을 돌출 설치한다. 실린더 베이스(35)의 이면에 스테이터 기판(23)에 대향한 받침면(34)을 형성한다(제30도 참조).
실린더 베이스(35)에 회전 실린더(2)와 모터 유니트(22)를 부착하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 베이스(35)를 샤시(1)에 부착한다. 모터 유니트(22)의 스테이터 기판(23)은 하면이 적재편(67)에 접하고, 상면이 받침면(34)에 닿고 상방향으로의 휨은 규제된다.
스테이터 기판(23)의 하면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소켓(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25)이 회로 기판(27) 상의 플랙(26)에 직접 끼워 맞춰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랙(26)과 소켓(25)의 삽탈시에 스테이터 기판(23)의 휨 변형은 적재편(67)과 받침면(34)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PG펄스, FG펄스의 출력 변동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제1도는 샤시의 회전 실린더를 적재한 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로딩 대기 상태의 샤시의 평면도.
제3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의 측면도.
제4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의 평면도.
제5도는 캐처의 사시도.
제6도는 캐처의 평면도.
제7도는 샤시에 선도 가이드 블럭을 끼우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의 부착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9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과 로딩 링크의 부착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의 대기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1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이 캐처에 압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이 캐처에 압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그 측면도.
제14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이 캐처에 압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부착 다이의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를 A-A선으로 파단한 단면도.
제17도는 샤시의 가공 공정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8도는 샤시의 드로잉 공정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9도는 캐처를 성형하는 가동 형의 평면도.
제20도는 캐처를 성형하는 가동 형과 고정 형의 정면도.
제21도는 가동 형과 고정 형이 맞대어진 상태의 종단면도.
제22도는 그 횡단면도.
제23도는 가동형의 돌기와 캐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4도는 제25도에 도시한 샤시를 B-B선으로 파단한 단면도.
제25도는 모터 유니트를 부착한 회전 실린더의 평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회전 실린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저면도.
제27도는 제28도에 도시한 샤시를 C-C선으로 파단한 단면도.
제28도는 모터 유니트와 회전 실린더를 부착한 실린더 베이스의 평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회전 실린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저면도.
제30도는 실린더 베이스의 이면에 스타터 기판을 적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1도는 종래의 실린더 베이스와 샤시의 평면도.
제32도는 종래의 샤시를 반전하고 지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3도는 그 샤시에 끼워진 선도 가이드 블럭에 로딩 링크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4도는 선도 가이드 블럭이 실린더 베이스에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제35도는 종래의 실린더 베이스에 회전 실린더를 적재하는 상태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회전 실린더
3 : 캐처 4 : 지지 아암
5 : 선도 가이드 블럭 6 : 부착 다이
7 : 로딩 링크 9 : 베이스
10 : 피봇축 11 : 위치 결정 돌기
12 : 가이드 홈 13 : 창구멍
14 : 개구 15 : 수납 구멍
30 : 베이스 31 : 유지편
35 : 실린더 베이스 36 : 레일 아암
37 : 지그 39 : 핀
40 : 보강 로드 50 : 경사 핀
51 : 가이드 롤러 70 : 끼워 맞춤 통
71 : 회전 레버 72 : 링크 판
73 : 로딩 기어 74 : 피봇 지지부
90 : 제1축 91 : 제2축
92 : 보스 93 : 지지편
94 : 돌편 96 : 절결
97 : 절결부 98 : 빠짐 방지편

Claims (7)

  1. 샤시(1) 상에 개설된 가이드 홈(12)에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끼워지고,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럭(5, 5)과, 샤시(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을 가이드 홈(12)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키는 로딩 링크(7, 7)와, 샤시(1) 상의 로딩 완료 위치에 설치되고, 선도 가이드 블럭(5, 5)이 압착하는 캐처(3, 3)를 구비하고, 로딩 링크(7)는 샤시(1)상의 피봇축(10)에 기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레버(71)와, 회전 레버(71)의 자유 단부에 피봇 지지부(74)가 연결되고, 자유 단부에 선도 가이드 블럭(5)에 회전 가능하게 걸린 링크판(72)으로 이루어지며, 샤시(1) 상에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삽입 가능하며, 캐처(3)에 의해 덮이고, 가이드 홈(12)에 연속한 창 구멍(13)이 개설된 테이프 로딩 기구에 있어서,
    샤시(1)의 피봇축(10)과 회전 레버(71) 상의 피봇 지지부(74)를 잇는 중심선 L1과, 상기 피봇 지지부(74)와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링크판(72)의 연결부를 잇는 중심선 L2가 로딩 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링크판(72)의 선단부는 가이드 홈(12) 상에 위치하고, 창 구멍(13)은 상기 링크판(72)의 선단부 보다 피봇축(10)으로부터 더욱 떨어진 위치에 개설되고,
    캐처(3)와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맞닿음부인 유지편(31)은, 창 구멍(13) 보다도 로딩 대기 위치 부근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2.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할 때 선도 가이드 블럭(5)이 미끄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12)과,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로딩 완료 위치 보다도 더욱 로딩 방향 부근으로 가이드 홈(12)에 이어지는 창구멍(13)이 개설되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을 구동하는 로딩 링크(7)의 회전 중심이 되는 피봇축(10)이 세워 설치된 샤시(1)를 설치하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을 창 구멍(13)에 삽입하고, 상기 선도 가이드 블럭(5)을 가이드 홈(12)에 따라서 약간 인입하고,
    로딩 링크(7)의 링크판(72)과 회전 레버(71)의 연결이 역 방향 접힘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링크 판(72)을 선도 가이드 블럭(5)에 회전 레버(71)를 피봇축(10)에 각각 끼우고,
    피봇 지지부(74)와 피봇축(10)을 잇는 중심선 L1과, 상기 피봇 지지부(74)와 선도 가이드 블럭(5)과 링크 판(72)의 연결부를 잇는 중심선 L2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또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창 구멍(13)의 앞에 배치되는 위치 까지 회전 레버(71)를 피봇축(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 레버(71)을 또 회전시키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을 로딩 대기 위치로 복귀하고,
    창 구멍(13)을 덮어서 캐처(3)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기구의 조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은 샤시(1) 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베이스(9)를 구비하고, 캐처(3)에는 베이스(9)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한 제2축(91)이 맞닿는 지지 아암(4, 4)이 설치되고,
    샤시(1) 상에서 베이스(9)의 이행로 상에 위치 결정 돌기(11)를 돌출 설치하고, 베이스(9)의 측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11)에 대향하는 맞닿음면(95)을 형성하고, 맞닿음면(95)과 위치 결정 돌기(11)의 맞닿음에 의해 선도 가이드 블럭(5)과 캐처(3)의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한 샤시(1)에 평행인 면 내에 있어서의 회전 요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제2축(91)은 맞닿을 지지 아암(4)과는 반대측의 지지 아암(4)에 대향한 부위에, 주변부로부터 오목한 절결부(97)를 형성하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의 로딩 완료시에 절결부(97)와 절결부(97)에 대향한 지지 아암(4)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로딩 링크(7)는 베이스(9)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보스(92)에 끼워지고 베이스(9)는 보스(92)의 근방으로부터 가이드 홈(12)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대응하여 돌편(94)을 하방으로 돌출 설치하고, 상기 돌편(94)에 의해 로딩 링크(7)의 상방향 요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9)의 하면으로부터는 보스(92)가 돌출하고, 상기 보스(92)가 로딩 링크(7)에 끼워 맞춤하고, 상기 보스(92)의 주위면에 선도 가이드블럭(5)이 캐처(3)에 압착시에 가이드 홈(12)과의 맞닿음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9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캐처(3)는 선도 가이드 블럭(5)이 압착하는 유지편(31)과, 한 쌍의 지지 아암(4, 4)을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비하고, 각 지지 아암(4)은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진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제2축(91)에 맞닿아서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진행 방향으로 수직인 면내에서의 회전을 규제하고, 양 지지 아암(4, 4) 사이에 유지편(31) 보다도 선도 가이드 블럭(5)의 진입 방향을 향해 연장된 위치에, 지지 아암(4, 4)의 양단을 연결하는 보강 로드(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KR1019960006954A 1995-04-06 1996-03-15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KR100368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0925 1995-04-06
JP7080925A JPH08279217A (ja) 1995-04-06 1995-04-06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シャーシ
JP95-83566 1995-04-10
JP7083566A JPH08287555A (ja) 1995-04-10 1995-04-10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のキャッチャ
JP95-85023 1995-04-11
JP7085023A JP3037102B2 (ja) 1995-04-11 1995-04-11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7086586A JP3037103B2 (ja) 1995-04-12 1995-04-12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該機構の組立て方法
JP95-86586 1995-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838A KR960038838A (ko) 1996-11-21
KR100368091B1 true KR100368091B1 (ko) 2003-04-03

Family

ID=4938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954A KR100368091B1 (ko) 1995-04-06 1996-03-15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0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263A (ja) * 1983-05-25 1984-12-07 Sony Corp 磁気テ−プ装置におけるテ−プロ−デイング機構
KR880005121U (ko) * 1986-08-01 1988-05-11 주식회사금성사 브이씨알의 테이프 로딩장치
KR890005574Y1 (ko) * 1987-01-17 1989-08-22 나창환 분해 조립용 증기 떡시루
JPH05135450A (ja) * 1991-11-12 1993-06-01 Sony Corp リニヤスケート式テーププレ−ヤ
JPH06338110A (ja) * 1993-05-27 1994-12-06 Sanyo Electric Co Ltd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263A (ja) * 1983-05-25 1984-12-07 Sony Corp 磁気テ−プ装置におけるテ−プロ−デイング機構
KR880005121U (ko) * 1986-08-01 1988-05-11 주식회사금성사 브이씨알의 테이프 로딩장치
KR890005574Y1 (ko) * 1987-01-17 1989-08-22 나창환 분해 조립용 증기 떡시루
JPH05135450A (ja) * 1991-11-12 1993-06-01 Sony Corp リニヤスケート式テーププレ−ヤ
JPH06338110A (ja) * 1993-05-27 1994-12-06 Sanyo Electric Co Ltd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838A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9491A2 (en) Disc clamper and disc drive provided with the disc clamper
US5859747A (en) Cover structur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100368091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US5768238A (en) Disc-loading apparatus having structure which facilitates sub-chassis/main chassis assembly
KR100283017B1 (ko) 카세트 로딩 기구
EP0737971B1 (en) Loading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mechanism
JP340444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98201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H117673A (ja) 磁気テープ装置
JP3037104B2 (ja) 先導ガイドブロック位置決め機構
JP3037102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US20010033455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tape guide device
JPS6030862Y2 (ja) 磁気記録再生機のカセット収納装置
KR0158930B1 (ko) 테이프로딩기구
JP340890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26263B2 (ja) 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装置
US6922306B2 (en) Tape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stable operation with reduced wear
JPH11273192A (ja) 先導ガイドブロック位置決め機構
JPH098208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273198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287555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のキャッチャ
JPH098204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358925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2583043Y2 (ja) テープカセット
JP335245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