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900B1 - 화소수 변환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소수 변환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900B1
KR100367900B1 KR10-2000-0036351A KR20000036351A KR100367900B1 KR 100367900 B1 KR100367900 B1 KR 100367900B1 KR 20000036351 A KR20000036351 A KR 20000036351A KR 100367900 B1 KR100367900 B1 KR 10036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ixel
different
pixels
co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037A (ko
Inventor
후지요시다쯔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07Interpolation-based scaling, e.g. bilinear interpolation

Abstract

표시의 정보량의 밀도의 저하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종횡 2 배로 화소수를 확대하는 화소수 변환회로를 제공한다.
1 개의 변환대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와 이것을 상하좌우 경사방향으로부터 에워싸는 8 화소에 대응하는 8 개의 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3 행 3 열 9 개의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3 행 3 열 9 개의 2 값 화상데이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 배열패턴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배열패턴 6a ∼ 6h 를 비교하여 이들의 일치, 불일치를 판단하며,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특정한 배열패턴 6a ∼ 6h 가 일치한 경우에는 변환대상 화소를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한 4 화소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데이터의 일부에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는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한다.

Description

화소수 변환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PIXEL NUMBER CONVERTING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소수 확대기능을 구비한 화소수 변환회로 및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컴퓨터 등의 표시장치의 대화면화, 고정세화(高精細化)에 따라 해상도 변환기능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가 일반적으로 되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있어서, 종래 VGA (640 ×480 도트) 의 입력신호를 SXGA (1280 ×1024 도트) 의 표시영역에 확대 표시할 경우는 종횡을 2 배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의 변환방법은 원래의 1 화소의 데이터를 종횡 2 배의 4 화소의 데이터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다.
종래의 종횡을 2 배 확대한 변환방법을 도 10 에 나타낸다. 원래의 4 화소의 데이터를 A, B, C, D 로 하여 종횡 2 배의 16 화소로 변환할 경우, A, B, C, D 의 원래의 1 화소의 각 데이터를 종횡 2 배의 4 화소 데이터에 그대로 적용하여 표시한다. 실질적으로는 4 화소를 1 화소로 다시 고쳐 표시를 하고 있었다.
퍼스널컴퓨터 등의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대화면화와 고정세화를 양립하면서 발전해 왔다. 다시 말하면, 표시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정보량은 변화하지 않고 표시하는 정보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변환방법으로 종횡 2 배의 확대 표시를 하면 표시영역 단위면적당의 정보량이 종횡 각각 1/2 이 되기 때문에 표시영역에 대한 정보량의 밀도가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표시하는 경우에 윤곽부가 들쭉날쭉하는 현상 등이 두드러지게 되고 현저하게 화질이 열화되어 있었다.
도 11 에 확대 전의 화상예를, 도 12 에 종래의 종횡 2 배의 확대 변환을 한 후의 화상예를 나타낸다. 도 11 에서는 문자 윤곽이 들쭉날쭉한 현상이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도 12 에 있어서는 문자 곡선부분에서 윤곽이 들쭉날쭉한 현상이 두드러지며 표시의 정보량의 밀도 저하에 의해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의 정보량의 밀도 저하에 의한 화질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종횡 2 배로 화소수의 확대를 행하는 화소수 변환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화소수 변환회로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확대 변환처리의 개념설명도.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화소수 변환회로의 블록도.
도 4 는 입력 화상데이터의 중심에 있는 변환대상 화소가 0 (흑) 인 경우의 주변 8 화소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입력 화상데이터의 중심에 있는 변환대상 화소가 1 (백) 인 경우의 주변 8 화소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변환대상 화소가 0 (흑) 인 경우의 화소수 변환규칙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변환대상 화소가 1 (백) 인 경우의 화소수 변환규칙을 나타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예에서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종횡 2 배의 확대 변환을 한 후의 화상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 은 종래의 종횡 2 배 확대 변환방법의 설명도.
도 11 은 확대 전의 화상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는 종래의 종횡 2 배의 확대 변환을 한 후의 화상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입력 영상신호 2: 라인메모리군
3: 화소수 변환회로 4: 1 라인마다의 신호
5: 표시부 6: 3 라인분의 영상신호
7: 2 값화 콤퍼레이터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8: 대조확인회로 A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9: 패턴유지회로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10: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A 11: 일치 검출신호
12: 90°매핑회로 A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13: 대조확인회로 B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14: 일치 검출신호 15: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B
16: 90°매핑회로 B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17: 대조확인회로 C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18: 일치 검출신호 19: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C
20: 90°매핑회로 C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21: 대조확인회로 D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22: 일치 검출신호 23: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D
24: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D 의 출력
25: 평균값 산출회로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
26: 라인메모리군 27: MUX (멀티플렉서)
28: 변환 후의 4 화소의 데이터 29: 동기신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표시장치는 입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2 값화하여 1 개의 변환대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와 그 변환대상 화소를 상하좌우 경사방향으로부터 에워싸는 8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8 개의 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3 행 3 열 9 개의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3 행 3 열 9 개의 2 값 화상데이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 배열패턴 중의 특정한 배열패턴을 비교하여 이들의 일치, 불일치를 판단하는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과, 상기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를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한 4 화소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데이터의 일부에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는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고, 상기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불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4 개의 화상데이터의 모두에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는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환대상 화소 자체의 화상데이터와 그 주위 8 화소의 화상데이터의 정보를 확대 후의 4 화소의 화상데이터에 반영시키는 것으로, 전 9 화소의 화상데이터의 패턴과 특정 패턴과의 비교로부터 그 화상이 예를 들면 경사방향의 윤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의 일부에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경사방향의 윤곽부분이 들쭉날쭉한 형상을 섬세하게 할 수 있으며 확대에 의한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그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상하화소 중 어느 한쪽 또는 좌우화소 중 어느 한쪽의 화상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의 배열패턴으로, 그 경우에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일치한 경우에는 변환대상 화소가 예를 들면 경사방향의 윤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되며, 그 일치한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에 의해 상기 변환대상 화소를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한 4 화소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데이터 중 어느 화소의 화상데이터에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면 좋은가를 특정하여 경사방향의 윤곽부분이 들쭉날쭉한 형상을 섬세하게 할 수 있으며 확대에 의한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8 개의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3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1 개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4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2 개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5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3 개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변환대상 화소가 복잡한 경사방향의 윤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변환대상 화소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한 4 화소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데이터의 일부에 쉽게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는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지 않아 확대에 의한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상기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8 개의화소의 화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3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2 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위치가 상기 입력부에서 짝수행 짝수열 또는 홀수행 홀수열인 경우만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변환대상 화소가 연속된 경사방향의 윤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변환대상 화소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한 4 화소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데이터의 일부에 쉽게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는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지 않아 확대에 의한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장치는 상기 화소수 변환회로를 화상 표시장치에 적용한 것으로, 이 화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화질열화를 수반하지 않고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장치의 구성의 일례로서 화소수 변환회로에서의 종횡 2 배 확대 처리 주변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확대 변환처리의 개념설명도이다. 도 2 의 입력 화상데이터 D 의 중심에 있는 변환대상 화소 A 는 그 주위의 8 화소를 참조함으로써 A1 ∼ A4 의 4 개의 화소로 변환된다.
도 1 에 있어서, 입력 영상신호 (1) 는 주위 8 화소분의 데이터를 참조할 수있도록 라인메모리군 (2) 에 의한 1 라인 지연처리에 의해 3 라인분의 영상신호로서 화소수 변환회로 (3) 에 입력된다. 화소수 변환회로 (3) 는 변환대상이 되는 화소의 데이터와 그 주위 8 화소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1 화소를 4 화소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며, 또한 1 라인마다의 신호 (4) 로 변환시킨 후 표시부 (5) 에서 확대 표시를 한다.
변환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변환대상 화소와 그 주위 8 화소의 데이터는 2 값화 처리를 한 후에 그들 위치의 대조확인을 한다. 2 값화 처리를 하기 위한 문턱값은 참조하고 있는 화소데이터의 다이나믹렌지 중심이나 평균치를 사용하거나 영상신호의 성질에 맞춰 적절히 가변시켜도 된다. 앞으로, 2 값화 처리 후의 화소데이터를 「0」,「1」로 표현한다. 이들 2 값 패턴은 「0」을 흑으로 「1」을 백으로 표현하면 변환대상 화소가 0 (흑) 인 경우 주위 8 화소의 데이터의 패턴에는 도 4 의 패턴을 생각할 수 있다. 동일하게, 변환대상 화소가 1 (백) 인 경우 도 5 의 패턴을 생각할 수 있다. 그 외에, 각 패턴을 90°, 180°, 270°회전한 패턴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들 2 값 패턴 중 대부분의 패턴에 관해서는 변환 전의 변환대상 화소의 데이터를 그대로 변환 후의 4 화소 모두에 적용시키면 되지만 점선으로 둘러싸인 패턴 및 이들 패턴의 90°, 180°, 270°회전 패턴만은 도 6, 도 7 에 나타낸 이하에 설명하는 규칙에 따라 변환시키면 확대시의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본 발명자는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도 6, 도 7 은 도 4, 도 5 중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변환대상 화소와 그 주위의 화소 8 화소를 포함하는 9 화소의 각 패턴에 있어서, 변환대상 화소를 화살표로 나타낸 각각의 4 화소로 변환시키는 것을 나타내며, 도 6 은 변환대상 화소가 0 (흑) 인 경우, 도 7 은 변환대상 화소가 1 (백)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 의 6a 의 패턴에 대해서는 변환대상 화소가 0 (흑) 으로, 변환 후의 4 화소는 좌하의 1 화소만 1 (백) 로 나머지는 0 (흑) 이 된다. 이때의 변환은 변환 후의 4 화소 중 0 (흑) 이 된 화소에는 2 값화 전의 변환대상 화소의 데이터가 그대로 적용되며, 1 (백) 이 된 화소에는 2 값화 전의 주위 8 화소 중 원표시의 화소데이터의 평균값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9 화소를 참조하면서 6b ∼ 6h 의 패턴도 동일하게 하여 변환처리를 하지만, 6a 및 6e 에 나타낸 점이 찍힌 화소에 대한 대조확인시에 이 화소데이터는 0 (흑) 이라도 1 (백) 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 의 패턴 6a 는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 (0 (흑)) 와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상하의 화소 중 어느 한쪽 또한 좌우의 화소 중 어느 한쪽의 화상데이터가 상이한 (1 (백)) 경우이며,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그 화상데이터가 상이한 화소 (좌횡과 중앙하의 1 (백)) 에 함께 접하는 위치 (좌하) 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한 것 (1 (백)) 이다. 또한, 도 6 의 패턴 6a 는 점이 찍힌 화소가 1 (백) 인 경우, 해결수단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 (0 (흑)) 와 상이한 화상데이터 (1 (백)) 를 갖는 화소가 인접하는 조합이 3 개 (좌횡과 좌하, 좌하와 중앙하, 중앙하와 우하의 1 (백) 인 화소) 인 경우이며,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하 중 어느 한쪽과 좌우 중 어느 한쪽의 화상데이터가 상이한 화소 (좌횡과 중앙하의 1 (백)) 에 함께 접하는 위치 (좌하) 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한 것 (1 (백)) 이다. 그리고, 상기의 「화소가 인접하는 조합」 이란 화소가 상하방향, 좌우방향으로만 인접해 있는 경우를 말하며 경사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도 7 은, 도 6 의 0 (흑), 1 (백) 의 값이 반전한 경우이지만 처리는 동일하게 한다. 이 경우도, 변환 후의 4 화소 중 1 (백) 이 된 화소는 2 값화 전의 변환대상 화소의 데이터를 그대로 적용하며, 0 (흑) 이 된 화소는 2 값화 전의 주위 8 화소 중 원표시의 화소데이터의 평균값을 적용한다. 또한, 도 6, 도 7 의 각 패턴을 90°, 180°, 270°회전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한다.
단, 도 6 의 6h 및 도 7 의 7h (점선으로 에워싼 부분) 에 대해서는 변화 처리시에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도형 등을 표시할 경우 등으로 0 (흑), 1 (백) 의 경계가 화소와 나란히 45°방향으로 연속하여 계속될 경우, 6h 와 7h 의 변환처리를 교대로 하게 되어 결과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이 된다. 만약 예를 들어 변환대상 화소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와는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도 6 의 6h 및 도 7 의 7h 의 변환을 하였다고 하면, 도 6 의 6h 와 같이 변환대상 화소가 0 (흑) 일 때에 변환 후의 4 화소의 우상의 화소가 1 (백) 이 되며, 도 7 의 7h 의 패턴을 180°회전시킨 경우와 같이 변환대상 화소가 1 (백) 일 때에 변환 후의 4 화소의 우하의 화소가 0 (흑) 이 된다. 이 경우, 변환 후의 결과는, 도 8 에 있어서 부호 a11, a22, a33 으로 나타내는 4 화소의 우상의 화소에 1 (백) 을 부여하며, 부호 a12, a23 으로 나타내는 4 화소의 좌하의 화소에 0 (흑) 을 부여한 후의 상태가 된다. 이것을 변환 전의 도 6 의 6h 의 상태와 비교해 보면 변환 전에 들쭉날쭉하게 패인 부분이 변환 후의 튀어나오는 부분이 되며, 변환 전의 튀어나온 부분이 변환 후에 패인 부분으로 될 뿐으로, 들쭉날쭉하게 튀어나오고 패인 부분 자체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화질열화는 방지할 수 없다.
그래서, 그런 것을 회피하기 위해 변환대상 화소가 짝수행 짝수열 및 홀수행 홀수열 때만 도 6 의 6h 및 도 7 의 7h 의 변환처리를 하기로 한다. 도 8 의 예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짝수행 짝수열 및 홀수행 홀수열에 해당하는 부호 a11, a22, a33 으로 나타내는 4 화소에 대해서는 우상의 화소에 1 (백) 을 부여하는 변환을 하지만, 짝수행 짝수열 및 홀수행 홀수열에 해당하지 않는 부호 a12, a23 으로 나타내는 4 화소에 대해서는 좌하의 화소에 0 (흑) 을 부여하는 변환을 하지 않고 4 화소 모두를 1 (백) 로 한다. 그러면, 도 8 의 패턴에 있어서 흑이 부여되고 있는 화소가 백이되며, 도 6 의 6h 및 도 7 의 7h 의 변환을 일률적으로 한 경우에 비해 들쭉날쭉한 형상이 섬세해져 화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 의 화상에 대해 본 발명의 종횡 2 배의 확대 변환을 한 후의 화상예를 도 9 에 나타낸다. 도 12 와 비교하면 정보량의 밀도의 저하에 의한 화질열화를 수반하지 않고 확대 표시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변환처리를 하는 회로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소수 변환회로 (3) 의 블록도이다. 여기서의 처리는 기본적으로는 디지털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블록도에 있어서는 클록신호 등은 번잡함을 고려하여 생략하고 있다. 3 라인분의 영상신호 (6) 는 2 값화 콤퍼레이터 (7)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와 평균값 산출회로 (25)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 에 입력된다. 2 값화 콤퍼레이터 (7) 에서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차례로 2 값화한다. 그 후, 2 값화 콤퍼레이터 (7) 에서는 변환대상이 되는 1 화소와 그 주위 8 화소의 2 값화 데이터 (0, 1) 를 유지하면서 대조확인회로 A (8)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에 그들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패턴유지회로 (9)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는 도 6 의 각 패턴에 대응하는 3 ×3 = 9 화소의 2 값 패턴을 0, 1 의 값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ROM 및 RAM 등의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각 패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대조확인회로 A (8) 에 출력한다. 대조확인회로 A (8) 에 있어서는 2 값화 콤퍼레이터 (7) 로부터의 각 화소데이터의 출력과 패턴유지회로 (9) 의 출력을 각각의 위치에 대응시켜 일치 검출을 한다. 이때, 도 6 의 각 패턴의 각각에 대해 9 화소 모두가 일치한 경우와 9 화소 모두가 불일치한 경우만 일치 검출신호 (11) 를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A (10) 에 송출한다. 9 화소 모두가 불일치한 경우도 검출함으로써 도 6 과 흑백이 반전한 도 7 의 각 패턴에 대해서도 일치 검출을 하는 것과 등가(等價)가 된다. 일치 검출신호 (11) 는 도 6 의 8 패턴 중 어느 패턴과 일치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일치한 패턴의 회전의 정보, 즉 0°, 90°, 180°, 270°중 어느 회전패턴이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2 값화 콤퍼레이터 (7) 가 대조확인회로 A (8) 에 출력하는 패턴은 3 라인분의 영상신호 (6) 의 위치정보 그 자체에 대응한 패턴이며 회전의 정보로서는 0°에 대응한다. 또,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A (10) 의 초기상태는 일치 검출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세트되어 있으며, 대조확인회로 A (8) 로부터 보내지는 일치 검출신호 (11) 에 의해 일치 검출정보가 있었던 경우에만 그 정보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2 값화 콤퍼레이터 (7) 로부터 변환대상이 되는 1 화소와 그 주위 8 화소의 2 값화 데이터가 90°매핑회로 A (12)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에 송출되며, 90°매핑회로 A (12) 에서는 변환대상 이외의 주변의 화소의 2 값화 데이터가 변환대상 화소를 중심으로 90°회전한 패턴으로 9 화소의 2 값화 데이터를 유지하여 대조확인회로 B (13)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에 출력된다. 패턴유지회로 (9) 는 대조확인회로 B (13) 에도 대조확인회로 A (8) 에 출력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9 화소의 2 값 패턴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으며, 이 경우도 대조확인회로 B (13) 는 대조확인회로 A (8) 와 동일한 일치 검출을 한다. 대조확인회로 B (13) 에 의해 일치가 검출된 경우는, 일치 검출신호 (14) 에는 일치한 패턴을 식별하는 정보와 패턴의 회전의 정보로서 90°이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B (15) 에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90°매핑회로 A (12), 90°매핑회로 B (16)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90°매핑회로 C (20)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 에 의해 도 6 에서 나타낸 각 패턴 90°, 180°, 270°의 패턴에 있어서 일치 검출을 한다. 또,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A (10),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B (15),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C (19),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D (23) 는 각각을 구성하는 유지요소가 시프트레지스터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도 6 의 각 패턴의 0°, 90°, 180°, 270°의 회전마다의 일치 검출정보가 차례로 유지되도록 하며, 도 6 에서 나타낸 각 패턴의 0°, 90°, 180°, 270°에 있어서 일치 검출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D (23) 의 출력 (24) 은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A (10) 의 초기상태가 출력되게 된다.
이들의 일치 검출처리는 각 패턴의 회전마다 소위 파이프라인 처리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모든 일치 검출처리를 일괄로 할 수 있다면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균값 산출회로 (25) 는 3 라인분의 영상신호 (6) 와 일치 플래그레지스터 (D23) 의 출력 (25) 에 기초하여 도 6, 도 7 에 나타낸 변환처리를 한다. 그 처리는 변환 후의 4 화소에 대해 변환대상 화소의 데이터를 그대로 적용하는 화소와, 도 6, 도 7 의 각 패턴에 원표시로 나타낸 화소의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여 그 값을 적용하는 화소를 결정하며, 변환 후의 4 화소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으로 논리적인 연산회로로 구성된다. 도 6, 도 7 의 6h, 7h 의 처리를 할 때는 동기신호 (29) 와 클록을 계산함으로써 짝수행, 짝수열 등의 판별을 하여 처리를 하게 된다.
평균값 산출회로 (25) 는 변환 후의 4 화소의 데이터 (28) 를 출력하지만, 화소데이터로서는 2 라인에 걸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영상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하며, 라인메모리군 (26) 및 MUX (멀티플렉서) (27) 를 사용하여 1 라인의 연속되는 화소데이터로 변환시켜 1 라인마다의 신호 (4) 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2 값화되어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의 1 화소의 데이터와 그것을 에워싸는 주위 8 화소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그들 9 화소의 데이터로부터 1 화소에 대응하는 4 화소의 데이터를 발생시킴으로써 정보량의 밀도의 저하에 의한 화질열화를 수반하지 않고 확대 표시를 할 수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수평 화소수 및 수직 화소수를 각각 2 배로 하여 출력하는 화소수 변환회로로서,
    입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2 값화하여 1 개의 변환대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와 그 변환대상 화소를 상하좌우 경사방향으로부터 에워싸는 8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8 개의 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3 행 3 열 9 개의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3 행 3 열 9 개의 2 값 화상데이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 배열패턴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배열패턴을 비교하여 이들의 일치, 불일치를 판단하는 데이터 배열패턴 비교수단과,
    상기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를 상하방향, 좌우방향 모두 2 배로 확대한 4 화소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데이터의 일부에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는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고, 상기 입력 화상데이터의 배열패턴과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불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4 개의 화상데이터의 모두에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부여하는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은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그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상하화소 중 어느 한쪽 또한 좌우화소 중 어느 한쪽의 화상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의 배열패턴이고, 또한 변환대상 화소가 경사방향의 윤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수 변환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8 개의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3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1 개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4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2 개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5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3 개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수 변환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상기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8 개의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3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2 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위치가 상기 입력부에서 짝수행 짝수열 또는 홀수행 홀수열인 경우만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수 변환회로.
  5. 제 1 항에 기재된 화소수 변환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수 변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8 개의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3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1 개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4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2 개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5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3 개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수 변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배열패턴이 상기 변환대상 화소를 에워싸는 8 개의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에서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한 화상데이터의 수가 3 개인 경우로 그 상이한 화상데이터가 인접하는 조합이 2 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위치가 상기 입력부에서 짝수행 짝수열 또는 홀수행 홀수열인 경우만 상기 확대 화상데이터 발생수단이 생성하는 4 화소의 화상데이터 중 상기 상이한 화상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함께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을 상기 변환대상 화소의 화상데이터와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2000-0036351A 1999-07-07 2000-06-29 화소수 변환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KR100367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72199A JP3676948B2 (ja) 1999-07-07 1999-07-07 画素数変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99-193721 1999-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37A KR20010021037A (ko) 2001-03-15
KR100367900B1 true KR100367900B1 (ko) 2003-01-14

Family

ID=1631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351A KR100367900B1 (ko) 1999-07-07 2000-06-29 화소수 변환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4825B1 (ko)
EP (1) EP1067477A3 (ko)
JP (1) JP3676948B2 (ko)
KR (1) KR100367900B1 (ko)
TW (1) TW521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4993B2 (ja) * 2000-03-16 2004-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装置、および画像復号方法
JP4617730B2 (ja) * 2004-06-15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242412B2 (en) * 2005-02-09 2007-07-10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a source pixel in a digital image
US8866707B2 (en) * 2005-03-31 2014-10-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display device having a polygonal pixel electrode
US7545385B2 (en) * 2005-12-22 2009-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creased color depth, dynamic range and temporal response on electronic displays
US20070153024A1 (en) * 2005-12-29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ode pixelated displays
KR20070099170A (ko) * 2006-04-03 2007-10-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장치 및 변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4650500B2 (ja) * 2008-02-25 2011-03-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418855B2 (ja) 2008-02-26 2014-02-19 日本電気株式会社 点滅信号検出回路、点滅信号検出方法、物体検知装置、物体検知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JP4506854B2 (ja) * 2008-03-04 2010-07-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466985B1 (ko) * 2008-04-03 2014-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831A (ko) * 1988-04-07 1989-11-30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화상확대방법 및 장치
JPH07221976A (ja) * 1994-02-01 1995-08-18 Ricoh Co Ltd 2値画像データのスムージング拡大処理方法
US5502495A (en) * 1991-01-25 1996-03-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capable of providing higher resolution in low-density regions
JPH08227456A (ja) * 1994-09-22 1996-09-03 Casio Comput Co Ltd ドットパターンスムージング装置及び方法
JPH11331568A (ja) * 1998-05-14 1999-11-30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変倍処理装置及び画像変倍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122A (en) * 1981-09-12 1984-03-13 Xerox Corporation Low resolution raster images
US5170442A (en) * 1987-09-08 1992-12-08 Seiko Epson Corporation Character pattern transforming system
JPH07281637A (ja) 1994-04-11 1995-10-27 Hitachi Ltd 液晶ディスプレイ・マルチ解像度表示方法
JPH0879516A (ja) * 1994-09-01 1996-03-22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757982A (en) * 1994-10-18 1998-05-26 Hewlett-Packard Company Quadrantal scaling of dot matrix data
MY117289A (en) 1996-01-17 2004-06-30 Sharp Kk Image data interpolating apparatus
US6151025A (en) * 1997-05-07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xity reduction on two-dimensional convolutions for image processing
US6002813A (en) * 1997-07-10 1999-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polation method for binary image
US6430321B1 (en) * 1998-09-28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Text enhanc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831A (ko) * 1988-04-07 1989-11-30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화상확대방법 및 장치
US5502495A (en) * 1991-01-25 1996-03-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capable of providing higher resolution in low-density regions
JPH07221976A (ja) * 1994-02-01 1995-08-18 Ricoh Co Ltd 2値画像データのスムージング拡大処理方法
JPH08227456A (ja) * 1994-09-22 1996-09-03 Casio Comput Co Ltd ドットパターンスムージング装置及び方法
JPH11331568A (ja) * 1998-05-14 1999-11-30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変倍処理装置及び画像変倍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7477A3 (en) 2004-04-14
EP1067477A2 (en) 2001-01-10
US6624825B1 (en) 2003-09-23
JP2001022342A (ja) 2001-01-26
JP3676948B2 (ja) 2005-07-27
KR20010021037A (ko) 2001-03-15
TW521260B (en) 200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0084A (en) Method and means for preserving original continuity/discontinuity among same colored pel clusters upon array compression
KR101801217B1 (ko) 이차원 코드
KR101679720B1 (ko) 이차원 코드, 이차원 코드 생성 시스템 및 분석 프로그램
KR100367900B1 (ko) 화소수 변환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
US6366292B1 (en) Sca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at panel display
US4962542A (en) Method for reducing artifacts in error diffused images
JP5791826B2 (ja) 二次元コード
JP2007201530A (ja) 画素欠陥補正装置
US5680485A (en)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erosion-based filter pairs for image mapping
JP3716527B2 (ja) 2次元コードの読取方法
EP046865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5206176B2 (ja) 画像変換装置
JPH06189135A (ja) デジタル化画像の欠陥の検出および補正のための装置
JP2935803B2 (ja) 欠陥検査装置
JP3483751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JP2014235676A (ja) 二次元カラーコード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二次元カラ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及びその読み取り方法
US8116572B2 (en) Method for detecting image edge and image interpolation using the same
US1112884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ssociated image processing circuit
JP3392800B2 (ja) 補間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100575444B1 (ko) 이미지 센서의 결함픽셀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5300666B2 (ja) ラベリング処理方法、並びにその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2105272A (ja) 画像処理装置
JPH07242027A (ja) 印刷装置
JPH10187868A (ja) 2次元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H06253140A (ja) 画像判別装置、孤立点除去装置および画像縮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