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807B1 -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807B1
KR100366807B1 KR10-2000-0062358A KR20000062358A KR100366807B1 KR 100366807 B1 KR100366807 B1 KR 100366807B1 KR 20000062358 A KR20000062358 A KR 20000062358A KR 100366807 B1 KR100366807 B1 KR 10036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ackifier
adhesive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264A (ko
Inventor
백승진
Original Assignee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8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라벨(Label)이나 포장에 사용되는 점착테이프용 점착제의 제조방법과 상기 점착제 제조에 이용되는 점착부여제에 관한 것으로, 수계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점착부여제의 분산력을 향상시켜 층분리 현상 방지 및 저장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조된 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의 경우 점착력 및 접착력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물성의 우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계고무계수지와 점착부여제와의 분산성을 높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계고무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4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물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계점착부여제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부여제를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A composite for endow with a ta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uing agent using the composite}
본 발명은 각종 라벨(Label)이나 포장에 사용되는 점착테이프용 점착제의 제조방법과 상기 점착제 제조에 이용되는 점착부여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계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점착부여제의 분산력을 향상시켜 층분리 현상 방지 및 저장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조된 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의 경우 점착력 및 접착력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물성의 우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계고무계수지와 점착부여제와의 분산성을 높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점착테이프용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각종 종이나 합성수지재의 일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조함으로서 각종 라벨이나 포장등의 용도로 사용하여 왔다.
상기 점착제는 유성계와 수성계로 구분되며, 특히 상기 유성계 점착제는 아크릴 또는 고무를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와 같은 유성계 점착제의 경우 용제의 휘발로 인하여 작업환경이 열악해지고, 특히 화재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유성계 점착제 대신 수성계 점착제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수성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아크릴에멀젼 타입과 수계고무계 수지에 점착부여제로서 합성수지 에멀젼을 첨가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여러 가지 첨가제를 첨가 혼합하는 타입으로 제조하여 왔다.
상기 수계 점착제의 제조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천연고무나 부틸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등의 합성고무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수계고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크릴 수지를 에멀젼화 시킨 점착부여제를 5중량부 내지 150중량부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서 유화제나 가소제, 증점제, 노화방지제와 같은 여러 가지 첨가제를 0 내지 150중량부 첨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점착제는 수성계이므로 상기 점착제의 제조과정 및 제조된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테이프를 만드는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특히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점착부여제로 아크릴에멀젼만을 사용할 경우 제조된 점착제의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경시변화에 의해 점착력의 불안정성 및 층분리가 발생되는 저장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점착부여제로 사용되는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4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물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및 유화제를 첨가혼합하고 분산시켜서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계점착제의 경우에도 수계고무계수지와 점착부여제인 에멀젼과의 분산성 저하로 인하여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저장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특히 점착성 및 접착력의 저하로 인하여 비닐계수지 필름에 도포된 점착제가 기재로 부터 피점착층으로 전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계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점착부여제의 분산력을 향상시켜 층분리 현상 방지 및 저장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수계점착부여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수계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의 경우 점착력 및 접착력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물성의 우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계고무계수지와 점착부여제와의 분산성을 높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계고무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4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물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계점착부여제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부여제를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수계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계점착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계고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크릴에멀젼과 합성수지 에멀젼 또는 천연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형성된 점착부여제를 5중량부 내지 150중량부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유화제나 가소제, 증점제, 노화방지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를 0 내지 150중량부 첨가하는 점착테이프용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로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수계고무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4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물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및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는 수계점착부여제를 제공한다.
상기 수계점착부여제에서 사용되는 되는 수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수지나 지방족, 방향족 등의 합성수지 또는 로진에스테르계 (rosine ester), 폴리테르펜계 (polyterpene), 테르펜페놀계와 같은 천연수지 사용할 수 있다.
또 용제는 톨루엔을 비롯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지에 용제와 함께 유화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물을 넣어 분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점착부여제의 경우 수지와 유기용제의 분산성저하로 인하여 층분리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기에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유성성분과 친화성이 높아 점착부여제 내에서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의 상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첨가량이 0.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그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의 첨가량은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로 사용 가능한 것에는 소비탄 라우릴 설페이트(sorbitan lauryl sulfate),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및 올레익산(oleic acid)을 수산화 칼륨으로 검화시킨 것이 있으며, 특히 이중에서도 올레익산을 수산화 칼륨으로 검화시킨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수성성분과의 친화성이 높아 점착부여제 내에서 수성성분과 유성성분의 상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첨가량이 0.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상용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그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의 첨가량은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로 사용 가능한 것에는 소듐 모노 라우레이트(sodiummono 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 phenyl ether)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화안정제로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를 함께 첨가하게 되면 점착부여제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층분리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점착부여제는 다양한 수계 점착제 제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점착제의 경우 분산성 향상에 따라 저장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계고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크릴에멀젼과 합성수지 에멀젼 또는 천연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형성된 점착부여제를 5중량부 내지 150중량부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가소제, 증점제, 노화방지제 및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첨가하게 된다.
상기 수계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저 수계고무계수지에 수계점착부여제를 첨가교반하여 분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계고무계수지는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천연고무나 부틸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등의 합성고무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계고무계수지로 천연고무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로 점착제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한 천연고무로 점착제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성부여제는 일반적으로 수계고무계수지가 가지는 접착력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수지 에멀젼과 지방족, 방향족 등의 합성수지 에멀젼 또는 로진에스테르계 (rosine ester), 폴리테르펜계 (polyterpene), 테르펜페놀계와 같은 천연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점착부여제로 종래의 점착부여제를 사용할 경우 수지와 유기용제 및 물을 사용함으로서 분산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층분리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에서 제시한 수계점착부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착부여제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수계점착부여제인 고형분 함량이 60%인 아크릴에멀젼과 고형분 함량이 60%인 석유계수지 에멀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점착부여제를 혼합하여 사용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점착제인 아크릴에멀젼의 단점 즉, 응집력 부족과 경시변화로 인한 점착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혼혼합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와 같이 수계고무계수지에 점착부여제를 첨가 혼합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수계고무계 수지와 점착부여제인 에멀젼과의 분산성 저하로 인하여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산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였다.
특히,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유성성분과 친화성이 높아 점착제 내에서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의 상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첨가량이 0.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그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의 첨가량은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로 사용 가능한 것에는 소비탄 라우릴 설페이트(sorbitan lauryl sulfate),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및 올레익산(oleic acid)을 수산화 칼륨으로 검화시킨 것이 있으며, 특히 이중에서도 올레익산을 수산화 칼륨으로 검화시킨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수성성분과의 친화성이 높아 점착제 내에서 수성성분과 유성성분의 상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첨가량이 0.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상용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그 첨가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의 첨가량은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로 사용 가능한 것에는 소듐 모노 라우레이트(sodium mono 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 phenylether)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화안정제로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를 함께 첨가하게 되면 수계고무계수지와 점착부여제 간에 분산성을 증대시켜 효율적으로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계고무계수지에 점착부여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유화안정제를 첨가한 다음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가소제, 증점제, 노화방지제와 같은 여러 가지 첨가제를 첨가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점착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내지 10>
석유계 수지인 탄화수소계 수지 1000g에 용제로 톨루엔 500g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물 150g과 함께 음이온성 유화제로 올레익산(oleic acid)을 수산화 칼륨으로 검화시킨 것을 사용하고, 비이온성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하기 표1에 나타낸 비율로 첨가하여 점착부여제를 제조한 다음, 하기한 방법으로 저장안정성, 점착성, 상용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 상용성 -
상기 제조된 점착부여제를 500mm 비이커에 400mm정도 담고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하기한 방법으로 상용성을 측정한다.
◎ : 60일 미만에서는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 : 40 내지 60일 사이에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였다.
△ : 20 내지 40일 사이에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였다.
× : 20일 미만에서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였다.
- 점착력 -
ASTM D1000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PVC필름 위에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이용하여 25마이크로 두께로 점착부여제를 도포한 후 100℃의 열풍건조실에서 약 2분간 건조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고, 상기 건조된 점착부여제의 점착면을 시험판(50×125mm인 냉각압연 스테인레스 강판)면에 접착부착한다. 그런다음 상기 시험편 위에 자동압착롤러(0 내지 750mm/min)로 매초 5mm의 이동속도로 1회 압착한 후 20분 내지 40분간 방치하고, 이것을 push-pull게이지(5gkf/0.001kgf)에 끼운다음, 부착된 시험편을 180도로 뒤집어 시험기의 이동속도를 300±30mm/min의 속도로 연속하여 잡아벗겨 약 20mm가 벗겨질때마다 4회의 힘을 판독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 저장안정성 -
상기 제조된 점착부여제를 500mm 비이커에 400mm정도 담고 실온에서 60일 경과 후의 점착력을 측정하여 초기점착력 대비 ±10%미만이 되는가를 확인함과 동시에 층분리 발생여부를 하기한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실질적으로 점착력의 변화가 ±10% 미만이면 저장안정성이 뛰어나다.
◎ :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 : 층분리 경계면이 뚜렷하지 않지만 층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 : 완전한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층의 경계면이 관찰되었다.
× : 층분리가 완전하게 일어났다.
구분 음이온유화제(g) 비이온유화제(g) 상용성 점착력 저장안정성 고형분함량(%)
점착력 층분리
실시예 1 0 30 800 측정불가 × 61.3
실시예 2 10 30 780 540 61.5
실시예 3 30 30 730 700 62.0
실시예 4 50 30 450 380 62.4
실시예 5 60 30 250 110 62.6
실시예 6 30 0 × 910 550 61.3
실시예 7 30 10 795 630 61.5
실시예 8 30 50 580 325 62.4
실시예 9 30 60 410 130 62.6
실시예 10 - - × 측정불가 측정불가 × 60.6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이온유화제의 첨가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음이온 유화제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첨가한 실시예2 내지 4의 경우 실시예1 및 실시예5에 비해 상용성, 점착력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이온유화제의 첨가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비이온 유화제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한 실시예6 내지 9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첨가한 실시예7 및 8의 경우 실시예6 및 실시예9에 비해 상용성, 점착력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중 상용성, 점착성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3에 의한 점착부여제를 사용하여 하기 점착제 제조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테이프용 수계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1 내지 20>
고형분함량이 각각 60%인 천연고무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수계고무계 수지 1000g에 상기 점착부여제 제조실시예3에서 제조된 것과 아크릴에멀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고형분함량이 60%인 점착부여제 1500g을 첨가혼합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음이온성 유화제로 올레익산과 바이온성 유화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하기 표2에 나타낸 비율로 첨가하여 수계점착제를 제조한 다음, 하기한 방법으로 저장안정성, 점착성 및 접착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 점착성 -
ASTM D3121-73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유리판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25마이크로 두에로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의 열풍건조실에서 약 2분간 건조시킨 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다음 직경 11.9mm의 스테인레스 스틸 볼을 사용하여 굴러간 거리를 측정하여 점착성을 평가한다. 거리가 짧을 수록 점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 점착력 -
ASTM D1000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PVC필름 위에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이용하여 25마이크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한 후 100℃의 열풍건조실에서 약 2분간건조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고, 상기 건조된 점착제의 점착면을 시험판(50×125mm인 냉각압연 스테인레스 강판)면에 접착부착한다. 그런다음 상기 시험편 위에 자동압착롤러(0 내지 750mm/min)로 매초 5mm의 이동속도로 1회 압착한 후 20분 내지 40분간 방치하고, 이것을 push-pull게이지(5gkf/0.001kgf)에 끼운다음 시험편을 180도로 뒤집어 시험기의 이동속도를 300±30mm/min의 속도로 연속하여 잡아벗겨 약 20mm가 벗겨질때마다 4회의 힘을 판독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 저장안정성 -
상기 제조된 점착제를 500mm 비이커에 400mm정도 담고 실온에서 60일 경과 후의 점착력을 측정하여 초기점착력 대비 ±10%미만이 되는가를 확인함과 동시에 층분리 발생여부를 하기한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실질적으로 점착력의 변화가 ±10% 미만이면 저장안정성이 뛰어나다.
◎ :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 : 층분리 경계면이 뚜렷하지 않지만 층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 : 완전한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층의 경계면이 관찰되었다.
× : 층분리가 완전하게 일어났다.
구분 음이온유화제(g) 비이온유화제(g) 점착성(mm) 점착력(g/19mm) 저장안정성 고형분함량(%)
점착력 층분리
실시예 11 0 30 5 430 측정불가 × 60.5
실시예 12 10 30 20 370 410 60.6
실시예 13 30 30 20 350 360 60.9
실시예 14 50 30 50 260 230 61.2
실시예 15 60 30 180 105 30 61.4
실시예 16 30 0 10 480 측정불가 × 60.9
실시예 17 30 10 40 290 205 60.6
실시예 18 30 50 80 200 70 61.2
실시예 19 30 60 205 170 15 61.4
실시예 20 - - 3 500 측정불가 × 60.0
상기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이온유화제의 첨가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음이온 유화제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점착제를 제조한 실시예11 내지 실시예15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음이온 유화제를 첨가한 실시예12 내지 14의 경우 실시예11 및 실시예15에 비해 점착성, 점착력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이온유화제의 첨가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비이온유화제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한 실시예16 내지 19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첨가한 실시예17 및 18의 경우 실시예16 및 실시예19에 비해 점착성, 점착력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계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점착부여제의 분산력을 향상시켜 층분리 현상 방지 및 저장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수계점착부여제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수계점착부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의 경우 점착력 및 접착력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물성의 우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계고무계수지와 점착부여제와의 분산성을 높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9)

  1.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4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물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계점착부여제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부여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가 올레익산(oleic acid)을 수산화 칼륨으로 검화시킨 것이며,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부여제.
  3. 수계고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크릴 수지 에멀젼과 석유계수지 에멀젼 또는 천연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형성된 점착부여제를 5중량부 내지 150중량부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여기에 유화제나 가소제, 증점제, 노화방지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를 0 내지 150중량부 첨가하는 점착테이프용 점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로 음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이온성 유화제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로 올레익산(oleic acid)을 수산화칼륨으로 검화시킨 것을 사용하고,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고무계수지로 천연고무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로 고형분 함량이 60%인 아크릴 에멀젼과 고형분 함량이 60%인 석유계수지 에멀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로 고형분 함량이 60%인 아크릴 에멀젼과 고형분 함량이 60%인 석유계수지 에멀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에멀젼과 석유계수지 에멀젼이 청구항1 또는 2항의 조성을 갖는 점착부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에멀젼과 석유계수지 에멀젼이 청구항1 또는 2의 조성을 갖는 점착부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의 제조방법.
KR10-2000-0062358A 2000-10-23 2000-10-23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KR10036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358A KR100366807B1 (ko) 2000-10-23 2000-10-23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358A KR100366807B1 (ko) 2000-10-23 2000-10-23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264A KR20020031264A (ko) 2002-05-01
KR100366807B1 true KR100366807B1 (ko) 2003-01-09

Family

ID=1969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358A KR100366807B1 (ko) 2000-10-23 2000-10-23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54B1 (ko) * 2013-01-14 2013-08-14 (주) 에이치피엠글로벌 수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39894B1 (ko) * 2019-12-31 2020-07-30 이대훈 천연 코팅액과 접착제가 함유된 건축물용 내외장 단열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794B1 (ko) * 2010-08-05 2011-08-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수성 점착부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169A (ko) * 1992-11-09 1994-06-20 하재기 마감테이프 제조방법
JPH07331208A (ja) * 1994-06-06 1995-12-19 Arakawa Chem Ind Co Ltd 粘着付与剤樹脂エマルジョンおよび水性粘着剤組成物
JPH0925472A (ja) * 1995-07-10 1997-01-28 Arakawa Chem Ind Co Ltd 粘着付与剤エマルジョンおよび該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水性粘着剤組成物
JPH09324162A (ja) * 1996-06-06 1997-12-16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2000290620A (ja) *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Chemicals Corp 接着性樹脂組成物
JP2001139919A (ja) * 1999-11-12 2001-05-22 Arakawa Chem Ind Co Ltd 粘着付与剤樹脂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水系粘・接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169A (ko) * 1992-11-09 1994-06-20 하재기 마감테이프 제조방법
JPH07331208A (ja) * 1994-06-06 1995-12-19 Arakawa Chem Ind Co Ltd 粘着付与剤樹脂エマルジョンおよび水性粘着剤組成物
JPH0925472A (ja) * 1995-07-10 1997-01-28 Arakawa Chem Ind Co Ltd 粘着付与剤エマルジョンおよび該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水性粘着剤組成物
JPH09324162A (ja) * 1996-06-06 1997-12-16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2000290620A (ja) *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Chemicals Corp 接着性樹脂組成物
JP2001139919A (ja) * 1999-11-12 2001-05-22 Arakawa Chem Ind Co Ltd 粘着付与剤樹脂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水系粘・接着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54B1 (ko) * 2013-01-14 2013-08-14 (주) 에이치피엠글로벌 수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39894B1 (ko) * 2019-12-31 2020-07-30 이대훈 천연 코팅액과 접착제가 함유된 건축물용 내외장 단열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264A (ko) 200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9036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4288480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coated product
KR20110011680A (ko) 점착 필름
TW201718797A (zh) 黏著片材
EP080968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KR20030008139A (ko) 감압 접착제로서 유용한 고 Tg 중합체 에멀젼과 감압접착 중합체 에멀젼의 블렌드
WO2018084293A1 (ja) 再剥離性の水性粘着剤組成物及び再剥離性粘着シート
US10759973B2 (en) Adhesive mass, in particular for strippable adhesive strips and use for adhering on coated woodchip wallpaper
KR100366807B1 (ko) 수계점착부여제 및 그를 이용한 수계점착제의 제조방법
EP1449899A1 (en) Blends of high Tg polymer emulsion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ymer emulsions useful 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4179415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process
US20180273812A1 (en) Laminate, adhesive kit, laminated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ntact adhesive composition
JPH07138542A (ja) 建築内装材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JPS6072974A (ja) 水で分散できる感圧性接着剤およびこれを含むテープ
JP6185303B2 (ja)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組成物、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およびエマルジョン型剥離性粘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US20090277560A1 (en) Carrier for cold seal coated face and back
CA2107702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at temperatures below 0°f
JPH0366340B2 (ko)
JPH06322355A (ja) 水溶性または水分散性の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S61215674A (ja) 再剥離型粘着剤
JPS58152075A (ja) 水分散型ゴム系エマルジヨン粘着剤
JPH1046118A (ja) 再剥離包装用粘着テープ
JPS6191277A (ja) 再剥離型粘着剤
US20240076529A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lso adhesive tape furnished with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2605118B2 (ja) 感圧接着剤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