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980B1 - 스위치된자기저항발전기 - Google Patents

스위치된자기저항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980B1
KR100364980B1 KR1019950028420A KR19950028420A KR100364980B1 KR 100364980 B1 KR100364980 B1 KR 100364980B1 KR 1019950028420 A KR1019950028420 A KR 1019950028420A KR 19950028420 A KR19950028420 A KR 19950028420A KR 100364980 B1 KR100364980 B1 KR 100364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hase
energy
winding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336A (ko
Inventor
렉스마운트포드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스위치트 릴럭턴스 드라이브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치트 릴럭턴스 드라이브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위치트 릴럭턴스 드라이브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6000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4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reluctance of magnetic circuit of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는 위상 권선내의 플럭스의 증가가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초기 부분 동안 빠른 속도로 일어나고, 이어지는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후속 부분 동안에는 더 느린 속도로 일어나도록 제어된다. 플럭스의 증가와 감소 사이의 차이는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개 부분 동안 상이한 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초기 부분 동안에는 위상 권선의 하나의 부분에만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고 그 이후에는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이러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위상 인덕턴스가 증가하는 동안 플럭스가 존재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은 불필요한 (모터링) 토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플럭스가 감소하는 것 보다 더 빠른 속도로 플럭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본 발명은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및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SR 모터와 같은 스위치된 자기저항(switched reluctance: SR) 발전기는 전자스위칭 회로를 이용한다. 이들 회로는 일정 범위의 회전자 각도에 걸쳐 전압원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으로 에너지를 주입하고, 일정 범위 이후의 회전자 각도에서는 앞서 주입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위상 권선으로부터 돌려 받는다. 이러한 추가 에너지는 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가함으로써 발전기 회전자에 부여되는 기계적 에너지이다.
위상 권선의 인덕턴스는 그 위상 권선의 고정자극과 회전하는 회전자극 사이의 중첩 정도에 따라 변한다. 권선 인덕턴스가 증가하는 동안 (즉, 중첩이 증가하는 동안) 권선 전류가 현저하게 발생되면, 회전자극에 대한 자기력은 중첩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모터링의 기본이다.
권선 인덕턴스가 감소하는 동안 (즉, 중첩이 감소하는 동안) 권선 전류가 현저하게 발생되면, 자기력은 회전자극과 고정자극의 분리를 방해한다. 자기력에 반하는 이러한 분리는 회전자로 기계적 에너지가 입력될 것을 요구하며, 이는 기계내에서 증가하는 권선 전류의 형태로 전기 에너지로 전환된다.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극이 분리되는 동안 상기 방해 자기력이 크도록 인덕턴스가 높은 동안, 전류가 권선내로 도입되어야 한다.
공지의 전자 스위칭 회로와 동일한 회로 구성은, 에너지가 권선으로 주입되고 권선으로부터 에너지를 받게 되는 회전자 각도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모터링 및 발전 작동 모두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의 전자 스위칭 회로의 예를 도시한다. 제 1 도는 N 개의 위상 권선으로 된 기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각 위상 권선은 두개의 분리된 섹션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가능한 한 그들 사이의 누설 인덕턴스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함께 권선된다. 이들 섹션 중의 하나는 기계로 에너지를 주입하는데 이용되며 나머지는 기계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를 수용하는데 이용된다.
제 2 도는, 비록 제 1 도와 제 2 도간의 I2R 권선 손실을 명확히 비교하기 위해 2개의 병렬 권선 섹션을 도시하지만, 각각의 권선에 대하여 하나의 섹션을 동일하게 잘 이용할 수 있다. 제 2 도에서, 상기 2개의 스위칭 회로 각각 내에서의 스위치 모두는 전압원으로부터 권선으로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닫혀 있어야 하고, 전압원이 권선으로부터의 에너지를 받기 위해서는 스위치 모두가 개방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제 3 스위칭 구성은 1개의 스위치만 닫혀있을 경우 존재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권선 전류는 1개의 스위치 및 1개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자유롭게 순환한다. 이는 "프리휠링 (freewheeling)"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에너지는, 회전자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기계적 부품들 간에 전달될 수는 있지만, 전기 공급원으로 또는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될 수는 없다.
'전기 공급원'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발전기로 에너지를 주입하고 또한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흡수 및 저장할 수 있는 전기 저장 장치를 가리킨다. 물론, 실제로 발전기에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과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수단은, 저장용이든 직접적인 사용을 위한 것이든, 별개로 구별되는 것일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 "부하(load)"라는 용어는 전기 공급원 및 관련 저장 장치, 그리고 에너지가 발전기로 또는 발전기로부터 통과하는 기타의 분리 또는 결합 수단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제 1 도의 회로에서, 하나의 섹션으로부터 다른 섹션으로 전류가 이동하는 짧은 주기 동안을 제외하고, 전류는 하나의 권선 섹션 내에서만 흐르기 때문에, 별도로 취해진 2개 섹션에 대한 실효[RMS: root mean squared] 전류의 합은 함께 취해진 전류값 합계의 실효값을 초과한다. 이는 2개의 섹션이 영구적으로 병렬 접속되고 권선 에너지를 주입하고 받기 위하여 추가적 전자 스위칭 회로가 추가된 제 2도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권선 손실보다 제 1 도에서의 I2R 권선 손실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스위칭 회로 구성도 제안된 바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전자 스위치의 총 수를 1 위상당 2 (제 2 도에 도시)로부터 더 적은 수로, 하지만 항상 1 위상 당 1 (제 1 도에 도시) 보다 큰 수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위상에 대하여 2개의 권선 섹션을 피하도록 한다. 발전을 위해서는, 에너지 주입이 일어나는 각도 범위가, 비교적 높은 인덕턴스 (하나의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 내에서 그 위상의 고정자극들과 가장 인접한 회전자극들과의 사이의 실질적인 각도 중첩으로부터 기인하는)를 갖는 위상 권선과 일치한다. 이는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에너지를 받는 위상 권선이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하나의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 내에서 상기 위상의 고정자극들과 가장 인접한 회전자극들 사이에 각도 중첩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모터링 용도와는 대조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지 않는 토크가 발생되는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기계가 발전 모드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되도록 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은, 회전자, 적어도 하나의 위상 권선을 갖는 고정자, 스위치 수단, 상기 스위치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위상 권선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수단,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수단, 및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상 권선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에너지를 공급하는 상기 에너지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제 1 전압을 스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하여,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제 1 속도로 플럭스가 증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제 2 전압을 스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하여, 제 2 속도로 플럭스가 감소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플럭스가 감소하는 제 2 속도는 플럭스가 증가하는 제 1 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은 에너지가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으로부터 제 2 전압에서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압은 제 2 전압 보다 크다. 상기 에너지 공급 수단은 또한 발전된 에너지를 흡수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으며,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제 2 전압에서 받고 제 1 전압에서 전달받은 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전압 부스팅 수단으로서, 추가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전압 부스팅 수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플럭스 증가 속도는 상기 위상 권선의 두 부분 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결정되고, 플럭스 감소 속도는 이어서 상기 전압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위상 권선의 두개 부분 중 더 큰 인덕턴스를 가로질러 인가하여, 더 느린 속도로 플럭스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 권선의 상기 2개 부분은 자기적으로 밀접하게 결합(coupled)되어 있다. 이들은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편리하게, 상기 위상 권선의 상기 2개 부분은 이중으로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자 권선을 갖는 고정자로 구성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위상 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 제 1 전압을 스위치하여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제 1 속도로 플러스가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제 2 전압을 스위치하에,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플럭스가 증가하는 제 1 속도보다 느린 제 2 감소 속도로 플럭스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의 일 형태에서 상기 제 1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보다 크다.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은 실질적으로 하나로서 동일한 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이러한 측면은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위상 권선의 두 부분 중 하나에 상기 하나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의 양 부분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전기까지 확대되는데, 이는 회전자; 적어도 하나의 위상 권선을 갖는 고정자로서 상기 회전자가 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고정자;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제어하도록 작동가능한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상 권선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제 1 전압을 스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회전자의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제 1 속도로 플럭스가 증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제 2 전압을 스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하여, 제 2 속도로 플럭스가 감소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플럭스가 감소하는 제 2 속도는 플럭스가 증가하는 제 1 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은 에너지가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으로부터 제 2 전압에서 발생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수단은 반도체 장치와 같은 액티브 스위치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이는 액티브 스위치가 전도될 때에는 플럭스 증가를 일으키기 위하여 에너지가 주입되고, 액티브 스위치가 비전도되어 권선 전류가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흐를 수 밖에 없을 때에는 에너지 회수(즉, 재발전)가 일어나도록 배열된다.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발전기로 에너지를 주입하는 주기는, 위상 권선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지르는 공급 전압의 접속에 의해 위상 권선과 자속 쇄교(magnetic flux linkage)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전기 공급원에 의한 에너지 회수는 자속쇄교의 감소 및 그 권선과 접속된 다이오드들만의 전도와 관련이 있다. 위상 인덕턴스가 증가하는 동안 플럭스가 존재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면 불필요한 (모터링) 토크의 발생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플럭스의 감소 보다 플럭스의 증가를 더 빠르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예시로서 기술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3 도 내지 제 8 도를 참고로 하는 본 발명의 한가지 형태에서,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용 전자 스위칭 회로의 구성은, 권선들이 에너지를 회수해주는 전기 저장 용량을 제공하는 부하의 전압보다, 발전기 권선으로 에너지를 주입하기 위해 더 높은 전압원을 제공하는데, 상기 회수되는 에너지는 주입된 에너지를 초과한다.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전자 스위칭 회로의 일부로서, 더 낮은 전압의 부하로부터 에너지를 취하여, 이를 고전압으로 인하여 더 큰 속도로 플럭스가 증가되도록 상기 발전기 권선으로 주입하기 위해 더 높은 전압으로 전환시키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저전압은 플럭스가 감소하는 동안 권선을 가로질러 인가되어 플럭스의 감소가 더 완만해지도록 한다. 이러한 회로는 편리하게 고주파 스위칭 및 에너지 저장 기술을 이용하는 주지의 부스트 컨버터의 형태를 취한다.
특히 제 3 도를 참조하면,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9)용 스위칭 회로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3개의 위상 권선(10, 12 및 14) 각각에 접속된다. 상기 위상 권선 각각은 상기 스위치된 권선의 여자(勵磁; excitation)에 의하여 자기 극성으로 유도된 고정자극을 규정하는 고정자 상에 장착된다. 회전자는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는 회전자 축에 연결된 외부 드라이브에 의하여 고정자 내에서 회전된다.
각 위상 권선(10, 12, 14)은 일 끝단에 각각 직렬 접속된 스위치(16, 18, 20)를 갖는다. 발전기(9)의 위상 권선의 다른 끝단은 공동으로 부스트 컨버터(24)의 제 1 터미널(22)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치들은 공동으로 부스트 컨버터(24)의 제 2 터미널(26)에 접속된다. 전기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발전기 부하(28)는 발전기로부터의 에너지에 대한 싱크(sink)로서 작용하며 또한 상기 권선용 여자(勵磁)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부하(28)는 부스트 컨버터(24)의 제 1 터미널(22)과 접속됨으로써 상기 공동으로 접속된 권선들의 다른 끝단과도 접속된 양극 터미널 (positive terminal)을 갖는다. 부하(28)의 음극 터미널(negative terminal)은 부스트 컨버터(24)의 제 3 터미널(30)에 접속된다. 재순환 다이오드(32, 34 및 36)는 각각 상기 부하(28)의 음극 터미널로부터 그것이 연결된 위상 권선(10, 12, 14)의일 끝단까지 전도시키기 위하여 접속된다.
부스트 컨버터(24)는 예를 들어 제 4 도 또는 제 5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 4 도에서 부스트 트랜지스터(40)는 제 3 터미널(30)과 접속되고, 제 2 터미널(26) 쪽으로 전도하도록 접속된 부스트 다이오드(42)와 접속된다. 인덕터(inductor)(43)는 직렬로 연결된 부스트 트랜지스터(40)와 다이오드(42) 사이로부터 제 1 터미널(22)까지 접속된다. 제 1 콘덴서(44)는 직렬로 연결된 부스트 트랜지스터(40)와 부스트 다이오드(42)를 가로질러, 즉 제 2 터미널(26)과 제 3 터미널(30)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콘덴서(46)는 부스트 컨버터(24)의 제 1 터미널 (22) 및 제 2 터미널(30) 사이에 접속된다.
제 5 도에서 부스트 컨버터는 제 4 도의 것과 유사하지만, 제 1 터미널(22)과 제 2 터미널(26) 사이에 접속된 제 1 콘덴서를 갖는다. 이 또한 주지의 부스트 컨버터 회로이므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위치들(16, 18 및 20)은 전형적으로 전자 스위칭 장치, 예를 들면, 당업자의 고려 범위 내에 있는 절연 게이트 쌍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또는 유사한 파워 반도체 장치와 같은 트랜지스터이다.
부스트 컨버터(24)는 부하(28)로부터 이용 가능했을 전압 보다.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위상 권선에 공급되는 더 높은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트랜지스터(40)는 고주파수, 전형적으로 10∼100 kHz 정도에서 스위치된다.
부스트 컨버터의 트랜지스터(40)가 전도되면, 에너지는 부하(28)로부터 제 2 콘덴서(46)에 의해 평활되어 인덕터(43)로 전달된다. 그리고 나서 트랜지스터(40)가 비전도되면 상승된 전압(boosted voltage)에서의 에너지는 (제 4 도의 회로의 경우) 인덕터(43) 및 부하(28)로부터 다이오드(42)를 경유하여 제 1 콘덴서(44)로 전달되고, 그리하여 발전기 권선(10, 12, 14)으로 차례로 에너지를 주입하는 3개의 스위치(16, 18, 20)로 전달된다. 스위치(16, 18, 20)는 주지의 스위치된 자기 저항 발전기 타이밍에 따라 회전자의 적당한 회전 각도에서 작동된다.
제 5 도의 경우, 인덕터(43) 내의 에너지는 제 1 콘덴서(44)로 전달되지만, 발전기 권선으로 주입되는 에너지는 또한 제 1 콘덴서(44) 및 부하(28)로부터 유도되어 제 2 콘덴서(46)에 의해 평활된다.
상승된 전압에서, 대응하는 스위치(16, 18, 20)가 전도되는 동안 발전기 권선(10, 12, 14) 각각으로 초기에 주입된 에너지는, SR 발전기의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기계적 힘의 결과로서 SR 발전기 작용에 의해 증가된다. 따라서 스위치들(16, 18, 20) 중의 하나가 그것의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 동안 개방되면, 연결된 다이오드(32, 34, 36)를 경유하여 부하(28)로 회수되는 에너지는, 부하 공급 전압에서의 부하(28)로부터 앞서 인출된 주입된 에너지를 초과한다. SR 발전기의 하나 이상의 완전한 사이클(full cycle)에 걸쳐, 이러한 과잉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또는 전기 에너지의 싱크(sink)로서 상기 부하(28)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첫번째 형태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는 제 7 도 및 제 8 도의 대체부스트 컨버터 회로와 함께 제 6 도에 도시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제 6 도의 회로는 제 3 도의 회로를 사실상 재배열한 것이다.
제 6 도에서 권선(10, 12, 14)을 통과하는 전류는 제 3 도 배열에서의 권선에서의 전류와 역방향이다. 부하(28)의 극성은 역전되고 다이오드(32, 34, 36) 및 스위치(16, 18, 20)의 전도 방향도 역전, 즉 모든 극성과 전류 방향이 역전된다. 기본적으로 제 6 도의 회로 작동은 제 3 도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두번재 형태에 의하면, SR 발전기에는 3개의 위상 권선이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자기적으로 밀접하게 결합되고 접속된 2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서, 전류가 하나의 위상 권선의 양 섹션을 통과할 때 각 섹션에 의해 생성되는 플럭스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의 회로는 제 9 도에 도시된다.
제 9 도에서, 3개의 위상 권선 각각은 제 1 직결 접속 권선 섹션(50, 54 및 58) 및 제 2 직렬 접속 권선 섹션(52, 56 및 60)으로 이루어진다. 부하(62)는, 대응하는 권선 섹션의 쌍 각각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스위치(64, 66, 68) 각각의 한쪽 끝단에 접속된 음극 터미널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3개의 제 2 스위치(70, 72 및 74)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권선(50, 54, 58)의 반대쪽 끝단에 접속된다. 3개의 다이오드(76, 78 및 80) 각각은 부하(62)의 상기 음극 터미널로부터 대응하는 제 1 권선(50, 54, 58)의 반대 끝단까지 전도하도록 접속된다. 부하(62)의 양극 터미널은, 대응하는 제 2 권선 섹션(52, 56 및 60)의 반대쪽 끝단에 각각 접속된 또 다른 3개의 다이오드(82, 84 및 86) 각각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위치들(64 내지 74)은 IGBT와 같은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 스위칭 장치이다.
제 9 도의 구성은, 부하(62)로부터의 에너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회전자 각도 범위에 걸쳐 각 위상 권선의 하나의 섹션내로 차례로 주입되도록 하며, 또한 이후의 회전자 각도의 이동 범위에 걸쳐 각 위상 권선의 양 섹션으로부터 회수되는 에너지가 SR 발전기의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기계적 노력의 결과로서 상기 주입된 에너지를 초과하도록 한다.
제 9 도의 회로는 부하(62)의 전체 전압이 에너지를 주입하는 동안 위상들 중 선택된 하나의 한 섹션에 인가되도록 구성되지만, 한 위상의 두 개의 섹션은 에너지가 회수될 때 부하(62)를 가로질러 직결로 접속된다.
부하(62)로부터의 에너지는 상기 스위치 쌍들(70 및 64, 72 및 66, 74 및 68)을 폐쇄함으로써 차례로 제 1 권선 섹션(50, 54 및 58)내로 주입되어, 대응하는 위상 섹션 내에 차례로 부하(62)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일으킨다. 각 위상에 연결된 상기 스위치 쌍(70 및 64, 72 및 66, 74 및 68)이 개방되면, 권선 섹션(50, 54, 58)에 흐르는 전류는 부분적으로 제 2 권선 섹션(52, 56, 60)으로 각각 전달되어, 각 위상과 관련된 플럭스가 실질적으로 불변하도록 한다. 그러면 2개의 권선 섹션 내를 함께 흐르는 전류는 SR 발전기의 작동에 의하여 증가되어, SR 발전기의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기계적 노력으로 인하여, 에너지가 주입되는 동안 부하(62)로부터취해진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다이오드(76 및 82, 78 및 84, 80 및 86)를 경유하여 부하(62)로 회수된다.
제 1 권선 섹션에만 인가되는 부하(62)로부터의 전압은 낮은 인덕턴스로 인하여 비교적 높은 속도의 플럭스 증가를 결정한다. 부하(62)가 전체적으로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인가될 경우, 동일한 전압이 상기 증가된 인덕턴스로 인하여 보다 느린 속도의 플럭스 감소를 결정한다.
특히 유용한 형태로서, 각 위상 권선의 2개의 섹션은 동일한 회전수를 가지며, 한 위상의 2개의 섹션 사이에 자기적 결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이중으로 권선된다. 결과로서 얻어지는 친밀한 결합은 두 개의 섹션 사이에 전류의 전달을 돕는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스위칭 회로에서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도 각 위상 권선에 대하여 2개의 액티브 스위치가 있다. 에너지가 상기 권선 쌍들 중 하나, 즉 50/52에 주입되고 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62)로 전류를 통과시키거나 부하(62)로부터 전류를 취하지 않고 연결된 스위치들 중의 하나를 턴-오프함으로써 프리휠링 모드에서 회전자와 권선 사이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상기 위상 인덕턴스 주기(phase inductance period)의 일부(fraction) 만큼 지연된 이후 제 2 스위치를 턴-오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에너지를 주입한 후, 그러나 부하로 에너지가 회수되기 전에, 프리휠링 모드에서 스위치를 작동하면, 특히 저속에서, SR 발전기의 제어를 위한 여분의 자유도를 제공하게 된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제 10 도는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은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스위치된 자기저항 기계(94)의 일부인 회전자(92)의 축과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발동기(90; a prime mover)(예를 들어 내연기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3-위상 기계가 도시된다. 이는 제어기(100)의 제어하에 접속부들(98)을 통과하는 3개의 위상 권선내 에너지를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96)에 의하여 제어된다. 스위칭 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는 에너지는 부하로서 작용하는 통상의 배터리 유닛(102)으로 제공되고, 이로부터 회수된다.
저속에서의 에너지 주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9도의 회로를 이용하여 실행 가능하다. 부하로 회수된 (즉, 발전된) 에너지는 하나의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에서의 프리휠링 및 에너지 회수를 교대로 수반할 수 있다. 프리휠링 주기 동안 권선 전류는 증가하여 회전자로부터 에너지를 인출한다. 에너지가 회수되는 동안 에너지는, 회전자로부터 추가로 기여되는 것과 함께 부하로 회수된다. 상기 프리휠링 및 에너지 회수의 주기를 교대로 이용하는 것을 "초핑(chopping)"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속에서 초핑 모드는, 전류가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지속 시간을 증가시켜, 연장된 지속 시간이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보다 큰 부분 (fraction)이 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발전을 위해 이용가능한 위상 인덕턴스 주기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모터링이 일어나는 비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몇몇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예로써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한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본발명은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의 정신 및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공지의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스위칭 회로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회로용 대체 전압 부스터의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의 회로용 대체 전압 부스터의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는 발전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10, 12, 14: 위상 권선 16, 18, 20: 스위치
22, 26, 30: 터미널 24, 40: 부스트 컨버터
28, 62: 부하 32, 34, 36, 42: 다이오드
44, 46: 콘덴서 92: 회전자
94: 스위치된 자기저항 기계 96: 스위칭 회로
98: 접속부 102: 밧데리 유닛

Claims (16)

  1. 회전자,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을 갖는 고정자, 스위치 수단, 상기 스위치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위상 권선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수단,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상기 최전자를 회전시키는 수단, 및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상 권선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로질러 에너지를 공급하는 상기 에너지 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제 1 전압을 스위치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하여,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제 1 속도로 플럭스가 증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제 2 전압을 스위치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작동하도록 배열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전압을 스위치하도록 배열되어 플럭스가 제 2 속도로 감소되도록 하여, 여기서 플럭스가 감소하는 제 2 속도는 플럭스가 증가하는 제 1 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은 에너지가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으로부터 제 2 전압에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 보다 큰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수용하여 이를 다른 전압으로 승압하도록 배열된 전압 부스팅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부스팅 수단은 상기 제 2 전압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상기 제 1 전압으로 승압하도록 배열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권선은 상기 제 1 전압이 상기 위상 권선의 첫번째 부분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 2 전압이 상기 위상 권선의 첫번째 및 두 번째 부분을 가로질러 인가되도록 탭(tap)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권선의 첫번째 및 두번째 부분은 자기적으로 밀접하게 결합(coupled)되도록 배열된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권선의 첫번째 및 두번째 부분은 직렬 접속된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권선의 첫번재 및 두번째 부분은 이중 권선된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수단은 전기 저장 장치로 구성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장 장치는 또한 상기 제 2 전압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 시스템.
  12.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위상 권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로질러 제 1 전압을 스위치하여,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제 1 속도로 플러스가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제 2 전압을 스위치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회전자 및 하나 이상의 고정자 권선을 갖는 고정자로 구성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을 가로질러 제 2 전압을 스위치하여,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째 부분 동안, 플럭스가 증가하는 제 1 속도 보다 느린 제 2 감소 속도로 플럭스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상기 제 2 전압보다 큰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을 상기 제 1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첫번째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의 2개 부분들 중 하나로 상기 제 1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위상 인덕턴스 사이클의 두번재 부분 동안 상기 위상 권선의 양쪽 부분으로 상기 제 2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스위치된 자기저항 발전기의 작동 방법.
KR1019950028420A 1994-08-31 1995-08-31 스위치된자기저항발전기 KR100364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17523.9 1994-08-31
GB9417523A GB9417523D0 (en) 1994-08-31 1994-08-31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336A KR960009336A (ko) 1996-03-22
KR100364980B1 true KR100364980B1 (ko) 2003-02-19

Family

ID=1076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420A KR100364980B1 (ko) 1994-08-31 1995-08-31 스위치된자기저항발전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05918A (ko)
EP (1) EP0702450B1 (ko)
JP (1) JP3811516B2 (ko)
KR (1) KR100364980B1 (ko)
CA (1) CA2156891A1 (ko)
DE (1) DE69501700T2 (ko)
ES (1) ES2113712T3 (ko)
GB (1) GB9417523D0 (ko)
SG (1) SG38860A1 (ko)
TW (1) TW2882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48B1 (ko) * 2003-01-27 2011-11-29 니덱 에스알 드라이브즈 리미티드 가변 릴럭턴스 장치 및 가변 릴럭턴스 장치의 발전기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6386A (en) * 1997-09-10 1999-08-10 Sundstrand Corporation Method of linearizing the performance of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s
US5900712A (en) * 1998-02-20 1999-05-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istor drive circuit and control for a switched reluctance motor
GB9906716D0 (en) * 1999-03-23 1999-05-19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Operation of a switched reluctance machine from dual supply voltages
GB9928843D0 (en) * 1999-12-06 2000-02-02 Lucas Industries Ltd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generator
CA2399699A1 (en) * 2000-02-09 2001-08-16 Dana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ed reluctance electrical generator
GB0028602D0 (en) 2000-11-23 2001-01-10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Operation of switched reluctance drive systems from dual voltage sources
US6661206B2 (en) * 2001-12-10 2003-12-09 Delphi Technologies, Inc. Soft chopping for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s
US6672522B2 (en) * 2002-02-28 2004-01-06 Koo Shik Lee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TW200409448A (en) * 2002-05-24 2004-06-01 Virginia Tech Intell Prop PMBDCM and two-phase SRM motor, two-phase SRM rotor and stator, and coil wrap for PMBDCM and SRM motors
US7372232B2 (en) * 2002-05-24 2008-05-13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pparatus for drive control, power conversion, and start-up control in a PMBDCM or two-phase SRM drive system
US7201244B2 (en) * 2003-10-03 2007-04-10 Letourneau, Inc. Vehicle for materials handling and other industrial uses
KR100704482B1 (ko) * 2005-04-01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속 영역과 고속 영역에서의 발전 효율이 개선된 에스알발전기
KR100713776B1 (ko) * 2005-10-04 2007-05-02 에스알텍 주식회사 검출 전류의 비교를 통한 에스알엠의 여자 위치 검출 방법및 장치
US20070278984A1 (en) * 2006-05-31 2007-12-06 Rodwan Tarek Adra 2-Phase switched reluctance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topologies
US7782007B2 (en) * 2007-05-22 2010-08-2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Electrodynamic machine control
RU2010142965A (ru) * 2008-04-17 2012-05-27 Синкрони, Инк. (US)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с постоянным магнитом и генератор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 ротором с низким уровнем потерь
JP2011520410A (ja) 2008-04-18 2011-07-14 シンクロ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集積電子工学を用いた磁力スラスト軸受
US9583991B2 (en) * 2009-06-24 2017-02-28 Synchrony, Inc.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magnetic bearings
WO2011163456A1 (en) 2010-06-23 2011-12-29 Synchrony, Inc. Split magnetic thrust bearing
RU2469455C2 (ru) * 2011-01-19 2012-12-10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Карасев Генератор вентильного типа
US9174525B2 (en) 2013-02-25 2015-11-03 Fairfield Manufacturing Company, Inc. Hybrid electric vehicle
US10122290B2 (en) 2015-12-14 2018-11-06 James F. Murray Switched energy resonant power supply system
TWI574501B (zh) * 2015-12-21 2017-03-11 朋程科技股份有限公司 發電機控制電路
CN110011578B (zh) * 2019-03-27 2020-10-02 中国计量大学 双端口自励双直流输出的开关磁阻发电机变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8615A3 (en) * 1984-10-19 1987-08-05 Kollmorgen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s for inductive elements
US4707650A (en) * 1986-10-03 1987-11-17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for switched reluctance motor
US5289107A (en) * 1992-03-30 1994-02-22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 system with fault recovery capability
US5327069A (en) * 1992-06-19 1994-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Switched reluctance machine including permanent magnet stator poles
US5548196A (en) * 1993-02-27 1996-08-20 Goldstar Co., Ltd. Switched reluctance motor driving circuit
JP2719298B2 (ja) * 1993-07-29 1998-02-25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真空装置の冷却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48B1 (ko) * 2003-01-27 2011-11-29 니덱 에스알 드라이브즈 리미티드 가변 릴럭턴스 장치 및 가변 릴럭턴스 장치의 발전기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91599A (ja) 1996-07-23
KR960009336A (ko) 1996-03-22
EP0702450A3 (en) 1996-07-17
TW288223B (ko) 1996-10-11
JP3811516B2 (ja) 2006-08-23
SG38860A1 (en) 1997-04-17
ES2113712T3 (es) 1998-05-01
CA2156891A1 (en) 1996-03-01
DE69501700T2 (de) 1998-06-25
EP0702450A2 (en) 1996-03-20
US5705918A (en) 1998-01-06
DE69501700D1 (de) 1998-04-09
GB9417523D0 (en) 1994-10-19
EP0702450B1 (en) 199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980B1 (ko) 스위치된자기저항발전기
US6495985B1 (en) Operation of a switched reluctance machine from dual supply voltages
EP1208642B1 (en) Control of an electrical reluctance machine
Liang et al. A new variable reluctance motor utilizing an auxiliary commutation winding
Pollock et al. A unipolar converter for a switched reluctance motor
US6137256A (en) Soft turn-off controller f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US20140239876A1 (en) Electric drive with reconfigurable winding
US6087799A (en) Switching circuit for a reluctance machine
JPS6215040B2 (ko)
EP1318597A2 (en) Soft chopping for switched reluctance generators
US10491150B2 (en) Switched reluctance machine and power converter
JP2015164385A (ja) 可変速電気機械
US6987375B2 (en) Dual-stage drive for switched reluctance electric machines
CN114865983B (zh) 一种复用励磁绕组的三相交流调速系统
Dahmane et al. A novel boost capacitor circuit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switched reluctance motor
Elamin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delta-connected SRM driven by a standard three phase inverter
JPH09149689A (ja) 極数切替電動機の運転制御装置
US6975090B2 (en) Power converter device for one of several motor windings on reluctance motor
EP4176510A1 (en) Direct drive system for brushless dc (bldc) motor
JP2003324986A (ja) 三相ブラシレスdcモータの制御方法
Lee et al. A variable voltage converter topology for permanent-magnet brushless DC motor drives using buck-boost front-end power stage
Xu et al. Asymmetric Current Control Strategy for Doubly Salient Electromagnetic Generator Based on Controlled Rectifier
Wang et al. A Fault-Tolerant Control Strategy for Open-Circuit Faults in the Active Rectifier of the Doubly Salient Electromagnetic Generation System
WO2023237501A1 (en) Electric machine control circuit, electric drive assembly system and vehicle
CN114928277A (zh) 利用泵升电压现象提高变磁通记忆电机在线调磁能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