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651B1 -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651B1
KR100363651B1 KR1020000057874A KR20000057874A KR100363651B1 KR 100363651 B1 KR100363651 B1 KR 100363651B1 KR 1020000057874 A KR1020000057874 A KR 1020000057874A KR 20000057874 A KR20000057874 A KR 20000057874A KR 100363651 B1 KR100363651 B1 KR 10036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caller information
voice
korea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659A (ko
Inventor
손창수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6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를 한글로 구현하여 전화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이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해당 전화기 사용자가 발신자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발신자 정보를 전화기의 표시부에 영문 및 숫자로만 표시함에 따라 해당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사용자나 시각 장애인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해당 발신자 정보를 영문 및 숫자로만 표시함에 따라 영문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에게는 발신자 정보의 확인에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함과 동시에 한글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사용자나 시각 장애인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문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Korean Alpabet Display/Voice Not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er ID Of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 정보를 한글로 구현하여 전화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이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해당 전화기 사용자가 발신자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미국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Caller ID) 표시는 데이터 컴(DATA COM) 방식을 규격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영문으로 구현하고 있는데, 해당 데이터 컴 방식을 온훅(ON-HOOK) 상태와 오프훅(OFF-HOOK) 상태로 구분하여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타이밍과 신호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온훅 상태의 데이터 전송은 첨부된 도면 도 1의 (가)과 같은데, 링(Ring)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은 첫번째 링 신호 사이의 오프-타임(Off-Time) 구간에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며, 만약 데이터 전송 이전이나 전송 도중에 착신측 라인이 오프훅 상태로 변화하면 데이터 전송은 중단되고, 일반 신호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둘째로, 오프훅 상태의 데이터 전송은 첨부된 도면 도 1의 (나)와 같은데, 교환기는 반드시 ACK(ACKnowledgement) 신호의 수신 완료후에 FSK(Frequency Shift Keying) 데이터를 송출하며, 전화기 사용자의 훅 플래시(Flash)나 호 절단을 인식하는 즉시 데이터 전송을 중지한다. 그리고, CAS(Channel Associated Signaling) 신호의 송출을 종료한 후, 'D' 시간(165ms) 동안에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에서 주는 ACK 신호인 특정 DTMF("D" : 1633Hz×941Hz) 신호를 수신 준비하며, ACK 신호 이외의 모든 신호를 무시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파라미터인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신호', 'CAS 신호', 'ACK 신호'는 아래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구 분 SAS 신호 CAS 신호 ACK 신호
주 파 수 440Hz 2130Hz와 2750Hz DTMF의 "D"
주파수 레벨 -15dBm±1dB -15dBm±1dB -15dBm±1dB
지 속 시 간 250~500ms 80~85ms 약 100ms
기 타 통화중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신호 두 주파수간 차이가 1ms 이내인 신호 CPF에서 주는 신호
한편으로, 종래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정보 수신부(20)와, 코덱(CODEC)부(30)와, 표시부(40)와, 제1증폭부(AMP1)와, 스피커(SPK) 및 중앙 처리부(50)로 이루어지는데, 해당 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발신자 정보 수신부(20)에서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코덱부(30)를 통해 중앙 처리부(50)로 전달하면, 해당 중앙 처리부(50)에서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 및 수신시각 등을 표시부(40)에 영문(이름) 및 숫자(전화번호, 수신시각)로 표시해 준다.
이때, 해당 발신자 정보 수신부(20)는 온훅 상태인 경우 링 신호에 발신자 정보가 입력되므로 제2증폭부(AMP2), 저대역 여파기(LPF), 제1스위치(SW1) 및 제6스위치(SW6)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며, 오프훅 상태인 경우에는 통화중에 발신자 정보가 입력되므로 브리지 다이오드(D), 통화 회로부(21) 및 제6스위치(SW6)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제1증폭부(AMP1)와 스피커(SPK)는 통화 음성이나 벨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발신자 정보를 전화기의 표시부에 영문 및 숫자로만 표시함에 따라 해당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사용자나 시각 장애인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해당 발신자 정보를 영문 및 숫자로만 표시함에 따라 영문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에게는 발신자 정보의 확인에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함과 동시에 한글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사용자나 시각 장애인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영문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식인 데이터 컴 방식에 대한 데이터 전송 타이밍도.
도 2는 종래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휴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발신자 정보 수신부 21 : 통화 회로부
30 : 코덱부 40 : 표시부
50 : 중앙 처리부 60 : 한글코드 메모리부
70 : 음성 메모리부 8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90 : 압신부 100 : RF 처리부
AMP1, AMP2 : 증폭부 D : 브리지 다이오드
LPF : 저대역 여파기 SW1, SW2, SW6 : 스위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온훅 상태 또는 오프훅 상태에서 팁/링 단자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발신자 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발신자 정보를 인식하여 전달하는 코덱부와; 한글 코드값과 한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한글코드 메모리부와; 상기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메모리부와; 상기 코덱부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부에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줌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출력해 줄 수 있도록 해당되는 한글 코드값을 전달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음성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코드값 및 한글 데이터를 상기 한글코드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한글 데이터는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주고, 상기 한글 코드값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한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온훅 상태 또는 오프훅 상태에서 팁/링 단자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한글 데이터 및 한글 코드값을 한글코드 메모리부로부터 차례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코드값을 코덱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과정과; 전달된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음성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상술한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방법에서, 상기 전화기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고정장치인 경우 RF 처리부를 통해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휴대장치 측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RF 처리부를 통해 수신받아 대응하는 한글 데이터 및 한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하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한글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는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 정보 수신부(20)와, 코덱(CODEC)부와, 표시부(40)와, 제1증폭부(AMP1)와, 스피커(SPK)와, 한글코드 메모리부(60)와, 음성 메모리부(7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80) 및 중앙 처리부(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해당 발신자 정보 수신부(20)는 온훅 상태(통화대기 상태)인 경우 제2증폭부(AMP2), 저대역 여파기(LPF), 제1스위치(SW1) 및 제6스위치(SW6)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며, 오프훅 상태(통화 상태)인 경우에는 브리지 다이오드(D), 통화 회로부(21) 및 제6스위치(SW6)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다.
즉, 해당 발신자 정보 수신부(20)는 온훅 상태인 경우 링 신호에 발신자 정보를 이루는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팁/링(TIP/RING) 단자와 제2증폭부(AMP2)를 통해 주파수 레벨이 제한되고 데이터만 증폭된 후, 저대역 여파기(LPF)와 제1스위치(SW1) 및 제6스위치(SW6)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오프훅 상태인 경우에는 통화중에 발신자 정보를 이루는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팁/링 단자와 브리지 다이오드(D)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화 회로부(21) 및 제6스위치(SW6)를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해당 코덱부(30)는 발신자 정보 수신부(20)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발신자 정보를 인식하여 중앙 처리부(50)로 전달하고, 해당 표시부(40)는 중앙 처리부(50)의 제어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하며, 해당 제1증폭부(AMP1) 및 스피커(SPK)는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글 음성으로 출력한다.
해당 한글코드 메모리부(60)는 한글(KSC5601) 코드값('B0A1'~'C8FE')과 한글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디지털 신호 처리부(80)는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음성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1증폭부(AMP1) 및 스피커(SPK)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해당 음성 메모리부(70)는 각각의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가'~'힝')를 저장하고 있다.
해당 중앙 처리부(50)는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한글 데이터를 한글코드 메모리부(60)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40)로 전달하여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해당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코드값을 한글코드 메모리부(60)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한 한글 코드값을 코덱부(30)를 통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80)로 전달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1증폭부(AMP1) 및 스피커(SPK)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방법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전화기가 온훅 상태이거나 오프훅 상태와는 무관하게 전화가 걸려오면, 해당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수신부(20)를 통해 발신자 정보가 수신되어 코덱부(30)를 통해 중앙 처리부(50)로 전달되고(스텝 S41), 해당 중앙 처리부(50)에서는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 및 수신시각 등으로 구분한 후(스텝 S42), 해당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데이터를 한글코드 메모리부(60)로부터 차례로 추출하게 된다(스텝 S43).
이후, 해당 한글코드 메모리부(60)로부터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40)로 전달하여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줌으로써(스텝 S44), 해당 전화기 사용자가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중앙 처리부(50)는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코드값을 한글코드 메모리부(60)로부터 차례로 추출한 후(스텝 S45), 추출한 한글 코드값을 코덱부(30)를 통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80)로 전달하게 되면, 해당 디지털 신호 처리부(80)에서는 전달된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음성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스텝 S46),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 즉,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음성을 코덱부(30)를 통해 제1증폭부(AMP1) 및 스피커(SPK)로 출력함으로써(스텝 S47), 해당 전화기 사용자는 표시부(40)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되는 한글 음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스피커(SPK)를 통해 동일한 벨 소리만이 출력되어 표시부(40)를 보지 않으면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화기의 표시부(40)를 보지 않고도 해당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되는 한글 음성을 듣고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한 전화기가 가정용 유무선 전화기인 경우 즉,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전화기인 경우 해당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도 3의 구성에서 휴대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부(100)와, 데이터를 압축 또는 신장하는 압신부(90)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스위칭(전달/차단)을 수행하는 제2스위치(SW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해당 휴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6과 같이, 고정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부(95)와, 데이터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3스위치(SW3)와 제4스위치(SW4) 및 제5스위치(SW5)와, 데이터를 압축 또는 신장하는 압신부(85)와,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5)와, 한글 데이터 및 한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55)와, 해당 메모리부(55)에 저장된 한글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글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코덱부(25)와, 전체적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처리부(45)와,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 즉, 증폭부(AMP) 및 스피커(SPK)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음성 안내 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표시부(40)에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하고, 이를 증폭부(AMP) 및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은 상술한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음성 안내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하고, 이를 증폭부(AMP) 및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해당 전화기의 고정장치는 제2스위치(SW2)와 압신부(90) 및 RF 처리부(100)를 통해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휴대장치 측에 송신하게 된다.
한편, 해당 휴대장치의 경우 고정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RF 처리부(95)와 제3스위치(SW3) 및 압신부(85)를 통해 중앙 처리부(45)에서 수신하게 된다.
이후, 해당 중앙 처리부(45)에서는 휴대장치가 통화대기 상태(온훅 상태)인 경우와 통화 상태(오프훅 상태)인 경우로 구분하여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처리하게 되는데, 첫째로, 해당 전화기의 휴대장치가 통화대기 상태인 경우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데이터를 메모리부(55)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35)로 전달하여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줌으로써, 해당 전화기의 휴대장치 사용자가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해당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55)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한 한글 음성 데이터를 코덱부(25)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한글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5스위치(SW5)와 증폭부(AMP) 및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의 휴대장치 사용자는 표시부(35)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되는 한글 음성을 듣고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둘째로, 해당 전화기의 휴대장치가 통화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귀에 대고 통화하게 되므로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35)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해당 중앙 처리부(45)는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55)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한 한글 음성 데이터를 코덱부(25)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한글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5스위치(SW5)와 증폭부(AMP) 및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의 휴대장치 사용자는 통화 상태인 경우에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되는 한글 음성을 통해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휴대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하나의 휴대장치에서는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 및 수신시각까지 풀(pool) 기능으로 표시부(35)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휴대장치에서는 발신자 정보에 포함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나 이름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표시부(35)에 표시하여 차별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해당 발신자 정보를 증폭부(AMP) 및 스피커(SPK)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능도 옵션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함과 동시에 한글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사용자나 시각 장애인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문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발신자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온훅 상태 또는 오프훅 상태에서 팁/링 단자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발신자 정보 수신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발신자 정보를 인식하여 전달하는 코덱부와;
    한글 코드값과 한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한글코드 메모리부와;
    상기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메모리부와;
    상기 코덱부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부에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줌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출력해 줄 수 있도록 해당되는 한글 코드값을 전달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음성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코드값 및 한글 데이터를 상기 한글코드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한글 데이터는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주고, 상기 한글 코드값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한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한글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4. 온훅 상태 또는 오프훅 상태에서 팁/링 단자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한글 데이터 및 한글 코드값을 한글코드 메모리부로부터 차례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해 주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코드값을 코덱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과정과;
    전달된 한글 코드값에 대응하는 한글 음성 데이터를 음성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한글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고정장치인 경우 RF 처리부를 통해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휴대장치 측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RF 처리부를 통해 수신받아 대응하는 한글 데이터 및 한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데이터를 표시부로 전달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한글 및 숫자로 표시하는 과정과;
    추출한 한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한글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방법.
KR1020000057874A 2000-10-02 2000-10-02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36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874A KR100363651B1 (ko) 2000-10-02 2000-10-02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874A KR100363651B1 (ko) 2000-10-02 2000-10-02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659A KR20020026659A (ko) 2002-04-12
KR100363651B1 true KR100363651B1 (ko) 2002-12-05

Family

ID=1969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874A KR100363651B1 (ko) 2000-10-02 2000-10-02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443A (ko) * 2001-05-30 2002-12-06 재밍일렉트로닉(주) 발신자번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743B1 (ko) * 2003-05-19 2010-09-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애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4983A (ja) * 1993-01-28 1994-08-12 Ricoh Co Ltd Isdn用電話装置
KR950002333A (ko) * 1993-06-30 1995-01-04 정장호 발신번호확인 음성 송출장치
JPH09191340A (ja) * 1995-11-10 1997-07-22 Sony Corp 電話回線と接続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01882A (ko) * 1997-06-18 1999-01-15 윤종용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20000044029A (ko) * 1998-12-29 2000-07-15 양 딩유안 호출자 전화번호 음성출력 전화기
KR20010097794A (ko) * 2000-04-26 2001-11-08 서평원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4983A (ja) * 1993-01-28 1994-08-12 Ricoh Co Ltd Isdn用電話装置
KR950002333A (ko) * 1993-06-30 1995-01-04 정장호 발신번호확인 음성 송출장치
JPH09191340A (ja) * 1995-11-10 1997-07-22 Sony Corp 電話回線と接続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01882A (ko) * 1997-06-18 1999-01-15 윤종용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20000044029A (ko) * 1998-12-29 2000-07-15 양 딩유안 호출자 전화번호 음성출력 전화기
KR20010097794A (ko) * 2000-04-26 2001-11-08 서평원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443A (ko) * 2001-05-30 2002-12-06 재밍일렉트로닉(주) 발신자번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659A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4786A (en) Telephone with unified features for hearing and deaf users
US6970695B1 (en) Calling party announcement apparatus
US5604790A (en) Voice processing call announcement and answering system
US20170034330A1 (en) Method and Device to Operate Phone with a Single Key
KR100363651B1 (ko)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US5802476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base unit with speaker
JP3118620B2 (ja) 番号案内による自動ダイヤル電話装置
KR200242884Y1 (ko) 발신자정보 음성발생장치
KR940005527B1 (ko) 자동 응답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음성확인 방법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08131Y1 (ko)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
KR100247350B1 (ko) 통신 기기에서 번호 송출방법
KR100865277B1 (ko) 발신자 정보의 음성 처리용 디지털 무선전화기
KR1006483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내선 전화번호 자동 연결 방법
KR200225987Y1 (ko) 음성메모리칩을 장착한 전화기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JPH0723091A (ja) 無線電話装置
KR10062221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화자 확인 장치 및 방법
JP3594508B6 (ja) 電話装置
KR100422140B1 (ko) 음성인식에 의한 발신자정보 확인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240708Y1 (ko) 음성전송 단축다이얼 장치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20030051540A (ko)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
JPH0637711A (ja) 自動車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