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794A -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794A
KR20010097794A KR1020000022173A KR20000022173A KR20010097794A KR 20010097794 A KR20010097794 A KR 20010097794A KR 1020000022173 A KR1020000022173 A KR 1020000022173A KR 20000022173 A KR20000022173 A KR 20000022173A KR 20010097794 A KR20010097794 A KR 20010097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nformation
voice
unit
sign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모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2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7794A/ko
Publication of KR2001009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07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for recording messages comprising any combination of audio and non-audi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의 표시기능를 갖는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입자가 단말기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발신자를 확인하고 통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말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교환부에서 전송된 발신자 정보를 복조하여 해석하는 CLIP 해석부와; 상기 CLIP 해석부에서 해석된 발신자 정보의 출력형태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와; 상기 출력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로써 표시하는 문자출력부와; 상기 출력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정보 및 링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되는 장치와, 교환부로부터 호신호와 함께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해석되면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발신자 정보를 바탕으로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가입자가 단말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음성으로써 출력되는 발신자 정보는 가입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상황에 따라 통화응대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Method for voice transforming of calling line identif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의 단말기(Terminal)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 정보의 표시기능(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 CLIP)를 갖는 단말기에서 발신자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입자가 단말기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발신자를 확인하고 통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에게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여 통화여부를 선택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전화국의 교환기에서 가입자의 단말기로 호(Call)와 함께 송출되는 발신자 정보가 수신대상 가입자에게 인식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발신자 정보의 데이터 구성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장치는, 호신호를 발하는 송신측 단말부(11)와; 상기 송신측 단말부(11)의 호신호를 받아 발신자의 정보를 생성하여 수신측의 단말부(13)로 전송하는 교환부(12)와; 상기 교환부(12)로부터 호와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로써 표시하는 수신측 단말부(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망의 송신측 가입자는 특정의 가입자와 통화하기 위하여 단말부(11)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호를 발하게 된다. 상기 송신측 가입자가 발한 호신호는 전화국의 교환부(12)에서 수신되어 해당 단말부(11)에 고유하게 부여된 번호(Caller ID)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어떤 가입자가 호를 발하게 되면, 교환부(12)내에 구비된 CLIP신호 생성부(12A)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신상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CLIP신호 생성부(12A)가 생성하는 발신자 정보는 송신측의 단말부(11)에 할당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가입자의 이름과 전화번화 및 호를 발한 시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CLIP신호 생성부(12A)에서 생성된 발신자 정보는 CLIP신호 전송부(12B)를 통해 수신대상 가입자의 단말부(13)로 전송되며, 동시에 호신호도 함께 전송된다.
수신측 단말부(13)는 교환부(12)로부터 호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링(Ring)을 울려 가입자의 경각심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발신자 정보를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가입자 정보의 표시는 첫 번째 링이 울리기 전에 또는 첫 번째 링과 두 번째 링의 사이에 호와 함께 전송된 가입자 정보를 해독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교환부(12)에서 전송되는 발신자 정보가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의 권고안인 CCITT V.23 또는 BELL202 규격을 만족하도록 주파수 변환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으로 변조함으로써, 수신측 단말부(13)의 CLIP 해석부(13A)에서 상기 발신자 정보를 복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권고안에 따른 발신자 정보의 구성을 예시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신호블록에 이어 일정시간의 묵음(Silence)블록이 있게 된다. 묵음블록의 다음에 채널할당블록 및 데이터블록 등이 위치하고 상기 데이터블록의 전송이 완료되었을 때 단말부(13)의 첫 번째 링이 울리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블록에 발신자정보를 실어 전송하게 되며, 상기 예시의 경우에는 첫 번째 링이 울리기 전에 발신자 정보가 해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신자 정보를 수신측 단말부(13)에 구비되는 CLIP 해석부(13A)에서 복조하여 해석하게 되면, 액정표시부(13B)는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로 변환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러면 가입자는 액정표시부(13B)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통화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단말장치는 교환부에서 일정한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되는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액정디스플레이장치 등의 문자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는, 교환기에서 전송된 발신자 정보에 대하여 수신측의 단말기는 단지 문자로써 표시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발신자의 신상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액정디스플레이부를 직접 보아야 하므로 가입자가 단말기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호를 발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알수 없기 때문에 선별적인 통화응대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 정보의 표시기능를 갖는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입자가 단말기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발신자를 확인하고 통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환부로부터 호신호와 함께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해석되면,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발신자 정보를 바탕으로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발신자 정보의 데이터 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장치는, 교환부(40)에서 전송된 발신자 정보를 복조하여 해석하는 CLIP 해석부(51)와; 상기 CLIP 해석부(51)에서 해석된 발신자 정보의 출력형태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52)와; 상기 출력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로써 표시하는 문자출력부(53)와; 상기 출력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정보 및 링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부(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적절한 일실시예는, 교환부(40)로부터 호신호와 함께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해석되면,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출력부(53)를 통해 출력하는 제1단계(ST11~ST14)와; 상기 제1단계(ST11~ST14)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발신자 정보를 바탕으로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ST15~ST16)와; 상기 제1단계(ST11~ST14)에서 발신자 정보없이 호신호만이 수신되면,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제3단계(ST21)와; 상기 제1단계(ST11~ST14)에서 음성표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문자출력부(53)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3단계(ST31)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표준적인 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단계(ST22~ST23)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장치에서는, 송신측의 단말부(30)에서 호를 발하게 되면, 종래기술과 같이 교환부(40)의 CLIP신호 생성부(41)에서 발신자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생성된 발신자 정보를 CLIP신호 전송부(42)에서 변조하여 수신대상 가입자의 단말부(50)로 호신호와 함께 전송하게 된다.
수신측의 단말부(50)는 호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호신호와 함께 발신자 정보도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발신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CLIP 해석부(51)가 상기 발신자 정보를 복조하여 해석하게 된다. 이때 발신자 정보를 복조하는 동작은 종래기술과 같이 표준적인 방식에 의한다.
상기 CLIP 해석부(51)에서 해석된 발신자 정보는 출력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의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써, 가입자는 단말부(50)의 키패드(Key Pad) 등을 이용하여 문자표시기능 또는 음성표시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미리 설정하게 된다.
교환부(40)에서 전송된 발신자 정보를 어떤 형태로 표시할 것인지를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하게 되면, 출력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된 바대로 표시기능이 수행된다. 즉, 문자표시기능과 음성표시기능이 모두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출력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CLIP 해석부(51)의 발신자 정보가 문자출력부(53)와 음성출력부(54)로 동시에 전송된다.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문자출력부(53)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로써 표시하게 되고, 음성출력부(54)는 스피커(Speaker) 등의 음성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동작을 설명한다.
교환부(40)의 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부(50)에서는 상기 호신호와 함께 발신자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T11). 그래서 발신자 정보의 수신이 확인되면, CLIP 해석부(51)에서 상기 발신자 정보를 복조하여 해석하고(ST12)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T13).
상기 단계(ST13)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문자표시기능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출력제어부(52)는 문자출력부(53)를 제어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ST14). 이처럼 문자표시기능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부(50)가 음성신호를 발하지 않게 되므로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면서 기본적인 링신호음이 울리게 된다(ST22~ST23).
그리고 상기 단계(ST13)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문자표시부(53)에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ST15) 상기 발신자 정보를 적절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ST16) 음성출력부(54)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발신자 정보의 내용이, 전화번호는 '123-4567'이고 이름이 '홍길동'이며 호시각이 '오전11시'일 경우에는, 음성출력부(54)에서 "오전 11시에 123-4567번 홍길동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성메시지는 단말부(50)로부터 일정한 거리내에 있는 가입자의 경각심을 유발하고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환부(40)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호신호만이 수신되면(ST11),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링신호음을 달리 출력하게 된다. 즉,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ST21), 기본적인 링신호음 대신에 음성신호를 생성하여(ST16) 음성출력부(54)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가입자의 경각심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상기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ST21)와 문자표시기능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발신자 정보를 문자출력부(53)를 통해 표시한 경우(ST14)에는, 호신호를 가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링신호음을 발하게 된다(ST22~ST23). 즉, 음성신호로써 가입자의 경각심을 유발시키는 것이 아니라단말부(50)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음향을 이용하여 링신호음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문자 뿐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 표시기능과 링신호음을 연동시킴으로써 단말기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은, 문자표시기능과 함께 음성표시기능을 구현하고 각 표시기능과 링신호음을 연동시킴으로써, 문자표시기능만을 제공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가입자가 발신자 정보를 편리하게 접수하여 통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가입자가 단말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음성으로써 출력되는 발신자 정보는 가입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상황에 따라 통화응대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어, 유선전화기 뿐만 아니라 900Mhz 무선전화기와 PCS 전화기 및 휴대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교환부로부터 호신호와 함께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해석되면,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문자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발신자 정보를 바탕으로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발신자 정보없이 호신호만 수신되면,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문자출력부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3단계에서 음성표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표준적인 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KR1020000022173A 2000-04-26 2000-04-26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KR20010097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173A KR20010097794A (ko) 2000-04-26 2000-04-26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173A KR20010097794A (ko) 2000-04-26 2000-04-26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794A true KR20010097794A (ko) 2001-11-08

Family

ID=1966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173A KR20010097794A (ko) 2000-04-26 2000-04-26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77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651B1 (ko) * 2000-10-02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28A (ja) * 1992-06-18 1994-01-14 Nec Corp 着呼識別機能付電話機
KR19980014409A (ko) * 1996-08-12 1998-05-25 구자홍 간이 전자 교환기의 발신자 음성안내 방법
KR19990001882A (ko) * 1997-06-18 1999-01-15 윤종용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JPH11177676A (ja) * 1997-12-11 1999-07-02 Iwatsu Electric Co Ltd 識別着信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KR20010049088A (ko) * 1999-11-30 2001-06-15 서평원 전화기의 콜러 아이디를 이용한 음성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28A (ja) * 1992-06-18 1994-01-14 Nec Corp 着呼識別機能付電話機
KR19980014409A (ko) * 1996-08-12 1998-05-25 구자홍 간이 전자 교환기의 발신자 음성안내 방법
KR19990001882A (ko) * 1997-06-18 1999-01-15 윤종용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JPH11177676A (ja) * 1997-12-11 1999-07-02 Iwatsu Electric Co Ltd 識別着信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KR20010049088A (ko) * 1999-11-30 2001-06-15 서평원 전화기의 콜러 아이디를 이용한 음성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651B1 (ko) * 2000-10-02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발신자 정보 한글 표시/음성 안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472B1 (en) TDD/TTY-digital access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JPH0126586B2 (ko)
KR100489203B1 (ko) 음성인식 문자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H11331425A (ja) 自動着信検出手段付き電話装置
JPH10243086A (ja) 電話装置
KR20010097794A (ko) 통신시스템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KR100330660B1 (ko) 실시간 문자와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기
JP2000261856A (ja) 簡易型携帯電話機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JP2000332677A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JP3300703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移動局装置
KR20030056068A (ko)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JPH10108256A (ja) 通信端末
JPH1023523A (ja) 無線通信装置
JP2565276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10049023A (ko) 전화기의 콜러 아이디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JPH1042113A (ja) 通信装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H09205497A (ja) 情報表示装置
KR20010056424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KR20000019618A (ko) 휴대폰에서 음성메세지에 의한 링착신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