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689B1 -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689B1
KR100361689B1 KR1019960068380A KR19960068380A KR100361689B1 KR 100361689 B1 KR100361689 B1 KR 100361689B1 KR 1019960068380 A KR1019960068380 A KR 1019960068380A KR 19960068380 A KR19960068380 A KR 19960068380A KR 100361689 B1 KR100361689 B1 KR 10036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 mode
line pressure
automatic transmission
ge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650A (ko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12/00Driving activities
    • F16H2312/04Holding or hill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기능을 해제시에 악셀 페달을 밟지 않은 경우에도 라인압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키므로써 변속 쇼크를 저감시키기 위한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악셀의 개도와, 차량의 현재 속도와, 현재 홀드 모드의 상태 및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 제어 유니트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홀드 모드 기능의 해제시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경우에 변속기어가 2단 또는 4단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라인압을 변속기어의 단수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눈이나 비가 오는 악천후에 의한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량을 2단으로 고정된 상태로 안전하게 출발시키기 위한 자동차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hold mod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홀드 모드가 오프되는 경우, 라인압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엔진이 발생시키는 토오크는 회전 속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며, 출력은 회전속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주행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은 화물을 실은 경우, 도로상황 및 주행속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되므로 이러한 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엔진과 구동 바퀴 사이에서 토오크를 변화시키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장치를 변속기라 한다.
상기 변속기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절히 구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엔진 자체가 역회전 할 수 없으므로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기어 장치도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변속기에 있어서, 클러치의 작용과 변속기의 작용을 자동적으로 하는 것을 자동 변속기라 하며, 이러한 자동 변속기는 통상적으로 토오크 컨버터와 유성기어식 변속기를 조합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 변속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어 변속기 필요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피로가 경감되고, 또한 엔진과 동력 전달장치의 사이에 기게적인 연결이 없기 때문에 각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은 등의 장점이 있은, 대신에 상기 자동 변속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지고, 연료 소비량이 기어 변속기의 차에 비해 약 10%정도 증대되며, 차를 밀거나 끌어서 시동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은 D레인지에 변속레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출발하게 되며, 이 때, D레인에지 의한 출발기어는 1단으로부터 시작되게된다. 그러나,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노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1단 구동력에 의한 급출발은 타이어의 슬립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어 위험하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 변속기에는 홀드 모드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홀드 모드는 D레인지에서 사용하는 경우, 차량이 2단에서부터 출발하게 되며, 이러한 2단에서의 구동력은 1단에서의 구동력보다 낮기 때문에, 차량 출발시 훨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홀드 모드의 또 다른 효과로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가 있으며, 대표적인 사용예로서는 D4→3, S3→2, L1→1 등의 시프트 다운과 L레인지에서의 브레이크 클러치의 추가 체결 등이 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D4→3으로 고속 주행시에 엔진 브레이크 효과 및 가속시에 사용하면 효과가 높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홀드 모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가 0에서 25km/h까지는 2단, 25에서 170km/h까지는 3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D레인지로 주행 중에 홀드 모드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대부분 3단으로 변환되게 되며, 이러한 홀드 모드의 해제시에는 3단에서 4단으로의 시프트 없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홀드 모드의 기능 해제시 악셀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는 악셀 개도에 따라 라인압이 조절되기 때문에, 시프팅 쇼크와 클러치 등의 체결요소 내구성에 아무런 무리가 발생되지 않지만,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홀드 모드를 해제시키는 경우, 낮은 라인압에 의해 변속되므로써 시프팅 쇼크가 크게 발생되며, 이러한 쇼크는 특히 저속 영역일수록 크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러한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기능을 개선하여, 홀드 모드의 해제시에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라인압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키므로써 시프팅 쇼크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홀드 모드 작동시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 제어 유니트 2 : 약셀 개도센서
3 : 차속 센서 4 : 홀드 모드 검출센서
5 : 라인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기능을 해제시에 악셀 페달을 밟지 않은 경우에도 라인압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키므로써 변속 쇼크를 저감시키기 위한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악셀의 개도와, 차량의 현재 속도와, 현재 홀드 모드의 상태 및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 제어 유니트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홀드 모드 기능의 해제시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경우에 변속기어가 2단 또는 4단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라인압을 변속기어의 단수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판별 단계에서의 판별 상태가 기준과 다른 경우에는 데이터 입력 상태에서 다시 루프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멍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홀드 모드 기능의 해제시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경우, 기본 라인압(대략 5kgf/cm2)을 저속에서의 홀드 모드 해제시에는 낮추고, 고속에서의 홀드 모드 해제시에는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의 변속 상태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유니트(TCU ; 1)와, 악셀의 개도를 검출하는 악셀 개도 센서(2)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 센서(3)와, 홀드 모드의 기능 상태를 검출하는 홀드 모드 검출 센서(4)를 포함하여, 라인압(5)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된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 내지 4단계에 걸쳐 악셀의 개도와, 차량의 현재 속도와, 현재 홀드 모드의 상태 및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 제어 유니트(1)에 입력시키고, 5단계로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속 상태가 2단 또는 4단으로 변속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이를 확인한 경우에는 6단계에서 홀드 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별하며, 다음으로 7단계에서 악셀을 밟고 있는지를 판별하여, 악셀을 밟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면, 8단계로 라인압을 제어하게한 후, 초기의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5 내지 7단계에서의 판별 상태가 판별 기준과 다른 경우에는 1 내지 4단계의 데이터 입력 상태에서 다시 루프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방법에 의하면, 홀드 모드 기능의 해제시에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라인압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키므로써 라인압 저하에 따른 시프팅 쇼크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기능을 해제시에 악셀 페달을 밟지 않은 경우에도 라인압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키므로써 변속 쇼크를 저감시키기 위한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악셀의 개도와, 차량의 현재 속도와,현재 홀드 모드의 상태 및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 제어 유니트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홀드 모드 기능의 해제시 악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경우에 변속기어가 2단 또는 4단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라인압을 변속 기어의 단수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판별 단계에서의 판별 상태가 기준과 다른 경우에는 데이터 입력 상태에서 다시 루프가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홀드 모드 오프시의 라인압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960068380A 1996-12-20 1996-12-20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KR100361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80A KR100361689B1 (ko) 1996-12-20 1996-12-20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80A KR100361689B1 (ko) 1996-12-20 1996-12-20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650A KR19980049650A (ko) 1998-09-15
KR100361689B1 true KR100361689B1 (ko) 2003-03-06

Family

ID=3749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380A KR100361689B1 (ko) 1996-12-20 1996-12-20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61A (ja) * 1985-10-31 1987-05-16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S62233554A (ja) * 1986-04-03 1987-10-13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396753A (ja) * 1989-09-11 1991-04-22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61A (ja) * 1985-10-31 1987-05-16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S62233554A (ja) * 1986-04-03 1987-10-13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396753A (ja) * 1989-09-11 1991-04-22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65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3057B2 (en) Method used in automatic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shifting into neutral when stopped in first speed
US5218541A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road surface conditions
JP351393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361689B1 (ko)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오프시의라인압제어방법
JP3277959B2 (ja) 自動変速機の係合制御装置
US5797108A (en) Slip detec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mount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JP2003336666A (ja) 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配属されたクラッチのスリップを調整する方法
JPH09210093A (ja) 発進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331704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6383117B1 (en) Damper clutch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200171470Y1 (ko) 자동변속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JPH023775A (ja) 自動車用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0174098B1 (ko) 스노우 모드 자동 절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796778A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H0828696A (ja) 降坂路における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970007998B1 (ko) 자동차의 댐퍼 클러치 제어 시스템
KR19980049657A (ko) 자동변속기의 2단 기어축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123874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757582B2 (ja) 変速装置
KR100397967B1 (ko) 무단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JPH05256325A (ja) クラッチ制御装置
FR2688453A1 (fr) Dispositif d'aide au demarrage des vehicules automobiles, notamment sur sol glissant.
KR0152747B1 (ko) 자동변속기의 홀드모드 자동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12772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642067B2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の発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