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607B1 -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607B1
KR100361607B1 KR1020007002061A KR20007002061A KR100361607B1 KR 100361607 B1 KR100361607 B1 KR 100361607B1 KR 1020007002061 A KR1020007002061 A KR 1020007002061A KR 20007002061 A KR20007002061 A KR 20007002061A KR 100361607 B1 KR100361607 B1 KR 10036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ackage
packages
rig
open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419A (ko
Inventor
그레위토마스칼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2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29C66/4312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for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e.g. transversal seams
    • B29C66/43121Closing the ends of tubular or hollow single articles, e.g. closing the end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2Transmission mechanisms
    • B29C66/8222Pinion or rack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9Packag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 B29C66/94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공급 레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밀봉될 패키지를 수납하기 위한 공급 레인(20)과 정렬되는 밀봉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제 1 패키지(10C)는 공급 레인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되고, 제 1 패키지의 개방 말단은 밀봉 작업을 위해 체결되며 이러한 체결은 제 2 패키지가 공급 레인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되는 최소의 밀봉 시간동안 유지된다. 제 2 패키지(10D)의 개방 말단은 밀봉 작업을 위해 체결되며, 이러한 체결은 후속 패키지가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되는 최소의 소망의 밀봉 시간동안 유지된다. 이러한 단계들은 후속 패키지에 대해 반복될 수도 있다. 수납 위치와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밀봉 리그를 밀봉 작업에 이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THE OPEN ENDS OF A STREAM OF PACKAGES}
대부분의 제품은 소비자 및 기타 최종 사용자에게 발송되기 전에 외부 패키지내에 수납된다. 포장 단계는 통상적으로 제조 공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생산량을 최대화하는데 있어서 제한적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킴이 없이 이러한 포장 단계의 속도 및 효율을 가능한 한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제품은 백, 박스 또는 기타 적절한 사이즈의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패키지내로 삽입된 다음 이러한 저장용기는 밀봉되어 제품을 주변으로부터 격리시킨다. 이러한 저장용기는 각종 유형의 접착제 및/또는 열 밀봉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단중 어떤 것으로도 밀봉될 수가 있다. 열 밀봉은 저장용기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에 접합하는 것(예를 들면, 플라스틱 백의 대향 에지를 서로 열 접합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밀봉 단계는 종종 연속 제조 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밀봉 단계에서는 적절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의 시간 주기동안 압력 및/또는 열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저장용기가 최소의 시간 주기동안 밀봉장치에서 멈추어야 하거나 또는 밀봉장치 자체가 패키지의 흐름과 함께 이동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밀봉 시간은 중요하다. 전자는 제조 공정내에서 제품의 유동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후자는 실행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저귀와 같은 소비재는 가요성 필름(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백을 포함하는 외부 저장용기내에 포장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기저귀는 백의 개방 말단을 통해 삽입되고, 백의 개방 말단의 대향 측면을 내측으로 접은 다음, 백의 개방 말단에 있는 대향된 상부 및 하부 플랩을 서로 끼워서 기저귀의 백을 밀봉한다. 통상적으로, 대향 플랩은 아교 등의 추가의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한쌍의 밀봉 턱이 대향 플랩의 주변에서 폐쇄되어 플랩을 서로 접합시킨다. 이러한 밀봉 턱은 대향 필름 플랩을 서로 접합 또는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열 및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밀봉 턱은 재료의 접합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 전달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의 결합 시간동안 플랩 주변에서 폐쇄되어야 한다. 따라서, 높은 밀봉율을 달성하고 그에 따라 높은 제품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품의 흐름은 종종 백에 넣은 제품을 복수의 밀봉장치로 운반하는 복수의 운반 레인으로 분할된다.
제품의 흐름을 복수의 레인으로 분할하는 것은, 백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밀봉장치까지의 직선 경로가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또 추가의 제어 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단부 플랩의 제어를 상실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그러나, 백 또는 저장용기 내부의 제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단부 플랩의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의 단계를 이용하면 추가 비용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 패키지의 밀봉을 위한 복수의 레인으로 제품의 흐름을 분할하기 위해서는 제조 설비 내부에 추가의 바닥 공간이 필요하다. 변형예로, 밀봉 턱의 짧은 체결 시간을 필요로 하는 접착 특성을 갖는 보다 고가의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장치로의 복수의 공급 레인을 필요로하지 않고 종래의 포장재를 사용할 수도 있는 패키지의 흐름을 밀봉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기 위해 복수의 밀봉 리그를 사용하는 패키지 스트림의 밀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 단계가 시작된 후에 패키지가 그들의 직선 경로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않는 이중 밀봉 리그를 사용한 패키지 흐름을 밀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밀봉 리그가 패키지의 공급 레인과 정렬된 수납 위치와 밀봉 단계를 완성하기 위한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중 밀봉 리그를 사용하는 패키지의 흐름을 밀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적들은 공급 레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복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되, 상기 개방 말단은 소정의 최소 밀봉 시간동안 밀봉 상태로 지지되어야 하는, 밀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 밀봉될 패키지를 수납하기 위한 공급 레인과 정렬된 밀봉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제 1 패키지를 공급 레인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c) 밀봉 작업을 위해 밀봉 스테이션에서 제 1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는 단계와;
(d) 그의 개방 말단을 밀봉하기 위해 최소 밀봉 시간동안 제 1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면서 제 2 패키지를 공급 레인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e) 밀봉 작업을 위해 밀봉 스테이션에서 제 2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는 단계와;
(f) 그의 개방 말단을 밀봉하기 위해 최소 밀봉 시간동안 제 2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면서 후속 패키지를 공급 레인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g) 후속 패키지에 소망되는 경우 상기 (b)-(f) 단계를 반복하여 공급 레인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밀봉 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방법은 밀봉될 패키지를 수납하기 위해 밀봉 스테이션에서 공급 레인과 정렬된 수납 위치와 밀봉 작업을 위해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제 1 밀봉 리그를 번갈아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밀봉 리그가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방법은 밀봉될 패키지를 수납하기 위해 밀봉 스테이션에서 공급 레인과 정렬된 수납 위치와 밀봉 작업을 위해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제 2 밀봉 리그를 번갈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는 공급 레인과 엇갈리게 정렬되는, 이동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절한 밀봉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후속의 패키지를 밀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제 1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중에 제 1 패키지를 공급 레인과의 정렬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제 1 패키지를 내부에 고정시킨 채로 제 1 밀봉 리그를 공급 레인과의 정렬상태로부터 벗어난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밀봉 리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교대로 운동한다. 패키지 또는 그의 내용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패키지의 개방 말단은 패키지가 공급 레인과의 정렬 상태로부터 이동하기 전에 체결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는 리그중 하나를 그의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다른 밀봉 리그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도록 서로 링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 2 밀봉 리그는 제 1 밀봉 리그의 바로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밀봉 리그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대향 결합 턱(welding jaws)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는 단계가 개방 말단 주위에서 턱을 폐쇄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밀봉 리그는 밀봉 리그가 그의 지지 위치로 이동하고 그의 수납 위치로 복귀할 때 패키지를 그 위에 보유하기 위한 패키지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밀봉된 패키지는 밀봉 스테이션으로부터 해제되어야 하며, 밀봉될 후속의 패키지를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는 그것으로부터 밀봉된 패키지의 해제를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a) 공급 레인과 정렬된 밀봉 스테이션과;
(b)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고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밀봉 리그와;
(c) 밀봉 스테이션에서 공급 레인과 정렬된 수납 위치와 공급 레인과 즉시 정렬되지 않고 다른 밀봉 리그를 공급 레인과 정렬시키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각 밀봉 리그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밀봉 리그에 인접한 반복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가 제공되며, 이러한 리그들은 스테이션중 하나가 그의 고정위치에 있는 반면 다른 스테이션은 수납 위치에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는 이 리그들이 서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실제로, 제 2 밀봉 리그의 지지 위치는 공급 레인의 평면 위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 1 밀봉 리그의 지지 위치는 공급 레인의평면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밀봉 리그는 그 위에 패키지를 지지하기 위한 패키지 지지부와 패키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밀봉 기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 쌍의 결합 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패키지의 개방 말단은 개방 말단 주위에서 턱을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 밀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밀봉 리그로부터 배출되는 밀봉된 패키지의 배출 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밀봉 리그의 공급 레인, 배출 레인 및 수납 위치는 서로 정렬되어, 밀봉될 패키지가 공급 레인으로부터 그의 수납 위치에 배치된 밀봉 리그 안으로 운반될 수도 있으며, 밀봉된 패키지는 그의 수납 위치에 배치된 밀봉 리그로부터 배출 레인상으로 방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별하게 강조하고 명백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로 종결되지만,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패키지 밀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패키지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밀봉 리그(sealing rig)를 이용하는 밀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이중 밀봉 리그의 확대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후속 시점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면, 동일 참조번호는 도면들을 통해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며, 도 1은 본 발명의 밀봉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장치는 공급 레인(20)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패키지(10A-F)의 흐름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를 통해, 패키지(10A-F)는 기저귀, 실금 패드 또는 기타 소비재의 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소정의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패키지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저귀 패키지의 밀봉에 제한되지 않는다.
밀봉될 패키지의 열은 다수의 종래의 모든 수단에 의해서도 공급 레인(20)을 따라 전진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푸셔 바(pusher bar)(15)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푸셔 바는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체인 드라이브 또는 다른 전진 수단이 푸셔 바를 소망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푸셔 바는 패키지를 공급 레인(20)을 따라 밀봉 스테이션을 향해 교대로 전진시킨다. 또한, 각 푸셔 바(15)는 내용물을 움직이지 않게 할 뿐만아니라 단부 플랩을 개방되고 조절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각 패키지의 개방 말단 내측에 위치된 단부 플레이트(16)를 구비한다. 그러나, 패키지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다른 수단, 예컨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급 레인(20)을 따라 패키지의 흐름을 전진시키기 위한 푸셔 바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급 레인(20)은 제조 및 패키지 충전 장치의 하류에 위치되므로, 공급 레인(20)을 따라 전진하는 각각의 패키지는 이미 그들의 각각의 제품(들)으로 채워져 있다. 각 패키지의 개방 말단은 이제 밀봉되어야 하므로, 많은 제품에 대해 플랩의 밀봉 이전에 패키지를 가능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동 방향이 변화되면 플랩의 조절이 상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키지를 복수의 밀봉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공급 레인(20)을 분할하면, 패키지의 단부 플랩이 붕괴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기저귀, 실금 패드 및 생리대와 같은 소비재를 포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박막형 가요성 포장재의 경우에 실제로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제품을 수납하는 패키지의 밀봉에 특히 적합하다.
종래의 밀봉장치에 있어서, 패키지의 흐름은 단일의 밀봉장치내로 유입되어 한번에 하나의 패키지를 밀봉시킨다. 패키지가 밀봉장치내에 적절히 위치설정된 후에, 한쌍의 기계식 터커(tuckers)가 개방 말단의 대향 측면을 서로 내측으로 접는다. 그 다음, 한쌍의 결합 턱이 패키지의 상부 및 하부 플랩 주위에서 닫혀서 폐쇄된 단부를 밀봉시킨다. 그러나, 결합 턱은 적절한 밀봉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최소 밀봉 시간동안 닫힌 위치에 남아있어야 한다. 명백하게, 이것은 소정의 밀봉 시간의 사이클이 종료될 때까지 새로운 패키지가 밀봉장치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키지의 밀봉 속도를 감소시킨다. 실제로, 이러한 종래의 단일 밀봉장치 및 방법은 전체의 제조/포장 공정에 있어서 종종 단계의 속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제 1 밀봉 리그의 결합 턱이 필요한 최소 시간의 주기동안 닫힌 위치에 있는 동안 새로운 패키지가 제 2 밀봉 리그내로 도입될 수도 있는 복수의 밀봉 리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결점들을 해결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밀봉 리그는 결합 턱이 닫혀있는 시간 주기(즉, 밀봉 시간)동안에 제품 유동 경로의 외부로 이동한다. 동시에, 밀봉하기 위한 새로운 패키지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새로운 밀봉 리그가 제품 유동 경로내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 및 방법을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패키지(10)의 흐름은 공급 레인(20)을 따라 밀봉 스테이션으로 전진한다. 밀봉 스테이션은 공급 레인(infeed lane)(20)과 상기 공급 레인(20)과 정렬된 배출 레인(outfeed lane)(30) 사이의 영역으로 규정된다. 밀봉될 패키지는 공급 레인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되며, 상기 밀봉 스테이션에서 패키지의 밀봉 작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서 공급 레인(20)의 일부분을 절단 상태로 도시한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가 각각 제공되며, 각각의 이러한 리그는 패키지의 밀봉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밀봉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밀봉 리그는 밀봉 스테이션에서 공급 레인과 정렬된 패키지 수납 위치와 패키지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각각의 밀봉 리그는 그들의 수납 위치와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일제히 이동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밀봉 리그는 그 위에 패키지를 보유하기 위한 패키지 지지부[플랫폼(51, 52)] 및 패키지 밀봉을 위한 밀봉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밀봉 기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대향 결합 턱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합 턱은 패키지를 밀봉하기 위해 패키지의 개방 말단 주위를 폐쇄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결합 턱은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단부 플랩을 밀봉하기 위해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다른 유형의 밀봉 기구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대향 결합 턱의 사용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초음파, 극초단파 또는 기계식 주름장치를 사용하여 플랩을 밀봉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밀봉 리그(41)는 패키지 지지 플랫폼(51) 뿐아니라 상부 및 하부 결합 턱(61A, 61B)을 각각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밀봉 리그(42)는 지지 플랫폼(52)과, 상부 및 하부 결합 턱(62A, 62B)을 포함한다. 두 세트의 결합 턱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턱(61A, 61B)은 폐쇄된 작동 위치에 있는 반면, 결합 턱(62A, 62B)은 개방 위치에 있다. 도 3에 있어서, 결합 턱(61A, 61B)은 개방 위치에 있는 반면, 결합 턱(62A, 62B)은 폐쇄 위치에 있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결합 턱의 이동은 래크와 피니언 구동 시스템, 에어 실린더 또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종래의 수단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풀리 휠(74)이 각 쌍의 결합 턱의 각 측면에 제공된다. 그 다음, 체인(64)이 각 쌍의 인접 풀리 휠 둘레에 감기고, 풀리 휠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 또는 기타 수단이 제공된다. 서보 모터 뿐만아니라 체인에 결합되는 풀리 휠상의 치(teeth)는 명확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그 다음, 각각의 결합 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64)의 양 측면에 고정됨으로써, 풀리 휠(74)이 회전할 때 밀봉 턱은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턱(61A, 61B)과 관련된 풀리 휠(7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결합 턱은 서로를 향해(즉, 폐쇄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 결합 턱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다른 대체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시된 기구는 단지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의 개방 말단의 주름진 폐쇄를 제공하기 위해서, 한쌍의 기계식 터커가 제공되어 있다. 한쌍의 터커는 각 밀봉 리그마다 제공될 수도 있지만, 도 2의 실시예에는 단 한 세트의 고정 터커(66)만이 제공되어 있다. 패키지의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서, 패키지의 개방 말단은 밀봉 리그의 개방된 결합 턱 사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패키지(10D)의 개방 말단은 도 2에서 결합 턱(61A, 61B) 사이에 위치된다. 각 푸셔 바(15)의 단부 플레이드(16)는 백(10D)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리그에 위치되기 전에 백의 단부(즉, 단부 플랩)가 붕괴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기계식 터커(66)는 후퇴 위치(도 2에 도시됨)와 전진 위치 사이에서 각각 이동가능하며, 전진 위치에서 각 터커의 삼각형 헤드는 백의 개방 말단의 대향 측면을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접을 것이다. 일단 측면들이 내측으로 접히면 결합 턱(61A, 61B)은 폐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단부 플랩(11)을 서로 접촉시킨다. 도 2에 있어서, 결합 턱(62A, 62B)은 패키지(10C)의 단부 플랩 주위의 폐쇄된 위치에 있다. 도시된 터커의 삼각형 헤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터커는 결합 턱(61A, 61B)이 플랩(11, 12) 주위에서 폐쇄됨에 따라 그들의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결합 턱이 폐쇄되면, 그들은 플랩을 서로 적절히 밀봉하기 위해서 소정의 최소 시간 주기동안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패키지의 단부 플랩에 감압형 접착제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열밀봉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 턱은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서, 결합 턱이 단부 플랩 주위에서 폐쇄될 때, 결합 턱에 의해 제공되는 열(및 턱으로부터의 압력)은 단부 플랩을 열 밀봉성 재료로 서로 밀봉할 것이다. 열 밀봉성 재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백의 개방 말단(또는 적어도 단부 플랩)은 결합 턱의 온도 이하의 융점을 갖는 적절한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예로, 열 밀봉성 재료의 스트립 또는 다른 분리 영역을 단부 플랩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아교 등의 종래의 접착제와 함께 열 밀봉을 사용하여 더욱 강한 시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는, 종래의 접착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공정으로 돌아가서, 제 1 밀봉 리그(41)는 공급 레인(20)과 정렬된 밀봉 스테이션에서 패키지 수납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밀봉 리그(42)는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패키지(10C)를 지지한 상태]에 배치된다. 밀봉될 패키지(10D)는 제 1 밀봉 리그(41)의 지지 플랫폼(51)상에 위치된다. 밀봉 리그가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 턱은 개방되고 터커가 후퇴함으로써, 패키지를 밀봉시키도록 위치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지가 공급 레인(20)에서 배출되고 지지 플랫폼상에 지지될 때까지 개방된 결합 턱 사이를 통과한다. 패키지는 패키지의 개방 말단이 개방된 결합 턱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 플랫폼상에 위치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렬은 공급 레인(20)을 따르는 패키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수단중 어떤 것에 의해서도 확보될 수 있다. 변형예로(또는 선택적으로), 멈춤부(stop)를 지지 플랫폼상에 배치하여 패키지가 소정의 예정된 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패키지(10D)가 지지 플랫폼(51)상에 적절히 위치된 후에, 패키지의 개방 말단은 밀봉 작업을 위해 체결된다. 따라서, 터커(66)가 뻗어서 측면에 주름을 잡으며, 그 다음 결합 턱(61A, 61B)은 상부 및 하부 단부 플랩(도 2에서 11, 12) 주위에서 폐쇄되어 밀봉을 개시한다. 이 시점에서, 결합 턱은 단부 플랩을 밀봉할 뿐만아니라 패키지 및 그 내용물을 지지 플랫폼(51)상에 보유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제 1 밀봉 리그(41)는 패키지(10D)의 내용물이 움직이는 위험이 없이 이동할 수도 있다. 결합 턱(61A, 61B)이 단부 플랩 주위에서 폐쇄된 후에(즉,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한 후에), 밀봉 리그(41)는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도 3에 도시됨)로 이동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밀봉 리그(41)는 공급 레인(20)의 평면에 대해 하향으로 이동한다. 밀봉 리그는 수직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밀봉 리그(41)는 공급 레인(20)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공급 레인(20)의 좌 우로 또는 심지어 순환 형태로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리그(41)는 공급 레인과의 정렬상태로부터 벗어나서 제품 유동 경로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밀봉될 후속 패키지의 수납을 위한 제 2 밀봉 리그(42)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 위에 패키지(10D)를 지지하고 있는 밀봉 리그(41)는 소정의 시간 주기동안 패키지 지지 위치에 머무르면서 밀봉된 단부의 체결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형태로, 패키지의 개방 말단의 적절한 밀봉이 달성된다. 밀봉 공정은 결합 턱이 폐쇄되자마자 시작되어야 하지만, 밀봉 리그(41)는 적절한 밀봉에 필요한 전체 시간동안 그의 지지 위치에 머무를 필요는 없다. 결합 턱이 단부 플랩 주위에 폐쇄된 상태로 남아 있는 전체의 시간 주기는 결정적 요인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방법 및 장치와는 달리, 밀봉 리그(41)가 밀봉 스테이션으로부터 패키지 지지 위치(도 3)를 향해 멀리 이동함에 따라, 제 2 밀봉 리그(42)는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밀봉 리그(42)는 밀봉 스테이션에서 공급 레인(20)과 정렬된 패키지 수납 위치로 이동한다. 밀봉될 패키지(10E)는 패키지(10D)에 대해 전술한 방식으로 공급 레인(20)으로부터 지지 플랫폼(52)상으로 전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패키지(10E)의 개방 말단은 제 2 밀봉 리그(42)의 개방된 결합 턱(62A, 62B) 사이에 위치된다. 그 다음, 터커(66)가 뻗어서 개방 말단의 측면에 주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결합 턱(62A, 62B)은 패키지(10D)의 단부 플랩 주위를 폐쇄하여 밀봉 공정을 개시할 수도 있다. 결합 턱(62A, 62B)이 단부 플랩 주위에서 폐쇄되면, 제 2 밀봉 리그(42)가 도 1에 도시된 패키지 지지 위치로 복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밀봉 리그(42)의 패키지 지지 위치는 공급 레인(20)의 평면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또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제 2 밀봉 리그(42)가 제품 유동 경로[공급 레인(20) 및 배출 레인(30)에 의해 규정됨]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그에 따라 밀봉 리그(42)가 측면 방향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또는 순환 형태로[즉, 페리스 대회전(ferris-wheel)운동과 유사함] 이동할 수도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제 2 밀봉 리그(42)가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밀봉 리그(41)는 밀봉 스테이션에서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로 복귀되고, 결합 턱이 개방되며, (밀봉된) 패키지(10D)는 밀봉 스테이션으로부터 해제되고 배출 레인(30)을 거쳐 배출된다. 그 다음, 밀봉될 새로운 패키지(10F)가 지지 플랫폼(51)상에 배치된다. 전체의 공정은 본 발명의 밀봉 장치에 진입하는 패키지의 흐름을 밀봉하기 위해 연속적 형태로 반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단계의 타이밍은, 결합 턱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최소의 시간 주기동안 개방 말단(즉, 단부 플랩) 주위에서 폐쇄 상태로 유지되고, 그것에 의해 패키지에 동일한 시일을 제공한다. 패키지 지지 단계는 제품 흐름의 유동 경로의 외부에서 수행되지만, 패키지의 전체 유동 속도는 상당히 개선된다. 종래의 밀봉 장치에 의하면, 밀봉 단계의 지속기간중에 단일의 밀봉 장치가 구속되어 있으므로, 밀봉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는 추가의 패키지를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시간이 소모되는 밀봉 공정중에 제 2 밀봉 리그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신규한 방법 및 장치는 또한 제작소의 바닥 공간이 적게 필요하므로 공급 레인의 분할 전반이 개선된다. 따라서, 제품의 처리량이 상당히 증가됨과 아울러 패키지의 완전함을 유지할 수 있고 또 필요한 바닥 공간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결합 턱이 패키지의 단부 플랩 주위에서 폐쇄되는 실제 시간은 변화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의 실험은 처리량이 40% 또는 그 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밀봉된 패키지는 임의의 다수의 수단에 의해 강제 배출 레인(30)상으로 강제 배출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가 밀봉되고 결합 턱이 개방된 후에, 공급 레인(20)으로부터 밀봉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후속의 패키지가 밀봉된 패키지를 지지 플랫폼으로부터 배출 레인(30)상으로 단순히 밀어낼 것이다. 따라서, 밀봉 리그가 밀봉 스테이션에서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각 밀봉 리그의 지지 플랫폼은 배출 레인(30)과 정렬되어야 한다. 이것은 도 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서 제 1 밀봉 리그(41)는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에 존재한다. 패키지(10D)는 공급 레인(20)으로부터 지지 플랫폼(52)상으로 강제 배출된다. 패키지(10D)가 지지 플랫폼(52)상으로 강제 배출됨에 따라, 그것은 이미 밀봉된 패키지(10B)를 배출 레인(30)상으로 밀어낸다. 그러나, 밀봉된 패키지를 제거하기 위한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플랫폼이 배출 레인(30)쪽으로 기울어져서 밀봉된 패키지를 지지 플랫폼에서 배출 레인(30)상으로 활주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로부터 배출 레인(30)을 따라 제거되는 밀봉된 패키지(도 1에서 10B 및 10C)는 밀봉된 패키지를 큰 운반용 저장용기내에 선적하는 것과 같은 후속 처리 단계로 운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레인(30)을 따르는 패키지의 이동은 다수의 공지된 종래의 수단중 어떤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배출 레인(30)은 이동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푸셔 아암을 다시 사용하여 소망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실행할 수도 있다.
패키지 수납 위치와 패키지 지지 위치 사이에서의 각 밀봉 리그의 이동은 다수의 공지된 수단중 어떤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대체로 참조번호(13)로 도시된 반복 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밀봉 리그 중 하나의 운동이 다른 하나의 운동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양자의 밀봉 리그는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며, 그들 각각의 이동은 제한되어 각각의 밀봉 리그가 패키지 수납 위치와 패키지 지지 위치 사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밀봉 리그의 수납 위치는 동일하며, 밀봉 스테이션에서 공급 레인(20) 및 배출 레인(30) 양자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공급 레인(20), 수납 위치에서의 밀봉 리그의 지지 플랫폼 및 배출 레인(30)은 패키지의 유동 경로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의 직선의 수평 이동 선이 유지될 수 있으며, 결합 턱이 패키지의 단부 플랩 주위에서 확고히 폐쇄되는 경우에만, 패키지는 이러한 경로로부터 벗어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복 기구(13)는 2개의 밀봉 리그의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좌 우 프레임 부재(71, 171)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 부재는 내부 슬롯(73, 173)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슬롯 내부에서 밀봉 리그가 각각 이동할 수도 있다. 풀리 휠(74)이 각 밀봉 리그상에 제공되며, 상기 풀리 휠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73, 173) 내부에 위치된 페그(peg) 또는 기타 연장부를 각각 구비한다. 페그(75)는 밀봉 리그가 프레임 부재 사이의 적절한 이동 라인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는 연결 아암(7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결합 아암(70)은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단순히 양측 밀봉 리그에 고정된 강성 빔일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아암(70)은 피니언 기어(68)와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의 동시 운동은 피니언 기어(68)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활한 양방향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서보 모터를 사용하지만, 이를 위해 다른 유형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의 연결 뿐만아니라 래크와 피니언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서, 단일의 서보 모터가 단일의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켜 양측 밀봉 리그의 필요한 운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래크와 피니언의 구동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체인 드라이브, 스크류 드라이브, 또는 벨트 드라이브를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전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구이다.
사용되는 구동 기구의 유형에 관계 없이,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는 제품 유동 경로[즉, 공급 레인(20)과 배출 레인(30)에 의해 규정된 유동 경로]에 거의 수직인 수직면에서 이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73, 173)은 운동 범위를 규정하며, 2개의 정지(dwell) 위치만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제 2 밀봉 리그(42)상의 최상측 페그(75)는 슬롯(71, 171)의 상부면(80, 180)에 각각 접촉한다. 이 상부면(80, 180)은 추가의 상향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이제 제 1 밀봉 리그(41)는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에 존재하고 또 제 2 밀봉 리그(42)는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에 존재하는 상부 정지 위치를 제공한다. 도 3에 있어서, 제 1 밀봉 리그(41)상의 최하측 페그(75)는 슬롯(71, 171)의 하부면(81, 181)에 각각 접촉한다. 하부면(81, 181)은 밀봉 리그의 추가의 하향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제 1 밀봉 리그(41)는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에 존재하고 또 제 2 밀봉 리그(42)는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에 존재하는 하부 정지 위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를 포함하는 전체의 밀봉 장치는 상부 정지 위치와 하부 정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밀봉장치가 양측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 하나의 밀봉 리그는 밀봉 스테이션에서 그의 패키지 수납 위치에 위치하고 다른 밀봉 리그는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양측 세트의 결합 턱이 패키지의 개방 말단 주위에서 확고히 폐쇄된 후에 2개의 정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만이 발생된다.
밀봉장치가 2개의 정지 위치중 하나에서 머무르는 시간 주기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적절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길이, 공급 레인을 따라 운반되는 후속 패키지들 사이의 시간의 길이, 밀봉 리그를 하나의 정지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길이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실제로, 정지 시간 및 그에 따른 밀봉 리그가 그의 패키지 지지 위치에 위치하는 시간은 매우 짧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시간은 단지 밀봉 리그로부터 밀봉된 패키지를 배출하고 후속 패키지로 대체하기에 충분한 정도이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의 밀봉 리그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어떠한 수의 밀봉 리그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3개의 밀봉 리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밀봉 리그는 하나의 수납 위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밀봉 리그 중 하나가 그의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나머지 2개의 리그는 밀봉 공정을 완성하기 위한 지지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반복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3개의 정지 위치가 필요할 것이다. 변형예로, 또한 복수의 밀봉 리그를 "페리스 대회전"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각 밀봉 리그는 밀봉 스테이션의 하나의 수납 위치와 하나 이상의 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 위치의 수가 밀봉 리그의 수와 다시 한번 일치할 것이고, 각 리그는 그의 수납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완전한 순환으로 진행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은 가능한 본 발명의 변화의 전부는 결코 아니므로, 도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시하였다. 당업자는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명확한 수정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밀봉 리그는 수직방향 이외의 수평(또는 측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래크와 피니언 시스템 이외에 밀봉 리그에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패키지는 한쌍의 결합 턱 이외의 기구로 밀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도록 의도하는 바이다.

Claims (10)

  1. 공급 레인(20)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방 말단은 최소의 밀봉 시간동안 밀봉 상태로 지지되어야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밀봉될 패키지(10A-10F)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공급 레인(20)과 정렬된 밀봉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제 1 패키지(10C)를 상기 공급 레인(20)으로부터 상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c) 밀봉 작업을 위해 상기 밀봉 스테이션에서 상기 제 1 패키지(10C)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는 단계와;
    (d) 최소의 밀봉 시간동안 상기 제 1 패키지의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개방 말단을 밀봉함과 동시에 제 2 패키지(10D)를 상기 공급 레인(20)으로부터 상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e) 밀봉 작업을 위해 상기 밀봉 스테이션에서 상기 제 2 패키지(10D)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는 단계와;
    (f) 상기 최소의 밀봉 시간동안 상기 제 2 패키지(10D)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개방 말단을 밀봉함과 동시에 후속 패키지(10E)를 상기 공급 레인(20)으로부터 상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g) 후속의 패키지에 소망되는 경우 상기 단계 (b) 내지 (f)를 반복하여 상기 공급 레인(20)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밀봉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될 패키지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밀봉 스테이션에서 상기 공급 레인(20)과 정렬된 수납 위치와 밀봉 작업을 위해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제 1 밀봉 리그(41)를 번갈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밀봉될 패키지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밀봉 스테이션에서 상기 공급 레인(20)과 정렬된 수납 위치와 밀봉 작업을 위해 패키지의 체결을 유지하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제 2 밀봉 리그(42)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는 상기 공급 레인(20)과 교대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된 패키지를 상기 밀봉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밀봉될 후속 패키지(10E)를 상기 밀봉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것은 그로부터 밀봉된 패키지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밀봉 리그중 하나를 그의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밀봉 리그 중 다른 하나를 그의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밀봉 리그(41, 4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한쌍의 대향 결합 턱(61A-61B, 62A-62B)을 포함하며,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개방 말단 주위에서 상기 턱(61A-61B, 62A-62B)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
  7. 공급 레인(20)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다수의 패키지(10A-10F)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공급 레인과 정렬된 밀봉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 스테이션에 제공되는 것으로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체결하고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밀봉 리그(41, 42)와;
    밀봉 스테이션에서 상기 공급 레인(20)과 정렬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공급 레인(20)과 직접 정렬되지 않고 다른 밀봉 리그를 상기 공급 레인(20)과 정렬시키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각각의 밀봉 리그(41, 42)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반복 기구(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리그(41, 42)는 상기 밀봉 스테이션중 하나가 지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 스테이션중 다른 하나는 수납 위치에 위치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밀봉 리그(41, 42)는 패키지를 그 위에 지지하기 위한 패키지 지지부(51, 52)와, 상기 패키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밀봉 리그(41, 42)는 서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밀봉 리그(42)의 지지 위치는 상기 공급 레인(20)의 평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밀봉 리그(41)의 지지 위치는 상기 공급 레인(20)의 평면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장치.
KR1020007002061A 1997-09-02 1998-08-27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및 장치 KR100361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21,681 US5860270A (en) 1997-09-02 1997-09-02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ackages
US08/921,681 1997-09-02
PCT/US1998/017752 WO1999011522A1 (en) 1997-09-02 1998-08-27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the open ends of a stream of pack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419A KR20010023419A (ko) 2001-03-26
KR100361607B1 true KR100361607B1 (ko) 2002-11-23

Family

ID=2544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061A KR100361607B1 (ko) 1997-09-02 1998-08-27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60270A (ko)
EP (1) EP1007413B1 (ko)
JP (1) JP4201976B2 (ko)
KR (1) KR100361607B1 (ko)
CN (1) CN1271318A (ko)
AT (1) ATE216674T1 (ko)
AU (1) AU729368B2 (ko)
BR (1) BR9811752A (ko)
CA (1) CA2302314C (ko)
DE (1) DE69805083T2 (ko)
ES (1) ES2172917T3 (ko)
WO (1) WO1999011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2676B4 (de) * 1999-05-18 2005-02-24 Mars, Inc. Verwendung einer Greifereinrichtung zum reihenweisen Erfassen von Beutelverpackungen
US6629400B1 (en) 2000-01-07 2003-10-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packages
EP1231148A1 (en) 2001-02-09 2002-08-14 Fameccanica.Data S.p.A. A process and device for packaging products
US6789963B2 (en) * 2002-07-31 2004-09-14 Sharp Packaging Systems, Inc. Continuous strip bag feeder and loader with pivotable integrated printer assembly
DE102004047207A1 (de) * 2004-09-29 2006-03-30 Rovema Verpackungs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Schweißbacke
ITBO20050167A1 (it) * 2005-03-17 2005-06-16 Gd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il confezionamento di pacchetti per articoli da fumo
CN101830295B (zh) * 2010-05-03 2012-03-21 杨承然 纸币预裹机
CN103419968A (zh) * 2013-02-27 2013-12-04 安庆市恒昌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包装设备上的折边定位装置
CN103407625A (zh) * 2013-08-12 2013-11-27 苏州市盛百威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包装机的横封链条驱动封切装置
CN104176326B (zh) * 2014-08-15 2017-01-25 江苏申凯包装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折边收卷机的烫封装置
CN105366111A (zh) * 2015-11-09 2016-03-02 深圳市格瑞汉兰科技有限公司 打包设备及打包方法
US10882651B2 (en) * 2016-06-20 2021-01-05 LEADRUN PACKAGING TECHNOLOGY Co., Ltd. Sealing device
KR102337613B1 (ko) * 2019-09-03 2021-12-08 박종복 수평식 밴딩장치
CN110422369B (zh) * 2019-09-06 2021-07-16 福建省全味食品有限公司 一种坚果包装用折边封尾机
WO2021249339A1 (zh) * 2020-06-09 2021-12-16 追觅科技(上海)有限公司 热熔、熔断、发热座、收口打包机构、灭菌装置及智能垃圾桶
EP3945038B1 (en) * 2020-07-28 2023-11-29 Packaging Automation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ckaging apparatus
US20230242293A1 (en) * 2020-07-28 2023-08-03 Packaging Automation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ckaging apparatus
DE102022112561A1 (de) * 2022-05-19 2023-11-23 Focke & Co.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Beuteln für (Hygiene-)Produkt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5257A (en) * 1966-12-05 1969-10-28 Riegel Paper Corp Heat sealing mechanism
US3552736A (en) * 1968-11-18 1971-01-05 Kimberly Clark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disposable diapers
US3685818A (en) * 1970-04-06 1972-08-22 Kimberly Clark Co Machine for making diapers
US3719021A (en) * 1971-02-11 1973-03-06 New Jersey Machine Corp Packaging machine
SE355002B (ko) * 1971-11-22 1973-04-02 Sunds Ab
US4109792A (en) * 1973-04-04 1978-08-29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packaging and product made thereby
US3954165A (en) * 1973-07-12 1976-05-04 R. C. H. Tool Corporation Automatic collating machine
US3961697A (en) * 1974-03-20 1976-06-08 R. A. Jones & Company Inc. Apparatus for shingling and packing of articles
US4018432A (en) * 1975-11-20 1977-04-1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folder and stacker mechanism
US4106260A (en) * 1976-09-29 1978-08-15 Hanes Corporation Article folding and packaging system
US4074508A (en) * 1976-12-21 1978-02-21 Riegel Textile Corporation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ban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articles
US4141193A (en) * 1977-07-12 1979-02-27 Joa Curt G Horizontal diaper grouper
CH632203A5 (de) * 1978-08-22 1982-09-30 Sig Schweiz Industrieges Einrichtung zur konstanthaltung des gewichtes von stapelpackungen.
DK144555C (da) * 1978-10-26 1982-11-01 Gram Broedrene A S Fremgangsmaade til brug ved emballering af genstande i et antal emballagematerialebaner og apparat til brug ved udoevelse affremgangsmaaden
US4370844A (en) * 1979-03-12 1983-02-01 O. G. Hoyer A/S Packaging apparatus
US4307800A (en) * 1979-12-03 1981-12-29 Joa Curt G Apparatus for alternating the folded and open edges of a succession of folded pads
US4374559A (en) * 1980-03-12 1983-02-22 Baker Perkins Holdings Ltd.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US4325475A (en) * 1980-05-21 1982-04-2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US4394898A (en) * 1981-04-23 1983-07-2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lanced stacks of diapers
US4399905A (en) * 1981-07-02 1983-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alternately forming and forwarding stacks of articles
CH660161A5 (de) * 1983-05-31 1987-03-31 Ilapak Res & Dev Sa Schlauchbeutelmaschine mit verschliesswerkzeugen.
US4650173A (en) * 1984-07-13 1987-03-17 Paper Converting Machine Co. Method of operating a diaper producing machine and apparatus
SE451261B (sv) * 1986-01-08 1987-09-21 Mo Och Domsjoe Ab Anordning for att dubbelvika en flexibel produkt
DE3837709A1 (de) * 1988-11-07 1990-05-10 Rovema Gmbh Schlauchbeutelmaschine
US4870802A (en) * 1988-11-09 1989-10-03 Polycerf, Inc. Machines and methods for doubling the capacity of packaging machines
DE3940296A1 (de) * 1989-06-24 1991-01-10 Focke & Co Produktionsanlage fuer die herstellung von grosseinheiten in der form von kartonierten gebinden aus gruppen von kleinpackungen von papiertaschentuechern
IT1230171B (it) * 1989-06-30 1991-10-14 Meccanizzazione Postale E Auto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effettuare la chiusura di involucri per il confezionamento di articoli.
US5081823A (en) * 1990-07-23 1992-01-21 Ent Hans V D Multiple article stacking and packaging apparatus
US5218813A (en) * 1991-04-24 1993-06-15 Graphic Management Associates, Inc. Bundling device and method
IT1251485B (it) * 1991-09-17 1995-05-15 Sagitta Off Mec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ripiegatura e l'incollaggio periferico dei bordi di un materiale in foglio e simili
DE4204987C2 (de) * 1992-02-19 1995-04-13 Natec Reich Summer Gmbh Co Kg Vorrichtung zum Schneiden und Abstapeln von scheibenförmigen Einzelpackungen
US5220771A (en) * 1992-04-14 1993-06-22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Tetrahedron volume control
US5507134A (en) * 1992-07-21 1996-04-16 Ishida Co., Ltd. Package rectifying apparatus
NL9300442A (nl) * 1993-03-11 1994-10-03 Kloeckner Haensel Tevopharm Stapelinrichting.
US5271210A (en) * 1993-03-12 1993-12-21 Ossid Corporation Packaging machine with reciprocat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11522A1 (en) 1999-03-11
AU9206698A (en) 1999-03-22
DE69805083T2 (de) 2002-11-28
AU729368B2 (en) 2001-02-01
ES2172917T3 (es) 2002-10-01
US5860270A (en) 1999-01-19
BR9811752A (pt) 2000-08-29
JP4201976B2 (ja) 2008-12-24
ATE216674T1 (de) 2002-05-15
EP1007413B1 (en) 2002-04-24
CN1271318A (zh) 2000-10-25
CA2302314C (en) 2005-05-17
EP1007413A1 (en) 2000-06-14
KR20010023419A (ko) 2001-03-26
DE69805083D1 (de) 2002-05-29
CA2302314A1 (en) 1999-03-11
JP2001514134A (ja)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607B1 (ko) 다수의 패키지의 개방 말단을 연속적으로 밀봉하는 방법및 장치
JP5094711B2 (ja) 流動食品の包装機械用の折曲げユニット
RU24452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уппирования упаковок вдоль траектории перемещения
US4560090A (en) Bag-in-box package
JP6092884B2 (ja) 注入可能食品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折曲げユニットおよび方法
JP6194317B2 (ja) 物品処理ユニット用の、特に注入可能食品の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折曲げユニット用のコンベヤ
US49189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bag-in-carton
JPH07500299A (ja) 包装機械
US4386923A (en) Method for fabricating bag-in-box package
US20050079965A1 (en) Container forming machine
CA1236392A (en) Tray carton end panel folding and sealing assembly
CN103459253A (zh) 产品、特别是巧克力块等的包装方法及实施该方法的设备
FI84457C (fi) Vikningsmekanism foer dammflik foer anvaendning vid utformning av baerfoerpackningar av omslagstyp.
HU212397B (en) Apparatus for filling and closing packages for packing liquids
JPS6160406A (ja) パツク製造機械
US4484431A (en) Apparatus for erecting, filling and sealing bag-in-box packages
JP2002179013A (ja) たばこ加工産業における製品のパッケージを包装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4505694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a bag-in-box package
EP0325638B1 (en) Tray carton end flap auxiliary sealer
US3123960A (en) Apparatus for preparing
KR200444565Y1 (ko) 포장 카톤의 내향 꺾음부 접기장치
MXPA000021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the open ends of a stream of packages
US3762131A (en) Packaging machine
WO2005044700A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container forming machine
JP2004051107A (ja) フラップ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