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86B1 - 윤곽보정회로와 윤곽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윤곽보정회로와 윤곽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86B1
KR100361386B1 KR1019997011259A KR19997011259A KR100361386B1 KR 100361386 B1 KR100361386 B1 KR 100361386B1 KR 1019997011259 A KR1019997011259 A KR 1019997011259A KR 19997011259 A KR19997011259 A KR 19997011259A KR 100361386 B1 KR100361386 B1 KR 10036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control signal
contour correction
g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3267A (ko
Inventor
타케타니노부오
카게야마아쯔히사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윤곽보정회로는 입력비디오신호를 딜레이하는 딜레이회로와, 입력비디오신호에서 윤곽보정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정된 파형발생회로와,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을 제어하는 가변증폭기와, 이 가변증폭기에서 게인을 제어하는 게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윤곽제어회로와, 증폭기의 출력에 딜레이회로의 출력신호를 가산하는 제 1 가산회로를 포함한다.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 진폭변화가 임의의 레벨이상이면 윤곽의 더 작은 양이 더 큰 진폭변화에서 보정된다. 그러므로 높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와 낮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가 인접하고 있더라도 바람직한 윤곽보정이 각각의 신호성분에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윤곽보정회로와 윤곽보정방법{CIRCUIT AND METHOD FOR CONTOUR CORRECTION}
시장에서 텔레비젼 수상기(TV)의 진보에 따라서, 더 선명한 화면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이 촉진되었다. 최근에 TV의 스크린은 점점 더 커지고, 이 기술, 즉, 스크린상의 재생 화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되었다. 또한, TV에 도입된 디지털기술은 정확한 시간제어 뿐 아니라 화질상의 미세제어를 허용해서 더 선명하고 깨끗한 화면이 요구되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종래의 윤곽보정회로를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윤곽보정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회로의 작동 개념을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는 비디오입력신호(200)를 2회 미분함으로써 윤곽보정파형(205)을 발생시킨다. 가변증폭기(2)는 발생기(1)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화질콘트롤러에 의해 결정된 제어신호(210)의 사이즈에 응답하여 윤곽보정신호(215)의 진폭을 제어한다. 화질콘트롤러(3)는 증폭기(2)의 게인을 결정한다. 딜레이회로(4)는 비디오입력신호(200)와 증폭기(2)로부터 분기된 윤곽보정신호(215)를 동기화시킨다. 가산회로(5)는 윤곽보정신호(215)에 딜레이회로(4)에서 분기된 딜레이비디오입력신호(220)를 가산해서 선명한 비디오출력신호(225)를 제공한다. 이후에 상기 논의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는 입력비디오신호(200)를 수신한다.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신호(200)는 발생기(1)에서 2회 미분되어 윤곽보정된 파형(205)을 발생시킨다. 가변증폭기(2)는 화질콘트롤러(3)에 의해서 결정된 제어신호(210)의 사이즈에 응답해서 보정된 파형(205)을 증폭시킨다. 그래서 보정된 신호(215)는 증폭기(2)로부터 공급된다. 딜레이회로(4)는 발생기(1)와 증폭기(2)에 의해서 딜레이된 신호(215)와 동기화되는 입력비디오신호를 딜레이시킨다. 가산회로(5)는 윤곽보정신호(215)에 딜레이회로(4)에서 분기된 딜레이비디오입력신호(220)를 가산해서, 윤곽보정에 기인한 선명도를 가진 비디오출력신호(225)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논의된 회로구조에 있어서, 일단, 화질콘트롤러가 어떤 레벨에서 제어전압을 결정하면, 윤곽보정량은 어떤 입력비디오신호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텅빈 화면의 경우, 예를 들면 화면이 푸른색만을 표시하면, 노이즈가 똑똑히 보인다.
이 문제점을 처리하기 위하여, 검출된 양에 대해서 윤곽보정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검출된 양은 전체 화면중의 미세부분, 예를 들면 전체 화면의 론(lawn)부분에 상당하고, 이 론부분은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 상당하는 미소의 진폭변화를 가진다.
일본국 특허 제 2,532,605호는 종래의 윤곽보정회로를 도시하는 도 5와 도 6에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시사한다.
입력비디오신호(200)는 딜레이회로(4), 제 1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1), 제 2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2)와 하이패스필터(15)에 병렬로 공급된다. 딜레이회로(4)는 회로시스템의 딜레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입력비디오신호(200)의 시기를 조정하고, 가산회로(10)에 최종 딜레이된 비디오신호(200)를 출력한다.
제 1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1)는 높은 콘트라스트비, 즉, 신호(200)의 뚜렷한 에지부에 상당하는 큰 변화의 진폭을 가진 신호에 관해서, 윤곽강조신호(230)를 발생시키고, 제 1 가변증폭기(13)에 신호(230)를 공급한다. 입력비디오신호(200)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은 너무 작아서 신호(23)에 의해서 이송되지 않는다. 증폭기(13)는 콘트롤러(3)에 의해서 결정된 전압에 응답해서 신호(230)의 진폭을 제어하고, 증폭된 윤곽강조신호(240)로서 가산회로(10)에 결과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2)는 신호(200)로부터 작은 진폭부분에 관해서 미세윤곽강조신호(235)를 발생시키고, 제 2 가변증폭기(14)로 전송한다.
증폭기(14)는 평활 회로(21)와 콘트롤러(3)로부터의 출력전압의 합에 응답하여 강조신호(235)의 진폭을 제어한다. 가산회로(10)는 신호(220)에 신호(240)와 신호(245)를 가산하고, 다음에 윤곽보정처리를 실행한 비디오신호(225)를 출력한다.
제 2 가변증폭기(14)의 게인을 제어하는 미세부분제어전압(280)을 얻기 위한 방법은 이후에 설명된다.
첫째로, 하이패스필터(15)는 입력비디오신호(200)에서 고주파부분을 추출해서 하이밴드비디오신호(250)를 형성한다.
둘째로, 풀웨이브정류회로(16)는 하이밴드비디오신호(250)를 정류해서 정류된 하이밴드비디오신호(225)를 형성한다. 제 1 클리핑회로(17)는 신호(225)에서 희미한 신호를 제거해서 클리핑되고 정류된 하이밴드비디오신호(260)를 얻는다.
다음에 신호(260)는 제한회로(18)와 제 2 클리핑회로(19) 각각에 전송된다. 제한회로(18)는 미세신호만을 추출해서 미세부분비디오신호(265)를 형성한다.
제 2 클리핑회로(19)는, 높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에지부분을 추출해서, 윤곽비디오신호(270)를 얻는다. 미세부분비디오신호(265)는 엄격한 의미에서 미세부분이외의 윤곽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감산회로(20)는 정확한 미세부분신호성분을 얻기 위해 신호(265)에서 신호(270)를 감산하고, 다음에 미세제어펄스신호(275)를 출력한다.
평활회로(21)는 신호(275)를 평활하여 미세부분의 양에 응답해서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전압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미세부분을 가진 화면에서 저하된다. 이 전압은 미세부분강조신호(235)의 진폭을 제어하기 때문에 미세부분은 많이 강조되지 않고,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반대로, 화면이 상대적으로 더 큰 미세부분신호를 가지면, 미세부분은 상당히 강조되어 화면이 선명하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회로구조는 아직도 다음의 문제점을 가진다.
평활회로에 의해 평균화된 미세부분제어전압(280)은 제 2 가변증폭기(14)의 게인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입력비디오신호(200)와 같이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가 진폭이 조금 변화하는 흐린 에지부분에 상당하는 신호와 같이 낮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에 근접하면, 미세부분제어전압(280)은 그 평균값에서만 보정된다. 따라서, 미세부분강조신호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출력비디오신호에 가산된다.
결국, 높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화면부분에는 불필요한 에지의 강조가 행하여지고 이 부분의 노이즈도 강조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를 포함한 비디오표시장치에 공급되는 각종 장면에도 불구하고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선명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윤곽보정회로에 관한 것이고 또한 윤곽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윤곽보정회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윤곽보정회로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형폭확장회로의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형폭확장회로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형폭확장회로의 블록도,
도 5는 종래의 윤곽보정 회로의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의 윤곽보정회로의 다른 블록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회로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 보정된 파형발생회로 2: 가변증폭기
3: 화질콘트롤러 4: 딜레이회로
5: 가산회로 10: 감산회로
11: 가산회로 12: 제 2 보정된 파형발생회로
13: 제 1 가변증폭기 14: 제 2 가변증폭기
15: 하이패스필터 16: 풀웨이브정류회로
17: 제 1 클리핑회로 18: 제한회로
19: 제 2 클리핑회로 20: 감산회로
21: 평활회로 100: 윤곽보정회로
101: 딜레이회로 102: 보정된 파형회로
103: 가변증폭기 104: 제 1 가산회로
105: 하이패스필터 106: 풀웨이브정류회로
107: 코어링회로 108: 큰신호선택회로
109: 작은신호선택회로 110: 클리핑회로
111: 클리핑회로 112: 제 1 파형폭확장회로
113: 감산회로 114: 제 2 파형폭확장회로
115: 제 2 가산회로
116: 입력비디오신호의 휘도신호 117: 제어신호
118: 출력비디오신호 119: 기준전압
120: 딜레이회로 121: 딜레이회로
122: 최대값선택회로 123: 딜레이회로
124: 선택회로 125: 최대값선택회로
126: 접지 127: 화질콘트롤러
130: 장면판정회로 131: 제어신호발생회로
132: 슬라이싱회로 133: 제한회로
200: 입력비디오신호 205: 윤곽보정파형
210: 제어신호 215: 윤곽보정신호
220: 딜레이된 입력비디오신호 225: 출력비디오신호
230: 윤곽강조신호 235: 미세윤곽강조신호
240: 증폭된 윤곽강조신호 245: 증폭된 미세강조신호
250: 하이밴드비디오신호
255: 정류된 하이밴드비디오신호
260: 클립되고 정류된 하이밴드비디오신호 265: 미세부분비디오신호
270: 윤곽비디오신호 275: 미세제어펄스신호
280: 미세부분제어전압
본 발명은 상기 논의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음의 구조를 가진 윤곽보정회로를 제공하고 또한 이 회로를 사용하는 윤곽보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윤곽보정회로는 다음의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a) 입력비디오신호를 딜레이하기 위한 딜레이회로
(b) 입력비디오신호를 사용한 윤곽보정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정된 파형발생회로
(c)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증폭기
(d) 윤곽의 에지부에 상당하는 파형폭의 시간 동안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게인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윤곽제어회로
여기서 윤곽보정회로는
(d-1) 노이즈를 제거하여,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의 파형폭과 진폭변화를 검출하는 장면판정회로와,
(d-2) 출력신호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신호발생기는 진폭의 큰 변화에서 윤곽을 소량으로 보정하고,
출력신호가 소정의 레벨보다 작으면, 진폭의 큰 변화에서 윤곽을 대량으로 보정하는 제어신호발생기와,
(e) 가변증폭기로부터의 출력신호와 딜레이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가산하는 제 1 가산회로를 포함한다.
즉, (d-1)과 (d-2)항목은 다음의 윤곽보정을 실현한다.
1. 윤곽화면신호의 진폭변화와 화면에서 피사체의 윤곽화면신호의 에지부에 상당하는 시간을 검출한다.
2. 윤곽을 그리는 동안, 그에 대한 보정량은 화면신호의 더 큰 진폭에서 미소량이 보정되도록 제어된다.
결국, 사용자는 어떤 비디오장면이 전송되는지에 상관없이 TV나 다른 비디오표시장치상에 화질의 저하없이 항상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윤곽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유연하게 보정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딜레이회로(101)는 동기화를 위한 입력비디오신호를 딜레이시킨다. 보정된 파형발생회로(102)는 입력비디오신호에 가산되는 보정신호를 발생시킨다. 가변증폭기(103)는 발생회로(102)에서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진폭을 제어하고, 제어신호와 입력신호를 동기화시킨다. 제 1 가산회로(104)는 딜레이회로(101)에서의 출력신호를 증폭기(103)에서의 출력신호에 가산한다. 하이패스필터(105)는 입력비디오신호의 하이밴드 성분을 추출한다. 풀웨이브정류회로(full-wave-rectifying circuit)(106)는 하이패스필터(105)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이 출력 신호를 풀웨이브로 정류한다. 코어링회로(coring circuit)(107)는 정류회로(106)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노이즈에 상당하는 작은 신호의 진폭을 제거한다.
장면판정회로(130)는 하이패스필터(105), 풀웨이브정류회로(106)와 코어링회로(107)를 구비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파형폭과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 상당하는 진폭변화를 검출한다.
큰신호선택회로(108)는 코어링회로(10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다음에 기준전압(119)보다 더 큰 신호를 출력한다. 클리핑회로(110)는 선택회로(10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클립동작을 실행한다.
슬라이싱회로(132)는 큰신호선택회로(108)와 클리핑회로(110)를 구비하고, 기준전압(119)보다 더 큰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출력한다.
작은신호선택회로(109)는 코어링회로(10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기준전압(119)보다 더 작은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출력한다. 클리핑회로(111)는 회로(109)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클립동작을 실행한다.
제한회로(133)는 작은신호선택회로(109)와 클리핑회로(111)를 구비하고, 기준전압(119)보다 더 작은 성분을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파형폭확장회로(112)는 클리핑회로(110)에서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그 파형폭을 확장시킨다. 감산회로(113)는 확장회로(112)로부터 제한회로(133)의 출력신호를, 그 신호들을 동기화하면서 감산한다.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는 감산회로(113)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파형의 폭을 확장시킨다. 제 2 가산회로(115)는 화질콘트롤러(127)로 사용자에 의해 사전 결정된 dc전압을 형성하는 제어신호(117)에 회로(114)의 출력신호를 가산한다. 입력비디오신호(116)는 휘도신호이다. 제어신호발생회로(131)는 슬라이싱회로(132), 제 1 파형폭 확장회로(112), 제한회로(133), 감산회로(113)와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를 구비한다. 이 회로(131)는 제어시간과 제어량을 결정해서 윤곽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윤곽제어회로(100)는 장면판정회로(130)와 제어신호발생회로(131)를 구비하고, 에지기간동안 에지부의 진폭사이즈에 응답하여 가변증폭기(103)의 게인을 제어한다. 화질콘트롤러(127)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윤곽을 보정한다.
다음에, 도 2와 도 3을 참조해서 상기 논의된 구성을 가진 윤곽보정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윤곽보정회로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윤곽제어회로의 제 1 파형폭확장회로(112)와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의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파형폭확장회로(112, 114)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a)는 입력비디오신호의 휘도신호(116)를 나타낸다. 신호(116)는 다음의 3개 신호를 포함한다.
진폭의 큰 변화를 나타내는 선명하게 규정된 에지로 표현된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
진폭의 작은 변화를 나타내는 희미하게 규정된 에지로 표현된 낮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
노이즈를 가진 신호.
휘도신호(116)가 하이패스필터(105)에 공급되면, 이 휘도신호의 파생성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도 2(b)에 도시된 신호가 풀웨이브정류회로(106)로 공급되면, 도 2(b)에 도시된 신호의 절대값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도 2(c)에 도시된 신호가 코어링회로(107)로 공급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를 얻는다. 통상, 노이즈신호는 작은 진폭을 가지므로, 코어링 처리는 신호에서 노이즈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큰신호선택회로(108)는 코어링회로(107)로부터 분기된 신호로부터 기준전압(119)보다 더 큰 전압을 가진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회로(108)에서 공급된 신호는 도 2(e)에 도시되어 있다.
작은신호선택회로(109)는 코어링회로(107)에서 분기된 신호로부터 기준전압(119)보다 더 작은 전압을 가진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출력신호는 도 2(f)에 도시되어 있다.
클리핑회로(110)는 큰신호선택회로(108)에서 분기된 신호의 진폭레벨을 조정하고, 그 결과의 신호는 제 1 파형폭확장회로(112)에 공급되고 입력된 그 결과 신호는 신호의 분기전에 확장된다.
파형폭확장회로(112, 114)의 동작을 대표적으로 회로(112)를 사용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도 3(a)는 파형폭확장회로(112)의 블록도이고, 도 3(b)는 블록도에 도시된 각 단면의 출력파형과 입력신호의 파형폭을 확장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파형폭확장회로(112)는 최대값선택회로(122)에 파형폭확장회로(112)의 입력신호와, 직렬로 접속된 2개 이상의 딜레이회로(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딜레이회로(120, 121))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공급한다. 최대값선택회로(122)는 각각의 시간에 최대진폭을 가진 신호를 선택하고 출력하여 입력신호의 파형폭을 확장시킨다.
제 1 파형폭확장회로(112)로부터 공급된 출력 파형은 도 2(g)에 도시되어 있다.
감산회로(113)는 도 2(f)에 도시된 출력신호에서 도 2(g)에 도시된 출력신호를, 이 2개의 신호를 동기화하면서 감산하고, 도 2(h)에 도시된 결과의 신호를 얻는다.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는 감산회로(11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파형이 도 2(i)에 도시된 결과의 신호를 출력한다.
가변증폭기(103)는 [도 2(j)에 도시된] 보정된 파형신호와 [도 2(i)에 도시된] 윤곽제어신호를 동기화하고, 윤곽제어신호에 응답해서 보정된 파형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고, 다음에 진폭제어처리를 행한 윤곽보정된 신호를 출력한다. 도 2(k)는 이 윤곽보정된 신호를 도시한다.
제 1 가산회로(104)는 딜레이회로(10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도 2(k)에 도시된] 윤곽보정된 신호를 가산하고, 윤곽이 보정된 도 2(l)에 도시된 휘도신호(118)를 출력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도 2(i)에 나타낸 다음과 같은 사항이다.
(a) 높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에서 얻은 윤곽보정신호에 대한 게인은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b) 낮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에서 얻은 윤곽보정신호에 대한 게인은 큰 값으로 설정된다.
(c) 노이즈 성분에 대한 게인은 0(zero)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윤곽제어회로(100)는 종래의 기술에서 문제였던 높은 콘트라스트비 신호와 낮은 콘트라스트비 신호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높은 콘트라스트비 신호와 낮은 콘트라스트비 신호의 각각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전압을 출력한다.
결국, 이 제어신호는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을 제어할 때 다음의 이점이 발생한다.
(a) 작은 윤곽보정은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에 제공된다.
(b) 실질적인 윤곽보정은 낮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에 제공된다.
(c) 노이즈로부터 영향이 없다.
윤곽은 제 1 및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2, 114)에서 얻은 신호를 사용해서 보정되고, 따라서 윤곽은, 입력신호파형의 에지부분의 파형폭에 상당하는 시간에 응답해서 보정된다. 그러므로, 높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가 낮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에 인접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신호성분은 바람직하게 독립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제 2 가산회로(115)는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제어신호(117)를 가산하여 소정의 오프셋값이 윤곽보정신호에 대한 게인에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질콘트롤러(127)로 제어신호(117)의 dc레벨을 변경하면, 사용자는 윤곽보정신호에 대한 게인을 직접 처리할 수 있다. 결국, 윤곽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 1 실시예는 윤곽보정회로가 다음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증명한다.
(a) 노이즈 영향을 제거한다.
(b)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의 진폭변화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면, 진폭의 더 큰 변화에서 윤곽이 소량으로 보정된다.
(c)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의 진폭변화가 소정의 레벨보다 낮으면, 진폭의 더 큰 변화에서 윤곽이 대량으로 보정된다.
(d) 높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와 낮은 콘트라스트비의 신호가 인접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신호성분에 독립적으로 바람직한 윤곽보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딜레이회로를 구비하지만, 3개 이상의 딜레이회로도 파형폭확장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파형폭확장회로를 채용하지만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를 생략할 수 있고, 그 대신에 제 2 가산회로(115)에 감산회로(113)으로부터의 출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회로(114)를 첨가하면 더욱 정확한 윤곽보정을 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파형폭 확장회로(112, 114)는 도 4에 도시된 블록도에 의해 표현되는 회로로 대체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는 제어회로에서 공급된 신호의 파형폭이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어서 윤곽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보정할 수 있는 윤곽제어회로를 도입한다.
도 4는 제 1 파형폭확장회로(112)와 제 2 파형폭확장회로(114)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파형폭확장회로는 도 3(a)에 도시된 구조에 추가로 제 3 딜레이회로(123)와 선택회로(124)를 가지며, 제 2 실시예는 최대값선택회로(122)를 4개의 입력단자를 가진 다른 최대값선택회로(125)로 대체시킨다. 도 4에 도시된 파형폭확장회로의 동작을 이후에 설명한다.
선택회로(123)의 접속이 사용자에 의해서 전환되면, 최대값선택회로(122)의 입력단자중 하나는 접지(126)에 접속되어 제 3 딜레이회로(123)에서의 출력신호는 선택회로(122)에 공급되지 않는다. 결국, 파형폭확장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파형폭은 조정가능하게 되어, 윤곽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보정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파형폭확장회로는 동일한 효과를 유지하면서, 제 2 실시예에 채용된 파형폭확장회로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파형폭확장회로에 있어서, 선택회로(124)이외의 다른 선택회로가 회로(124)의 입력단자이외의 선택회로(125)의 다른 입력단자에 접속되면, 파형폭은 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실시예에 있어서, 윤곽보정회로는 완전히 디지털화될 수 있어서 시간인자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결국, 다른 것들중에서 가산회로와 감산회로에서의 동기화처리는 용이하게 행해 질 수 있고, 가산/감산은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이 회로에서 디지털화는 각각의 회로가 그 부품성분의 온도종속성과 경년변화에 기인해서 타이밍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정확한 윤곽보정이 필요하면, 디지털기술은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도입된다.
상기 논의된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회로는 실험목적으로 도입된다. 화면윤곽의 보정방법이 본 발명과 같이 동일한 동작원리를 채용하면,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기능을 가진 보정회로를 제공하는 윤곽보정회로에 윤곽제어회로를 도입한다.
(a) 노이즈를 제거해서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의 파형폭과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 상당하는 진폭의 변화량을 검출한다.
(b) 파형폭에 상당하는 시간 동안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c)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 진폭의 변화량이 소정의 레벨 이상인 경우, 윤곽보정은 진폭의 변화량이 커질수록 보정량이 작아지도록 제어된다.
(d)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 진폭의 변화량이 소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 윤곽보정은 진폭의 변화량이 커질수록 보정량이 커지도록 제어된다.
결국, 화면 윤곽은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와 낮은 콘트라스트비를 가진 신호가 인접하는 경우를 포함해서, 어떤 장면을 표시하는 비디오신호가 TV에 공급되는지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보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떠한 장면이 공급되는지에 관계없이 화질의 저하없이 TV를 포함한 비디오표시장치상에 항상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당히 실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9)

  1. 삭제
  2. (a) 입력비디오신호를 딜레이하는 딜레이회로와,
    (b) 상기 입력비디오신호로부터 윤곽보정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정된 파형 발생 회로와,
    (c)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을 제어하는 가변증폭기와,
    (d) 윤곽의 에지 부분의 폭에 상당하는 파형폭의 시간 동안,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게인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윤곽제어회로와,
    (e) 상기 가변증폭기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상기 딜레이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가산하는 제 1 가산회로를 포함한 윤곽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윤곽제어회로는,
    (d-1)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의 파형폭과 진폭변화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장면판정회로와,
    (d-2) (i) 상기 장면판정회로의 상기 출력신호가 소정의 레벨 이상의 경우에는, 그 때, 입력비디오신호의 진폭변화량이 증가할수록, 윤곽보정량이 감소하도록, (ii) 상기 장면판정회로의 상기 출력신호가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때, 상기 입력비디오신호의 진폭변화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윤곽보정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장면판정회로는,
    (d-1-1) 입력비디오신호의 하이밴드 성분을 추출하는 하이패스필터회로와,
    (d-1-2) 상기 하이패스필터회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그 출력신호를 풀웨이브로 정류하는 풀웨이브정류회로와,
    (d-1-3) 상기 풀웨이브정류회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노이즈에 상당하는 작은 신호의 진폭을 제거하는 코어링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회로는
    (d-2-1) 상기 장면판정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서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싱회로와,
    (d-2-2) 상기 슬라이싱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파형폭을 확장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파형폭확장회로와,
    (d-2-3)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보다 작은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한회로와,
    (d-2-4) 상기 제한회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 1 파형폭확장회로의 출력신호를, 이 2개의 신호를 동기화하면서 감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산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회로는 상기 감산회로의 출력신호의 파형폭을 확장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2 파형폭확장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형폭확장회로는 출력신호의 파형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형폭확장회로는 출력신호의 파형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형폭확장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딜레이회로와,
    상기 복수의 딜레이회로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시간에서의 최대 신호를 선택하는 최대값선택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형폭확장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딜레이회로와,
    상기 복수의 딜레이회로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시간에서의 최대 신호를 선택하는 최대값선택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형폭확장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딜레이회로와,
    접지와 상기 복수의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자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상기 선택회로에 접속된 딜레이회로 이외의 딜레이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도 수신하며, 그 후, 소정의 시간에서의 최대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최대값선택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형폭확장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딜레이회로와,
    접지와 상기 복수의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자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회로와,
    상기 선택회로에 접속된 딜레이회로 이외의 딜레이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도 수신하고, 그 후, 소정의 시간에서의 최대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최대값선택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상기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13. 삭제
  14. (a) 입력비디오신호를 딜레이함으로써 딜레이된 비디오출력을 얻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비디오신호로부터 윤곽보정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을 게인제어신호로 제어하여 가변윤곽보정출력신호를 얻는 단계와,
    (d) 상기 가변윤곽보정출력신호에 딜레이된 비디오출력을 가산하여 윤곽이 보정된 출력비디오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인제어신호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입력비디오신호의 에지부에서의 파형폭과 진폭변화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i)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단계에서 발생된 상기 출력신호가 소정의 레벨 이상의 경우에는, 그 때, 입력비디오신호의 진폭변화량이 증가할수록, 윤곽보정량이 감소하도록, (ii)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단계에서 발생된 상기 출력신호가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때, 입력비디오신호의 상기 진폭변화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윤곽보정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파형폭에 상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발생방법에 의해서 생성되며,
    상기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단계는,
    (a) 입력비디오신호로부터 하이밴드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b) 입력비디오신호로부터 추출된 하이밴드 성분을 갖는 신호를 풀웨이브정류하는 단계와,
    (c) 상기 풀웨이브정류된 신호로부터, 작은 신호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단계는,
    (a) 출력신호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보다 작은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얻는 단계와,
    (b) 출력신호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슬라이싱하는 단계와,
    (c) 단계 (b)에서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의 파형폭을 확장하는 단계와,
    (d) 단계 (a)에서 얻은 신호로부터 단계 (c)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이 2개의 신호를 동기화하면서 감산하는 단계와,
    (e)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제어신호의 파형폭을 더 확장하여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출력신호의 진폭 변화량 중 기준 전압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 신호가 슬라이싱되고, 또한, 신호의 확장된 파형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폭은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에서 다양하게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출력신호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 신호가 슬라이싱되고, 각각의 다른 딜레이된 양을 갖는 복수의 딜레이된 신호로 형성되며,
    이들 딜레이된 신호의 각 시점에서 진폭의 최대값이 선택되어 확장된 파형폭을 갖는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게인제어신호가 각각의 다른 딜레이된 양을 갖는 복수의 딜레이된 신호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이들 딜레이된 신호의 각 시점에서 진폭의 최대값이 선택되어 확장된 파형폭을 갖는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회로는,
    (d-2-1) 상기 장면판정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서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싱회로와,
    (d-2-2) 상기 슬라이싱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파형폭을 확대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파형폭확장회로와,
    (d-2-3)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보다 작은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한회로와,
    (d-2-4) 상기 제한회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 1 파형폭확장회로의 출력신호를, 이 2개의 신호를 동기화하면서 감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산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2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2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서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2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2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2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3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3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3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회로는 상기 윤곽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산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산회로는 게인제어신호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가산하고, 그 후,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가변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하는 새로운 게인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회로.
  3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단계는,
    (a) 출력신호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보다 작은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얻은 단계와,
    (b) 출력신호의 진폭변화량 중 기준 전압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 신호를 슬라이싱하는 단계와,
    (c) 단계 (b)에서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의 파형폭을 확장하는 단계와,
    (d) 단계 (a)에서 얻은 신호로부터 단계 (c)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이 2개 신호를 동기화하면서 감산하는 단계와,
    (e)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3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3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3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3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3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3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보정신호의 진폭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상기 게인제어신호를 가산하여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보정방법.
KR1019997011259A 1998-04-03 1999-03-29 윤곽보정회로와 윤곽보정방법 KR10036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91177 1998-04-03
JP09117798A JP3546691B2 (ja) 1998-04-03 1998-04-03 輪郭補正回路
PCT/JP1999/001587 WO1999052274A1 (en) 1998-04-03 1999-03-29 Circuit and method for contour cor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267A KR20010013267A (ko) 2001-02-26
KR100361386B1 true KR100361386B1 (ko) 2002-11-21

Family

ID=1401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259A KR100361386B1 (ko) 1998-04-03 1999-03-29 윤곽보정회로와 윤곽보정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97407B1 (ko)
EP (1) EP0986899B1 (ko)
JP (1) JP3546691B2 (ko)
KR (1) KR100361386B1 (ko)
CN (1) CN1148952C (ko)
DE (1) DE69923508T2 (ko)
MY (1) MY124076A (ko)
TW (1) TW417391B (ko)
WO (1) WO1999052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0506B2 (ja) * 2003-09-02 2009-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平輪郭補正回路
JP4387220B2 (ja) * 2004-02-24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4155233B2 (ja) * 2004-06-24 200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装置
JP4398809B2 (ja) * 2004-06-30 2010-01-13 株式会社東芝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6179975A (ja) * 2004-12-20 2006-07-06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テレビ放送受信装置
WO2006135359A1 (en) * 2005-06-08 2006-12-21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in spatial light modulated display systems
KR100702238B1 (ko) 2005-07-0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8134646B2 (en) * 2006-05-24 2012-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8259097A (ja) * 2007-04-09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4875647B2 (ja) * 2008-03-12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輪郭補正回路
JP2009189031A (ja) * 2009-03-27 2009-08-20 Sony Corp 画像信号処理装置、ビューファインダ、表示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TWM374628U (en) * 2009-10-05 2010-02-21 Wen-Chun Chen Control device capable of executing different actions by determining human body approaching distance
JP6305194B2 (ja) * 2014-05-08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1246A2 (en) * 1986-04-11 1987-10-14 Ikegami Tsushinki Co., Ltd. Apparatus for enhancing contours of television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4564A (en) * 1981-12-28 1983-11-08 Magnavox Consumer Electronics Company Nonlinear edge peaking system and method
KR920008630B1 (ko) * 1990-09-28 1992-10-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평윤곽 보상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1246A2 (en) * 1986-04-11 1987-10-14 Ikegami Tsushinki Co., Ltd. Apparatus for enhancing contours of television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6899A1 (en) 2000-03-22
DE69923508D1 (de) 2005-03-10
CN1148952C (zh) 2004-05-05
DE69923508T2 (de) 2006-01-12
EP0986899B1 (en) 2005-02-02
MY124076A (en) 2006-06-30
US6597407B1 (en) 2003-07-22
JP3546691B2 (ja) 2004-07-28
TW417391B (en) 2001-01-01
JPH11289473A (ja) 1999-10-19
KR20010013267A (ko) 2001-02-26
CN1263667A (zh) 2000-08-16
WO1999052274A1 (en) 199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386B1 (ko) 윤곽보정회로와 윤곽보정방법
JP3094339B2 (ja) 輝度信号ノイズ抑圧装置
US7443455B2 (en) Automatic gain control based on multiple input references in a video decoder
KR950011528B1 (ko) 영상신호의 천이영역 강조장치와 강조 제어방법
JP4174656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処理方法
JPH04271570A (ja) 画像の輪郭補正回路及び画像の輪郭補正方法
JPH0646293A (ja) 輪郭補正装置
JP3011413B2 (ja) 輪郭強調量調整回路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87132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3264049B2 (ja) 映像信号の雑音低減装置
JP2766080B2 (ja) 同期分離回路
JPH0898058A (ja) 輪郭強調装置
KR930003968B1 (ko) 영상신호의 윤곽 보정회로
JP3228091B2 (ja) 映像信号の輪郭補正装置
JPS60192468A (ja) 画質調整装置
JP2003348380A (ja) 輪郭補正回路
KR920005172B1 (ko) 수평 윤곽 인핸싱방법
JPH07264443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H09219804A (ja) 輪郭強調回路
JPH0678178A (ja) 画質調整回路
JPH1093842A (ja) Tv信号処理回路
JPH03128577A (ja) 映像機器における輪郭強調方式
JPH091889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686100A (ja) 画質調整装置
JPH0495475A (ja) エンハンサー・クリッ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