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42B1 -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42B1
KR100361342B1 KR1019990049187A KR19990049187A KR100361342B1 KR 100361342 B1 KR100361342 B1 KR 100361342B1 KR 1019990049187 A KR1019990049187 A KR 1019990049187A KR 19990049187 A KR19990049187 A KR 19990049187A KR 100361342 B1 KR100361342 B1 KR 10036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shell
soft yarn
soft
air
wast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758A (ko
Inventor
김정춘
Original Assignee
김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록 filed Critical 김성록
Priority to KR101999004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4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gravity, e.g. separating by weight differences in a wind sif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 양식장에서 사용하여 폐품화 된 합성수지 폐줄(일명 "코팅사")을 재생원료로 재이용하기 위한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쌍의 안내로울러(2,2')의 아래에 고정커터(3)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를 설치한 1차 절단부(1-1)에 의하여 연질사(22)의 외부에 코팅된 경질외피(23)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경질외피(23)가 일정한 간격으로 짧게 절단된 양식 폐줄(21)은 컨베이어에 의하여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를 설치한 2차 절단부(1-2)에 의하여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짧게 절단한 후, 에어분리통(8)과 진동망판(10) 및 에어분리통(14,15)에 의한 비중차에 의하여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분리시킨 다음,
소량의 연질사(22)가 붙어있는 경질외피(23)를 물탱크(17)에 투입하여 비중차에 의하여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거의 완전 분리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Separation process and device of resin useless rope for oyster farming}
본 발명은 굴 양식용으로 사용하여 폐품화 된 합성수지제 폐줄(일명 "코팅사")을 재생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 양식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의 줄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의 수지섬유사로 된 연질사(軟質絲)의 외부에 PVC 등의 경질외피(外皮)를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인 바,
이는 폐줄을 재생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이러한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분리하는 방법이나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다량으로 산출되는 폐줄의 처리가 곤란하고 이의 보관을 위한 장소문제 및 공해로 인하여 어촌환경을 오손시킴은 물론, 폐자재를 재활용하지 못하므로 경제적 손실도 엄청난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질외피와 연질사로된 폐줄을 잘게 절단하여 접착성을 해제시켜 이들이 쉽게 분리가능한 상태로 한 후 송풍에 의한 비중차에 의하여 가벼운 연질사와 무거운 경질외피를 분리한 후 경질외피에서 분리되지 않은 잔류 연질사를 진동수단에 의하여 분리시킨 다음,
재차 송풍에 의하여 비중차이로 이들을 상호 분리하고 물에 투입하여 가벼운 연질사는 수면에 부상시켜 선별하는 방법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리장치는 1쌍의 안내로울러 아래에 고정커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커터가 고정된 커팅로울러를 설치한 1차 절단부에 의하여 연질사의 외부에 코팅된 경질외피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시켜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접착성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경질외피가 일정한 간격으로 짧게 절단한 양식 폐줄은 컨베이어에 의하여 고정커터와 다수개의 커터가 고정된 커팅로울러를 설치한 2차 절단부에 의하여 경질외피와 연질사를 짧게 절단되게 한 후, 에어분리통과 진동망판 및 에어분리통에 의한 비중차에 의하여 연질사를 분리시킨 다음,
소량의 연질사가 붙어있는 경질외피를 물탱크에 투입하여 비중차에 의하여 경질외피와 연질사를 거의 완전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방법 및 분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설명키 위한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 중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 중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 중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 중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1 : 1차 절단부 1-2 : 2차 절단부
2,2' : 안내로울러 3,3' : 고정커터
4,4' : 커터 5,5' : 커팅로울러
7 : 에어펌프 8 : 에어분리통
8' : 곡형 유입관 801 : 입구
802 : (상부)출구 803 : (하부)출구
9-1,9-2,9-3,9-4 : 집사통 10 : 진동망판
11 : 진동기 12 : 컨베이어
13 : 에어펌프 14 : 에어분리통
14' : 격판 140 : 입구
141 : 출구 15 : 에어분리통
15' : 공간부 151 : (상부)출구
152 : (하부)출구 15A : 구멍
16 : 송풍기 17 : 물탱크
170 : 출구 18 : 모터
19 : 날개 20 : 망통
21 : 폐줄 22 : 연질사
23 : 경질외피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부분 확대도 등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쌍의 안내로울러(2)(2') 아래에 고정커터(3)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를 설치한 1차 절단부(1-1)를 구성하여 연질사(22)의 외부에 코팅된 폐줄(21)의 경질외피(23)를 도 2와 같이 짧은 간격으로 절단하고,
상기 경질외피(23)를 절단한 폐줄(21)은 컨베이어(6)에 의하여 고정커터(3')와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를 설치한 2차 절단부(1-2)로 이송하여 도 3과 같이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짧게 절단한다.절단과정에서 일부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는 서로 분리되게 한 후 에어펌프(7)에 의하여 도 4와 같이 에어분리통(8)의 입구(801)로 유입되게 하여 비중이 가벼운 연질사(22)는 상부 출구(802)를 통하여 집사통(9-1)에 모아지게 하고, 무거운 경질외피(23)는 하부 출구(803)를 통하여 배출시켜 진동기(11)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망판(10)에 낙하되게 한다.
상기 과정에 있어 에어분리통(8)의 입구(801)로 유입되는 강한 송풍은 입구(801)에 형성된 곡형 유입관(8')을 통과하면서 풍속이 낮아지게 되어 강한 송풍에 의하여 분리작용이 장애를 받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에어펌프(7)는 송풍기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진동망판(10)에 떨어진 경질외피(23)는 자중에 의하여 진동망판(10)의 구멍을 통하여 컨베이어(12)에 떨어지게 되고 가벼운 연질사(22)는 진동망판(10)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집사통(9-2)에 모여지게 된다.
컨베이어(12)상의 경질외피(23)는 에어펌프(13)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에어분리통(14)의 입구(140)로 유입되어 여러개의 격판(14') 사이를 거치면서 경사외피(23)에 붙어있는 연질사(22)를 분리하게 한 후, 출구(141)를 통하여 집사통(9-3)에 모여지게 하고, 비중이 무거운 경질외피(23)는 에어분리통(15) 내로 유입되어 송풍기(16)에 의하여 공간부(15')로 유도되어 구멍(15A)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경질외피(23)에 붙은 가벼운 연질사(22)는 위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부 출구(151)를 통하여 집사통(9-4)에 모여지게 하고, 무게가 무거운 경질외피(23)는 하부 출구(152)를 통하여 물탱크(17)에 떨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무게가 무거운 경질외피(23)는 물탱크(17)의 바닥에, 가벼운 연질사(22)는 수면에 부상되어 모터(18)에 의하여 회전되는 날개(19)에 의하여 출구(170)로 배출되어 망통(20)에 모여지게 되므로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는 효과적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절단부(1-1)에 의하여 폐줄(21)의 경질외피(23)가 도 2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됨으로써 제조 시 경질외피(23)와 접착성을 가지고 있던 연질사(22)가 경질외피(23)의 절단작업시 접착상태가 해제되어 상호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2차 절단부(1-2)에 의하여 분리가능한 상태의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가 절단되기 때문에 경질외피(23)에서 연질사(22)를 극히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기로 에어분리통(8)에 상기한 절단분쇄물을 유입시켜 비중차에 의하여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분리시킨 다음, 경질외피(23)에 묻어있는 연질사(22)를 다시 진동망판(10)과 에어분리통(14,15)및 물탱크(17)를 차례로 거치게 하여 비중차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리되게 함으로써 종래에는 분리할 수 없었던 합성수지 폐줄(21)을 구성하는 연질사(22)와 경질외피(23)를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재이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21)을 1차 절단부(1-1) 및 2차 절단부(1-2)에 의하여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로 잘게 절단시키고, 에어분리통(8), 진공망판(10)과 에어분리통(14,15) 및 물탱크(17)에 순차적으로 절단된 연질사(22) 및 경질외피(23)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비중차에 의해 이들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폐줄(21)의 처리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분리된 재생원료를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우수한 등 재활용 산업에 일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회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연질사(22)의 외면에 경질외피(23)가 코팅된 굴 양식장용 합성수지 폐줄(21)의 연질사(22)와 경질외피(23)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줄(21)을 안내로울러(2,2') 상간으로 투입하여 고정커터(3)와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로 이루어진 1차 절단부(1-1)를 경유시켜 1차로 폐줄(21)의 외부에 코팅된 경질외피(23)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1차 절단공정과,
    상기 경질외피(23)가 절단된 폐줄(21)을 컨베이어(6)를 통해 고정커터(3')와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로 이루어진 2차 절단부(1-2)를 경유시켜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동시에 짧게 절단하는 2차 절단공정과,
    상기 1,2차 절단공정을 통해 절단된 폐줄을 에어펌프(7)에 의해 곡형 유입관(8')을 가진 에어분리통(8)으로 유입시켜 비중차로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분리하여 분리된 연질사(22)는 상부 출구(802)를 통해 집사통(9-1)으로 수거하고 경질외피(23)는 하부 출구(803)를 통해 진동망판(10)으로 낙하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진동망판(10)으로 낙하된 경질외피(23)와 이에 잔류된 연질사(22)는 진동기(11)로 진동시켜 진동망판(10)의 구멍을 통하여 경질외피(23)를 선별하고, 경질외피(23)와 분리된 연질사(22)는 집사통(9-2)에 수거하는 공정과,
    상기 진동망판(10)에서 선별된 경질외피(23)와 이에 잔류된 연질사(22)를 에어펌프(13)에 의해 수개의 격판(14')을 가진 에어분리통(14,15)으로 투입하여 분리된 연질사(22)를 에어분리통(14)의 출구(141)를 통해 집사통(9-3)으로 수거하는 공정과,
    상기 에어분리통(14)에서 비중차에 의해 낙하한 경질외피(23)와 이에 잔류한 연질사(22)는 에어분리통(15)으로 유입되어 공간부(15')를 통해 송풍기(16)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다수개의 구멍(15A)을 통해 에어분리통(15) 내부로 분사시켜 연질사(22)를 비중차이로 선별하여 집사통(9-4)으로 수거하고 경질외피(23)는 하부에 설치된 물탱크(17)로 낙하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물탱크(17)로 투입된 경질외피(23)는 물탱크(17)의 바닥에서 수거하고 비중차이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는 잔류 연질사(22)는 모터(18)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19)에 의하여 출구(170)로 배출되어 망통(20)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을 통해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21)을 구성하는 경질외피(23)와 연질사(22)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2. 연질사(22)의 외면에 경질외피(23)가 코팅된 굴 양식장용 합성수지 폐줄(21)의 연질사(22)와 경질외피(23)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에 있어서;
    고정커터(3)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를 설치하여 폐줄(21)의 경질외피(23)를 절단하는 1차 절단부(1-1)와,
    상기 1차 절단부(1-1)에서 절단된 폐줄(21)을 고정커터(3')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커터(4')가 고정된 커팅로울러(5')를 설치하여 폐줄(21)을 2차 절단할 수 있는 2차 절단부(1-2)와,
    1,2차로 절단된 폐줄(21)을 에어펌프(7)를 통하여 투입하여 비중차로 연질사(22)와 경질외피(23)를 분리할 수 있도록 입구(801)측에 곡형 유입관(8')이 형성되고 상하로 출구(802,803)가 형성된 에어분리통(8)과,
    상기 에어분리통(8)에서 분리된 경질외피(23)와 이에 잔류한 연질사(22)를 분리하기 위하여 진동기(11)와 연결설치된 진동망판(10)과,
    상기 진동망판(10)에서 분리된 경질외피(23)와 이에 잔류한 연질사(22)를 분리하기 위하여 수개의 격판(14')이 설치되고 일측으로 출구(141) 및 하부로는 에어분리통(15)과 연통된 상부 에어분리통(14)과,
    상기 에어분리통(15)에는 송풍기(16)와 연결된 공간부(15')상에 다수개의 구멍(15A)이 형성되어 공기를 내부로 분사토록 하며, 상하로 출구(151,152)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분리통(15) 하부에 설치되며 모터(18)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날개(19)가 설치된 물탱크(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장치.
KR1019990049187A 1999-11-08 1999-11-08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KR10036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87A KR100361342B1 (ko) 1999-11-08 1999-11-08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87A KR100361342B1 (ko) 1999-11-08 1999-11-08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758A KR20010045758A (ko) 2001-06-05
KR100361342B1 true KR100361342B1 (ko) 2002-11-22

Family

ID=1961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87A KR100361342B1 (ko) 1999-11-08 1999-11-08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14B1 (ko) 2015-06-17 2017-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 카페트 및 폐 펠트 스크랩 재활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75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CN209531690U (zh) 建筑垃圾综合处理装置
JPH0994476A (ja) 複合材料から成る出発片からプラスチツクを回収する方法
KR10051600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의 이물질 선별구조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1683045B1 (ko) 폐광케이블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광케이블 분리방법
CN205969574U (zh) 一种农田废地膜再生生产线
KR100361342B1 (ko) 굴 양식용 합성수지 폐줄의 경질외피와 연질사의 분리방법 및 장치
CN101658853A (zh) 城市垃圾分类回收方法及其装置
JP2003291144A (ja) 廃petボトルの再生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200974307Y (zh) 从废塑料中回收可再生塑料的装置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790181B2 (ja) 比重差による廃棄プラスチック材の選別機
CN203508174U (zh) 垃圾破碎分类回收系统
JP2000512898A (ja) パルプ汚染物質を取り除く装置および使用方法
US4458845A (en) Pulping apparatus
CN106426641A (zh) 一种全自动纯物理机械处理农田废地膜再生生产线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561649A (zh) 垃圾处理回收系统
KR100931471B1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11806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이물질 분리 배출장치
KR102143492B1 (ko) 걸림부재와 제거패널을 이용한 경량폐기물 선별가능 구조의 트롬멜 및 이를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분리장치
KR10173911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중 발생되는 폐기물의 펌프식 이물질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조식 골재 처리 시설
JP4834241B2 (ja)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