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010B1 - 전압조절기 - Google Patents

전압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010B1
KR100359010B1 KR1019960706449A KR19960706449A KR100359010B1 KR 100359010 B1 KR100359010 B1 KR 100359010B1 KR 1019960706449 A KR1019960706449 A KR 1019960706449A KR 19960706449 A KR19960706449 A KR 19960706449A KR 100359010 B1 KR100359010 B1 KR 10035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electrode
resis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555A (ko
Inventor
무터스파우 막스 워드
Original Assignee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7070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와 증폭 트랜지스터가 상보형으로 이루어진 전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공급 전류는 DC 공급 전원으로부터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콜렉터 경로를 거쳐 부하로 흐른다. 이 전류량은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부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네거티브 피드백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이것은 직력 통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차례로 구동시킨다. 증폭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은 조절된 DC 출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에 결합되어 있어서 트랜지스터 쌍에 필요한 구동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전압 조절기
본 발명은 전압 조절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절기의 성능이 개선된 전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계류중이고 발명의 명칭이 "폴드백 전류 제한을 갖는 이중의 전압 전압 조절기"인 특허출원번호 제 87,004 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조절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절기의 일부에 대한 변형도이다.
본 전압 조절기는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위성을 향해 겨낭될 수 있는 실외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를 포함하는 직접 방송위성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된다.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안테나에 매우 가까운 곳에 또는 안테나 위에 장착된 "낮은 노이즈 블록 변환기"(LNB)에 의해 증폭된다.
LNB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실내 수신기로 이동된다. 실내 수신기로부터 LNB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또한 LNB의 분극화를 제어하기 위해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DC 전압을 멀티플렉스한다. LNB의 회로들은 낮은 전원 전압이나 또는 높은 전원 전압에서 기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중의 공급 전압이 LNB의 분극화 세팅, 즉 낮은 전압 선택 우측 회로 분극화(RHCP) 및 높은 전압 선택 좌측 회로 분극화(LHCP)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LNB의 전류 드레인은 조절된 전원전압들 중의 어느 하나로 일정하게 된다.
부하에 결합된 조절된 출력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제어가능한 직렬 임피던스 장치를 사용하는 전압 조절기들은 조절기의 출력 단자들에 단락 또는 다른 결함이 가해지면 쉽게 손상된다. 그러한 손상은 종종 직렬 임피던스 장치가 과도한 열을 소모하거나 직렬 장치의 전류 속도가 과도하면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조절기에 상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과부하 보호(overload protection)가 제공된다.
과부하 보호의 한가지 형태는 "폴드백(foldback)" 전압 조절기로 알려진 것에서의 전류 제한(current limiting)이며 상기 조절기는 이스터의 미국특허 제 3,445,751 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조절기는 과부하 전류 임계가 도달될 때까지 출력 전압 조절(output voltage regulation)을 변환 부하(changing load)에 제공한다. 이 임계 이상의 부하 전류에 있어서, 유용가능한 출력 전류는 상기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대응하여 출력 전압도 감소한다. 단락 전류(short-circuit current)는 전체 부하 전류 중 조그만 부분이 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그래서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에서 소모가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전압 조절기는 그러한 "폴드백" 전압 조절기이다.
공급 전류는 DC 전원으로부터 상기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애미터-콜렉터 경로를 거쳐 상기 부하로 흐른다. 이 전류량은 출력 전압으로부터 증폭 트랜지스터와 다른 회로들로 이루어진 네거티브 피드백 회로 구성을 거쳐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 방법에서, 직렬 통과트랜지스터의 에미터-콜렉터 경로 양단의 전압 강하는 조절된 출력 전압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상기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는 완전한 부하(full load)에서 전압 강하를 발생하며, 따라서 그 조절 기능의 일부에 의해 전원을 소모한다.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관련 열 싱크(associated heat sinks)와 함께 상기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비용을 줄이며, 또한 조절되지 않은 입력전압과 조절된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최대 출력 전압에서 조절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 전원 소모를 최소로 줄여야 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와 증폭 트랜지스터가 상보형으로 구성된 전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공급 전류는 DC 전원으로부터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에미티-콜렉터 경로를 거쳐 부하로 흐른다. 이 전류량은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부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으로 결합된 네거티브 피드백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이것은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차례로 구동시킨다.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극은 조절된 DC 출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에 결합되며 그래서 트랜지스터 쌍의 구동 요구는 줄어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전압 조절기(10)가 도시되어 있다.전압 조절기(10)는 높게 조절된 DC 출력 전압 모드와 낮게 조절된 DC 출력 전압 모드 사이에서 스위치가능하다.
조절되지 않은 직류 전원(도시되지 않음)이 단자(12)와 기준 전위점(11)(예를 들어,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직류 통과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극(14)은 단자(12)에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16)은 저항(20)을 통해 출력 단자(18)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18)와 기준점(11)(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부하(LNB)가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극은 NPN 증폭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저항(22)을 통해 입력 단자(12)에도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2의 에미터 전극은 저항(24)을 통해 출력 단자(18)에 접속되어 있으며 저항(30)에 의해 기준점(11)에도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 전극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된다.
공급 전류는 단자(12)에 결합된 DC 전원으로부터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콜렉터 경로와 저항(20)을 거쳐 출력 단자(18)와 부하로 흐른다. 이 전류량은 라인(26)을 거처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트랜지스터 Q1 양단의 전압 강하는 단자(18)에서 조절된 출력전압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트랜지스터 Q1이 완전히 컷-오프되었을지라도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와 콜렉터 전극 사이에 결합된 저항(32)은 약간의 전류를 부하에 계속해서 공급한다.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극과 베이스 전극 사이에 결합된 저항(22)은 트랜지스터 Q1에서 베이스 누설 전류에 대한 콜렉터 전류를 감소시킨다.
트랜지스터 Q1, Q2의 상보 장치는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 전극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되어 있고 직렬 통과 장치의 출력이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16)으로부터 취해지기 때문애 전압 이득과 전류 이득 둘 다를 제공한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Q1, Q2는 루프 이득을 갖는 피드백 루프 내에서 증폭기로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 이득은 출력 단자(18)에서부터 트랜지스티 Q2의 에미터 전극으로 결합된 저항(24)과 접지된 저항(30)으로 구성된 피드백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된다.
부가적으로, 트랜지스터 Q1, Q2와 저항들(24, 30)로 이루어진 배열은 추가의 이점이 있는데, 조절기(10)에 의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heavy)부하 조건 하에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Q1, Q2 에 필요한 구동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저항들(24, 30)로 이루어진 저항 분할기가 없는 직렬 통과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다(저항 24는 단자 회로로 대체되었으며 저항 30은 개방 회로로 대체되었다). 이 장치에서,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 전압(라인 26)은 출력 단자(18)에서의 전압 Vo보다 높은 0.7 볼트가 되고, 트랜지스터 Q1, Q2에서 베이스-에미터 전압 강하 때문에 Vo는 단자(12)에서 입력 전압 Vin보다 낮은 1.4 볼트가 된다. 이것은 조절되지 않은 입력전압과 관련하여 조절된 최대 출력 전압에 상한(upper limit)을 둔다. 또한, 트랜지스터 Q1의 양단의 1.4 볼트의 전압 강하는 트랜지스터 Q1에서 전원을 소모한다.
조절기가 입력 전압 VIN과 출력 전압 V0사이의 낮은 전압차로 동작되도록하기 위해 또한 트랜지스터 Q1에서의 전원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 Q1이 높은 전압 모드의 가장 높은 출력 전압들에서 포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압 저항들(24, 30)은 직렬 통과 회로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들 속성을 달성한다.
도 1로 돌아가서, 라인 26에서 전압 V26은 다음과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된다.
V26 = Q2의 Vbe + V0(저항 30 / (저항 30 + 저항 24))
Q2의 Vbe 가 0.7 이고 저항(24)의 값이 저항(30)의 값과 같으면,
V26 = 0.7 볼트 + V0/ 2
이 장치는 트랜지스티 Q2의 에미터에서의 전압을 전압 V0보다 실질적으로 낮게 하기 때문에, Q2를 더욱 쉽게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압 V26은 낮은 전압이 될 수 있으므로 트랜지스터 Q2를 활성 비-포화 상태(non-saturating state)에서 계속 유지하는 동반 트랜지스터 Q1은 보다 용이하게 포화될 수 있다. 그래서 분압기 저항들(24, 30)에서 직렬 통과 트랜지스터 Q1은 적어도 1.4 볼트 대신에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V0= VIN- 0.2 볼트(트랜지스터 Q1의 통상적인 포화 전압)로 구동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조절기는 입력 전압 VIN과 출력 전압 V0사이의 낮은 전압차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 Q1이 완전하게 구동할 때 트랜지스터 Q1의 전원 소모가 줄어든다.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낮은 전압차는 전압 VIN의 최대값이 제한되기때문에 높은 출력 전압 모드에서는 특히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리드(26)에 인가된 제어 전압은 B+보다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제어 신호 V26을 제공하는 연산 증폭기(46)는 트랜지스터 Q1의 포화되도록 트랜지스터 Q2를 구동하기 위해 B+값 근처의 출력 전압에서 동작될 필요가 없다.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전극(14)과 트랜지스터 Q2의 에미터 전극 사이에 저항(28)이 결합되어 상기 출력이 단락될 때 Q2의 에미터 전극이 낮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46)는 트랜지스터 Q1을 컷-오프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를 역바이어스시킬 수 없다. 트랜지스터 Q1을 컷-오프시키는 능력은 전류 제한(current limiting)에 있어서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입력 단자(12)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34)과 제너 다이오드(36)에 의해 기준 전압이 제공되며 상기 기준 전압은 캐패시타(38)에 의해 필터링 된다. 상기 기준 전압은 연산 증폭기(46)의 비반전(ni) 입력 판자 46ni에 결합되어 있으며 증폭기에서 기준 전압은 반전(i) 입력 단자 46i에 결합된 V0의 분할된 다운 버전(divided down version)과 비교된다. V0의 상기 분할된 다운 버전은 출력 단자(18)와 접지(11) 사이에 결합된 직렬 분압기 저항들(42, 44)의 접합에 있는 탭으로부터 유도된다. 증폭기(46)의 출력 신호는 절연 저항(50)을 거쳐 라인(26)에서 제어 신호 V26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조절된 출력 전압 V0에 각각 증가 또는 감소가 있다면 상기 구동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네거티브 피드백을 트랜지스터 Q1에제공한다. 증폭기(46)의 출력과 단자 46i 사이에 결합된 캐패시터(49)는 발진을 억압한다.
낮은 출력 전압 모드와 높은 출력 전압 모드 사이의 스위칭은 트랜지스터 Q3에 의해 가능해지며, 트랜지스터 Q3는 분할 저항들(51, 52)을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Q3의 베이스 전극에 결합된 제어 신호에 의해 포화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 전극은 저항(54)에 의해 단자 46i에 결합되며, 트랜지스터 Q3이 포화될 때, 저항(54)은 분할 저항(44)과 병렬로 결합되며, 그래서 저항들(42, 44)의 전압 분할비는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비교기 증폭기(46)가 제공하는 V26에서의 변화로 인해 단자(18)에서의 출력 전압은 LNB에 의해 LHCP에 필요한 더 높은 전압으로 스위치된다.
이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폴드백 전류 제한(foldback current limiting)으로 관심을 돌려보면, 직렬 저항들(60, 62, 64)을 포함하는 분압기(58)는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16)와 접지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저항들(62, 64)의 접합부에서의 탭은 연산 증폭기(66)의 반전 입력 단자 66i 에 결합되어 있다. 직렬 저항들(70, 72)을 포함하는 분압기(68)는 출력 단자(18)와 접지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저항들(70, 72)의 접합부에서의 탭은 증폭기(66)의 비반전(ni) 입력 단자 66ni 에 결합되어 있다. 증폭기(66)의 출력 단자(74)는 다이오드(76)의 캐소드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이오드(76)의 애노드는 제어 리드(26)에 결합되어 있다. 다이오드(76)는 연산 증폭기(66)가 정상 동작동안 V26을 유효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출력 단자(74)와 단자 66i 사이에 결합된캐패시터(79)는 발진을 억압한다. 저항(72) 양단에 결합된 캐패시터(80)는 LNB 부하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AC 신호가 증폭기(66)를 유효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압기들(58, 68)에 있는 저항들의 성분값들은 다음과 같다.
저항 60 = 1K 오옴 저항 62 = 3K 오옴
저항 64 = 12K 오음 저항 70 = 2.8K 오옴
저항 72 = 12K 오옴
저항(20)(3.2 오옴)은 출력 전류에 비례해서 그 양단에 전방을 생성한다. 그래서 분압기들(58, 68) 양단의 전압들은 약간 상이하며 상기 두 개의 분압기의 탭들에서의 전압들은 약간 상이하도록 배열된다. 저항(20)을 통해 유도된 전류가 임계 폴드백 전류보다 낮을 때, 전압 분압기들(58, 68)은, 단자 66ni에서의 전압이 단자 66i에서의 전압보다 더 포지티브가 되도록 동작하고 또한 단자(74)에서의 출력 전압이 B+ 전압에 또는 근처에 있도록 동작한다. 이것은 다이오드(76)를 역으로 바이어스시키고 증폭기(66)의 출력으로 하여금 정상 동작 하에서 라인(26)에서의 구동과 간섭하지 않게 한다. 그래서 회로가 전류 제한 모드에 있지 않으면, 라인(26)의 정상 제어가 증폭기(46)에 의해 제공된다. 그렇지만, 저항(20)을 통해 유도된 전류가 폴드백 임계 전류를 초과하면, 저항(20) 양단의 전압 강하로 인해 단자 66ni에서의 전압은 단자 66ni에서의 전압보다 약간 더 낮게 된다. 이것은 연산 증폭기(66)의 큰 이득으로 인하여 단자(74)에서의 출력 전압을 강제로 낮아지게 한다. 이로 인해 다이오드(76)는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증폭기(46)의 동작은 겹쳐져서 라인(26)상의 상기 제어 전압이 거의 제로 볼트로 줄어든다. 결과적으로,단자(18)에서의 출력전류는 거의 제로로 감소되고 출력 전압 V0는 거의 제로 볼트로 줄어든다. 이 방법에서, 상기 출력이 단락되거나 또는 부하에서 폴트(fault)가 발생할때, 상기 출력 전류는 정상 동작동안 부하에 제공되는 정상 출력 전류로부터 "폴드 백(folded back)"된다. 예를 들어, 출력 전류는 350 밀리암페어의 정상값에서 약 10 밀리암페어로 폴드 백될 수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Q1은 부하 폴트로 인한 과도한 열적 소모나 과전류 상태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상기 부하 폴트가 제거되면 전압 조절기(10)는 회복되어 정상 동작으로 복귀한다.
전압 조절기(10)는 이중의 전압 전압 조절기이다. 출력 전압 V0이 더 높은 전압으로 변하면, 전류 제한이 시작되는 폴드백 임계 전류도 또한 변한다. 전류 감지 저항(20) 양단의 전압 강하가 어느 특정 전류에 대해 동일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폴드백 임계 전류에서의 변화가 생기지만, 분압기(58, 68)양단의 전압에서의 증가로 인한 입력 단자 66ni 및 66i 에 결합된 전압의 차 때문에 생기기도 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Q1 및 부하에 대한 보호가 감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높은 전압 모드에서 동일한 전류 제한 임계를 유지하기 위해 분압기(58)의 전압 분할은 저항(60) 양단에 결합된 다이오드(78)에 의해 변한다. 저항(60) 양단의 전압 강하는 낮은 출력 전압 모드에서 다이오드(78)의 순방향 도전의 임계보다 더 낮아지도록 선택된다. 그렇지만, 조절기(10)가 높은 전압 모드로 스위치되면, 저항(60) 양단의 높은 전압 강하는 다이오드(78)로 하여금 그 순방향으로 도전되도록 하기에 충분하며 그래서 분압기(58)의 전압 분할과 단자들 66i 및66ni 에 인가된 차 전압의 관계가 변하게 된다. 분압기(58)의 이 변화는 낮은 전압 출력 모드에서처럼 높은 전압 출력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폴드백 임계 전류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전압 분할기(58)에서의 변화가 없을 때, 낮게 조절된 출력 전압에서의 전류 제한 임계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약 350 ma가 되며, 높게 조절된 출력 전압에서의 전류 제한 임계는 약 600 ma가 된다. 분압기(58)에서 변화가 있을 때는 전류 제한 임계가 이중의 출력 전압들 각각에 대해 약 350 ma가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다이오드(78)는 상당히 날카로운 "니(knee)"를 갖는 1N914 다이오드이다. 도전 니(conduction knee)의 날카로움(sharpness)을 줄이기를 원한다면, 즉시 다이오드(78)에 직렬로 저항(도시도지 않음)을 접속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이오드(78)는 복수의 직렬 접속 다이오드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게르마늄 다이오드, LED' s, 전압 의존 저항, 또는 제너 다이오드와 같은 다른 전압 감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LED의 경우에, 다이오드 자체가 조절기의 동작 모드에 대해 가시 지시기(visual indicator)가 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중계기(relay)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다이오드(78)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단자(64)에서 유용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신호의 있음 또는 없음은 동일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신호가 출력 전압에서 변화를 일으킬 때 분할 저항들을 스위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에 전압 감지 장치가 상기 분압기들 중 한 분압기에 접속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연산 증폭기(46, 66)는 미국의 National Semiconductor에서 제조한 LM358 연산 증폭기이다. 이들 증폭기들은 입력 단자에서의 전압들이 매우 낮을 때 증폭기가 계속해서 동작될 수 있게 해주는 PNP 입력 회로를 갖는다. 그렇지만, NPN 입력 회로를 갖는 연산 증폭기는 통상적으로 입력 단자에서의 전압이 약 1 볼트보다 낮은 때는 동작되지 않는다. 그러한 NPN 입력 회로 연산 증폭기가 사용되면, 증폭기(66)는 폴드백 전류 제한 모드에서 래치를 하며, 즉 출력 단자(74)는 제로 출력 볼트로 래치되며 출력 단자(18)에서 폴트가 제거되었을 때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실패-안전(fail-safe)"에서의 이 래칭은 바람직한 것이 될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다.

Claims (4)

  1. 조절되지 않은 DC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포인트(12);
    조절된 DC 전압을 제공하는 출력 포인트(18);
    상기 조절된 DC 전압(VO)의 버전과 기준 전압의 비교에 응답해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46,66);
    상기 입력 포인트(12)와 상기 출력 포인트(18)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조절 수단(Q1,Q2)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수단(Q1,Q2)은, 제1 전극(16) 및 제어 전극(베이스)을 구비하는 제1 형의 제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와 상보형이며, 제1 전극(콜렉터), 제2 전극(에미터), 및 제어 전극(베이스)을 구비하는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어 전극(베이스)은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46,66)으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1 전극(콜렉터)은 상기 제어 신호의 증폭된 버전을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상기 제어 전극(콜렉터)에 제공하는, 전압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 2 전극(에미터)과 상기 출력 포인트(18)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 2 전극(에미터)에, 상기 출력 포인트(18)에서의 상기 조절된 DC 전압의 감소된 전압 버전을 제공하는 피드백네트워크(2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 2 전극(에미터)과 상기 출력 포인트(18) 사이에 결합된 상기 피드백 네트워크(24,30)는 전압 분압기(24,30)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분압기는 상기 출력 포인트(18)와 기준 전위 사이에 결합된 제1 저항(24) 및 제2 저항(3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2 전극(에미터)은 상기 제1 저항(24) 및 제2 저항(30)의 접합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상기 제1 전극은 콜렉터 전극이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상기 제어 전극은 베이스 전극이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1 전극은 콜렉터 전극이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2 전극은 에미터 전극이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상기 제어 전극은 베이스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절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PNP형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는 NPN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조절기.
KR1019960706449A 1994-05-16 1994-09-13 전압조절기 KR100359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1,121 1994-05-16
US08/241,121 US5563500A (en) 1994-05-16 1994-05-16 Voltage regulator having complementary type transis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555A KR970703555A (ko) 1997-07-03
KR100359010B1 true KR100359010B1 (ko) 2003-02-17

Family

ID=2290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449A KR100359010B1 (ko) 1994-05-16 1994-09-13 전압조절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563500A (ko)
EP (1) EP0763224B1 (ko)
JP (1) JP3504666B2 (ko)
KR (1) KR100359010B1 (ko)
CN (1) CN1091893C (ko)
BR (1) BR9502041A (ko)
CA (1) CA2189851C (ko)
DE (1) DE69421942T2 (ko)
MY (1) MY113468A (ko)
TW (1) TW320792B (ko)
WO (1) WO1995031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91B1 (ko) 2006-03-15 2008-12-23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전압 조절기 및 전압 조절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470B2 (ja) * 1995-03-17 1999-07-28 東光株式会社 直列制御形レギュレータ
JP3315934B2 (ja) * 1998-08-21 2002-08-19 東光株式会社 直列制御型レギュレータ
US20020044094A1 (en) * 2000-09-15 2002-04-18 May Brian Douglas System performance for use as feedback control of power supply output of digital receiver when receiver is operated in a standby mode
FR2819904B1 (fr) * 2001-01-19 2003-07-25 St Microelectronics Sa Regulateur de tension protege contre les courts-circuits
MXPA04009706A (es) * 2002-04-03 2005-01-11 Thomson Licensing Sa Suministro de energia para un receptor de satelite.
US6996389B2 (en) * 2002-04-03 2006-02-07 Thomson Licensing Power supply for a satellite receiver
TWI225327B (en) * 2003-09-10 2004-12-11 Benq Corp Power protection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248531B2 (en) * 2005-08-03 2007-07-24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Voltage down converter for high speed memory
EP1882997A1 (en) * 2006-07-27 2008-01-30 STMicroelectronics Limited Battery charger with temperature-dependent power control
US8669752B2 (en) * 2011-02-22 2014-03-11 Cisco Technology, Inc. Controlling resistance for inline power powered device detection
US9793707B2 (en) 2013-05-28 2017-10-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ast transient precision power regulation apparatus
EP3433694B1 (en) * 2016-07-21 2024-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ircuit for dynamically adjusting a threshold output current based on an input voltage
RU174895U1 (ru) * 2016-08-24 2017-11-09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яжения
US20190050012A1 (en) * 2017-08-10 2019-02-1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Voltage regulator with improved slew rate
CN108153368B (zh) * 2017-11-22 2021-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闭环反馈稳压电路
JP7082758B2 (ja) * 2019-05-15 2022-06-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圧レギュレータ及び車載用のバックアップ電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2035A (en) * 1956-06-14 1958-04-22 Avco Mfg Corp Transistor voltage or current regulator
US3109979A (en) * 1958-07-14 1963-11-05 Automatic Elect Lab Transistorized regulated power supply
US3445751A (en) * 1966-11-25 1969-05-20 Rca Corp Current limiting voltage regulator
US4684877A (en) * 1986-06-17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tilizing a concentric collector PNP transistor
US4988942A (en) * 1988-11-08 1991-01-29 Spectra-Physics, Inc. Switched resistor regulator control when transfer function includes discontinuity
DE3932776A1 (de) * 1989-09-30 1991-04-11 Philips Patentverwaltung Stromversorgungseinrichtung mit spannungsregelung und strombegrenzung
US5220272A (en) * 1990-09-10 1993-06-15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with asymmetrical feedback amplifier and method
IT1250301B (it) * 1991-09-09 1995-04-0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Regolatore di tensione a bassa caduta.
US5274323A (en) * 1991-10-31 1993-12-28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low dropout regulator
JP2999887B2 (ja) * 1992-10-09 2000-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Igbtの過電流保護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6276731A (ja) * 1993-03-19 1994-09-30 Toko Inc 自励式dc−dcコンバータ
US5408404A (en) * 1993-03-25 1995-04-18 Rockwell International Corp. High frequency interleaved DC-to-AC power converter apparatus
JP2596314B2 (ja) * 1993-05-31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5422562A (en) * 1994-01-19 1995-06-06 Unitrode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with improved Dynamic respon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91B1 (ko) 2006-03-15 2008-12-23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전압 조절기 및 전압 조절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3224A1 (en) 1997-03-19
US5563500A (en) 1996-10-08
CA2189851A1 (en) 1995-11-23
JP3504666B2 (ja) 2004-03-08
BR9502041A (pt) 1995-12-19
CN1152362A (zh) 1997-06-18
DE69421942T2 (de) 2000-03-16
MY113468A (en) 2002-03-30
EP0763224B1 (en) 1999-12-01
KR970703555A (ko) 1997-07-03
WO1995031762A1 (en) 1995-11-23
TW320792B (ko) 1997-11-21
CN1091893C (zh) 2002-10-02
CA2189851C (en) 2000-01-25
DE69421942D1 (de) 2000-01-05
JPH10500237A (ja) 1998-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537B1 (ko) 폴드백전류제한을갖는이중의전압-전압조절기
KR100359010B1 (ko) 전압조절기
US3048718A (en) Transient responsive protection circuit
US4404473A (en) Direct current power controller
EP0566594B1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US4394703A (en) Load protecting arrangement
US5010292A (en) Voltage regulator with reduced semiconductor power dissipation
US5099381A (en) Enable circuit with embedded thermal turn-off
CA1139417A (en) Power supply for circuit breaker static trip unit
US4864214A (en) Solid state power controller
US3303386A (en) Transient overvoltage and overload protection circuit
US10879691B2 (en) Unlockable switch inhibitor
US7113375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nd/or regulating supply voltages
EP1018064B1 (en) Solid-state high voltage linear regulator circuit
US3210646A (en) Automatic error sensing point switching circuits for electronically regulated power supply
WO2003085850A1 (en) Power supply for a satellite receiver
KR0117401Y1 (ko) 전원보호용 회로
KR910003425Y1 (ko) 과전류 보호 회로
SU1034024A1 (ru)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GB2214368A (en) Overload current cut-out circuit
JP2856482B2 (ja) 電源回路
JPH06168041A (ja) 定電流電源回路
JPH06168042A (ja) 定電流電源回路
JPH0521973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