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913B1 - 차량의 리어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913B1
KR100358913B1 KR1020000071580A KR20000071580A KR100358913B1 KR 100358913 B1 KR100358913 B1 KR 100358913B1 KR 1020000071580 A KR1020000071580 A KR 1020000071580A KR 20000071580 A KR20000071580 A KR 20000071580A KR 100358913 B1 KR100358913 B1 KR 10035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seat
center
auxiliary cushion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916A (ko
Inventor
김범중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9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6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cush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이동되어져 전후방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진 차량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분할식 리어시트는 구조적 특성상 중앙에 틈이 있어서 가운데 승객이 앉을 경우 착좌감이 나쁘게 되고, 중앙에 분할면이 보이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아 차량의 상품성이 하락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 에서와 같이 리어시트(1)의 중앙 ,즉 분할된 시트의 접촉부에 수납홈(12)을 마련하고 이 수납홈(12)에 보조쿠션(14)이 장착되도록 한 것으로, 보조쿠션(14)은 중앙에 앉게되는 승객에 맞게 마련되어져 이 보조쿠션(14)이 어느 한 쪽의 리어시트(1)에 힌지결합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보조쿠션(14)이 수납홈(12)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벤치형상의 일체형 리어시트와 마찬가지여서 리어시트 중앙 승객의 착좌감이 향상되어지는 것이고 어느 하나의 리어시트(1) 위치를 조정하려 할 때에는 보조쿠션(14)을 인출하여 리어시트(1)에 포개어 놓으면 용이하게 리어시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시트{Rear-Sea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이동되어져 전후방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진 차량의 리어시트에 있어서 리어시트의 중앙에 앉는 승객을 위하여 별도의 보조시트가 수납되어진 차량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독립시트와 벤치식 시트로 구분되며, 독립시트는프론트시트인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되어져 전후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레일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벤치식 시트는 3명이 착좌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것으로, 리어시트에 적용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예시도면 도 1 과 같이 벤치식 시트의 형상으로 분할된 독립식 시트가 설치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즉, 탑승객의 편의를 위해 리어시트(1)도 시트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레일에 결합되어지며,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식의 리어시트(1)는 구조적 특성상 중앙에 틈이 있어서 가운데 승객이 앉을 경우 착좌감이 나쁘게 되고, 중앙에 분할면이 보이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아 차량의 상품성이 하락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중앙에 앉는 승객을 위하여 별도의 보조시트가 수납되어진 차량의 리어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중앙 ,즉 분할된 시트의 접촉부에 수납홈을 마련하고 이 수납홈에 보조쿠션이 장착되도록 한 것으로, 보조쿠션은 중앙에 앉게되는 승객에 맞게 마련되어져 이 보조쿠션이 어느 한 쪽의 시트에 힌지결합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보조쿠션이 수납홈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벤치형상의 일체형 리어시트와 마찬가지여서 리어시트 중앙 승객의 착좌감이 향상되어지는 것이고 어느 하나의 리어시트 위치를 조정하려 할 때에는 보조쿠션을 인출하여 리어시트에 포개어놓으면 용이하게 리어시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는 종래 분할식 리어시트를 나타낸 사시설명도,
도 1b 는 종래 분할식 리어시트를 나타낸 평면설명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를 나타낸 사시설명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를 나타낸 정면설명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를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어시트, 10 - 시트쿠션,
12 - 수납홈, 14 - 보조쿠션,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의 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절반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전후방 위치가 조정가능하도록 되어진 차량 리어시트에 있어서, 분할된 시트쿠션(10) 접촉부에 수납홈(12)이 절반되어 각각 형성되고, 이 수납홈(12)에 안착되어지는 보조쿠션(14)이 마련되어 이 보조쿠션(14)이 상기 수납홈(12)에 수납되게 상기 분할된 리어시트 중 하나의 리어시트(1) 측부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어시트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어시트는 벤치 형상의 분할 독립식 리어시트에 있어서 중앙에 앉는 승객을 위한 보조쿠션(14)이 장착되어진 리어시트(1)를 제공한다.
즉, 벤치식 리어시트(1)는 승객 3명이 착좌되는 크기를 갖게되는데, 3명의 분할에 마추어 쿠션을 3분할 함과 더불어, 2분할된 리어시트가 독립적으로 전후방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1)의 중앙 ,즉 분할된 시트쿠션(10)의 접촉부에 수납홈(12)을 마련하고 이 수납홈(10)에 보조쿠션(14)이 장착되도록 하였다.
보조쿠션(14)은 중앙에 앉게되는 승객에 맞게 그 크기가 결정되어짐은 당연하고, 이 보조쿠션(14)이 어느 한 쪽의 리어시트(1)에 힌지결합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보조쿠션(14)이 수납홈(12)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벤치형상의 일체형 리어시트와 마찬가지여서 리어시트 중앙 승객의 착좌감이 향상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화물을 차실내 후방에 탑재하기 위한 것 등으로 어느 하나의 리어시트(1) 위치를 조정하려 할 때에는 보조쿠션(14)을 인출하여 리어시트(1)에 포개어 놓으면 용이하게 리어시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식 리어시트의 접촉부인 중앙에 보조시트를 마련하여 이것이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중앙에 장착되거나 인출되어 측부의 리어시트에 포개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리어시트의 중앙에 앉게 되는 승객의 승차감이 향상되고, 외관의 수려함이 유지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절반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전후방 위치가 조정가능하도록 되어진 차량 리어시트에 있어서, 분할된 시트쿠션(10) 접촉부에 수납홈(12)이 절반되어 각각 형성되고, 이 수납홈(12)에 안착되어지는 보조쿠션(14)이 마련되어 이 보조쿠션(14)이 상기 수납홈(12)에 수납되게 상기 분할된 리어시트 중 하나의 리어시트(1) 측부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어시트.
KR1020000071580A 2000-11-29 2000-11-29 차량의 리어시트 KR10035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580A KR100358913B1 (ko) 2000-11-29 2000-11-29 차량의 리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580A KR100358913B1 (ko) 2000-11-29 2000-11-29 차량의 리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916A KR20020041916A (ko) 2002-06-05
KR100358913B1 true KR100358913B1 (ko) 2002-10-31

Family

ID=1970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580A KR100358913B1 (ko) 2000-11-29 2000-11-29 차량의 리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9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916A (ko)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668B1 (en) Headrest for vehicle seats with swivellable side cheeks
EP0423669B1 (en) A motor car with three front seats side by side
US6000751A (en) Seat arrangement for vehicles
US4065174A (en) Automotive seat convertible to a bed
KR20040033150A (ko) 자동차용 전열 시트 조립체
KR100358913B1 (ko) 차량의 리어시트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H0515149Y2 (ko)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JP5445911B2 (ja) 車両用シートの構造
JPH11189078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200229256Y1 (ko) 자동차용 착석형상 가변형 시트장치
KR200147457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GB2420494A (en) Motor vehicle seat including a cushion movable from a horizontal orientation to a transversely inclined orientation
KR970036771A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KR19980052308U (ko) 시트의 이동식 헤드레스트
JPH08310341A (ja) 乗物シートのチャイルドシート兼用アームレスト装置
KR19990005026A (ko) 3인 승차 가능한 프론트 시트의 센터 시트
KR19980045205U (ko) 자동차 시트의 보조테이블
KR19980042650U (ko) 자동차용 시트의 암레스트
KR19980034525U (ko) 램프를 구비한 프론트 시트
KR19980045048U (ko) 자동차의 프론트시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