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770B1 -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 Google Patents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770B1
KR100358770B1 KR1019990064036A KR19990064036A KR100358770B1 KR 100358770 B1 KR100358770 B1 KR 100358770B1 KR 1019990064036 A KR1019990064036 A KR 1019990064036A KR 19990064036 A KR19990064036 A KR 19990064036A KR 100358770 B1 KR100358770 B1 KR 10035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itialization
detection
interlocking
low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540A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7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연동 검출을 위한 연동신호라인과 시스템 초기화신호를 출력하는 초기화신호라인을 하나의 신호라인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장치와 다수개의 하부장치 사이에 연결되어서, 연동검출신호 또는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신호라인을 한개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부장치는, 연동검출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부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와, 초기화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부장치로 초기화신호를 전달시킴과 동시에, 자체 내 이용될 초기화신호를 발생하는 리셋검출부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하부장치 내 전달부와 리셋검출부는, 신호를 전달받는 경로가 서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System interlocking detection and reset circuit}
본 발명은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연동 검출을 위한 연동신호라인과 시스템 초기화신호를 출력하는 초기화신호라인을 하나의 신호라인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의 구성도이다.
종래는 메인장치(10)에서 하부장치들 (20a,20b,20c)의 연동상태를 확인하고, 하부장치들(20a,20b,20c)을 초기화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의 연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 1,2신호라인(30,31)과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제 3,4신호라인(40,41)이 별도의 라인으로 구성되고 있다.
즉, 메인장치(10)와 하부장치부(20) 사이에는 시스템의 연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 1,2신호라인(30,31)이 연결된다. 상기 메인장치(10)에 연결되는 제 1신호라인(30)과 제 2신호라인(31) 사이에는 각각의 하부장치(20a,20b,20c)의 전원스위치(21,22,23)가 연결되고 있다.
또한, 상기 메인장치(10)와 하부장치부(20) 사이에는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한 제 3,4신호라인(40,41)이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장치(10)에 연결되는 제 3,4신호라인(40,41) 사이에는 각각의 하부장치(20a,20b,20c)의 리셋신호 발생을 위한 TTL 변환기(24,25,26)가 연결되고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시스템 연동 검출과정 및 시스템 초기화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시스템 연동 검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장치(10)는, 메인장치(10)와 하부장치부(20) 간의 연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부장치부(20)로 연결되어 있는 연동확인 제 1신호라인(30)을 통하여 DC +28V(또는 임의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DC +28V는 제 1신호라인(30)을 통해서 각 하부장치들(20a,20b,20c)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하부장치들(20a,20b,20c)은, 전원스위치(21,22,2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신호라인(30)을 통해서 공급되는 DC +28V 신호는 온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하부장치(20a)의 전원스위치(21)를 통하여, 하부장치(20b)의 전원스위치(22)로 공급되고, 다시 하부장치(20c)의 전원스위치(23)로 공급된다. 이렇게 각 하부장치들(20a,20b,20c)의 전원스위치를 경유한 신호는 제 2 신호라인(31)을 통하여 메인장치(10)에 입력된다.
만일, 상기 하부장치들(20a,20b,20c) 중의 어느 하나의 전원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되어 있으면, 상기 메인장치(10)에서 하부장치들(20a,20b,20c)을 경유하여 다시 메인장치(10)로 연결되는 연동라인이 끊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메인장치(10)는 하부장치들(20a,20b,20c)의 연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종래의 회로에서 메인장치(10)가 하부장치들(20a,20b,20c)을 초기화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메인장치(10)는 하부장치들(20a,20b,20c)을 초기화하기 위하여 제 3신호라인(40)을 통하여 RS-422 신호형식의 초기화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인장치(10)에서 출력된 초기화신호는 제 3신호라인(40)을 통하여 각 하부장치(20a,20b,20c)의 TTL 변환기(24,25,26)에 입력된다.
따라서 각각의 하부장치(20a,20b,20c)의 TTL 변환기(24,25,26)는, 제 3,4신호라인(40,41)을 통해 입력되는 RS-422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해서 각각의 하부장치(20a,20b,20c)의 초기화신호를 발생한다.
즉, 종래는 메인장치(10)에서 하부장치들(20a,20b,20c)을 초기화하기 위해서 RS-422 신호 형식의 초기화신호를 하부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하부장치들 (20a,20b,20c)은 RS-422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여 각 장치의 초기화신호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는, 메인장치(10)와 하부장치 (20) 간의 연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연동신호라인과, 상기 메인장치(10)에서 하부장치(20)를 초기화시키기 위하여 초기화신호를 출력하는 초기화신호라인을 각각 별개로 구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의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는, 많은 신호선으로 인하여 신호 케이블이 굵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는, 신호들 간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신호의 일그러짐 현상이 심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신호라인을 통해서 시스템과 하부장치 간의 연동검출 및 하부장치의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의 구성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메인장치 20a~20c,201~203 : 하부장치
21~23,210~212 : 전원스위치 24~26 : TTL 변환기
220~222 : 리셋검출회로 230~232 : 포토 모스 릴레이
110,120 : 정전류회로 20,200 : 하부장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연동 검출 및 초기화회로는, 시스템 연동검출을 위하여, 일정크기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신호발생부와, 하부장치의 초기화를 위하여, 일정크기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신호발생부와, 하부장치를 경유하여 복귀된 시스템연동검출신호를 읽어들이는 래치부으로 구성되는 메인장치와; 상기 메인장치와 다수개의 하부장치 사이에 연결되어서, 연동검출신호 또는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하나의 신호라인과; 상기 신호라인을 통하여, 상기 메인장치의 제 1 신호발생부의 연동검출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부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와, 상기 신호라인을 통하여, 메인장치의 제 2 신호발생부의 초기화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부장치로 초기화신호를 전달시킴과 동시에, 자체 내 이용될 초기화신호를 발생하는 리셋검출부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하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장치 내 전달부와 리셋검출부는, 신호를 전달받는 경로가 서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장치 내 리셋검출부는, 인가되는 초기화신호를 다른 하부장치로 전달하면서 발광되는 포토 다이오드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포토 모스 릴레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장치 내 전달부는, 연동검출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장치 내 리셋검출부의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장치는, 시스템 연동검출과 초기화를 위해 기초신호를출력하는 제 2 래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2신호발생부는, 상기 제 2 래치부에서 출력하는 시스템 연동검출신호/초기화신호에 기초하여 소정크기의 전류를 발생하는 정전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래치부에서 출력하는 시스템 연동검출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제 1 신호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 1 스위칭부와;상기 제 2 래치부에서 출력하는 초기화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제 2 신호발생부를 동작시키는 제 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연동 검출 및 초기화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의 구성 중에서 메인장치 내부 구성이고, 도 2b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의 구성 중에서 하부장치 내부 구성도이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인장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메인장치(100)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래치시켰다가 출력하는 래치(U1)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U1)는 다수개의 단자(D0~Dn)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래치(U1)의 D0 단자는 앤드게이트(U2)의 제 1 입력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래치(U1)의 D1 단자는 인버터(U3)를 통해서 상기 앤드게이트(U2)의 제 2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앤드게이트(U2)의 출력단자는 인버터(U4)와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는 PNP형 트랜지스터로,에미터단자는 공급전원(DC +28V)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는 저항(R4)를 통해서 정전류회로(110)에 연결되고 있다. 또한, 공급전원에 연결되는 저항(R2)도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U3)의 출력신호는 인버터(U4)를 통해서 정전류회로(110)에 인가된다. 상기 정전류회로(110)는,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설정하고 있다. 즉, 상기 인버터(U4)의 출력단자에 다이오드(D1)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U4)와 다이오드(D1) 사이의 접속점에 공급전원 DC +12V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고 있는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서 설정되는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자는 저항(R5)을 통해서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콜렉터단자는 정전류회로(110) 출력단자로 동작된다.
상기 정전류회로(110)에서 출력되는 일정한 전류는 메인장치(100)의 연동출력단자(100a)를 통해서 하부장치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래치(U1)의 D1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래치(U1)의 D1 출력신호가 인버터(U4)에 공급되며, 상기 인버터(U4)의 출력단자와 DC +28V의 공급전원 사이에 연결되고 있는 분압저항(R6,R7)에 의해서 결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에 또 하나의 정전류회로(120)가 연결된다. 상기 정전류회로(120)는,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에 두개의저항(R8,R9)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저항(R8,R9) 사이의 접속점에 정전류회로(120)에 의해서 결정된 정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저항(R9)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2)가 연결되며, 상기 제너다이오드(ZD2)에 병렬로 저항(R1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항(R10)과 병렬로 구성되는 또 하나의 래치(U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래치(U5)는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단자(D0~Dn)로 입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래치(U5)의 D0 단자가 상기 저항(R10)과 병렬로 연결되고 있다.
상기 메인장치(100) 내에 구비되는 래치(U1,U5)는 단자(D0~Dn)를 통하여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전류회로(120)에 의한 일정한 전류가 메인장치(100)의 연동입력단자(100b)로 출력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다음은 도 2b를 참조하여 하부장치부(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하부장치부(200)는, 상기 메인장치(100)와 연결되고 있는 연동입력단자(200b)와 연동출력단자(200a)가 구비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고 있지만, 상기 메인장치(100) 내 연동출력단자(100a)는 상기 하부장치부(200) 내 연동출력단자(200a)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장치(100)의 연동입력단자(100b)는 상기 하부장치부(200) 내 연동입력단자(200b)와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장치(100)의 입출력단자와 하부장치부(200)의 입출력단자 사이에는 하나의 신호라인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장치를 세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다수개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장치부(200) 내 연동출력단자(200a)는 하부장치(201)의전원스위치(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부장치부(200) 내 연동입력단자(200b)는 맨 마지막 하부장치(203)의 전원스위치(212)에 연결된다. 즉, 하부장치부(200) 내 신호 연결은 연동출력단자(200a), 하부장치(201)의 전원스위치(210), 하부장치(202)의 전원스위치(211), 하부장치(203)의 전원스위치(212), 그리고 연동입력단자(200b)로 구성되는 폐 루프를 형성한다.
다음은 하나의 하부장치(201)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부장치부(200) 내 연동출력단자(200a)는 하부장치(201)의 전원스위치(210)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스위치(210)는 다이오드(D210)를 통해서 다른 하부장치(202)의 전원스위치(211)에 연결되고 있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D210)의 양단자에 포토 모스 릴레이(230)로 구성되고 있는 리셋 검출회로(220)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 리셋검출회로(220)는, 상기 하부장치(201)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다이오드(D210)의 양단자에 발광소자인 포토 다이오드(PD200)가 연결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PD200)의 발광신호를 수광하는 포토 트랜지스터(PT200,PT20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200,PT201)에 다이오드(D200,D201)가 연결되며,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200,PT201)의 출력단자로부터 리셋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200,PT201)와 포토 다이오드(PD200), 그리고 다이오드(D200,D201)가 하나의 포토 모스 릴레이(Photo MOS Relay)(230)를 형성한다.
이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부장치(202)의 전원스위치(211) 그리고 리셋검출회로(221)가 구성되며, 또한 하부장치(203)의 전원스위치(212) 그리고 리셋검출회로(222)가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연동검출과정 및 시스템 초기화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과 하부장치 사이의 연동 확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장치(100)에서 하부장치 간의 연동을 확인하고자 할때, 데이터 래치(U1)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D0 단자로는 하이신호를, D1 단자로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래치(U1)의 D0 단자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앤드게이트(U2)의 제 1 입력신호가 된다. 또한, 상기 래치(U1)의 D1 단자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는 인버터(U3)에 의해서 반전되어 상기 앤드게이트(U2)의 제 2 입력단자로 하이신호로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앤드게이트(U2)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앤드게이트(U2)의 하이 출력은 인버터(U4)에 의해서 반전되어서 로우상태가 되고, 이때의 로우신호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는 PNP형 트랜지스터이므로, 상기 베이스단자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턴-온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래치(U1)의 D1 단자로 출력된 로우신호는, 인버터(U3), 인버터(U4)를 통하여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여, 원신호의 로우상태가 된다. 이때, 접속점(A)에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하여 일정전압이 설정되면서, 이 전압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C)에는 상기 정전류회로(110)에 의한 일정 전류가 인가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고, DC +28V가 상기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접속점(C)로 인가될려고 하지만, 상기 접속점(C)는 상기 정전류회로(110)에 의하여 일정한 전류가 걸리도록 설정되고 있다.
이때, 트랜지스터(Q3)는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즉, 상기 래치(U1)의 D1 단자로 출력된 로우신호가 인버터(U4)를 통하여 반전되어 하이신호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3) 또한 PNP형 트랜지스터이므로 상기 인가되는 하이신호에 의해서 오프상태로 제어된다.
상기 접속점(C)에 설정된 일정한 전류는, 연동출력단자(100a)를 통하여 하부장치부(200)로 전달된다.
상기 하부장치부(200)는 상기 메인장치(100)의 연동출력단자(100a)를 통하여 인가되는 일정크기의 전류를 연동입력단자(200a)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때, 하부장치들(200a,200b,200c)의 전원스위치들(210,211,212)은 연동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상태에서 온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상기 하부장치부의 연동입력단자(200a)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온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하부장치(201)의 전원스위치(210)를 통해서 다이오드(D210)로 인가되고, 상기 다이오드(D210)를 통해서 다른 하부장치(202)로 공급된다. 상기 하부장치(202)로 입력된 연동확인신호는 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전원스위치(211)를 통해서 다이오드(D211)에 인가되고, 상기 다이오드(D211)를 통해서 다른 하부장치(203)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하부장치(203)에 입력된 연동확인신호는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전원스위치(212)를 통해서 다이오드(D212)에 인가되고, 상기 다이오드(D212)를 통해서 하부장치부(200) 내 연동출력단자(200b)에 인가된다.
즉, 상기와 같은 연결과정에 의해서 상기 하부장치부(200) 내에서 상기 연동입력단자(200a)로부터 입력된 연동확인신호는 모든 하부장치(200a,200b,200c)를 통해서 연동출력단자(200b)로 전달된다.
상기 하부장치부(200)의 연동출력단자(200b)에 인가된 신호는 신호라인을 통하여 메인장치(100)의 연동입력단자(100b)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신호가 접속점(B)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3)는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점(B)에 인가된 신호는, 래치(U5) 단자(D0)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U5)를 통하여 상기 접속점(B)에 인가된 하이상태의 전압을 읽어드리므로서, 상기 메인장치(100)와 하부장치부(200) 간의 연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하부장치들(200a,200b,200c) 중에서 어느 한 하부장치라도 전원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으면, 연동입,출력라인이 폐 루프를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접속점(B)에 인가되는 신호는 로우상태가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로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접속점(B)의 전압은 로우 전위가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래치(U5)로부터 읽어드리는 값은 로우상태의 값이 되고, 이 값으로부터 메인장치(100)는 하부장치들의 서로 연동이 안되어 있음을 감지한다.
다음, 시스템에서 하부장치들을 초기화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장치(100)에서 하부장치들(200a,200b,200c)을 초기화시키고자 할때, 래치(U1)의 D0단자와 D1 단자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D0 단자의 하이출력은 앤드게이트(U2)의 제 1 입력으로 인가되고, 상기 D1단자의 하이출력은 인버터(U3)를 통하여 로우신호로서 상기 앤드게이트(U2)의 제 2 입력신호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앤드게이트(U2)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앤드게이트(U2)의 로우 출력은 인버터(U4)에 의해서 반전되어 하이신호가 된다. 상기 하이신호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고, 이 신호에 의해서 상기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한편, 래치(U1)의 D1 단자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인버터(U4)를 통하여 로우신호로 반전되고, 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서,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턴-온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DC +28V의 공급전원은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접속점(B)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접속점(B)에 인가되는 전류는, 정전류회로(120)의 제어를 받는 상태가 된다. 즉, 제너다이오드(ZD2)와 저항(R9,R10)에 의해서 부하의 변동에 무관하게 접속점(B)에 일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접속점(B)에 인가된 전류는, 연동입력단자(100b)를 통해서 하부장치부(200)로 출력된다.
이때, 하부장치들(200a,200b,200c) 내의 전원스위치(210,211,212)는 모두 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상기 메인장치(100)의 연동입력단자(100b)를 통해서 인가된 초기화신호는 하부장치(200)의 연동출력단자(200b)로 입력된다.
상기 연동출력단자(200b)로 입력된 초기화신호는, 하부장치(203)의 포토 모스 릴레이(232) 내의 발광 다이오드(PD202)를 발광시켜서 전원스위치(212)로 전달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PD202)가 발광되면, 상기 발광된 신호를 포토 트랜지스터(PT204,PT205)가 수광한다. 이렇게 수광된 신호에 의해서 리셋신호가 생성되고, 이때의 리셋신호에 의해서 하부장치(203)가 초기화된다.
한편, 상기 하부장치(203)의 전원스위치(212)에 인가된 초기화신호는 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전원스위치(212)를 통하여 다른 하부장치(202)로 전달된다. 상기 하부장치(202)는 포토 다이오드(PD201)를 통해서 초기화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에 의해서 포토 다이오드(PD201)가 발광된다. 그리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PD201)를 통과한 초기화신호는 하부장치(202) 내 전원스위치(211)로 인가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PD201)가 발광되면, 상기 발광된 신호를 포토 트랜지스터(PT202,PT203)가 수광한다. 이렇게 수광된 신호에 의해서 리셋신호가 생성되고, 이때의 리셋신호에 의해서 하부장치(202)가 초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장치(202) 내 전원스위치(211)에 인가된 초기화신호는, 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는 전원스위치(211)를 통하여 다른 하부장치(201)로 전달된다. 상기 하부장치(201)는 포토 다이오드(PD200)를 통해서 초기화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에 의해서 포토 다이오드(PD200)가 발광된다. 그리고 상기 포토다이오드(PD200)를 통과한 초기화신호는 하부장치(201) 내 전원스위치(210)로 인가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PD200)가 발광되면, 상기 발광된 신호를 포토 트랜지스터(PT200,PT201)가 수광한다. 이렇게 수광된 신호에 의해서 리셋신호가 생성되고, 이때의 리셋신호에 의해서 하부장치(201)가 초기화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메인장치(100)에서 출력한 초기화신호에 의해서 모든 하부장치들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는, 하나의 신호라인을 이용하고 있다. 즉, 하나의 신호라인을 통해서 시스템과 다수개의 하부장치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라인과 동일라인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에서 인가한 초기화신호가 각 하부장치로 공급되면서, 각 하부장치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스템과 하부장치 사이에 신호라인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신호 케이블의 굵기를 가늘게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신호들 간의 간섭에 의한 신호의 일그러짐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시스템 연동검출을 위하여, 일정크기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신호발생수단과,
    하부장치의 초기화를 위하여, 일정크기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신호발생수단과,
    하부장치를 경유하여 복귀된 시스템연동검출신호를 읽어들이는 래치수단으로 구성되는 메인장치와;
    상기 메인장치와 다수개의 하부장치 사이에 연결되어서, 연동검출신호 또는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하나의 신호라인과;
    상기 신호라인을 통하여, 상기 메인장치의 제 1 신호발생수단의 연동검출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부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과,
    상기 신호라인을 통하여, 메인장치의 제 2 신호발생수단의 초기화신호를 인가받고, 다른 하부장치로 초기화신호를 전달시킴과 동시에, 자체 내 이용될 초기화신호를 발생하는 리셋검출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하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장치 내 전달수단과 리셋검출수단은, 신호를 전달받는 경로가 서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치 내 리셋검출수단은,
    인가되는 초기화신호를 다른 하부장치로 전달하면서 발광되는 포토 다이오드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발광신호를 수광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포토 모스 릴레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치 내 전달수단은,
    연동검출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치 내 리셋검출수단의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는,
    시스템 연동검출과 초기화를 위해 기초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래치수단을 더포함하고,
    상기 제 1,2신호발생수단은, 상기 제 2 래치수단에서 출력하는 시스템 연동검출신호/초기화신호에 기초하여 소정크기의 전류를 발생하는 정전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수단에서 출력하는 시스템 연동검출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제 1 신호발생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1 스위칭수단과;
    상기 제 2 래치수단에서 출력하는 초기화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제 2 신호발생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2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KR1019990064036A 1999-12-28 1999-12-28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KR10035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36A KR100358770B1 (ko) 1999-12-28 1999-12-28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36A KR100358770B1 (ko) 1999-12-28 1999-12-28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540A KR20010061540A (ko) 2001-07-07
KR100358770B1 true KR100358770B1 (ko) 2002-10-30

Family

ID=1963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036A KR100358770B1 (ko) 1999-12-28 1999-12-28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10B1 (ko) * 2004-08-27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01A (ja) * 1983-07-15 1985-02-04 Toyo Electric Mfg Co Ltd 電気車制御装置用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リセツト方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01A (ja) * 1983-07-15 1985-02-04 Toyo Electric Mfg Co Ltd 電気車制御装置用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リセツト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540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9640B2 (en) Optical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over a common signal line
CN100357859C (zh) 总线控制电源开关
US4420841A (en) Optically coupled bidirectional transceiver
KR19980702125A (ko) 양방향 신호 전송 시스템
US7359433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MXPA02002773A (es) Circuito aislador optico 12c.
US4450571A (en) Two-way signal transmission and one-way DC power supply using a single line pair
KR100358770B1 (ko) 시스템 연동검출 및 초기화회로
US3476879A (en) Line relay for d.c. telegraph systems
US7202727B2 (en) Bi-directional signal level shift circuit
KR920007098B1 (ko) 데이타 오분산 검출기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장치 및 데이타 전송방법
US6061220A (en) Power switching circuit of network-connected device
US20070115136A1 (en) Contac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5132561A (en) Switching of logic data signals
US4569059A (en) Optically coupled differential data link
US7535256B2 (en) Cross-level digit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GB2064918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s
CN100477812C (zh) 配备极性反向装置的转换设备
CN113676167B (zh) 信号输入电路、电子芯片及电子设备
US3894175A (en) Line control unit for teleprinters
KR910004807B1 (ko) 텔레메터링 시스템에서 모기와 자기간의 직렬 데이타 통신회로
JP3203409B2 (ja) 双方向バスライン用スイッチ回路
KR0118760B1 (ko) 절연에 의한 데이타 전송회로
JP3517111B2 (ja) 給電切り換えシステム
CN113615089A (zh) 用于转换差分输入信号的开关装置和具有开关装置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