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257B1 - 고압방전램프용산소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고압방전램프용산소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257B1
KR100358257B1 KR1019980705590A KR19980705590A KR100358257B1 KR 100358257 B1 KR100358257 B1 KR 100358257B1 KR 1019980705590 A KR1019980705590 A KR 1019980705590A KR 19980705590 A KR19980705590 A KR 19980705590A KR 100358257 B1 KR100358257 B1 KR 10035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oxygen
dispenser
pressure discharge
oxygen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879A (ko
Inventor
클라우디오 보피토
베니 죠세프스 드 마그트
Original Assignee
사에스 게터스 에스.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에스 게터스 에스.페.아. filed Critical 사에스 게터스 에스.페.아.
Publication of KR1999008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2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H01J61/28Means for producing, introducing, or replenishing gas or vapour during operation of th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2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H01J61/26Means for absorbing or adsorbing gas, e.g. by gettering; Means for preventing blackening of the envelo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4Double-wall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82Lamps with high-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고압 방전램프용 산소 디스펜서가 개시되었다. 본 발명의 산소 디스펜서는 고체 물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스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하는, 은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다양한 유형의 디스펜서가 제안되었다. 이 디스펜서는 고압 방전램프 내부의 하이드로카본으로부터 나오는 검은 침전물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을 나타내어 왔다.

Description

고압 방전램프용 산소 디스펜서 {OXYGEN DISPENSER FOR HIGH PRESSURE DISCHARGE LAMPS}
고압 방전 램프는 거의 진공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로 채워질 수 있는 외부 유리 앤벌로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 앤벌로프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나와 같은 투명 세라믹 또는 수정으로 형성된 투명 방전 튜브가 있다. 외부 유리 앤벌로프는, 표면이 램프작동 동안 고온에 도달하여 튜브를 보호되지 않는 상태로 만드는, 대기 가스의 내부확산으로부터 방전튜브를 보호한다.
방전튜브 충진가스는 램프에 따라서 변경되지만, 이 가스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희가스(noble gas)를 포함하며, 램프의 종류에 따라서 미량의 나트륨 증기, 수은 증기 및 금속 할로겐화합물(통상 요오드화물)이 첨가된다. 두 개의 금속전극이 방전튜브의 양단부에 끼워맞춰지며, 이들 전극에 전위차가 인가될 때, 방전튜브에 충진된 가스 혼합물에 플라즈마가 형성된다. 이 플라즈마는 가시광선 및 자외선(UV) 영영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을 방출한다. 몇몇 램프도 외부 앤벌로프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UV 방사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인으로 이루어 진 박층(thin layer)을 갖는다. 기타 램프는 방전튜브의 두 단부위에 증착되어 튜브의 내측에서 작동온도를 유지하는 데 조력하는, 일반적으로 지르코늄 산화물(ZrO2)인, 세라믹 파우더층을 갖는다.
램프 제조자들은 외부 앤벌로프에 주어지는 소량의 산소가 램프 작용에 유익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미국 특허 제 4,918,352 호는 램프가 턴 온되었을 때 가열에 의해 가스를 방출시키는 산소 디스펜서 또는 산소 가스를 첨가하는 외부 앤벌로프를 갖는 램프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방전튜브에 충진된 가스로부터 나트륨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앤벌로프에 있는 전기 리드의 표면을 용이하게 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국 특허 제 4,499,396 호는 램프의 외부 앤벌로프에 미량의 산소가 존재함에 기인하여 대기를 약간 산화시키는 이점을 개시하며, 이와 같이 약간 산화된 대기는 램프 밝기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시키는 인의 흑화 또는 감소를 방지한다. 인의 흑화는 외부 앤벌로프에 존재하는 탄화수소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램프의 탄화수소는 다양한 소스에 의해 생길 수 있다. 탄화수소는 전류리드선과 같은 램프 구성요소의 오염물질로서 외부 앤벌로프에 도입될 수 있다. 이것들은 앤벌로프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진공펌프의 오일에 의해 발생되거나, 또는 방전튜브 위에 ZrO2로 된 피복재 또는 앤벌로프의 내부 표면에 있는 인으로 된 피복재와 같은 몇몇 피복재를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페이스트(paste)에 이용된 유기물 접합제의 잔재일 수 있다. 램프의 작동온도에서, 탄화수소는 분해되어 블랙층(black layer) 형태의 방전튜브 및/또는 외부 앤벌로프상의 피착물인 탄소가 생기게 한다. 상기 블랙층은 램프 밝기에 대해 시간에 따른 유지에 영향을 미칠 뿐만아니라, 램프 컬러를 변화시키는 방전튜브 온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피착물은 램프 동작의 처음 몇 시간동안 이미 형성되므로, 가능한한 램프 수명의 초기 단계에서 이러한 피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 제조 후 곧바로 외부 앤벌로프에 가스형태의 산소를 충진시키는 것은 램프 제조자에 의해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앤벌로프의 기밀밀봉을 검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동일한 앤벌로프에서 "글로우 방전(glow discharge)"이라 칭하는 전기 방전을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앤벌로프의 기밀밀봉을 검사한 후에만 산소 가스를 배출시키는 산소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는 이러한 목적에 유용한 산소 화합물의 사용을 개시하지 않는다.
미국 일리노이주 소재 APL Engineered Materials, Inc.는 기술-상용 카탈로그에서 과산화바륨(BaO2) 램프의 사용을 제안한다. BaO2는 소형 다공리드를 갖춘 스테인리스 스틸 컨테이너로 제조된 디바이스에서 램프의 외부 앤벌로프에 도입된다. 상기 APL 기술-상용 카탈로그에 따르면, 이 디바이스는 앤벌로프에 약간의 산화 대기를 유지한다. 이 디바이스는 방전튜브로부터 가열되도록 램프내에 위치되어야 하며, 가열에 의한 결과로서, BaO2는 다음 반응식에 따라 탄화수소(CnHm)와 반응하는 산소를 방출시킨다.
[반응식 1]
BaO 2 → BaO + 1/2 O 2
[반응식 2]
C n H m + (n + 1/4 m)O 2 → n CO 2 + (m/2)H 2 O
그러나, BaO2의 사용은 약간의 결점을 갖는다.
첫째, 램프에서의 BaO2의 사용은 방전튜브에서 방전을 개시시키는 데 필요한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 일반적으로 램프에 존재하는, 수소를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미국 특허 제 3,519,864 호에서 초기에 제안되었었다. BaO2는 다음 반응식에 따라 수소와 반응한다.
[반응식 3]
BaO 2 + H 2 → Ba(OH) 2
이렇게 형성된 Ba(OH)2는 다음 반응식에 따라 분해된다.
[반응식 4]
Ba(OH) 2 → BaO + H 2 O
이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우기 상기 반응식 1, 반응식 3 및 반응식 4의 반응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며, 이렇게하여 BaO2의 정확한 선량주입(dosing)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BaO2의선량주입은 상기와 같은 반응이 온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반응속도를 가진다는 점에서 더욱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APL사의 기술-상용 카탈로그는 BaO2가 약 250℃ 내지 325℃ 사이의 온도에 유지되도록 위치지정되어야 한다고 지시한다. 그러나, 램프 내부의 열 프로파일이 램프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료 및 크기 또는 작동위치(수평, 수직 또는 중간위치)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복잡한 방식으로 좌우되기 때문에, 상기 조건은 구현하기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BaO2로 부터의 산소의 방출은 500℃를 넘는 고온에서만 고속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제안된 최대온도 325℃는 램프수명의 초기에 소망하는 바와 같은 산소의 고속 방출을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압 방전램프용 산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산소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산소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산소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산소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산소 디스펜서와 본 발명에 따른 산소 디스펜서의 산소 방출특성을 나타내는 두 곡선이 도시된 그래프.
본 발명은 비교적 저온에서 고속으로 산소를 방출시키는 고압방전 램프용 산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내부가 은산화물(Ag2O)로 충진되고, 가스흐름이 투과될 수 있지만 고체물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금속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고압방전 램프용 산소 디스펜서를 갖춘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Ag2O는 다음 반응식에 따라 산소를 방출한다.
[반응식 5]
Ag 2 O → 2 Ag + 1/2 O 2
Ag2O의 사용은 BaO2의 사용과 비교할 때 일련의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산소 방출은 약 300℃의 온도에서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산소 방출없이 글로우 방전방법으로 기밀 밀봉 검사를 포함하는 램프의 제조 사이클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Ag2O는 약 340℃의 온도에서 산소를 고속으로 방출하고, 약 400℃의 온도에서 산소를 더욱 고속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이는 340℃ 와 400℃의 온도인 비교적 저온에서 비교적 광범한 온도범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범위에서 Ag2O는 산소방출에 효과적이다. 이것은 램프의 내부에서 디스펜서의 자유로운 위치지정을 허용하며, 특히 디스펜서가 동일한 광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방전튜브로부터 열을 수용할 수 있는 영역에서 특히 그렇다. 산소 디스펜서는 예를들어, 전류리드에 장착되는 바와 같이, 방전튜브와 병렬로 또는 방전튜브의 단부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산소 디스펜서의 자유로운 위치지정은 램프 제조의 완료 이후 및 제 1 턴닝 온 이전에 액티베이션 동작에 의해 산소가 방출된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증가된다. 상기 액티베이션은 무선 주파수, 레이저 또는 기타 적절한 가열수단에 의해 외부 열원으로 디스펜서를 가열시키므로써 행해질 수 있다.
Ag2O에 기초한 산소 디스펜서의 추가 이점은 하기에 설명될 램프의 기능에 어떠한 명백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고, 비교적 장기간인 수십일 동안 실온에서 그리고 대기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반응식 5로에서 발생되는 금속 은 잔류물은 상기 반응식 3및 반응식 4의 생성물과는 대조적으로 램프의 가스형태 대기에서 전체적으로 불활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g2O의 전체양은 임계적인 것은 아니며, 램프의 크기, 램프의 제조 프로세스 및 ZrO2의 존재유무에 좌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인 피착물은 탄화수소 오염물질원이 될 수 있다. 임의 종류의 램프에 대한 필요량은 실험적으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정확한 필요 양을 초과하는 Ag2O양은 램프의 품질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데 이는,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918,3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잉여 산소가 예컨대 전류리드의 표면 산화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Ag2O의 양은, 가스 충진재가 존재할 경우 방출된 산소가 앤벌로프에서 가스형태 혼합물의 약 0.5내지 3.3 용적% 양이 되며, 어떠한 가스 충진재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 Ag2O의 양은 앤벌로프에서의 초기 산소 압력이 약 5 내지 20 mbar가 되도록 선택된다.
Ag2O의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작용에 있어 중요하지 않으며, 나노미터 정도 크기의 입자, 최대로는 밀리미터 범위 크기의 단결정을 갖는 매우 미세한 파우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의 용이를 위해서, Ag2O는 약 0.1 내지 50 미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인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량의 Ag2O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경우, 또는 산화물이 매우 미세한 파우더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제조라인에서 파우더 취급 및 선량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알루미나와 같은 불활성물질로 된 파우더를 Ag2O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테이너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또는 티타늄과 같은 다양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작동의 용이를 위해 니켈 도금된 철 또는 니켈-크롬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r2Ni와 같은 할로겐 게터가 램프의 외부 앤벌로프에 존재하는 경우에, 산소 디스펜서 및 상기 게터는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Ag2O 및 게터는 공통 금속 지지체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두 개의 금속이 지지체의 공통 캐비티(cavity)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혼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통 지지체의 사용 및 가능한 혼합물은 램프의 조립단가와 게터 및 산소 디스펜서의 제조단가를 낮춘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몇몇 예는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첫 번째 가능한 형태는 도 1에 절결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10)는 바닥부가 폐쇄되고 상향으로 개방된 실린더형 컨테이너(11)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는 유리(loose)되거나 압착된 파우더 형태일 수 있는 Ag2O(12)가 놓여있다. 상부 개구는 가스 흐름이 투과될 수 있고 파우더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형상의 소결된 금속 파우더와 같은 유지 엘리먼트(retention element; 1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지지체(14)는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디스펜서를 램프 내부에 체결시키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가능한 대안적 형태는 도 2에 절결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디스펜서(20)는 링 컨테이너(21)를 포함하며, 이것의 바닥부는 압축되거나 압축되지 않은 형태의 Ag2O로 된 파우더(22)가 충진되어 있고, 또한 이 경우 파우더는 금속성 다공 물질로 된 유지 엘리먼트(23)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지지체(24)는 컨테이너(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종류의 디바이스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이 경우 디스펜서(30)는 금속 포일을 단순히 냉각하여 형성하므로써 얻어지는 중공(hollow) 컨테이너(31)로 만들어지며; 이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바닥부에 평행하고 편평한 상부에지(32)를 가지며, 컨테이너(31)의 오목부는 Ag2O(33)로 채워지며; 디스펜서의 상부는 여러 개의 용접 지점(35, 35',...)을 가지는 비연속 용접으로 에지(32)에 용접된, 연속적인 금속 포일로 구현된 유지 엘리먼트(34)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비연속 용접은 컨테이너가 용접 지점들 사이의 유지 엘리먼트(34)와 에지(32) 사이에 있는 얇은 개구(36)(도면에서 단 하나의 개구는 명확을 위해 증대된 크기로 도시함)로부터 산소의 방출을 허용하지만 파우더는 통과하지 못하게하는 것을 보장하며; 마지막으로 이 경우에도 램프의 내부에 디스펜서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 엘리먼트가 요구되며; 이 지지 엘리먼트는 상부 에지(32)와 지지 엘리먼트(34)중의 하나가 텅(tongue; 37)을 가지도록 상부 에지(32)와 지지 엘리먼트(34)를 적절히 형상화하므로써 단순히 획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본 발명의 가능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디스펜서(40)는 신장된 형태를 가지며 적절한 폭으로 된 금속 테이프를 냉각 형성하므로써 얻어진 컨테이너(41)를 포함하며; 라인(42,42')을 따라 국부화된 제 1의 두 개의 만곡부는 Ag2O로 된 파우더(43)로 충진된 신장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금속 테이프는 컨테이너의 면을 한정하기 위해 함께 취해진 두 표면(45,45')을 형성하기 위해 라인(44,44')을 따라 더욱 만곡된다. 이 만곡부는 산소의 용이한 유출을 허용하도록 얇은 슬릿(46)이 표면(45,45')의 에지 사이에서 남아있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연속적인 제조를 허용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의 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무한길이의 "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의 절결에 의해 형성되고 Ag2O가 배출될 수 있는 개방단부(47,47')는 적절한 수단(플러그, 세라믹 페이스트 등)에 의해 밀봉되거나 압축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의 절단 동작 동안 실현될 수 있다.
가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도 파우더를 유지시키는 컨테이너를 갖는 조건이 구현되는 한, 다른 형태의 디바이스도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실시하는 법을 개시하고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최선의 모드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음의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108mg의 Ag2O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의 평균 다공율로 소결된 스틸 다공 디스크로 폐쇄된 컨테이너의 내측에 놓여진다. Ag2O 컨테이너는 마이크로밸런스 CAHN 모델 121인 방진공(vacuum-proof) 측정 챔버에 배치된다. 이 챔버는 그후 10-5mbar인 잔류 압력까지 하강되어 거의 진공상태로 된다. 이 샘플은 3℃/분 가열속도로 실온으로부터 400℃까지 가열된다. 열 프로그램은 시간의 함수로써 열전쌍에 의해 측정된 것과 동일 온도 및 샘플의 중량 변화를 기록하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방출된 가스는 질량 분광계(mass spectrometer)에 의해 분석된다. 테스팅 결과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시간의 함수로서의 중량변화가 곡선 1로서 나타나 있고, 이들의 값은 도 5의 우측편의 수직축에서 판독될 수 있다. 시간의 함수로서의 온도값이 곡선 T 로서 나타나 있고, 이들의 값은 도 5의 좌측편의 수직축에서 판독될 수 있다. 곡선 1은 질량 분광계 분석으로부터 150℃ 근방에서의 약간의 중량변화를 도시하며, 이것은 샘플로부터 방출된 소량의 CO2및 H2O에 기인한 결과이다. 이러한 기여를 무시하고, 약 300℃ 내지 400℃ 사이의 샘플의 중량변화를 측정하므로써, 샘플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전체 산소량의 100%에 대응하는 약 7.4 mg의 중량손실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비교)
실시예 1의 테스트가 반복되고, Ag2O 대신에 BaO2195mg이 이용되었다. 이 테스트의 결과는 도 5에 곡선 2로서 나타나있다. 이 경우에도 샘플로부터 CO2및 H2O의 방출에 의해, 150℃ 근방에서 소량의 중량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중량변화와 별도로, 샘플은 측정가능한 어떤 중량손실이 400℃까지 일어나지 않는다.
실시예 3
산소 디스펜서를 갖춘 금속 할로겐화합물 램프 및 산소 디스펜서를 갖추지 않은 금속 할로겐화합물 램프의 특성이 평가되었다. 상세히는, 테스트는 산소 디스펜서가 없는 기준 램프(Ref. 램프), 램프에 도입될 때 까지 불활성 대기하에서 유지된 산소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램프(FD 램프), 램프 내부에 장착되기 이전에 공기에 72시간 노출된, "오래된" 디스펜서를 갖춘 램프(AD 램프), 산소 디스펜서를 포함하지 않으며 탄화수소로 의도적으로 오염된 램프(O 램프), 램프 내부에 장착될 때까지 불활성 대기하에서 유지된 산소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탄화수소로 의도적으로 오염된 램프(OFD 램프) 등과 같은 종류의 램프로 수행되었으며, 테스트에서는 임의 종류의 램프가 사용되었다. 이들 테스트에서 사용된 산소 디스펜서는 115mg의 Ag2O를 함유한다. 또한, 모든 램프는 Zr2Ni에 기초한 수소 게터를 포함한다.임의의 램프에 대해, 당업계에서 공지된 삼각 색도에서 컬러 포인트의 x좌표 및 광출력(루멘, lm)이 측정되었다. 이들 데이터는 램프가 제 1 턴닝 온으로부터 15' 후 및 100 시간 이상 작동후 정상 동작 조건에 도달되자 마자 측정되었다. 요오드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방전튜브가 가스 충진됨에 따라, 검은 탄소 피착물의 형성에 기인한 방전튜브의 온도 상승은 방전에서 나트륨 증기의 양이 매우 많아지게 되어 그 결과 x좌표가 증가하게 되는데, 따라서 x좌표가 증가하지 않는 것은 검은 탄소 피착물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징후이다. 이 테스트 결과는 조명출력 및 정상상태 0시간에서의 x좌표 값과 100시간의 정상상태후 x좌표 값으로 하기의 표 1 에 나타나 있다. 표 1은 또한 시간에 따른 램프 밝기의 유지를 지시하는, 정상상태 0시간에 대한 정상상태 100시간후에서의 조명출력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표 1]
램프 측정량 0 시간 100 시간 조명 유지(%)
기준 lmx 19640 +- 270356 +- 3 17680 +- 520368 +- 5 90.0
FD lmx 20140 +- 345360 +- 4 19640 +- 380355 +- 5 97.5
AD lmx 20500 +- 455360 +- 4 19950 +- 330357 +- 1.5 97.3
O lmx 17470 +- 1140368 +- 9 12730 +- 2090380 +- 8 72.9
OFD lmx 18955 +- 970363 +- 6 19435 +- 555358 +- 4 102.5
도 5의 곡선을 비교하므로써 Ag2O로 부터의 산소 방출이 약 340℃에서 시작하며 약 400℃에서 완료되는 반면에, BaO2를 약 400℃ 온도까지 처리시엔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산소를 방출하지 않는다.
더욱이, 표 1에서 기준 램프와 FD 램프 및 AD 램프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면 산소 디스펜서가 이전에 불활성 대기에 유지되거나 공기에 노출된 사실에 무관하게, 양호한 조명출력의 유지를 보장함을 주목해야 한다. 탄화수소의 유해효과는 O 램프에 대해 나타난 값으로부터 명백하다. 표 1의 마지막 행에서 산소 디스펜서는 탄화수소에 의한 효과상실을 제거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OFD 램프). 산소 디스펜서를 갖춘 램프에서 더욱 낮은, 상기 100 시간에서 컬러 포인트의 x좌표는 탄소 피착물의 피착이 방지되었음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램프의 외부 앤벌로프의 내부에 있는 가스에 대한 질량 분광계 분석은 동작의 2000 시간 후까지 수행되었으며, 이들 테스트는 램프가 CO2를 함유하지만 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산소 디스펜서를 갖추었음을 나타낸다. 수소 게터의 성능은 산소 방출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CO2는 게터에 의해 천천히 재흡수되지만, 이것의 존재는 램프작동에 유해하지 않다.

Claims (3)

  1. 고압 방전램프를 위한 산소 디스펜서로서,
    고체물질을 유지시킬 수 있고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은 산화물 Ag2O로 채워진 금속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램프용 산소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g2O는 파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램프용 산소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g2O 파우더는 0.1 내지 50㎛ 범위의 입자측정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램프용 산소 디스펜서.
KR1019980705590A 1996-11-22 1997-11-20 고압방전램프용산소디스펜서 KR100358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6A002449 1996-11-22
IT96MI002449A IT1285988B1 (it) 1996-11-22 1996-11-22 Dispensatore di ossigeno per lampade a scarica ad alta pressione
PCT/IT1997/000288 WO1998022975A1 (en) 1996-11-22 1997-11-20 Oxygen dispenser for high pressure discharge lam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79A KR19990081879A (ko) 1999-11-15
KR100358257B1 true KR100358257B1 (ko) 2002-12-18

Family

ID=1137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590A KR100358257B1 (ko) 1996-11-22 1997-11-20 고압방전램프용산소디스펜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169361B1 (ko)
EP (1) EP0894334B1 (ko)
JP (1) JP2999559B2 (ko)
KR (1) KR100358257B1 (ko)
CN (1) CN1118857C (ko)
AR (1) AR009629A1 (ko)
AT (1) ATE205331T1 (ko)
AU (1) AU5134698A (ko)
BR (1) BR9707164A (ko)
CA (1) CA2243233A1 (ko)
CZ (1) CZ298064B6 (ko)
DE (1) DE69706535T2 (ko)
ES (1) ES2162330T3 (ko)
HU (1) HU221575B (ko)
ID (1) ID21090A (ko)
IT (1) IT1285988B1 (ko)
MY (1) MY118808A (ko)
PL (1) PL327576A1 (ko)
RU (1) RU2155415C2 (ko)
UA (1) UA35649C2 (ko)
WO (1) WO1998022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1974B1 (it) * 1997-05-22 1999-01-25 Getters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l'introduzione di piccole quantita' di mercurio in lampade fluorescenti
TW403819B (en) * 1998-04-08 2000-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High-pressure metal-halide lamp
IT1317981B1 (it) * 2000-06-16 2003-07-21 Getters Spa Dispositivi assorbitori di umidita' per amplificatori laser e processo per la loro produzione.
DE10117365A1 (de) * 2001-04-06 2002-10-1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Niederdruckentladungslampe
US6853118B2 (en) * 2001-05-03 2005-02-0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of leachable mercury in mercury vapor discharge lamps
ITMI20041494A1 (it) * 2004-07-23 2004-10-23 Getters Spa Composizioni per il rilascio di mercurio e processo per la loro produzione
ITMI20042516A1 (it) * 2004-12-27 2005-03-27 Getters Spa Processo per produrre mediante deposizione di lega bassofondente dispositivi portanti almeno un materiale attivo
DE102006001243A1 (de) * 2006-01-10 2007-07-1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mit Entladungsgefäß
US8653732B2 (en) 2007-12-06 2014-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Ceramic metal halide lamp with oxygen content selected for high lumen maintenance
BR112012033584A2 (pt) * 2010-07-01 2016-09-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de diodo emissor de luz
CN104900550B (zh) * 2014-03-04 2017-12-0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栅极工艺的监测版图及监测方法
ITUB20160888A1 (it) 2016-02-19 2017-08-19 Getters Spa Sistema le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133A (en) * 1982-04-05 1984-08-07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of charging a vessel with mercury
US4559471A (en) * 1982-04-28 1985-12-17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evacuated bulb comprising a getter and a getter auxiliary means
EP0669639B1 (en) * 1994-02-24 1999-02-03 Saes Getters S.P.A. A combination of materials for mercury-dispensing devices, method of preparation and devices thus obtain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9396A (en) * 1982-08-18 1985-02-12 Gte Products Corporation Metal halide arc discharge lamp with means for suppressing convection currents within the outer envelope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4918352A (en) * 1988-11-07 1990-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 halide lamps with oxidized frame parts
ES2173490T3 (es) * 1996-11-22 2002-10-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ampara de descarga de alta pre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133A (en) * 1982-04-05 1984-08-07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of charging a vessel with mercury
US4559471A (en) * 1982-04-28 1985-12-17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evacuated bulb comprising a getter and a getter auxiliary means
EP0669639B1 (en) * 1994-02-24 1999-02-03 Saes Getters S.P.A. A combination of materials for mercury-dispensing devices, method of preparation and devices thus obtai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85988B1 (it) 1998-06-26
HUP9902142A2 (hu) 1999-11-29
PL327576A1 (en) 1998-12-21
JP2999559B2 (ja) 2000-01-17
ITMI962449A1 (it) 1998-05-22
JPH11508732A (ja) 1999-07-27
HUP9902142A3 (en) 2000-09-28
ATE205331T1 (de) 2001-09-15
CA2243233A1 (en) 1998-05-28
EP0894334B1 (en) 2001-09-05
WO1998022975A1 (en) 1998-05-28
US6169361B1 (en) 2001-01-02
CN1118857C (zh) 2003-08-20
AR009629A1 (es) 2000-04-26
RU2155415C2 (ru) 2000-08-27
BR9707164A (pt) 1999-04-06
ES2162330T3 (es) 2001-12-16
CZ230698A3 (cs) 1999-02-17
MY118808A (en) 2005-01-31
AU5134698A (en) 1998-06-10
HU221575B (hu) 2002-11-28
ID21090A (id) 1999-04-15
KR19990081879A (ko) 1999-11-15
UA35649C2 (uk) 2001-04-16
EP0894334A1 (en) 1999-02-03
ITMI962449A0 (it) 1996-11-22
DE69706535D1 (de) 2001-10-11
CZ298064B6 (cs) 2007-06-06
CN1209906A (zh) 1999-03-03
DE69706535T2 (de)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8257B1 (ko) 고압방전램프용산소디스펜서
CA2537785A1 (en) Translucent pca ceramic, ceramic discharge vessel, and method of making
US5394057A (en) Protective metal silicate coating for a metal halide arc discharge lamp
EP0876679B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CA2387932A1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US4182975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a partitioned envel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753615A (en) Emissive electrode for electric discharge apparatus
KR20090082342A (ko) 수은방출체, 이를 이용한 저압 방전램프의 제조방법 및 저압 방전램프,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KR0166103B1 (ko) 저압 수은 증기 방전형 램프 및 이를 이용하는 발광장치
JP3320376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677623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electron emissive material and electrodes
JPS63181248A (ja) 電子管の製造法
US5248273A (en) Method of fabricating ultraviolet radiation starting source
US681464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charge lamps and a discharge lamp with a halogen introduction carrier
MXPA98005872A (en) Oxygen dispenser for high pressure discharge lamps
US6815895B2 (en)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JP2000348675A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H09283081A (ja) 冷陰極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WO2003015126A1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H0219574B2 (ko)
JPH08106881A (ja) 蛍光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