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775B1 -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 Google Patents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775B1
KR100357775B1 KR1020000079300A KR20000079300A KR100357775B1 KR 100357775 B1 KR100357775 B1 KR 100357775B1 KR 1020000079300 A KR1020000079300 A KR 1020000079300A KR 20000079300 A KR20000079300 A KR 20000079300A KR 100357775 B1 KR100357775 B1 KR 10035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age container
unit
kimchi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971A (ko
Inventor
차태우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7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자동인출장치에 의해 저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Automatic in and out system of storage container Kimchi chamber}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자동인출장치에 의해 저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저장고는 김치에 열을 가하여 이를 적절하게 숙성 발효시키거나 또는 김치를 저온으로 냉각시켜 처음과 같은 생김치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는 등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발효,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로 구비되어 있어 초기에는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내부 케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김치를 기호에 맞게 숙성시킨 다음,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케이스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김치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본체(1)의 어느 한 면을 통해서 저장고(2)에 김치(발효 가능한 다른 식품도 상관 없슴)를 담을 수 있도록 열고 닫는 도어(10)를 갖는다. 그리고, 저장고(2)의 고내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장치로서,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만드는 압축기(3)와, 그 압축기(3)로부터의 냉매를 주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시키는 응축기(4)와, 응축기(4)의 냉매를 저온, 저압 상태로 만들어 저장 용기의 온도를 낮추는 증발기 파이프(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증발기 파이프(6) 부근에는 저장고(2)의 고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고내 온도센서(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저장고(2) 주위에는 그 저장고를 감싸고 본체(1) 내부에는 저장고(2)의 고내 온도를 높이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히터(5)가 설치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김치저장고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시스템을 발효 또는 숙성모드로 선택하면 가열장치가 구동되어 저장고에 담아진 김치를 발효시킨 다음, 냉각장치가 구동되어 저장고의 고내온도(예컨대, 김치 숙성 온도 -2℃∼0℃)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김치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1)의 내부공간인 저장고(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등과 같은 별도의 구획부재가 없는 하나의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에 따라 상기 저장고(2)에 김치류의 발효식품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용기(9) 내부에 발효식품을 담아 저장한 다음, 이 저장용기(9)를 상기 저장고(2) 내부에 층상으로 적재시키고서 적재된 상기 저장용기(9) 내부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 및 냉장보관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내부가 빈 공간형태로 된 저장고(2)를 갖춘 종래의 김치저장고에서는, 상기 저장고(2) 내부에 김치류의 발효식품이 저장된 저장용기(9)를 저장하거나 꺼낼 때 상부에 적재되는 저장용기(9)의 경우에는 다소 수월하게 옮길 수 있지만, 상기 저장고(2)의 저면으로 적재되는 최하층의 저장용기(9)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을 때에는 사용자의 신체부분이 상기 저장고(2)로 많이 들어가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고, 이와 같은 경우에 자칫 잘못하게 되면 허리와 같은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저장고 내부에 자동인출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김치저장고 12 : 저장고
13 : 저장용기 14 : 빈공간부
15 : 안착수단 16 : 모터
17 : 전동기 구동부 18 : 센서부
19 : 검출부 20 : 엔코더
21 : 카운터부 22 : 제어부
23 : 키입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고 내부에 자동인출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저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동인출장치는 고유번호나 코드가 부여되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를 안착하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을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동기 구동부와, 상기 안착수단에 상기 저장용기가 안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는 일정수치를 출력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일정수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에 구동 및 정지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카운트값을 연산하고 기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명령모드를 입력시키는 키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저장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자동인출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의 저장용기를 꺼내거나 넣고자 할 때, 상기 키입력부에서 특정의 저장용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착수단을 수평이나 수직으로 움직여 저장고의 최상부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해 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저장용기(13)를 구비하고 1개의 저장용기(1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빈 공간부(14)이 형성되어 있는 김치저장고(11)의 저장고(12)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13)를 안착시키고, 고유번호나 코드가 부여되어 수평 및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안착수단(15)과, 상기 안착수단(15)을 이동시키는 모터(16)와, 상기 모터(16)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동기 구동부(17)와, 상기 안착수단(15)에 상기 저장용기(13)가 안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센서부(18)와, 상기 센서부(18)의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19)와, 상기 모터(16)의 회전에 상응하는 일정수치를 출력하는 엔코더(20)와, 상기 엔코더(20)의 일정수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21)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17)에 구동 및 정지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부(19)의 출력에 따라 상기 카운트값을 연산하고 기억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에 사용자명령모드를 입력시키는키입력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유번호나 코드가 부여된 안착수단에 안착된 특정의 저장용기(13)를 꺼낼려고 할 때, 상기 키입력부(23)에서 특정의 저장용기(13)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고(12)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부(14)를 통해 상기 안착수단(15)이 수평이나 수직으로 움직여 저장고(12)의 최상부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저장용기(13)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3)를 넣고자 할 때, 상기 안착수단(15)에 구비된 센서부(18)에 의해 비어있는 안착수단(15)을 상기 키입력부(23)에 표시하게 되어 그 비어있는 안착수단(15)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고(12)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부(14)를 통해 상기 안착수단(15)이 수평이나 수직으로 움직여 저장고(12)의 최상부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저장용기(13)를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자동인출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의 저장용기를 꺼내거나 넣고자 할 때, 상기 키입력부에서 특정의 저장용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착수단을 수평이나 수직으로 움직여 저장고의 최상부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저장용기를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가 빈 공간형태의 저장고를 갖춘 본체와, 상기 저장고에 김치류의 발효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용기를 구비하여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 및 냉장보관하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에 고유번호나 코드가 부여되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이고 저장용기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을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동기 구동부와,
    상기 안착수단에 상기 저장용기가 안착되었는지 고유번호나 코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는 일정수치를 출력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일정수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에 구동 및 정지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카운트값을 연산하고 기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명령모드를 입력시키는 키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KR1020000079300A 2000-12-20 2000-12-20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KR10035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00A KR100357775B1 (ko) 2000-12-20 2000-12-20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00A KR100357775B1 (ko) 2000-12-20 2000-12-20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971A KR20020049971A (ko) 2002-06-26
KR100357775B1 true KR100357775B1 (ko) 2002-10-19

Family

ID=2768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300A KR100357775B1 (ko) 2000-12-20 2000-12-20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03B1 (ko) 2004-11-12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이동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50U (ko) * 1997-09-13 1999-04-15 최진호 김치저장고
KR19990039304U (ko) * 1998-04-08 1999-11-05 윤종용 승강수단이 구비된 김치저장고
KR200221090Y1 (ko) * 2000-11-22 2001-04-16 박상근 자동 운반 수단을 갖는 김치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50U (ko) * 1997-09-13 1999-04-15 최진호 김치저장고
KR19990039304U (ko) * 1998-04-08 1999-11-05 윤종용 승강수단이 구비된 김치저장고
KR200221090Y1 (ko) * 2000-11-22 2001-04-16 박상근 자동 운반 수단을 갖는 김치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03B1 (ko) 2004-11-12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이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971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775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용기 자동인출시스템
KR960011626B1 (ko) 냉장고의 요구르트, 청국장 발효겸용 김치숙성 방법 및 장치
KR970009964B1 (ko) 음식물 보관용 진공실을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364905B1 (ko) 김치저장고의 온도센서 고장시 고내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JP3506616B2 (ja) キムチ貯蔵庫の冷凍保管方法および装置
KR100256407B1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운전방법
US6006533A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of kimchi jar and method thereof
KR100707358B1 (ko) 2개의 온도센서를 갖는 김치저장고 및 이러한 김치저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KR100786248B1 (ko) 와인저장실의 랙레일 구조
KR100820838B1 (ko) 김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8095A (ko) 숙성 전용실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020064036A (ko) 김치저장고의 평균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71308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서랍온도 제어장치
KR100406036B1 (ko) 김치 저장고의 초기 구동 방법
KR100269458B1 (ko) 김치저장고의 압축기 구동제어 방법
KR200232924Y1 (ko) 고내 액체감지센서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CN109931739B (zh) 一种用于冷藏室的智能速冷食品储藏盒及其速冷方法
KR19990081602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33990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저장 제어장치
KR19990070570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KR19990079992A (ko) 김치저장고의 압축기 구동제어 방법
KR20050052055A (ko) 김치냉장고의 주변온도와 고내온도에 따른 팬의 알피엠디스플레이방법 및 이를 구현한 김치냉장고
KR100835133B1 (ko) 와인저장고 및 식품저장고
KR200232923Y1 (ko) 수평계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CN113686090A (zh) 冰箱的门体及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