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570A -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570A
KR19990070570A KR1019980005494A KR19980005494A KR19990070570A KR 19990070570 A KR19990070570 A KR 19990070570A KR 1019980005494 A KR1019980005494 A KR 1019980005494A KR 19980005494 A KR19980005494 A KR 19980005494A KR 19990070570 A KR19990070570 A KR 19990070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old air
damper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승원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101998000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570A/ko
Publication of KR1999007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570A/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서랍을 다층으로 형성하여 냉풍덕트와 온풍덕트를 통해 냉풍 및 온풍을 이용하여 서랍내에 보관된 김치를 숙성 또는 냉장보관하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서랍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스위치와, 상기 각 개폐감지스위치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냉풍조절댐퍼와 온풍조절댐퍼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풍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냉풍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냉풍조절댐퍼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풍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온풍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온풍조절댐퍼로 구성되어, 각 서랍의 개폐여부에 따라 냉풍조절댐퍼와 온풍조절댐퍼를 개폐시키므로, 서랍의 개방시에 냉풍 또는 온풍의 외부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온도변화로 인해 압축기와 히터를 더 구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전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본 발명은 다층으로 분리된 각 서랍에 김치를 보관하여 보관된 김치를 각각 다른 온도로 냉장보관할 수 있도록 한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식품과 냉장식품 또는 발효식품(예를 들면, 김치 등)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기 알맞은 온도에 각각 보관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비된 냉장고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냉장고의 냉장실 내에 냉장식품과 발효식품을 함께 저장하게 되는 경우, 발효식품의 발효로 인해 발생되는 냄새 때문에 냉장실 내에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다른 냉장식품에 악취가 배기게 되어 냉장식품의 고유냄새를 헤칠 수 있으며, 냉장실에 보관되는 냉장식품 및 발효식품의 증가로 인해 부피가 큰 발효식품(김치)을 별도의 저장고에 보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알맞게 익은 김치를 오래 동안 즐기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김치독을 땅속에 묻고, 그 안에 김치를 보관시킴으로써, 적절하게 숙성된 김치를 오래 동안 맛볼 수 있으나, 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주거환경 등에 의한 제약 때문에 김치독을 땅속에 묻기는 커녕, 주거지 내에 보관하기 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가 아닌 별도의 저장고에 김치를 보관할 수 있는 김치저장고에 관한 연구가 이와 관련된 여러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통상적인 김치저장고는, 저장고본체(10)와, 저장고본체(10) 내에 김치를 저장 또는 꺼낼 때 사용하는 도어(2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0)의 상부에는 김치저장고의 숙성코스 및 냉장보관코스를 선택입력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고본체(10)의 측면에는 이동시에 저장고본체(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용 손잡이(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전면부에는 도어(2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어손잡이(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저장고본체(10)의 고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등과 같은 분리대가 없는 하나의 공간으로서, 별도의 김치통 내에 김치를 담은 다음, 그 김치통을 고내(40)에 다층으로 적재하고, 적재된 김치통 내에 담긴 김치를 전체적으로 숙성 및 냉장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적인 김치저장고의 고내에 김치가 담긴 김치통을 다층으로 적재하여 전체적으로 냉각 또는 히팅시킴으로써, 다층으로 적재된 김치통을 냉장보관 또는 숙성시키기 때문에, 하부층에 적재된 김치를 꺼내기 위해서는 상부측에 적재된 김치통을 들어내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되는 점이 있고, 각기 다른 종류의 김치를 각각 다르게 숙성 또는 냉장보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층으로 분리된 각 서랍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김치들을 각각 보관하여 각 층마다 다른 온도로 숙성 또는 냉장보관시키는 것은 물론, 서랍의 개방시에 댐퍼를 폐쇄하여 냉풍 또는 온풍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고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서랍을 다층으로 형성하여 냉풍덕트와 온풍덕트를 통해 냉풍 및 온풍을 이용하여 서랍내에 보관된 김치를 숙성 또는 냉장보관하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서랍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스위치와, 상기 각 개폐감지스위치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냉풍조절댐퍼와 온풍조절댐퍼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풍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냉풍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냉풍조절댐퍼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풍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온풍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온풍조절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김치저장고의 외부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통상적인 김치저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외부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랍식 김치저장고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랍식 김치저장고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CC'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에 삽입설치되는 서랍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상부서랍 310, 410, 510 : 냉풍조절댐퍼
312, 412, 512 : 온풍조절댐퍼 318, 418, 518 : 개폐감지스위치
320, 420, 520 : 마이컴 400 : 중부서랍
500 : 하부서랍 600 : 제어부
710 : 압축기 구동부 720 : 제상히터 구동부
730 : 증발기팬모터 구동부 740 : 히터구동부
750 : 히터팬모터 구동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외부사시도로서, 본체(100)와,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도어(200)로 구성되며, 전면도어(200)의 내측에는 여러 종류의 김치를 보관하고, 각각 다른 온도로 냉장보관시키기 위해 상부서랍(300), 중부서랍(400) 및, 하부서랍(5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어(200)에는 전면도어(200)의 개폐시에 사용되는 손잡이(150)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도어(200)의 중앙부는 두꺼운 유리 등과 같은 투명재질(150)로 형성되어 전면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도 후술될 표시부(303, 403, 503)를 통해 표시되는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온도 또는 현재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서랍식 김치저장고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본체(100)의 내부 하측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도시생략된 응축기 및 모세관을 통해 응축된 다음 저압으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120)와, 증발기(120)를 통해 증발되면서 열교환되어 발생되는 냉기를 냉풍덕트(140)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증발기팬모터(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풍덕트(140)는 증발기(120)로부터 송풍되는 냉풍의 송풍방향이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전환되도록 각 서랍(300, 400, 500)의 상부에서 전방측으로 구부러져 각 서랍(300, 400, 500)의 전면상부측에 설치된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로 연결된다.
그리고, 각 서랍(300, 400, 500)의 전면상부측에 설치된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는 후술될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구율이 조절되어 증발기팬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송풍되어 공급되는 냉풍량을 조절하여 각 서랍(300, 400, 500) 내부로 공급한다.
또한,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 후벽의 하측에는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를 통해 공급된 냉기가 다시 증발기(120) 측으로 공급되도록 냉풍흡입덕트(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압축기(110), 증발기(120), 증발기팬모터(130), 냉풍덕트(140),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로 냉풍이 공급되고, 냉풍흡입덕트(150)에 의해 냉풍이 계속적으로 순환됨으로써, 각 서랍(300, 400, 500)의 고내는 냉각된다.
한편, 각 서랍(300, 400, 500)이 끼워지는 서랍틀은 각 서랍(300, 400, 500)의 폐쇄시에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본체(100)의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이 낮도록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며, 각 서랍(300, 400, 500)의 후방양측면에는 각 서랍(300, 400, 500)의 개폐시에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바퀴(314, 414, 5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서랍(300, 400, 500)에 설치된 바퀴(314, 414, 514)는 각 서랍(300, 400, 500)의 폐쇄시에 닫힘고정홈(315, 415, 515)에 걸려 고정되는 한편, 각 서랍(300, 400, 500)의 개방시에 열림고정홈(316, 416, 516)에 걸린 상태로 개방된다.
또한, 닫힘고정홈(315, 415, 515)의 하부에는 각 서랍(300, 400, 5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스위치(318, 418, 518)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랍식 김치저장고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본체(100)의 하부에는 온기를 발생하는 히터(160)가 설치되어 있고, 히터(160)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를 온풍덕트(170)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으로 송풍하는 히터팬모터(1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풍덕트(170)는 히터(16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의 송풍방향이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전환되도록 각 서랍(300, 400, 500)의 상부에서 전방측으로 구부러져 각 서랍(300, 400, 500)의 전면상부측에 설치된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로 연결된다.
또한, 각 서랍(300, 400, 500)의 전면상부측에 설치된 각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는 후술될 각 서랍식 저장고의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구율이 조절되어 히터팬모터(165)의 구동에 의해 송풍되어 공급되는 온풍량을 조절하여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로 공급한다.
그리고, 각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 내부로 공급된 온기는 온풍흡입덕트(180)를 통해 히터(160) 측으로 다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히터(160), 히터팬모터(165), 온풍덕트(170)를 거쳐 각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로 온풍이 공급되고, 온풍흡입덕트(180)를 통해 다시 온풍이 히터(160) 측으로 계속적으로 순환됨으로써 각 서랍(300, 400, 500) 내부는 히팅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서랍식 김치저장고를 CC'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각 서랍(300, 400, 500)의 상부에는 냉풍덕트(140)와 온풍덕트(170)가 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송풍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부러져 설치되어 있고, 냉풍덕트(140)와 온풍덕트(170)에는 후술될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구율이 조절되어 각 서랍(300, 400, 500) 내부로 공급되는 냉풍량과 온풍량을 조절하는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와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8은 각 서랍(300, 400, 50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랍(300, 400, 500)을 여닫기 위한 손잡이(301, 401, 501)와, 각 서랍(300, 400, 500)의 숙성코스 및 냉장보관코스를 선택입력하는 것은 물론, 여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302, 402, 502)와, 각 조작부(302, 402, 502)를 통해 선택입력되는 기능을 표시하고, 각 서랍(300, 400, 500)의 현재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303, 403, 503)와, 각 서랍(300, 400, 500)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키기 위해 각 서랍(300, 400, 500) 후방양측에 설치되는 바퀴(314, 414, 514)로 구성되며,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그 일측벽에 온도감지센서(317, 417, 51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로서, 상부서랍(300), 중부서랍(400), 하부서랍(500), 제어부(600), 압축기구동부(710), 제상히터구동부(720), 증발기팬모터 구동부(730), 히터구동부(740) 및, 히터팬모터(750)로 구성된다.
도 9에 있어서, 상부서랍(300)은 조작부(302), 표시부(303), 댐퍼구동부(304), 온도감지센서(317) 및 마이컴(320)으로 구성되는데, 상부서랍(300)을 구성하는 조작부(302), 표시부(303) 및, 온도감지센서(317)는 상기에 이미 설명되었는바, 그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320)은 조작부(302)를 통해 선택입력되는 각 코스 및 상부서랍(300)의 현재상태를 표시부(303)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한편, 조작부(302)를 통해 선택입력된 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온도감지센서(317)를 통해 감지되는 내부온도에 따라 냉풍조절댐퍼(310) 및 온풍조절댐퍼(312)의 개구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냉풍조절댐퍼(310) 및 온풍조절댐퍼(312)의 개폐여부를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상기 댐퍼구동부(304)는 마이컴(3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풍조절댐퍼(310) 및 온풍조절댐퍼(312)의 개구율을 조절하여 서랍(300)의 내부(350)로 공급되는 냉풍량 및 온풍량을 조절한다.
한편, 중부서랍(400)과 하부서랍(50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부서랍(300)과 동일한 구성부재로 구성되므로,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 제어부(600)는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냉풍조절댐퍼(310) 및 온풍조절댐퍼(312)의 개폐여부에 감지하고, 그에 따라 압축기(110) 및 히터(1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한편, 증발기(120)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송풍시키는 증발기팬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히터(160)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를 송풍시키는 히터팬모터(16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증발기(120)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설정된 소정시간(예를 들면, 6시간 또는 12시간)을 주기로 제상히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600)는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가 모두 폐쇄된 것으로 감지되면 압축기(11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한편, 각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중에 어느 하나라도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압축기(110)를 계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각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가 모두 폐쇄된 것으로 감지되면 히터(16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한편, 각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 중에 어느 하나라도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히터(160)를 계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도 9에 있어서, 압축기 구동부(710)는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110)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고, 제상히터 구동부(720)는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시생략된 제상히터를 구동하여 증발기(120)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며, 증발기팬모터 구동부(730)는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발기팬모터(130)를 구동하여 증발기(120)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냉풍덕트(140)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350, 450, 550)로 공급한다.
그리고, 히터구동부(740)는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160)를 구동하여 온기를 발생시키고, 히터팬모터 구동부(750)는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160)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를 온풍덕트(170)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350, 450, 550)로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랍식 김치저장고로 상용전원이 인가되면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 및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서랍(300, 400, 500) 및 김치저장고는 초기화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전면도어(2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301, 401, 501)를 이용하여 각 서랍(300, 400, 500)을 개방시킨 다음, 여러 종류의 김치를 본체(100)의 각 서랍(300, 400, 500) 내에 각각 나누어 넣은 다음, 손잡이(301, 401, 501)를 이용하여 각 서랍(300, 400, 500)을 닫는다.
그리고, 각 서랍(300, 400, 500)의 조작부(302, 402, 502)를 통해 소망하는 코스를 각각 선택입력하면,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입력되는 코스가 각 표시부(303, 403, 503)를 통해 표시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각 서랍(300, 400, 500)의 조작부(302, 402, 502)를 통해 소망하는 숙성 또는 냉장보관코스를 모두 입력시킨 다음, 운전버튼을 각각 입력시키면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을 거쳐 제어부(600)로 입력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 구동부(710) 및 히터구동부(740)를 통해 압축기(110) 또는 히터(160)가 구동된다.
상세하게는, 각 조작부(302, 402, 502)를 통해 선택입력된 코스가 숙성코스이면 히터구동부(740)를 통해 히터(160)가 구동되고, 각 조작부(302, 402, 502)를 통해 선택입력된 코스가 냉장보관코스이면 압축기구동부(710)를 통해 압축기(110)가 구동된다.
먼저,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 구동부(710)를 통해 압축기(110)가 구동되는 경우, 압축기(110)를 통해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도시생략된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응축되어 저압으로 감압되고, 증발기(120)를 통해 냉기가 발생되며, 이때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발기팬모터 구동부(730)를 통해 증발기팬모터(130)가 구동되어 증발기(120)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냉풍덕트(140)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로 공급된 다음,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350, 450, 550)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구동부(740)를 통해 히터(160)가 구동되는 경우, 히터(110)가 구동되어 히터(160)로부터 온기가 발생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팬모터 구동부(750)를 통해 히터팬모터(165)가 구동되어 히터(160)로부터 발생되는 온기가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350, 450, 550)로 공급된다.
한편, 각 서랍(300, 400, 500)의 일측벽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317, 417, 517)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온도가 감지되어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으로 입력되고, 각 마이컴(320, 420, 520)은 각 온도감지센서(317, 417, 517)을 통해 감지되는 온도와 각 조작부(302, 402, 502)를 통해 선택입력된 코스에 상응하는 온도와의 차이에 따라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표 1 참조).
5℃이상 4℃∼3℃ 2℃∼1℃ 0℃
급속냉장보관또는급속숙성 개방 개방 ½개방 폐쇄
보통냉장보관또는보통숙성 개방 ½개방 ¼개방 폐쇄
저속냉장보관또는저속숙성 ½개방 ¼개방 ⅛개방 폐쇄
따라서,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의 개구량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증발기(120)로부터 송풍되는 냉풍량 및 히터(160)로부터 송풍되는 온풍량이 조절되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350, 450, 550)로 공급된다.
이때,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운전 중에,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은 각 온도감지센서(317, 417, 517)를 통해 감지되는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온도 및, 각 서랍(300, 400, 500)의 현재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각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온도 및 각 서랍(300, 400, 500)의 현재상태가 각 서랍(300, 400, 500)의 표시부(303, 403, 503)를 통해 표시된다(예를 들면, 급속냉장보관중, 급속숙성중 등).
한편, 제어부(600)는 각 서랍(300, 400, 500)의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압축기(110) 및 히터(1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 구동부(710) 및 히터구동부(740)를 통해 압축기(110) 및 히터(160)의 구동이 제어된다.
즉, 제어부(600)는 각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가 모두 폐쇄된 것으로 감지되면, 압축기(11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 구동부(710)를 통해 압축기(110)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각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중에 어느 하나라도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압축기(110)를 계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 구동부(710)를 통해 압축기(110)가 계속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각 마이컴(320, 420, 520)을 통해 각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가 모두 폐쇄된 것으로 감지되면, 히터(16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구동부(740)를 통해 히터(160)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각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 중에 어느 하나라도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히터(160)를 계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구동부(740)를 통해 히터(160)가 계속적으로 구동된다.
한편,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운전 중에, 제어부(600)는 설정된 소정시간(예를 들면, 6시간 또는 12시간)을 주기로 증발기(120)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제상히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상히터 구동부(720)를 통해 제상히터가 주기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증발기(120)에 착상되는 성에가 제거된다.
사용자가 전면도어(2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301, 401, 501)를 이용하여 각 서랍(300, 400, 500)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면 각 서랍틀의 후방하측에 설치된 닫힘고정홈(315, 415, 515)에 걸린 각 서랍(300, 400, 500)의 바퀴(314, 414, 514)가 이탈된 다음, 바퀴(314, 414, 514)에 의해 각 서랍(300, 400, 500)이 용이하게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닫힘고정홈(315, 415, 515)의 하부에 설치된 각 개폐감지스위치(318, 418, 518)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개방상태가 감지되어 각 마이컴(320, 420, 520)으로 입력되고, 각 마이컴(320, 420, 520)은 각 개폐스위치(318, 418, 518)의 개방 감지신호에 의해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각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가 폐쇄되어 냉풍 또는 온풍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각 서랍(300, 400, 500)을 전방으로 최대한 당기게 되면 각 서랍(300, 400, 500)에 설치된 바퀴(314, 414, 514)가 열림고정홈(316, 416, 516)에 걸리게 되어 각 서랍(300, 400, 500)은 열린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각 서랍(300, 400, 500) 내에 김치를 넣거나 보관된 김치를 취출한 다음, 손잡이(301, 401, 501)를 이용하여 각 서랍(300, 400, 500)을 닫으면, 각 서랍틀의 전방하측에 형성된 열림고정홈(316, 416, 516)에 걸린 각 바퀴(314, 414, 514)가 이탈된 다음, 바퀴(314, 414, 514)에 의해 각 서랍(300, 400, 500)이 용이하게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각 서랍(300, 400, 500)이 끼워지는 서랍틀이 김치저장고의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이 낮은 상태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각 서랍(300, 400, 500)이 자중에 의해 각 바퀴(314, 414, 514)를 매개로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각 서랍틀의 후방하측에 형성된 걸림고정홈(315, 415, 515)에 각 바퀴(314, 414, 514)가 걸림으로써 각 서랍(300, 400, 500)은 닫히게 된다.
각 서랍(300, 400, 500)이 닫히게 되면, 닫힘고정홈(315, 415, 515)의 하부에 설치된 각 개폐감지스위치(318, 418, 518)를 통해 각 서랍(300, 400, 500)의 폐쇄상태가 감지되어 각 마이컴(320, 420, 520)으로 입력되고, 각 마이컴(320, 420, 520)은 각 개폐스위치(318, 418, 518)의 폐쇄 감지신호에 의해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각 마이컴(320, 420, 52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풍조절댐퍼(310, 410, 510) 및 온풍조절댐퍼(312, 412, 512)가 개방되어 각 서랍(300, 400, 500)의 내부(350, 450, 550)로 냉풍 또는 온풍이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각 서랍의 개폐여부에 따라 냉풍조절댐퍼와 온풍조절댐퍼를 개폐시키므로, 서랍의 개방시에 냉풍 또는 온풍의 외부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온도변화로 인해 압축기와 히터를 더 구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전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서랍을 다층으로 형성하여 냉풍덕트와 온풍덕트를 통해 냉풍 및 온풍을 이용하여 서랍내에 보관된 김치를 숙성 또는 냉장보관하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각 서랍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스위치와;
    상기 각 개폐감지스위치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냉풍조절댐퍼와 온풍조절댐퍼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풍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냉풍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냉풍조절댐퍼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풍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온풍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온풍조절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폐감지스위치는 상기 서랍이 끼워지는 서랍틀의 소정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폐감지스위치는 상기 서랍틀에 형성된 닫힘고정홈에 형성되고, 상기 각 서랍의 소정부분에 설치된 바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각 서랍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KR1019980005494A 1998-02-21 1998-02-21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KR19990070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94A KR19990070570A (ko) 1998-02-21 1998-02-21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94A KR19990070570A (ko) 1998-02-21 1998-02-21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70A true KR19990070570A (ko) 1999-09-15

Family

ID=6589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494A KR19990070570A (ko) 1998-02-21 1998-02-21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5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164B1 (ko) * 2000-10-16 2003-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김치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100863312B1 (ko) * 2007-05-09 2008-10-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분리형 김치냉장고
KR101221712B1 (ko) * 2005-11-08 201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164B1 (ko) * 2000-10-16 2003-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김치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101221712B1 (ko) * 2005-11-08 201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100863312B1 (ko) * 2007-05-09 2008-10-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분리형 김치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469B2 (en)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US7036334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US5388427A (en) Refrigerator with kimchi compartment
US20080271475A1 (en) Refrigerator having compartment capable of converting between refrigeration and freezing temperatures
EP1314940A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ntrol method
WO2009061076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H0252974A (ja) 冷蔵庫
JP2000258028A (ja) 冷蔵庫
KR19990071308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서랍온도 제어장치
KR19990070570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KR2006012766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발효 및 보관방법
KR100248784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운전 제어장치
KR100321243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JP2003106735A (ja) 冷却貯蔵庫
KR100248785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숙성 제어장치
KR100256418B1 (ko) 서랍식김치저장고의서랍구조
JP3527713B2 (ja) 冷蔵庫
KR100535331B1 (ko) 김치저장고 및 김치저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JP3813478B2 (ja) 冷却貯蔵庫
KR19990071310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냉장보관온도 제어장치
KR19990071309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덕트구조
JPH10288441A (ja) 冷蔵庫
KR19990071307A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 방법
JP3506616B2 (ja) キムチ貯蔵庫の冷凍保管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1127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