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712B1 - 김치냉장고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712B1
KR101221712B1 KR1020050106341A KR20050106341A KR101221712B1 KR 101221712 B1 KR101221712 B1 KR 101221712B1 KR 1020050106341 A KR1020050106341 A KR 1020050106341A KR 20050106341 A KR20050106341 A KR 20050106341A KR 101221712 B1 KR101221712 B1 KR 10122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efrigerant
module connector
kimchi refrigerator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297A (ko
Inventor
채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7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냉매의 흐름이 제어되는 모듈커넥터가 구비되는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모듈커넥터와, 상기 모듈커넥터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수납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와, 상기 모듈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넥터에 구비되는 접촉감지수단에 의해서 냉매관에서의 냉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상기 냉매관에서의 냉매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김치냉장고에 의하면, 냉각 효율 및 에너지 소비 효율이 향상되고, 유지 비용 및 서비스 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김치냉장고, 모듈, 모듈커넥터, 감지수단, 센서, 개폐장치, 댐퍼, 실링

Description

김치냉장고 {Kim-chi refrigerat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냉장고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냉장고의 쿨박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냉장고의 스터링쿨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요부 구성인 모듈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요부 구성인 모듈커넥터의 냉매관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도어
122. 도어손잡이 140. 저장용기
142. 용기커버 160. 저장공간
200. 김치모듈 210. 냉각관
220. 히터 300. 냉장모듈
310. 냉각팬 320. 증발기
330. 제습히터 400. 기계실모듈
410. 송풍팬 420. 응축기
430. 압축기 500. 모듈커넥터
510. 상면판넬 520. 하면판넬
530. 측면판넬 540. 단열부재
550. 상면센서 552. 상면전방센서
554. 상면후방센서 560. 하면센서
562. 하면전방센서 564. 하면후방센서
570. 상부실링부 570'. 하부실링부
580. 상부개폐수단 580'. 하부개폐수단
590. 댐퍼 600. 냉매관
620. 상방향냉매관 640. 하방향냉매관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냉매의 흐름이 제어되는 모듈커넥터가 구비되는 김치냉장고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요구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김치냉장고는 김치의 보관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냉장고로서, 김치의 숙성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내부의 저장공간의 온도가 0~5℃가 유지되도록 온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김치냉장고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저장공간에 독립적인 온도제어가 가능하여 김치뿐만 아니라 야채나 과일, 육류 등 다양한 식품의 저장에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 김치냉장고는 개폐방식에 따라서 상면의 뚜껑을 열어 상방에서 김치통을 적층 보관하는 뚜껑식과, 서랍형상의 저장공간을 인출/입 가능한 서랍식, 그리고 상기 뚜껑식과 서랍식이 혼합된 복합식으로 대별되며, 전방을 개폐하는 일반 냉장고에 비해서 냉기의 단속능력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한편, 소비자의 소비 패턴 변화에 의해 그 용량이 대용량화되어감에 따라 그 크기가 점점 더 커져가는 경향이 있으며, 운반 및 설치시 그 취급이 수월하고 각각의 쿨박스의 온도대를 다르게 설정하여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분리형 냉장고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리형 냉장고를 국내특허등록 제10-0311369번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냉장고를 살펴본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냉장고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냉장고의 쿨박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냉장고의 스터링쿨러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냉장고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내부에 냉기가 발생하여 차가운 상태로 유지되는 쿨박스(Cool Box,10)가 다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쿨박스(10)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열케이스(11)와, 상기 단열케이스(11)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2)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케이스(11)의 내부에는 단열케이스(11)의 내부후면과 내부하면에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전열부재(13)가 구비되며, 단열케이스(11)의 저면 전반부에는 모터실(20)이 형성된다. 상기 전열부재(13)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다음에 설명할 스터링쿨러(30)의 흡열부(31)와 접촉되어 상기 흡열부(31)에서 전달되는 온도를 전달받아 냉기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열전도가 우수한 히트파이프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실(20)의 내부에는 흡열부(31)와 발열부(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스터링쿨러(Stirling Cooler,30)와, 상기 발열부(32)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팬모터(2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모터실(20)의 측면에는 모터실(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24)가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22)와 유입구(24) 및 배출구(26)가 방열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단열케이스(11)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수개의 선반이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쿨박스(10)는 3개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쿨박스(10)의 내부 온도는 상호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냉장고는 상기 스터링쿨러(30)가 작동함에 의해 스터링쿨러(30)의 흡열부(31)에서 온도가 저하된다. 상기 흡열부(31)에서의 저하되는 온도는 상기 전열부재(13)에 전달되어 전열부재(13)가 냉각되면서 냉기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 냉기에 의해 상기 쿨박스(10)의 내부가 냉각된다.
또한, 상기 스터링쿨러(30)의 발열부(32)에서 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열은 상기 팬모터(2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입구(24)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되면서 냉각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터링쿨러(30)를 살펴보면 상기 스터링쿨러(3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33)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리니어모터(34)가 작동하게 되면 리니어모터(34)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35)이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35)이 압축실(36)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축실(36) 내부의 작동 가스가 압 축됨과 더불어 내부의 냉매가 팽창실(37)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냉매의 유동과 함께 압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서(38)가 팽창실(37)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냉매의 유동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서(38)가 압축실(36) 측으로 이동하면서 압축실(36) 내의 냉매를 압축함과 더불어 팽창실(37) 내부의 냉매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됨에 의해 압축실(36)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열을 발생하게 되고 팽창실(37)에서 냉매가 팽창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실(37)은 흡열부(31)가 되고, 압축실(36)은 발열부(32)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김치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쿨박스(10)에는 냉동사이클을 위한 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장치가 각각의 쿨박스(10)에 구비되므로 상기 쿨박스(10)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냉장고의 공간 활용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쿨박스(10)에는 냉동사이클을 위한 장치가 장착되어 각각의 쿨박스(10)의 특성을 구현하기 곤란함으로 인해 각각의 쿨박스(10)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한계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냉매가 계속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냉매의 순환에 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되어 냉장고의 에너지 소비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냉매 사용의 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 소비의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냉각 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김치냉장고의 유지 비용 또는 서비스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냉매의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냉각 효율이 증가하게 되는 모듈커넥터가 장착되는 김치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모듈커넥터와, 상기 모듈커넥터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수납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와, 상기 모듈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넥터에 구비되는 접촉감지수단에 의해서 냉매관에서의 냉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상기 냉매관에서의 냉매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모듈커넥터에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커넥터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김치냉장고에 의하면, 냉각 효율 및 에너지 소비 효율이 향상되고, 유지 비용 및 서비스 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김치냉장고의 외형을 살펴보면, 김치냉장고에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대략 높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본체(100)는 다음에 설명할 모듈커넥터(500)에 의해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로 구획되며,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의 전면에는 도어(120)가 각각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도어(120)는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로 구획되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12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도어(120)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도어손잡이(12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상기 도어(12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120)의 후면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40)가 수납되는 저장공간(160)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저장공간(160)은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대략 사각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저장공간(160)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40)가 수납되어 음식물을 보관하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14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개구된 상면에는 용기커버(142)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저장용기(14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상기 도어(12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120)의 후면에 성형되는 상기 저장공간(16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된다. 상기 저장공간(16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되면, 저장공간(160)의 개구된 상면이 개방된다. 이처럼 개방된 상기 저장공간(160)의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용기(140)를 수납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김치를 비롯한 음식물이 보관된다.
다음에 설명할 김치모듈(200)의 상측 즉, 상기 본체(100)의 전면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본체(100)의 작동 상태 또는 주변 환경을 확인하기 용이한 표시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80)에는 본체(100)의 작동 상태 또는 주변 환경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82)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82)의 좌측방과 우측방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직접 제어하도록 하는 작동노브(184) 또는 푸쉬버튼(Push-button,186)이 더 구비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김치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김치모듈(200)이 형성된다.
상기 김치모듈(200)의 전면에는 도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20)의 후면에는 김치모듈(200)의 저장공간(160)이 형성되며, 이러한 저장공간(160)의 외주면에는 냉각관(210)이 다수회 권취되어 구비된다. 상기 냉각관(210)은 저장공간 (160)의 내부에 수납되는 김치를 비롯한 음식물의 저온 저장을 위하여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냉각관(210)의 하측에는 히터(220)가 상기 저장공간(16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회 권취되면서 구비된다. 상기 히터(220)는 저장공간(160)의 내부에 수납되는 김치를 비롯한 음식물의 숙성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열기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김치모듈(200)의 내부에 수납되는 김치를 비롯한 음식물은 상기 히터(220)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에 의해 숙성되며, 상기 냉각관(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저온 보관된다.
상기 냉각관(210)과 히터(220)의 후측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600)이 장착된다. 상기 냉매관(600)은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원통형의 관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냉매관(600)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상방향냉매관(620)과 상방에서 하방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하방향냉매관(6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김치모듈(200)의 하방에는 냉장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모듈(300)은 야채 등의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음식물을 신선도 유지에 요구되는 저온으로 보관하게 된다. 상기 냉장모듈(300)의 저장공간(160) 후방에는 냉각팬(31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310)의 후방에는 상방향냉매관(620)과 하방향냉매관(640)이 구비되며, 이러한 냉매관(600)에는 증발기(320)가 장착된다.
상기 증발기(320)는 냉매관(60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되며, 이러한 증발기 (320)에 의해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면 증발기(320) 주변에는 냉기가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320)의 주변에 형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팬(310)이 회전하면서 상기 냉장모듈(300)의 저장공간(160)으로 송풍하게 된다. 상기 냉각팬(310)에 의해 냉기가 송풍되면, 상기 냉장모듈(300)의 저장공간(160) 내부 온도는 음식물의 신선도가 유지되는 저온으로 유지된다.
상기 증발기(320)의 하측에는 제습히터(330)가 장착된다. 상기 제습히터(330)는 상기 증발기(320)의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면서 형성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냉매관(600)의 외주면에는 결로(結露)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結露)현상에 의해 상기 냉매관(600)의 외주면에 생성되는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냉장모듈(300)의 하방에는 기계실모듈(400)이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모듈(400)에는 상기 김치모듈(200)과 냉장모듈(300)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냉각장치들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장치들은 송풍팬(410)과 응축기(420) 그리고, 압축기(4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410)은 다음에 설명할 압축기(430)와 응축기(420)가 작동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를 상기 기계실모듈(4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430)는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420)는 냉각사이클 가운데 응축기의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응축기(420)는 상기 압축기(430)에서 변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상변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모듈(200,300,400) 사이에는 모듈커넥터(500)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커넥터(500)는 각각의 모듈(200,300,400)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김치모듈(200)과 냉장모듈(3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냉장모듈(300)과 기계실모듈(400)의 사이에 구비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요부 구성인 모듈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모듈커넥터(5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모듈커넥터(500)는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510)과 하면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520) 그리고,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판넬(5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듈커넥터(5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중앙부 내부에는 단열부재(540)가 삽입된다. 상기 단열부재(540)는 상기 상면판넬(510)과 하면판넬(5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상방과 하방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열부재(5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 높이 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540)는 진공단열재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진공단열재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의 한 종류이다. 단열재는 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재료를 일컫는데,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려는 부분의 바깥쪽을 피복하여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적게 하기 위한 재료로써 이러한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은 대류, 복사, 전도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진공 상태에서의 열 전달은 복사로 인한 열 전달 방법만이 가능하게 되므로, 단열의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진공 상태의 단열 효과가 우수하므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단열재가 진공단열재이다.
진공 단열은 여러가지 단열 방법의 가운데 하나의 방법으로 이중벽으로 둘러싸인 진공조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 경우 열 전달은 복사율 및 접촉에 의한 열 전달에 따라 결정된다. 복사율과 접촉에 의한 열 전달은 극히 미세하므로 진공단열재는 초보냉재(超保冷材)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단열재는 알루미늄박(泊)과 유리섬유를 번갈아 포개고, 플라스틱으로 포장해서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게 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상기 상면판넬(51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상면센서(550)가 장착된다. 상기 상면센서(550)는 상면판넬(51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상면센서(550)에서 판단된 상면판넬(510)의 접촉 여부는 마이콤(MICOM)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마이콤(MICOM)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다음에 설명할 댐퍼(590)로 전달된다.
상기 하면판넬(52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하면판넬(520)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하면센서(560)가 장착된다. 상기 하면센서(560)는 하면판넬(52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하면센서(560)에서 판단된 하면판넬(520)의 접촉 여부는 마이콤(MICOM)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마이콤(MICOM)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댐퍼(590)로 전달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면센서(550)는 상기 상면판넬(510)의 전반부에 장착되는 상면전방센서(552)와 후반부에 장착되는 상면후방센서(554)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전방센서(552)는 상기 상면판넬(510)의 전반부 상면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면후방센서(554)는 상기 상면판넬(510)의 후반부 상면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전방센서(552)는 상면판넬(510)의 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상기 상면후방센서(554)는 상면판넬(510)의 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면판넬(520)의 하면 각 모서리 부근에는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하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하면센서(560)가 장착된다. 상기 하면센서(560)는 하면판넬(520)의 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하면전방센서(562)와 하면판넬(520)의 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하면후방센서(564)로 구성된다.
상기 하면전방센서(562)는 상기 하면판넬(520)의 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상기 하면후방센서(564)는 상기 하면판넬(520)의 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후단부에는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600)이 구비된다. 상기 냉매관(60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냉매관(600)은 상방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상방향냉매관(620)과 하방으로 냉매가 유 동되는 하방향냉매관(6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방향냉매관(620)과 하방향냉매관(640)은 별도로 성형되기도 하고, 하나의 관에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상방향 그리고, 하방향으로 냉매를 유동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냉매관(600)은 상기 모듈커넥터(5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된다. 이러한 냉매관(600)을 통해 작동 유체인 냉매가 모듈커넥터(500)를 관통하면서 상방과 하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요부 구성인 모듈커넥터의 냉매관을 나타낸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모듈커넥터(500)의 냉매관(60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냉매관(600)에는 실링부(570,570')와 개폐수단(580,580')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580,58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인 댐퍼(590)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570,570')는 상기 모듈커넥터(500)에 형성되는 냉매관(600)과 각 모듈(200,300,400)에 형성되는 냉매관(600)이 접할 때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570,570')에는 다양한 실링부재들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모듈커넥터(500) 냉매관(600)의 상단부에는 상부실링부(570)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하부실링부(57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실링부(570)는 모듈커넥터(500) 냉매관(6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방에서 유입되는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모듈커넥터(500)를 통과하여 모듈커넥터(500)의 상방으로 유출되는 냉매의 누설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하부실링부(570')는 상기 모듈커넥터(500) 냉매관(6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모듈커넥터(500)의 하방에서 유입되는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모듈커넥터(500)를 통과하여 모듈커넥터(500)의 하방으로 유출되는 냉매의 누설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실링부(570)의 하측에는 상부개폐수단(580)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580)은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상방으로 유출되는 냉매와 상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580)과 다음에 설명할 하부개폐수단(580')은 다양한 개폐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며, 냉매관(600)의 외부에서 냉매의 유동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개폐수단(580,580')에는 솔레노이드밸브나 전자밸브 등의 밸브류 또는 공압,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한 개폐장치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부실링부(570')의 상측에는 하부개폐수단(580')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개폐수단(580')은 상기 상부개폐수단(580)과 동일한 개폐장치로 형성되며,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하방으로 유출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580)의 하측에는 개폐수단(580,58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인 댐퍼(590)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590)는 상기 상면센서(550)와 하면센서(560)에서 감지되는 상기 상면판넬(510)과 하면판넬(520)의 접촉 여부에 의해 마이콤(MICOM)으로 전달된 신호가 마이콤(MICOM)으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개폐수단 (580,580')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댐퍼(590)에 의해 개폐수단(580,580')이 제어되면서 상기 냉매관(600)의 개폐가 제어되고, 냉매관(600)의 개폐가 제어되면서 냉매관(6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이 제어된다.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냉매관(600)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후단부에는 모듈커넥터(5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매관(600)이 구비되며, 상기 냉매관(600)의 상단부에는 상부실링부(570)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실링부(570)의 하측에는 상부개폐수단(580)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580)의 하측에는 댐퍼(590)가 장착된다. 상기 냉매관(600)의 하단부에는 하부실링부(570')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실링부(570')의 상측에는 하부개폐수단(580')이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김치냉장고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외부의 전원을 상기 본체(100)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다.
본체(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기계실모듈(4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압축기(430)에 의해 작동 유체인 냉매가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변화된다.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변화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430)의 상측에 구비되는 응축기(420)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 냉매로 상변환된다.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증발기(320)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환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변환되는 냉매는 상기 상방향냉매관(620)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김치모듈(200)의 상단부 상방향냉매관(620)까지 유동된 냉매는 상기 하방향냉매관(640)을 따라 유동되어 다시 상기 압축기(430)로 유입된다. 압축기(430)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관(600)을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냉매의 지속적인 열교환으로 인해 각 모듈(200,300,400)에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작동 유체인 냉매는 상기 김치모듈(200)의 냉각관(2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김치모듈(200)의 내부 온도를 김치를 비롯한 음식물의 저온 보관에 적합한 온도로 냉각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듈커넥터(500)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상면센서(550)와 하면센서(560) 및 댐퍼(590)가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김치모듈(200)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된 저장용기(140)를 상기 저장공간(160)의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상기 김치모듈(200)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120)를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상기 도어손잡이(122)를 파지하여 도어(120)를 전방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도어(120)의 후면에 장착되는 저장공간(16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다. 전방으로 인출되는 저장공간(16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기 저 장용기(140)의 수납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김치모듈(200)과 냉장모듈(30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모듈커넥터(500)에 장착되는 상면센서(550)가 상기 김치모듈(200)의 하면과 모듈커넥터(500)의 상면판넬(510)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 상면센서(550)가 상면판넬(510)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되면, 상기 본체(100)를 제어하는 마이콤(MICOM)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의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마이콤(MICOM)으로 전달된 신호는 상기 댐퍼(590)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상기 상면센서(550)와 김치모듈(200)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의 신호를 상기 댐퍼(590)가 수신하게 된다.
상기 댐퍼(590)가 상면센서(550)와 김치모듈(200)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댐퍼(590)가 작동하여 상기 냉매관(600)에 구비되는 개폐수단(580,580')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580,580')이 작동되면, 상기 냉매관(600)은 폐쇄된다. 상기 냉매관(600)이 폐쇄되면, 냉매관(600)의 내부로 유동되는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이 규제된다.
김치를 비롯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40)의 수납 또는 인출이 끝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상기 도어(120)를 후방으로 인입하게 된다. 상기 도어(120)가 후방으로 인입되면, 상기 저장공간(160)의 개구된 상면은 차폐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160)의 하면은 상기 모듈커넥터(500) 상면판넬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면센서(550)와 접하게 된다.
상기 상면센서(550)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160)의 하면과 상기 모듈커넥터 (500) 상면판넬(510)의 상면이 접촉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상면센서(550)로부터 상기 마이콤(MICOM)으로 접촉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마이콤(MICOM)에 수신된 접촉 신호는 상기 댐퍼(590)로 송신된다. 댐퍼(590)에 수신된 접촉 신호에 의해 댐퍼(590)는 상기 개폐수단(580,580')을 제어하여 상기 냉매관(600)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냉매관(600)이 개방되면, 냉매관(600)의 내부에 유동되는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모듈(300)을 인출 및 인입 할 때에도 상기 모듈커넥터(500)에 장착되는 상면센서(550)와 하면센서(560)가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면센서(550)와 하면센서(560)에 의해 상기 냉장모듈(300)의 접촉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김치모듈(200)의 접촉 여부가 감지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냉매관(600)의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센서(550)와 하면센서(560)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댐퍼(590)는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냉매관(600)을 폐쇄하게 된다. 냉매관(600)이 폐쇄되면 내매관(600)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김치모듈(200) 및 냉장모듈(300)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저장공간(160)의 상면이 개구되면, 상기 모듈커넥터(500)에 장착되는 각각의 센서가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김치모듈(200)과 냉장모듈(300)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냉매관(600)을 폐쇄하여 냉매의 유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상기 김치모듈(200) 및 냉장모듈(30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저장공간(160)의 상면이 차폐되면, 상기 모듈커넥터(500)에 장착되는 각각의 센서가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각각의 센서에 의해 상기 김치모듈(200)과 냉장모듈(300)이 접촉된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냉매관(600)을 개방하여 냉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즉, 상기 김치모듈(200) 및 냉장모듈(300)이 전방으로 인출되면, 냉매가 유동되지 않게 되고, 김치모듈(200) 및 냉장모듈(30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냉매가 유동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일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센서가 모듈커넥터(5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구성되나, 다른 위치에 다른 수량으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회동 가능한 도어가 부착되는 경우 도어의 후면이나 본체의 전면에 감지수단을 장착하여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는, 각각의 모듈 위치에 따라 모듈커넥터에 장착되는 감지수단에 의해 냉매의 유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즉, 각각의 모듈의 일부가 개방되는 위치가 되면, 냉매의 유동이 규제되고, 각각의 모듈이 전체적으로 차폐되면, 냉매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 유체인 냉매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냉매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면, 전체적으로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으며, 냉각 효율의 향상으로 인해 에너지 사용의 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냉각 효율의 향상 및 에너지 사용의 효율 향상으로 인해 제품의 유지 비용과 서비스 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에 냉동사이클의 장착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각 모듈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모듈에 냉동사이클의 장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모듈에 김치냉장고, 급속냉동고, 신선저장고 등 다양한 모듈의 적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다양한 모듈의 적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충족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모듈커넥터와,
    상기 모듈커넥터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수납되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와,
    상기 모듈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넥터에 구비되는 접촉감지수단에 의해서 냉매관에서의 냉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상기 냉매관에서의 냉매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수단은, 상기 모듈커넥터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전방센서와 상기 모듈커넥터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후방센서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넥터에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넥터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
KR1020050106341A 2005-11-08 2005-11-08 김치냉장고 KR10122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341A KR101221712B1 (ko) 2005-11-08 2005-11-08 김치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341A KR101221712B1 (ko) 2005-11-08 2005-11-08 김치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97A KR20070049297A (ko) 2007-05-11
KR101221712B1 true KR101221712B1 (ko) 2013-01-11

Family

ID=3827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341A KR101221712B1 (ko) 2005-11-08 2005-11-08 김치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33B1 (ko) * 2005-11-09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 커넥터
KR102615054B1 (ko) * 2018-12-19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7128543B2 (ja) * 2020-12-25 2022-08-31 株式会社レーベン 冷凍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70A (ko) * 1998-02-21 1999-09-15 배길성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KR20010017976A (ko) * 1999-08-16 2001-03-05 윤종용 김치냉장고 및 그 저온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70A (ko) * 1998-02-21 1999-09-15 배길성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댐퍼 제어장치
KR20010017976A (ko) * 1999-08-16 2001-03-05 윤종용 김치냉장고 및 그 저온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97A (ko)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3717B1 (en) Refrigerator
US8028538B2 (en) Refrigerator with temperature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261114B1 (ko) 냉장고
KR20080053373A (ko) 다기능으로 작동할 수 있는 냉장 시스템
KR20090059660A (ko) 냉장고
US20200191451A1 (en) Thermally Insulated Receptacle
JP3904866B2 (ja) 冷蔵庫
KR101221712B1 (ko) 김치냉장고
CN209893742U (zh) 六门冰箱
KR102176725B1 (ko) 냉장고
WO2007010267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US20170122650A1 (en) Cooling And/Or Freezing Device
US20170131000A1 (en) Temperature-Controlled Container
CN107339844B (zh) 壁挂式冷藏箱
KR101254333B1 (ko) 모듈 커넥터
CN218722506U (zh) 多温度组合的智能柜
CN214406645U (zh) 冰箱
KR100311369B1 (ko) 분리형냉장고
KR200379303Y1 (ko) 바트냉장고의 냉각구조
JP2007064590A (ja) 冷蔵庫
KR100513990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와 제어방법
KR19990009775U (ko) 김치통 냉장고
KR200253082Y1 (ko) 수납장이 구비된 쌀보관 저온 냉장고
KR100812364B1 (ko) 김치냉장고용 이중도어구조
JP200033775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