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333B1 - 모듈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33B1
KR101254333B1 KR1020050106804A KR20050106804A KR101254333B1 KR 101254333 B1 KR101254333 B1 KR 101254333B1 KR 1020050106804 A KR1020050106804 A KR 1020050106804A KR 20050106804 A KR20050106804 A KR 20050106804A KR 101254333 B1 KR101254333 B1 KR 10125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frigerant
opening
refrigerant pip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726A (ko
Inventor
채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3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냉매의 흐름이 제어되는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20)과, 상기 상면판넬(120)에 구비되어 상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상면센서(122,124)와, 상기 상면판넬(120)의 하방에 구비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140)과, 상기 하면판넬(140)에 구비되어 하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하면센서(142,144)와, 상기 상면판넬(120)과 하면판넬(1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면판넬(120)의 상방과 하면판넬(140) 하방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단열부재(200)와, 상기 단열부재(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300)과, 상기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에 의해 상기 냉매관(30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80,380')과, 상기 개폐수단(380,38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에 의하면, 냉각 효율이 향상되며,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모듈, 냉매관, 개폐수단, 댐퍼, 실링부, 감지수단, 센서

Description

모듈 커넥터 {Module connect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모듈커넥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모듈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모듈커넥터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상면판넬
122. 상면전방센서 124. 상면후방센서
140. 하면판넬 142. 하면전방센서
144. 하면후방센서 160. 측면판넬
200. 단열부재 300. 냉매관
320. 상방향냉매관 340. 하방향냉매관
360. 상부실링부 360'. 하부실링부
380. 상부개폐수단 380'. 하부개폐수단
D. 댐퍼
본 발명은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냉매의 흐름이 제어되는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요구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냉동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는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52)와, 상기 압축기(52)에서 변화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미도시)와, 상기 응축기(미도시)에 변화된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상기 팽창밸브(미도시)에서 변화된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2)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장치들은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에 의해 연결된다.
도시된 도면을 참고로 냉장고를 살펴보면,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동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20)과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30)로 구획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본체(10)의 상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냉장실(30)은 본체(1)의 하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전면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된 전면에는 냉동도어(22)와 냉장도어(32)가 각각 구비되어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냉동도어(22)와 냉장도어(32)는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힌지 체결된다. 즉, 상기 냉동도어(22)와 냉장도어(32)는 본체(10)의 전면 우측단부에 힌지로 체결되어 사용자가 본체(10)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상기 냉동도어(22) 또는 냉장도어(32)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전면이 개구된 본체(10)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인출하게 된다.
상기 냉동도어(22)와 냉장도어(32)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도어손잡이(24,34)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 2를 참조하여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10)의 상반부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20)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20)의 후측 즉, 상기 냉동실(20)의 후면과 상기 본체(10)의 후면 사이에는 냉동기계실(40)이 형성된다. 상기 냉동기계실(40)에는 상기 냉동실(20)의 냉기를 공급해 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기계실(40)의 저면에는 증발기(42)가 장착된다. 상기 증발기(42)는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42)의 상방에는 증발기(42)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2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44)이 구비되며, 이러한 송풍팬(44)의 후측에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송풍팬(44)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46)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52) 등의 다수 부품이 장착되는 냉장기계실(50)이 형성되고, 이러한 냉장기계실(50)에는 상기 압축기(52)가 장착되어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52)와 상기 증발기(42)의 사이에는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60)이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압축기(52)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냉매관(60)을 거쳐 상기 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고, 열교환되는 냉매는 다시 냉매관(60)을 거쳐 상기 압축기(52)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본체(10)는 냉동실(20)과 냉장실(3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경우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의 전면 전체를 개방시켜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의 전면 전체를 개방시켜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하게 되는 경우 냉장고의 전체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냉각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에너지 소비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유지 비용 및 서비스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 수단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냉매의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냉각 효율이 증가하게 되는 모듈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과, 상기 상면판넬에 구비되어 상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상면센서와, 상기 상면판넬의 하방에 구비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과, 상기 하면판넬에 구비되어 하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하면센서와, 상기 상면판넬과 하면판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면판넬의 상방과 하면판넬 하방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과, 상기 상면센서와 하면센서에 의해 상기 냉매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관은 작동 유체인 냉매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상방향냉매관과, 작동 유체인 냉매가 하방향으로 유동되는 하방향냉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관의 양단부에는 실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댐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부재는 진공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에 의하면, 냉각 효율이 향상되며, 효율적이 에너지 소비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모듈커넥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모듈커넥터의 외형을 살펴보면, 본체(100)는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20)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140) 그리고,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판넬(160)로 형성된다. 즉,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상면판넬(120)과 하면판넬(14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20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단열부재(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과 하방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단열부재(200)는 본체(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성형되므로, 상기 본체(100)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 높이 보다 다소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200)는 진공단열재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진공단열재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의 한 종류이다. 단열재는 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재료를 일컫는데,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려는 부분의 바깥쪽을 피복하여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적게 하기 위한 재료로써 이러한 열전달은 대류, 복사, 전도 등의 방법을 이루어진다.
진공 상태에서는 열전달의 방법이 복사로 인한 열전달만이 가능하게 되므로, 단열의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진공 상태의 단열 효과가 우수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열재가 진공단열재이다.
진공 단열은 단열 방법의 여러 가지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이중벽으로 둘러싸인 진공조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 경우 열전달은 복사율 및 접촉에 의한 열전달에 따라 결정된다. 복사율과 접촉에 의한 열전달은 극히 미세하므로 진공단열재는 초보냉재(超保冷材)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단열재는 알루미늄박(泊)과 유리섬유를 번갈아 포개고, 플라스틱으로 포장해서 내부의 공기를 빼어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게 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상기 상면판넬(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상면센서(122,124)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센서(122,124)는 상면판넬(120)의 상면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상면센서(122,124)에서 판단된 상면의 접촉 여부는 다음에 설명할 댐퍼(D)로 전달된다.
상기 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300)이 구비된다. 상기 냉매관(300)은 대략 원통 형상의 관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냉매관(300)은 상방으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상방향냉매관(320)과, 하방으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하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하방향냉매관(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방향냉매관(320)과 하방향냉매관(340)은 별도로 성형되기도 하고, 하나의 관에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상방향 그리고, 하방향으로 냉매를 유동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냉매관(300)은 상기 본체(100)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형성된다. 이러한 냉매관(300)을 통해 작동 유체인 냉매가 본체(100)를 관통하면서 상방과 하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모듈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진공단열재로 성형되는 단열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넬(120)에는 상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상면센서(122,124)가 구비되며, 상기 하면판넬(140)에는 하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하면센서(142,14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에 의해 상기 본체(100) 상방과 하방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접촉 여부에 의해 다음에 설명할 개폐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상면센서(122,124)는 상면전방센서(122)와 상면후방센서(124)로 구성된다. 상면전방센서(122)는 상기 상면판넬(120)의 전반부에 장착되며, 상면후방센서(124)는 상면판넬(120)의 후반부에 장착된다.
상기 상면전방센서(122)는 상면판넬(120)의 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면후방센서(124)는 상면판넬(120)의 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상면전방센서(122)는 상면판넬(120)의 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면판넬(120)의 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상면후방센서(124)는 상면판넬(120)의 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면판넬(120)의 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에는 상기 상면센서(122,124)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하면판넬(140)의 하면에 하면센서(142,144)가 장착된다. 상기 하면센서(142,144)는 상기 하면판넬(140)의 전반부에 장착되는 하면전방센서(142)와 후반부에 장착되는 하면후방센서(144)로 구성된다.
상기 하면전방센서(142)는 상기 하면판넬(140)의 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하면판넬(140)의 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상기 하면후방센서(144)는 하면판넬(140)의 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하면판넬(140)의 후반부 접촉 여부를 전체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모듈커넥터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냉매관(30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냉매관(3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실링부(360,360')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360,360')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냉매관(300)과 본체(100)의 상방과 하방에 구비되는 냉매관이 접할 때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360,360')에는 다양한 실링부재들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실링부(360,360')는 상부실링부(360)와 하부실링부(360')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실링부(360)는 상기 본체(100)의 냉매관(300) 상단부에 장착되며, 하부실링부(360')는 본체(100)의 냉매관(300) 하단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상부실링부(360)는 본체(100)의 냉매관(300) 상단부에 장착되어 본체(100)의 상방에서 유입되는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10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방으로 유출되는 냉매가 누설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상방향냉매관(32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부실링부(36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본체(100)를 관통하게 되는 냉매가 상단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하방향냉매관(34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상부실링부(360)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상단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실링부(360')는 본체(100)의 냉매관(300) 하단부에 장착되어 본체(100)의 하방에서 유입되는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10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하방으로 유출되는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방향냉매관(32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부실링부(360')는 상기 본체(100)의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하단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하방향냉매관(34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부실링부(36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로부터 유입되어 본체(100)를 관통하게 되는 냉매가 하단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실링부(360)의 하측에는 상부개폐수단(380)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380)은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 유출되는 냉매와 상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380)과 다음에 설명할 하부개폐수단(380')은 다양한 개폐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며, 냉매관(300)의 외부에서 냉매의 유동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개폐수단(380,380')에는 솔레노이드밸브나 전자밸브 등의 밸브류 또는 공압, 유압 실린더 등을 사용한 개폐장치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부실링부(360')의 상측에는 하부개폐수단(380')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개폐수단(380')은 상기 상부개폐수단(380)과 동일한 개폐장치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하방으로 유출되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380)의 하측에는 개폐수단(380,380')의 작동을 위한 댐퍼(D)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D)는 상기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에서 감지되는 상기 상면판넬(120)과 하면판넬(14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작동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D)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380,380')이 작동되며, 댐퍼(D)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수단(380,380')의 작동으로 상기 냉매관(300)의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의 흐름이 제어된다.
상기 본체(10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냉매관(300)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본체(1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매관(300)이 구비되며, 상기 냉매관(300)의 상단부에는 상부실링부(36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실링부(360)의 하측에는 상부개폐수단(380)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개폐수단(380)의 하측에는 댐퍼(D)가 구비된다. 상기 냉매관(300)의 하단부에는 하부실링부(36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실링부(360')의 상측에는 하부개폐수단(380')이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에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댐퍼(D)에도 전원이 인가된다. 이러한 전원에 의해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 및 댐퍼(D)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가 외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상면판넬(120)과 하면판넬(14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상면판넬(120)의 상면센서(122,124)가 작동하여 상면판넬(120)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면센서(122,124)가 상기 상면판넬(120)이 접촉한 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댐퍼(D)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상면센서(122,124)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되더라도 상기 댐퍼(D)는 상기 상면판넬(120)이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20)의 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상면전방센서(122)에 의해 상기 상면판넬(120)의 전반부가 전체적으로 감지되며, 이러한 상면전방센서(122)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면전방센서(122)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상면전방센서(122)는 상기 상면판넬(120)의 전반부가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판넬(120)의 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상면후방센서(124)에 의해 상기 상면판넬(120)의 후반부가 전체적으로 감지되며, 이러한 상면전방센서(122)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면후방센서(124)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상면후방센서(124)는 상기 상면판넬(120)의 후반부가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은 하면판넬(14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기 하면전방센서(142)와 하면후방센서(144)에 의해 하면판넬(14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의 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하면전방센서(142)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하면전방센서(142)는 상기 하면판넬(140)의 전반부가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의 후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하면후방센서(144)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하면후방센서(144)는 상기 하면판넬(140)의 후반부가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센서(122,124)와 하면센서(142,144)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센서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상면판넬(120)과 하면판넬(140)은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20)에 장착되는 각각의 상면센서(122,124)와 상기 하면판넬(140)에 장착되는 각각의 하면센서 (142,144) 모두가 접촉되어야 상기 상면판넬(120)과 하면판넬(140)이 접촉한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 상면센서(122,124)로부터 상기 상면판넬(120)이 접촉한 상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댐퍼(D)는 상기 상부개폐수단(380)의 개방을 위한 작동을 하여 상부개폐수단(380)이 상기 냉매관(300)의 상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냉매관(300)의 상부가 개방되면 상방향냉매관(320)의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하방향냉매관(340)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하방향냉매관(340)의 하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개폐수단(38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실링부(360)에 의해 상기 냉매관(300)의 내부를 유동하게 되는 냉매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상기 하면센서(142,144)로부터 상기 하면판넬(140)이 접촉한 상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댐퍼(D)는 상기 하부개폐수단(380')의 개방을 위한 작동을 하여 상기 냉매관(300)의 하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냉매관(300)의 하부가 개방되면, 상방향냉매관(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하방향냉매관(340)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본체(100)의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개폐수단(38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실링부(360')에 의해 상기 냉매관(300)의 내부를 유동하게 되는 냉매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댐퍼(D)에 의해 상기 상부개폐수단(380)과 하부개폐수단(380')이 동시에 작동하여 상기 냉매관(300)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센서를 장착하여 본체(100)의 전면 접촉에 의해 접촉을 감지하여 냉매관(300)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댐퍼(D)를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하여 냉매관(300)의 상부와 하부의 개폐를 별도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커넥터는, 각각의 센서가 감지하는 바에 의해 냉매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냉매 사용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냉매 사용의 효율이 향상되면, 전체적으로 냉각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 효과의 상승으로 인한 에너지 사용의 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냉각 효과의 향상과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으로 인해 제품의 유지 비용과 서비스 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
    상기 상면판넬에 구비되어 상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상면센서;
    상기 상면판넬의 하방에 구비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
    상기 하면판넬에 구비되어 하면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하면센서;
    상기 상면판넬과 하면판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면판넬의 상방과 하면판넬 하방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부재;
    상기 단열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내부에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
    상기 상면센서 또는 하면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접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냉매관을 개방하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작동 유체인 냉매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상방향냉매관과, 작동 유체인 냉매가 하방향으로 유동되는 하방향냉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의 양단부에는 실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댐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진공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센서와 하면센서는 각각 다수개가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상면센서 또는 하면센서들 중, 상기 상면센서들 모두 또는 상기 하면센서들 모두가 접촉된 경우에만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커넥터.
KR1020050106804A 2005-11-09 2005-11-09 모듈 커넥터 KR10125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804A KR101254333B1 (ko) 2005-11-09 2005-11-09 모듈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804A KR101254333B1 (ko) 2005-11-09 2005-11-09 모듈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726A KR20070049726A (ko) 2007-05-14
KR101254333B1 true KR101254333B1 (ko) 2013-04-12

Family

ID=3827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804A KR101254333B1 (ko) 2005-11-09 2005-11-09 모듈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3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943A (ko) * 1998-03-16 1999-10-05 배길성 김치냉장고
JP2000283631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KR100341557B1 (ko) * 1998-09-24 2002-06-22 가나이 쓰토무 냉장고
KR20040094790A (ko) * 2002-03-13 2004-11-10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070049297A (ko) * 2005-11-08 200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943A (ko) * 1998-03-16 1999-10-05 배길성 김치냉장고
KR100341557B1 (ko) * 1998-09-24 2002-06-22 가나이 쓰토무 냉장고
JP2000283631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KR20040094790A (ko) * 2002-03-13 2004-11-10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20070049297A (ko) * 2005-11-08 200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726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9685B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AU2022221530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0505254B1 (ko)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US20160138849A1 (en) Refrigerator
US10852050B2 (en) Refrigerator
WO2009061068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57377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3106794B1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60091106A (ko) 냉장고
CN102478341A (zh) 冰箱中横梁的固定结构、冰箱及其制造方法
CN101093124B (zh) 一种未设置可调温隔板、具有速冷室和可开闭回风口的冷柜及其控制方法
KR102176725B1 (ko) 냉장고
KR101254333B1 (ko) 모듈 커넥터
KR101221712B1 (ko) 김치냉장고
WO2022160835A1 (zh) 用于冷藏冷冻装置的螺钉安装吊柱及冷藏冷冻装置
CN211345994U (zh) 含多个分隔间的冰箱
US8635880B2 (en)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694538B2 (ja) 冷蔵庫
CN107192199A (zh) 多门冰箱
WO2020121404A1 (ja) 冷蔵庫
JP2007078282A (ja) 冷蔵庫
CN218511261U (zh) 制冷设备
KR20030024410A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 냉기 공급구조
JP2004212022A (ja) 冷蔵庫
CN214406645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