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623B1 -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623B1
KR100357623B1 KR1020000004447A KR20000004447A KR100357623B1 KR 100357623 B1 KR100357623 B1 KR 100357623B1 KR 1020000004447 A KR1020000004447 A KR 1020000004447A KR 20000004447 A KR20000004447 A KR 20000004447A KR 100357623 B1 KR100357623 B1 KR 10035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haft
striking
solid
horizontal axi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969A (ko
Inventor
이경목
Original Assignee
이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목 filed Critical 이경목
Priority to KR102000000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623B1/ko
Priority to KR2020000012420U priority patent/KR200199345Y1/ko
Publication of KR2001007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자유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를 분쇄하도록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 날개를 구비한 수평축에 전달되는 타격시의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립의 모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분쇄장치는, 소정 크기를 갖는 폐콘크리트 등의 고체 덩어리가 자유낙하되는 고체 덩어리 공급 통로를 갖는 공급 부재와; 상기 통로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통로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수평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수평축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통로에서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를 상기 통로의 직하부에서 타격하는 타격 날개와; 상기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킨 후 상기 수평축에 전달하는 충격력 감쇄 수단과; 상기 타격 날개에 의해 타격되어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충돌되는 충돌판과; 상기 타격 날개 및 충돌판에 의해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HORIZONTAL SHAFT IMPACT CRUSHER}
본 발명은 자유낙하하는 자갈과 폐콘크리트 등을 분쇄하도록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 날개를 구비한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축에 전달되는 타격시의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립의 모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장치는 큰 덩어리를 잘게 부수어 가루로 만드는 장치로서, 강도가 약하여 자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자갈이나, 또는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재활용해야 하는 건축 폐자재인 폐콘크리트 등(이하, 고체덩어리라 한다)을 잘게 부수어 모래를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쇄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97-1616호에 개시되어 있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가 있다.
이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102)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충돌판(104)에 충돌시켜 이 덩어리를 1차 분쇄하는 원심력 분쇄장치와, 원심력 분쇄장치에 의하여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의 분쇄물인 고체 알갱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체 알갱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106)과, 안내통(106)을 따라 이동되어 온 고체 알갱이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공급 통로가 형성되는 중간 분리 부재(108)와, 중간 분리 부재(108)에 형성된 공급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 날개(110)에 의해 2차 분쇄하는 타격 분쇄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는 호퍼(102)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전통(112)과, 회전통(112)의 아래면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수직 플랜지(114)와, 수직 플랜지(11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통(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축(116)과, 회전통(11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심력에 의해 회전통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오는 고체 덩어리가 충돌하여 1차 분쇄되는 수직 충돌판(10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는 중간 분리 부재(108)의 아래면에 설치되는 수평 충돌판(118)과, 수평 충돌판(118)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축(120)과, 수평축(120)에 원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 날개(110)와, 수평축(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미도시)로 구성되고, 각각의 타격 날개(110)는 하나의 몸체로 제조되어 수평축(120)에 고정되거나, 또는 수평축과 일체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분쇄장치는, 고체 덩어리가 호퍼(102)로부터 원심력 분쇄장치의 회전통(112)에 공급되면, 회전통(112)이 회전하면서 고체 덩어리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고체 덩어리는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통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와 수직 충돌판(104)에 충돌하고 충격력에 의해 1차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의 분쇄물인 고체 알갱이는 안내통(106)과 중간 분리 부재(108)의 공급 통로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자연낙하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 분쇄장치의 타격 날개(110)와 충돌하는 것에 의해 2차 분쇄되면서 튀어오르게 되고, 다시 수평 충돌판(118)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더 잘게 분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분쇄장치는 고체 알갱이가 타격 날개에 충돌하는 충돌 지점이 고체 알갱이 낙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 부근이므로, 고체 알갱이의 타격시에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력(타격 날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매우 크며, 이 충격력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수평축에 일체로 연결된 타격 날개를 통해 수평축에 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평축도 상기 충격력에 의해 큰 회전 저항을 받게 되어 이 수평축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의 회전장치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장치의 구동이 정지되어 분쇄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타격 날개에 의해 타격된 고체 알갱이 중에서 일부는 중간 분리 부재의 공급 통로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자연낙하하는 고체 알갱이와 충돌된 후, 이 충돌력으로 인해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수평 충돌판에 충돌되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따라서, 수평 충돌판에 충돌되지 못하는 알갱이들은 분쇄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입도가 균일하지 못한 모래가 제조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축에 전달되는 타격시의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립의 모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타격 날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타격 날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변형 실시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크기를 갖는 폐콘크리트 등의 고체 덩어리가 자유낙하되는 고체 덩어리 공급 통로를 갖는 공급 부재와;
상기 통로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통로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수평축과;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수평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수평축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통로에서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를 상기 통로의 직하부에서 타격하는 타격 날개와;
상기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킨 후 상기 수평축에 전달하는 충격력 감쇄 수단과;
상기 타격 날개에 의해 타격되어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가 충돌되는 충돌판과;
상기 타격 날개 및 충돌판에 의해 분쇄된 고체 덩어리가 적재되는 적재함;
을 포함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타격 날개는 수평축의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충돌판에서 분쇄된 고체 알갱이 및 적재함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는 낙하하면서 상기 타격 날개에 의해 한번 더 타격된다.
이와 같이,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감쇄 수단에 의해 감쇄된 후 수평축에 전달됨으로 타격시의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립의 모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는 콘베이어로부터 공급된 소정 크기를 갖는 고체 덩어리(폐콘크리트 등)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자유낙하되는 두개의 고체 덩어리 공급 통로(12,12')를 갖는 호퍼(14)를 구비한다.
상기 호퍼(14)는 지지 기둥(16)에 의해 지지되는 가로 지지대(18)에 의해 지지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호퍼(14) 내부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고체 덩어리만 공급 통로(12,12')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 단의 빔(2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공급 통로(12,12')는 호퍼(14)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호퍼(14)의 통로(12,12') 직하부에는 통로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축(22)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축(22)은 모터(M)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양측의 제1 수평축(22a)과, 제1 수평축(22a)을 연결하며 타격 날개(24)가 설치되는 제2 수평축(22b)으로 분할 구성되며, 제1 및 제2 수평축(22a,22b)은 플랜지 커플링(26)에 의해 동일축상에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이 플랜지 커플링(26)은 볼트(28) 및 키이(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2 수평축(22b)에는 기어부(32a) 및 로드 삽입부(32b)를 구비하는 플랜지(32)가 반달형 또는 원통형 메탈 베어링(34)을 개재하여 수평축(22b)을 둘러싸도록 복수개 설치되고, 이 플랜지(32)들은 기어부(32a)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가장 외측의 플랜지에 제공된 기어부는 플랜지 커플링(26)에 제공된 기어부(26a)에 맞물린다.
여기에서, 각각의 플랜지(32)들은 타격 날개(24)가 설치되는 로드 삽입부(32b)가 수평축(22b)의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축(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급 통로(12,12')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타격 날개(24)는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격 날개와 소정의 각도씩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격 날개를 서로 소정 각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회전시켜 어긋나게 설치하면,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비틀림이 제2 수평축(22b)에 동시에 작용하지 않고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수평축(22) 및 베어링(34)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위상차를 갖도록 설치된 각 플랜지(32)들의 로드 삽입부(32b)에는 연결 로드(36)의 일단부가 핀(38a∼38c)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연결 로드(36)의 다른 단부는 연결관(40)에 핀(38d,38e)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연결관(40)의 다른 단부측에는 타격 날개(24)의 로드 단부가 핀(38f,38g)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또한, 로드 삽입부(32b)와 연결관(40)의 외측에는 핀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42a∼42e)가 설치되고, 커버(42e) 외측에는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판(44)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타격 날개의 조립 과정을 도 5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관(40)의 일측에 타격 날개(24)의 로드 단부를 삽입하고, 이 로드 단부와 연결관(40)을 2개의 핀(38f,38g)을 이용하여 핀 결합한 후, 커버(42d,42e)를 설치한다.
그리고, 플랜지(32)의 로드 삽입부(32b) 내부에 연결 로드(36)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 연결 로드(36)와 로드 삽입부(32b)를 3개의 핀(38a∼38c)을 이용하여 핀 결합하고, 이 로드 삽입부(32b)에 커버(42b,42c)를 설치한다.
이후, 연결 로드(36)와 연결관(40)을 2개의 핀(38d,38e)을 이용하여 핀 결합한 후, 로드 삽입부(32b)에 설치된 커버(38b,38c)를 커버(38d)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로드 삽입부(32b)와 연결 로드(36)와 연결관(40) 및 타격 날개(24)의 조립이 완료되면, 로드 삽입부(32b)의 외측에 2개로 분할 구성된 커버(42a)를 덮어씌운 후 이 커버(42a)를 핀 또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고정하고, 커버(42e)의 외측에는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분리 방지판(44)을 설치하여 커버의 분리를 방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격 날개(24)의 타격부는 고체 덩어리를 타격하는 타격 지점이 마모되어 고체 덩어리가 타격 날개에 의해 타격되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먹을 쥔 손의 각 손가락 사이가 벌어진 형태의 공지의 형상을 갖는다.
한편, 호퍼(14)와 수평축(22)의 사이 공간에서 통로(12,12')의 직하부 좌측에는 타격 날개(24)에 의해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충돌되는 충돌판(46)과, 충돌판(46)에서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타격 날개(24)에 의해 한번 더 타격된 후 적재되는 제1 적재함(48)이 제공되고, 수평축(22)의 좌측에는 도 2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적재함(48)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가 타격 날개(24)에 의해 한번 더 타격된 후 적재되는 적재함(50)이 제공되며, 수평축(22)의 직하부 좌측에는 제2 적재함(50)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가 적재되는 제3 적재함(52)이 제공된다.
그리고, 수평축(22)의 직하부에는 제3 적재함(52)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가 적재되는 제4 적재함(54) 및 제4 적재함에 적재되는 고체 알갱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미도시)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돌판(46)은 주먹을 쥔 손의 각 손가락 사이가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충돌부(46')를 구비하며, 통로(12,12')의 직하부에서 날개(24)에 의해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효율적으로 충돌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설치된다.
따라서, 충돌부(46') 사이 간격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 고체 알갱이는 각 충돌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충돌부(46')의 측면에서 여러번 충돌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터(M)에 의해 제1 수평축(22a)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플랜지 커플링(26)의 작용에 의해 제2 수평축(22b)이 회전되고, 또한, 기어부(26a,32a)의 연결 구조로 인해 각각의 플랜지(32)들이 회전되는바, 상기 작동시에 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가 호퍼(14)의 공급 통로(12,12')를 통해 낙하하면,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 중에서 우측의 통로(12)를 통해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 날개(24)가 통로(12)의 직하부에 위치될 때 이 날개(24)에 의해 타격되어 분쇄되고, 분쇄된 고체 알갱이는 좌측의 통로(12')를 통해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에 충돌되어 분쇄되며, 이 고체 알갱이와 통로(12')를 통해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는 타격 날개(24)가 통로(12')의 직하부에 위치될 때 날개(24)에 의해 타격되어 한번 더 분쇄된다.
그리고, 타격 날개(24)에 의해 타격된 고체 알갱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충돌판(46)의 충돌부(46')에 충돌되면서 한번 더 분쇄되고, 충돌판에서 분쇄된 후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는 타격 날개(24)가 충돌판(46)의 직하부에 위치될 때 이 날개(24)에 의해 한번 더 타격되어 제1 또는 제2 적재함(48 또는 50) 측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48 또는 50)으로 튀어나가는 고체 알갱이는 이 적재함의 벽면 또는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고체 알갱이들과 충돌하면서 한번 더 분쇄되고, 제1 적재함(48)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는 타격 날개(24)에 의해 타격되면서 한번 더 분쇄된 후 제2 적재함(50) 또는 제3 적재함(52) 측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또는 제3 적재함 측으로 튀어나간 고체 알갱이는 이 적재함의 벽면 또는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고체 알갱이들과 충돌하면서 한번 더 분쇄되고, 제2 적재함(50)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는 제3 적재함(52)에 적재된 고체 알갱이와 충돌하면서 한번 더 분쇄되며, 이후, 제4 적재함(54)으로 낙하되어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이송된다.
이와 같이, 공급 통로(12,12')를 통해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 및 고체 알갱이는 타격 날개(24)와 충돌판(46) 및 적재함의 벽면 등에 충돌하면서 수차례 분쇄되는 한편, 고체 알갱이간의 충돌에 의해 수차례 분쇄되므로, 입도가 균일한 모래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시에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연결 로드(36), 연결관(40), 플랜지(32), 및 이 부재들을 결합하는 핀(38a∼38g)의 작용으로 인해 점차로 감소된 후 제2 수평축(22b)에 전달되며, 제2 수평축(22b)에 전달되는 감쇄된 충격력은 플랜지 커플링(26)을 통하면서 한번 더 감쇄된 후 제1 수평축(22a)에 전달되므로, 타격 날개에 가해진 충격력이 대부분 감쇄된 후 제1 수평축(22a)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 수평축(22a)을 회전시키는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릴 위험성이 거의 없고, 이로 인해 수평축(22a)의 회전 속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보다 균일한 입도의 모래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타격 날개는 도 6의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플랜지(32)의 로드 삽입부(32b)에 커버(42b)를 설치한 상태에서 타격 날개(24)의 로드 단부를 삽입하여 핀(38c)으로 핀 결합하고, 커버(42b)를 핀(38c) 측으로 밀어낸 후, 핀(38a,38b)을 결합한다.
그리고, 로드 삽입부(32b)의 외측에 커버(42a)를 설치하여 핀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버(42b)의 외측에는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판(44)을 설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격 날개(24)의 조립 과정은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본 실시예의 타격 날개(24)는 타격시의 충격이 작은 직경이 50이하의 고체 덩어리를 분쇄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평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부재로서 차량용 엔진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수평축을 수직 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미립의 모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수평축을 좌우로 2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평축 또는 수평축의 외측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하고, 수평축의 단부에 내접 기어부, 그리고, 플랜지의 단부에는 내접 기어부가 맞물리는 외접 기어부를 제공하며, 이 수평축 또는 플랜지를 모터에 연결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격 감쇄 수단을, 분할 구성된 수평축, 수평축을 연결하는 플랜지 커플링, 수평축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랜지, 그리고 타격 날개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들(플랜지의 로드 삽입부에 설치되는 연결 로드, 연결 로드가 설치되는 연결관, 연결관에 설치되는 타격 날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핀 등)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에 의하면, 수평축이 고체 덩어리 공급 통로의 직하방에 설치되므로 타격 날개에 의한 고체 덩어리 타격 지점이 수평축의 직상방 지점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고체 덩어리의 타격시 수평축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타격시에 타격 날개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감쇄 수단에 의해 대부분이 감쇄된 후 수평축에 전달되므로 수평축에 가해지는 회전 저항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작다.
따라서, 상기 이유로 인해 부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수평축을 종래에 비해 더욱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량 증대가 가능하다.
또한, 공급 통로에서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기 전까지 수차례 반복적으로 분쇄되므로, 입도가 균일한 미립의 모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폐콘크리트 등의 고체 덩어리가 자유낙하되는 고체 덩어리 공급 통로(12,12')를 갖는 공급 부재(14)와;
    상기 통로(12,12')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통로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수평축(22)과;
    상기 수평축(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M)와;
    상기 구동 부재(M)의 구동력을 상기 수평축(2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수평축(22)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통로(12,12')에서 낙하하는 고체 덩어리를 상기 통로의 직하부에서 타격하는 타격 날개(24)와;
    상기 타격 날개(24)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쇄시킨 후 상기 수평축(22)에 전달하는 충격력 감쇄 수단(32)과;
    상기 타격 날개(24)에 의해 타격되어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충돌되는 충돌판(46)과;
    상기 타격 날개(24) 및 충돌판(46)에 의해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적재되는 하나 이상의 적재함(48,50,52,54);
    을 포함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날개(24)는 수평축(22)의 원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축(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46)에서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낙하하면서 상기 타격 날개(24)에 의해 한번 더 타격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48)에서 낙하하는 고체 알갱이가 상기 타격 날개(24)에 의해 한번 더 타격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22)은 상기 구동 부재(M)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 수평축(22a)과 타격 날개가 설치되는 제2 수평축(22b)이 분할 구성되며, 상기 분할된 부분에서 결합 부재(26)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26)는 제1 및 제2 수평축(22a,22b)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 커플링(26)과, 이 플랜지 커플링(26)을 연결하는 볼트(28) 및 키이를 포함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력 감쇄 수단은, 수평축(22)이 삽입되는 축 삽입부와, 축 삽입부의 양 단부측에 각각 제공되는 기어부(32a) 및 상기 축 삽입부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로드 삽입부(32b)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부(32a)에 의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2 수평축(22b)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플랜지(32)를 포함하며, 최외곽의 플랜지에 제공된 일측 기어부는 상기 플랜지 커플링(26)의 기어부(26a)에 맞물리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축(22b)과 플랜지(32) 사이에는 반달형 또는 원통형의 메탈 베어링(34)이 개재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삽입부(32b)에는 타격 날개(24)의 로드 단부가 결합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삽입부(32b)에는 연결 로드(36)의 일단부가 핀(38a,38b,38c)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 로드(36)의 다른 단부는 연결관(40)에 핀(38d,38e)에 의해 결합되며, 연결관(40)의 다른 단부측에는 타격 날개(24)의 로드 단부가 핀(38f,38g)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KR1020000004447A 2000-01-29 2000-01-29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KR10035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447A KR100357623B1 (ko) 2000-01-29 2000-01-29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KR2020000012420U KR200199345Y1 (ko) 2000-01-29 2000-05-01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447A KR100357623B1 (ko) 2000-01-29 2000-01-29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420U Division KR200199345Y1 (ko) 2000-01-29 2000-05-01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69A KR20010076969A (ko) 2001-08-17
KR100357623B1 true KR100357623B1 (ko) 2002-11-07

Family

ID=1964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447A KR100357623B1 (ko) 2000-01-29 2000-01-29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38B1 (ko) 2006-06-27 2007-01-19 대길산업주식회사 골재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38B1 (ko) 2006-06-27 2007-01-19 대길산업주식회사 골재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69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88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aterial
US4151959A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pulverizable material
PL189892B1 (pl) Młyn pyłowy i sposób proszkowania
EP1322423B1 (en) Improvements in the reversible and not reversible secondary and tertiary hammer mills
US20070040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verizing solid materials
CN106269132B (zh) 破碎机、砧铁装置、砧铁件、矿物生产线及物料破碎方法
KR100357623B1 (ko)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KR200199345Y1 (ko)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JP2010036071A (ja) 衝撃式破砕機
JP5567398B2 (ja) 粉砕装置
EP0583515B1 (en) Impact crushing of rock and ore
JP5072476B2 (ja) 粉砕装置
JP2974657B1 (ja) 二段式破砕装置
JP4276316B2 (ja) 遠心破砕機のロ−タ
CN108187869A (zh) 一种离心碰撞粉碎机
CN103495458A (zh) 双转子超细反击锤式破磨机
KR100214861B1 (ko) 분쇄장치
WO1994008718A1 (en) Rotary collider mill
CN2488592Y (zh) 多层离心对撞超细粉碎机
CN201135896Y (zh) 下直传内返料阶梯式超细粉碎机
CN213611707U (zh) 一种锤片式粉碎机转子
JP7121417B2 (ja) ガラス粉砕装置
CN86107264A (zh) 物料处理装置
JP3407905B2 (ja) 岩石及び鉱石塊を衝撃破砕する衝撃破砕機
US20030183711A1 (e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