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861B1 -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861B1
KR100214861B1 KR1019970001616A KR19970001616A KR100214861B1 KR 100214861 B1 KR100214861 B1 KR 100214861B1 KR 1019970001616 A KR1019970001616 A KR 1019970001616A KR 19970001616 A KR19970001616 A KR 19970001616A KR 100214861 B1 KR100214861 B1 KR 10021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al force
horizontal axis
solid
rotary cylind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224A (ko
Inventor
이경목
Original Assignee
이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목 filed Critical 이경목
Priority to KR101997000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8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호퍼(8)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9)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판에 충돌시켜 1차 분쇄하는 원심력 분쇄장치(20)와,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29)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80)과, 고체 알갱이(29)를 공급하는 공급통로(31)가 형성되는 중간분리부재(30)와, 공급통로(3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체 알갱이(29)를 고속 회전하는 타격날개(44)에 의하여 2차 분쇄하는 타격 분쇄장치(40)로 구성되는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원심력 분쇄장치(20)는 고체 덩어리(9)에 원심력을 부여하는 회전통(24)과, 회전통(24)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수직 플랜지(23)와, 수직 플랜지(2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통(24)을 지지하는 수직축(22)과,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통(24)의 원주면으로 튀어나오는 고체 덩어리(9)가 충돌하여 1차 분쇄되는 수직 충돌판(26)으로 구성된다. 타격 분쇄장치(40)는 중간분리부재(30)에 설치되는 수평 충돌판(46)과, 수평 충돌판(46)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축(42)과, 수평축(42)에 원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타격날개(44)와, 수평축(4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분쇄장치
본 발명은 자갈과 건축 폐자재 등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벽에 충돌시키는 것에 의하여 1차 분쇄를 행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날개에 의하여 2차 분쇄를 행하여 모래를 제조하는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장치는 큰 덩어리를 잘게 부수어 가루로 만드는 장치로서, 강도가 약하여 자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자갈이나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재활용해야 하는 건축 폐자재인 콘크리트 덩어리 등(이하 고체 덩어리라 한다)을 잘게 부수어 모래를 제조할 때에도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분쇄장치로는 호퍼를 통하여 위쪽에서 큰 고체 덩어리인 자갈이나 건축 폐자재를 고속으로 회전하며 원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전통 안에 공급하면, 회전통의 회전에 의하여 자갈이나 건축 폐자재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회전통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을 통하여 자갈이나 건축 폐자재가 바깥쪽으로 튀어나가게 되며, 회전통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충돌판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잘게 부수어 모래를 제조하는 수직축 충격 쇄석기(vertical shaft impact crusher)가 많이 사용된다.
또 모래를 제조하기 보다는 곡물가루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멧돌원리를 이용한 원추분쇄기(cone crusher)와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등도 분쇄장치로서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분쇄장치 특히 수직축 충격 쇄석기는 한 번의 충돌로 자갈을 분쇄하므로 불완전하게 분쇄되어 모래의 입도가 크고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회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을 수직으로 설치하므로 베어링의 내구성면에서 불리하고,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충돌속도를 충분하게 높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축에 설치된 회전통에 의하여 1차 분쇄를 행하고 수평축에 설치된 타격날개를 이용하여 2차 분쇄를 행하여 균일한 입도의 모래를 제조할 수 있는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쇄장치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판에 충돌시켜 1차 분쇄하는 원심력 분쇄장치와,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에 의하여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의 분쇄물일 고체 알갱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체 알갱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과, 상기한 안내통을 따라 이동되어 온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공급통로가 하나이상 형성되는 중간분리부재와, 상기한 중간분리부재에 형성된 공급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날개에 의하여 2차 분쇄하는 타격 분쇄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전통과, 상기한 회전통의 아래면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수직 플랜지와, 상기한 수직 플랜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한 회전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축과, 상기한 회전통으로부터 소정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통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오는 고체 덩어리가 충돌하여 1차 분쇄되는 수직충돌판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는 상기한 중간분리부재의 아래면에 설치되는 수평 충돌판과, 상기한 수평 충돌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축과, 상기한 수평축에 원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날개와, 상기한 수평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분쇄장치는 호퍼로부터 고체 덩어리가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의 회전통으로 공급되면, 상기한 회전통이 회전하면서 고체 덩어리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고체 덩어리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통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와 상기한 수직 충돌판에 충돌하고 충격력에 의하여 1차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의 분쇄물인 고체 알갱이는 안내통과 중간분리부재의 공급통로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자연낙하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의 타격날개와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2차 분쇄되면서 튀어오르게 되고, 다시 수평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더 잘게 분쇄되므로 입도가 고르고 크기가 작은 고체 알갱이인 모래로 변형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제3도은 제1도의 B-B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
제5도는 회전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은 원심력 분쇄장치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일실시예는 호퍼(8)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9)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판에 충돌시켜 1차 분쇄하는 원심력 분쇄장치(20)와,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에 의하여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9)의 분쇄물인 고체 알갱이(29)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체 알갱이(29)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80)과, 상기한 안내통(80)을 따라 이동되어 온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29)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공급통로(31)가 하나이상 형성되는 중간분리부재(30)와,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에 형성된 공급통로(31)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29)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날개(44)에 의하여 2차 분쇄하는 타격 분쇄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한 호퍼(8)는 원추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2)에 설치된 지지기둥(4)에 의해 지지되는 위판(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지지기둥(4)은 단면계수가 커서 굽힘이나 좌굴 등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높은 복수의 H형상 빔(beam)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위관(10)도 복수의 H형상 빔을 가로 및 세로로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호퍼(8)의 윗부분은 상기한 위판(10)에 설치된 세로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는 호퍼지지판(14)에 고정되고, 상기한 호퍼(8)의 아래부분은 상기한 위판(10)에 고정된다. 상기한 세로지지대(12) 및 호퍼지지판(14)은 복수의 H형상 빔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9) 즉 강도가 약하여 자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자갈이나 건축폐자재인 콘크리트 덩어리등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전통(24)과, 상기한 회전통(24)의 아래면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수직 플랜지(23)와, 상기한 수직 플랜지(2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한 회전통(2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축(22)과, 상기한 회전통(24)으로부터 소정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통(24)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오는 고체 덩어리(9)가 충돌하여 1차 분쇄되는 수직 충돌판(2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통(2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을 원판으로 형성하고,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방사방향으로 상기한 바닥판에 복수의 칸막이(25)를 설치하여 호퍼(8)를 통하여 공급된 고체덩어리(9)를 소정의 양씩 분리하여 원심력을 부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칸막이(25)는 대략 Z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회전통(24)의 바깥둘에 쪽에는 초경 강철편을 설치하여 칸막이(25)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달리 상기한 회전통(24)은 윗판을 고리형상으로 형성하고 원판형상의 바닥판과 윗판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칸막이인 지지막대를 설치하여 상기한 호퍼(8)를 통하여 공급된 고체 덩어리(9)가 원심력에 의하여 튀어나가는 다수의 탈출구멍을 원주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한 회전통(24)은 바닥판에 사이클로이드(cycloid)또는 인벌류우트(involute)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다수의 탈출구멍을 형성하고, 호퍼(8)를 통하여 공급된 고체 덩어리(9)가 원심력에 의하여 튀어나갈때에 있어서 이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통(24)은 종래의 분쇄장치인 수직축 충격 쇄석기에 사용되는 회전통과 마찬가지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회전통(24)은 원주속도가 80-90m/s로 유지하도록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직충돌판(26)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회전통(24)의 원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작하기가 쉽도록 사각 형상 또는 다각형상의 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수직충돌판(26)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강판이나 철판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폭이 넓은 복수의 H형상 빔(beam)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수직충돌판(26)은 베이스(2)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기둥(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한 안내통(80)의 윗부분이 고정된다. 상기한 지지기둥(4)은 단면계수가 커서 굽힘이나 좌굴등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높은 복수의 H형상 빔을 가로 및 세로로 조합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2)에 설치된 복수의 세로기둥(6)에 의해 지지된다. 또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에는 상기한 안내통(80)의 아랫부분이 고정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에는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에 의해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29)(예를 들면 입도가 비교적 큰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고체)를 분배하여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40)가 설치된 아래쪽으로 공급하는 하나이상의 공급통로(31)가 형성된다.
또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에는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의 수직축(22)이 통과하는 수직축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는 단면계수가 커서 굽힘이나 좌굴 등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높은 복수의 H형상 빔을 가로 및 세로로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공급통로(31) 및 수직축구멍(33)을 형성하는 중앙 가로빔(34)과 지지빔(36) 및 분리빔(3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공급통로(3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의 중앙가로빔과 지지빔(36) 및 분리빔(38)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40)는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의 아래면에 설치되는 수평충돌판(46)과, 상기한 수평 충돌판(46)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축(42)과, 상기한 수평축(42)에 원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날개(44)와, 상기한 수평축(4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평 충돌판(46)은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의 아래면에 설치한다. 상기한 수평 충돌판(46)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강판이나 철판으로 형성하거나 기계적 강도가 높은 복수의 H형상 빔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수평축(42)은 베이스(2)에 설치된 지지기둥(4)에 설치되는 수평축지지대(3)에 베어링(4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종동풀리(54)가 설치되어 상기한 회전장치(50)의 구동폴리(52)와 회전력 전달수단인 벨트(56)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회전한다.
상기한 회전장치(50)는 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용 엔진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수평축지지대(3)를 땅위에 직접 설치하면 지반공사를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되고,
연약지반의 모래밭에서는 차량용 타이어 등을 이용하여 수평축지지대(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타격날개(44)는 두 개씩 한쌍으로 이루어진 날개체(45)가 상기한 수평축(42)에 원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한 수평축(4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한 중간분리부재(30)에 형성된 공급통로(31)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고 설치된다. 상기한 날개체(45)는 수평축(42)에 설치된 복수의 수평플랜지(41)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한 타격날개(44)는 상기한 수평축(42)에 원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설치되는 날개체(45)를 상기한 공급통로(3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여 설치하고, 상기한 공급통로(31)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타격날개(44)의 날개체(45)는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격날개(44)의 날개체(45)와 소정의 각도씩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보아서 맨 오른쪽에 설치되는 날개체(45a)와 중간에 설치되는 날개체(45b)가 각각 수평축(4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회전시켜 어긋나게 설치하고, 왼쪽에 설치되는 날개체(45c)와 상기한 오른쪽에 설치되는 날개체(45a) 및 중간에 설치되는 날개체(45b)도 각각 수평축(4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회전시켜 어긋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격날개(44)의 날개체(45)를 서로 소정 각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회전시켜 어긋나게 설치하면, 상기한 수평축(42)에 타격날개(44)와 고체 알갱이(29)가 충돌하는 충격에 의한 비틀림이 동시에 작용하지 않고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수평축(42) 및 베어링(43)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타격날개(44)의 원주속도는 100-130m/s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평축(42)의 회전수가 1500rpm이고 수평축(42)의 중심에서 타격날개(44) 끝부분까지의 거리가 1.5m이면, 타격날개(44)의 원주속도는 대략 117.75m/s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타격날개(44)를 수평축(42)의 원둘레방향으로 8등분하여 날개체(45)가 두 개씩 한쌍으로 설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타격날개(44)는 상기한 공급통로(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세부분으로 나누어 날개체(45)를 설치하므로, 하나의 공급통로(31)에 대응하는 타격날개(44)의 날개체수는 48개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공급통로(31)를 4개 형성하고, 상기한 수평축(42)을 동일한 선에 위치하는 공급통로(31)와 평행하게 2개 설치하고, 상기한 타격날개(44)를 상기한 각각의 수평축(42)에 2개씩 상기한 공급통로(31)에 대응하여 4곳에 설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수평축(42)에는 각각 96개의 날개체(4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평축(4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50)를 각각의 수평축(42)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수평축(42)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폴리(55)는 고체 덩어리(9) 및 고체 알갱이(29)가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 및 타격 분쇄장치(40)에 의하여 분쇄될 때에 발생하는 가루 및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할 때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집진장치에 의하여 집진된 모래가루 및 먼지인 분진은 별도로 설치된 웅덩이에 모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는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의 원심력 분쇄장치(20)는 상기한 수평축(42)과 평행한 수평베벨기어축(57)과 상기한 수직축(22)과 평행인 수직베벨기어축(58)을 설치하여, 상기한 수평축(42)에 설치된 종동풀리(54)와 상기한 수평베벨기어축(57)에 설치된 중간폴리(59)를 벨트(61)로 연결하고,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의 수직 플랜지(23)에 설치된 종동폴리(64)와 상기한 수직베벨기어축(58)에 설치된 중간폴리(59)를 벨트(62)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수평축(42)의 회전력을 상기한 벨트(61)를 통하여 수평베벨기어축(57)에 전달하고, 상기한 수평베벨기어축(57)과 수직베벨기어축(58)에 설치된 베벨기어(60)가 90°로 맞물리는 것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어 수평베벨기어축(57)의 회전력이 수직베벨기어축(58)으로 전달되며, 수직베벨기어축(58)의 회전력이 벨트(62)를 통하여 수직 플랜지(23)로 전달되어 상기한 회전통(2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와 달리 상기한 수직 플랜지(23)에 설치된 종동폴리(64)와 모터 또는 차량용 엔진등으로 이루어진 회전장치의 구동폴리를 벨트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통(24)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수직축(22)과 회전통(24)에 설치된 수직 플랜지(23)는 트러스트 베어링(27) 및 복수의 테이퍼 베어링(28)을 사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수평축지지대(3)와 베이스(2)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통(76)이 설치되고, 잘게 분쇄된 고체 알갱이인 모래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70)가 더 설치된다. 상기한 이송장치(70)는 컨베이어벨트(72)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호퍼(8)로부터 고체 덩어리(9)가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20)의 회전통(24)으로 공급되면, 상기한 회전통(24)이 수직 플랜지(23)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고체 덩어리(9)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고체 덩어리(9)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통(24)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와 상기한 수직충돌판(26)에 충돌하고 충격력에 의하여 1차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분쇄된 고체 덩어리(9)의 분쇄물인 고체 알갱이(29)는 안내통(80)과 중간분리부재(30)의 공급통로(31)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자연낙하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40) 의 타격날개(44)와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2차 분쇄되면서 튀어오르게 되고, 다시 수평 충돌판(46)에 충돌하면서 더 잘게 분쇄되므로 입도가 고르고 크기가 작은 알갱이(예를 들면 모래 등)로 변형된다.
상기에서 고체 알갱이(29)가 타격날개(44)에 충돌하여 2차 분쇄되면서 튀어올라 수평 충돌판(46)에 충돌할 때에 상기한 수평 충돌판(46)을 H형상의 빔으로 형성하면, H형상인 빔의 형상 홈안에서 바닥면과 양옆면에 이중삼중으로 충돌하게 되므로 충돌에 의한 분쇄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 고체 알갱이(29)는 타격 분쇄장치(40)의 타격날개(44)와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2차 분쇄되면서 튀어나가 마주하고 회전하는 다른 타격날개(44)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분쇄되기도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에 의하면, 원심력을 이용한 1차 분쇄에 더하여 회전하는 타격날개에 의한 2차 분쇄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분쇄된 알갱이인 모래의 크기가 작고 입도가 고르게 형성된다.
또 2차 분쇄를 행하는 타격날개는 수평축에 설치되고 각각의 날개체가 서로 소정 각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설치되므로 부품에 크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회전수를 고속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더욱 알갱이의 크기가 작고 고른 모래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장치는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 뿐만 아니라 차량용 엔진 등에 의해서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Claims (5)

  1.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판에 충돌시켜 1차 분쇄하는 원심력 분쇄장치와,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에 의하여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체 알갱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과, 상기한 안내통을 따라 이동되어 온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공급통로가 하나이상 형성되는 중간분리부재와, 상기한 중간분리부재에 형성된 공급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분쇄된 고체 알갱이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타격날개에 의하여 2차 분쇄하는 타격 분쇄장치로 구성되는 분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원심력 분쇄장치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덩어리에 원심력을 부여하고 원주면이 개방되어 있는 회전통과, 상기한 회전통의 아래면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수직 플랜지와 상기한 수직 플랜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한 회전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축과, 상기한 회전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한 회전통의 개방되어 있는 원주면으로 튀어나오는 고체 덩어리가 충돌하여 1차 분쇄되는 수직충돌판으로 구성되는 분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타격 분쇄장치는 상기한 중간분리부재의 아래면에 설치되는 수평 충돌판과, 상기한 수평 충돌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축과, 상기한 수평축에 원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타격날개와, 상기한 수평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로 구성되는 분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타격날개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날개체가 상기한 수평축에 원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한 수평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한 중간분리부재에 형성된 공급통로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는 분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한 타격날개는 상기한 수평축에 원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설치되는 날개체를 상기한 공급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여 설치하고, 상기한 공급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분할하여 설치하는 타격날개의 날개체는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격날개의 날개체와 소정의 각도씩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분쇄장치.
KR1019970001616A 1997-01-21 1997-01-21 분쇄장치 KR10021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616A KR100214861B1 (ko) 1997-01-21 1997-01-21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616A KR100214861B1 (ko) 1997-01-21 1997-01-21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224A KR19980066224A (ko) 1998-10-15
KR100214861B1 true KR100214861B1 (ko) 1999-08-02

Family

ID=1949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616A KR100214861B1 (ko) 1997-01-21 1997-01-21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90B1 (ko) * 2003-06-24 2009-11-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원료 브랜딩 파일의 입도 균일화 장치
KR101150700B1 (ko) 2012-01-31 2012-06-13 백운석 폐 콘크리트를 활용한 레미콘 제조용 재생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페이스트 박리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90B1 (ko) * 2003-06-24 2009-11-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원료 브랜딩 파일의 입도 균일화 장치
KR101150700B1 (ko) 2012-01-31 2012-06-13 백운석 폐 콘크리트를 활용한 레미콘 제조용 재생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페이스트 박리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224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88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aterial
EP0568941B1 (en) Pulverizing apparatus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US20070040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verizing solid materials
GB2269765A (en) Pulverizer for rock/ores.
CN106000544A (zh) 连续进行冲击破碎和打击破碎的破碎方法
US3404846A (en) Autogenous grinding mill
JP2006312136A (ja) 粉砕方法および粉砕装置
CN201042675Y (zh) 分形式制粉机组
KR100214861B1 (ko) 분쇄장치
US4919344A (en) Grinding mill apparatus
US5328103A (en) Process for impact crushing of rock and ore lumps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JPH048998Y2 (ko)
US2507917A (en) Two-stage air swept ball mill
CN101992143A (zh) 肥料粉碎机
AU660558B2 (en) Quarry pulverizer
CN207153827U (zh) 具有研磨衬板的破碎筒
CN201815347U (zh) 肥料粉碎机
CN219400362U (zh) 一种复合式破碎装置
CN2216864Y (zh) 差转筒式破磨机
CN2252664Y (zh) 一种离心式破碎机
RU2116131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ельница
CN217016819U (zh) 一种用于人造石废弃料粉碎机
KR100357623B1 (ko) 수평축 타격 분쇄장치
CN217164570U (zh) 一种覆膜砂生产高效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