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380B1 - 수영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수영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380B1
KR100356380B1 KR1019960702900A KR19960702900A KR100356380B1 KR 100356380 B1 KR100356380 B1 KR 100356380B1 KR 1019960702900 A KR1019960702900 A KR 1019960702900A KR 19960702900 A KR19960702900 A KR 19960702900A KR 100356380 B1 KR100356380 B1 KR 10035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op
chest
air chamber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427A (ko
Inventor
플루리 마인라트
플루리-퓌르뵈크 마리아
Original Assignee
요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커 아게 filed Critical 요커 아게
Publication of KR96070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oy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단독 공기팽창식 링모양의 몸체(1)는 경부루프(2)와 후방루프(3)를 형성하는 잠금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가슴부위에서 당겨져 잠겨질 수 있다. 공기팽창식 몸체(1)는 그러나 그 각각이 공기 팽창노즐(5)을 사용하는 여러 개의 공기 챔버로 나누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수영 보조기구
제 1 도는 수영 보조기구의 이용형태를 예시한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제 2 도는 동일 수영 보조기구의 배면도이다.
제 3 도는 정면으로 착용된 수영 보조기구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제 4 도는 배면도를 다시 나타낸 도면이다.
제 5 도는 제 3, 4 도에 따른 미착용된 공기 팽창식의 수영 보조기구를 나타낸다.
제 6∼8 도는 수영 보조기구에 속하는, 바람직한 잠금수단의 개폐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9∼11 도는 잠금수단의 세 도면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잠금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부호설명
1: 공기 팽창식 몸체(body) 2: 경부루프(loop)
3: 후방 루프 2': 제 1 에어챔버부
3': 제 2 에어챔버부 4: 잠금기계장치
5: 공기 팽창식 노즐(nozzle) 7: 고정 플랩
8: 윤곽영역 10: 흉부 에어챔버부
11: 고정띠 12: 스냅 단추
13: 접착테이프 14: 분리 접합부
40,60: 잠금수단 41: 텅의 단부
44: 텅(tongue) 42: 버클부
43: 걸쇠 림(rim) 44': 긴 구멍
45: 고정 니플(nipple) 46: 카운터보드(counter-board)
47: 층진요홈 48: 수용 틈
49: 프레스 나사 50: 코일
51: 톱니 61: 회전부
62: 죔쇠부 63: 끈
64: 회전넛트 66: 출구
67: 끝단추
본 발명은 본 수영 보조기구를 착용하는 사람의 몸체에 착용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기 팽창식 노즐(nozzle)과, 경부를 받쳐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어챔버(air chamber)를 형성하는 경부루프(loop)를 지닌 호스 모양의 공기 팽창식 몸체(body)로 이루어진 수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선택된 개념의 수영보조기구는 수상 스포츠를 활동적으로 즐기는 사람을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라는 사실이 표명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안정성을 증가시켜야만 하고 근본적으로는 큰 부력을 보증해야만 하는 구명동의 또는 해양 구멍조끼와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구명동의 또는 해양구명동의의 예는 US-A-4'654'016 에서 참조할 수 있다. 이때, 스포츠 활동을 방해받지 않고 계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은 전혀 계산되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US-A-4'131'974 에 따라 무엇보다도 옷을 착용한 어떤 사람을 구조해야만 하는 활동 보조기구에 대하여 잘 나타내고 있다. 공기 팽창식의 활동체는 단단해진 끝이 있는 하나의 경부루프(loop)로 이루어져 있어, 총 형상체는 문자 오메가 형상을 나타낸다. 활동체는 끈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사람의 몸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DE-A-28'37'497 은 하나의 공기 팽창식 흉부 링을 지니고 있거나 수영하는 사람의 팔 아래로 나있는 활모양의 부유물체 및 목 둘레에 둥글게 나 있는 하나의 링을 지니고 있어 안전한 수영복이긴 하지만, 스포츠 활동에는 거의 적합하지 않는 수영복을 설명한다. 종래의 문제점인 활동자유와 더불어 수영하는 남녀가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외관으로는 거의 해결될 수 없다.
서두에 언급된 방식의 수영보조기구는 W091/18786 에서 서술된바 있다. 공기 팽창식의 몸체는 그 자체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이 하나의 공기팽창식 노즐(nozzle)에 연결되어 있는 다중 챔버(chamber)로 분할되어 있다. 수영하는 사람의 목둘레에 놓여질 수 있는 공기 팽창식의 몸체는 하나의 상부 잠금수단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어 결국 착용하는 사람의 신체중 복부 둘레에 두개의 끈 중 하나로 고정되어지는 경부루프로 이루어진다. 경부루프 양쪽에는, 등뒤로 교차하여 배 둘레에서 결합될 수 있는 적절한 끝을 통해 수영하는 사람의 몸 옆쪽에 놓여 있는 짧지만 직선형의 에어챔버(air chamber)가 연결되어 있다.
안락한 운반, 간단한 사용법 그리고 외관형태와 관련해서는 공지된 처리의 어떠한 기술도 설득력을 갖지 못했다. 꼬여질 수 있는 몇 개의 끝으로 된 수영 보조기구는 사용하기에 편리하지도 않을뿐더러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다. 형체의 큰 부피 때문에 활동자유가 제한된다. 이러한 모든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러한 수영보조기구는, 그 자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는 유용하긴 하지만, 대개는 착용되지 않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끈 없이도 매우 간편하고 정확하게 착용될 수 있고 최대한의 활동자유를 보장하고 미학적 요구도 고려하는 수영보조기구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서 서술한 방식의 수영보조기구 즉, 경부루프와 연결되어 후방루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그 자체가 원형으로 잠겨진 공기팽창식 몸체(1)를 착용하는 사람의 가슴부위에서 결합시키는 잠금기계장치에 의해 사용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의 수영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특히 아동에게도 적합하다. 특별히 아동에게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으로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기관으로 상이한 거리에서 적절히 고정될 수 있나 단지 제한적으로만 해제될 수 있는 두 개의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진 잠금기계장치가 추가된다.
이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명동의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고서는 열려지지 않기 때문에 수영보조기구에서 사용자의 몸이 이탈하지 않는다. 이러한 처리의 계속되는 관점은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수영보조기구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개개인을 위해 최소한의 표준 사이즈로도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계속되는 본 발명품의 장점을 지닌 형성형태는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나타나 있고 그 내용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는 그 전체 형태가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하나의 공기팽창식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기팽창식 몸체(1)는 단독 에어챔버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안전을 위하여 다중의 일부 에어챔버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상 공기팽창식 몸체는 원형으로 결합된 개별몸체를 형성한다. 잠금기계장치(4)에 의해 이러한 링 몸체는 한 장소에서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링 몸체는 경부루프(2)의 상부 루프와 후방 루프(3)의 하부루프를 형성하는 8자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공기팽창식 링 몸체(1)는 가슴부위에서만 결합되고 결국 양 루프가 생성된다. 세로방향으로 나 있는 접합부분을 가로질러 공기팽창식 링 몸체(1)는 지시된 안전수칙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중의 에어챔버 부분으로 아무 문제없이 분할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에어챔버 부분은 하나의 독립된 공기팽창식 노즐(5)을 갖추어야만 한다.
잠금기계장치(4)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 접을 수 있는 하나의 버클형태를 이루어 독립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클을 사용하여 공기팽창식 몸체(1)가 가슴 부위에 압착된다. 이런 압착은 어떠한 공기도 버클영역 내에서 순환될 수 없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기계장치(4)는 공기팽창식 몸체(1)를 서로 연관이 없는 두개의 개별 에어챔버부로 분할한다. 에어챔버중 하나인 제 1 에어챔버부(2')는 경부루프(2)에 형성되고 다른 에어챔버 하나인 제 2 에어챔버부(3')는 후방루프(3)에 형성된다. 이런 것은 하나의 개별공기 팽창식 노즐(5)을 사용하기에는 충분하다. 해제시 사용자가 공기팽창식 몸체(1)를 착용상태에서도 역시 부풀릴 수 있도록, 공기팽창식 노즐(5)은 비교적 길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팽창식 노즐(5)이 사용자에게 불편하게 방해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고정 플랩(7)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플랩 아래로 공기팽창식 노즐(5)이 밀려들어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치에서 공기팽창식 노즐(5)은 공기팽창식 몸체(1)에 대해 평평하게 처리된다. 고정플랩(7)은 자유롭게 움직이는 신축성 링(ring)일 수도 있고 또한 가장자리 부위(8)에서만 용접되는 합성수지 폴리 밴드일 수도 있다. 제 1 도에 따른 잠금기계장치(4)는 예를 들자면 누름단추 위로 열려질 수 있는 하나의 스냅장치로 잠글 수 있다. 버클은 접합 또는 접착에 의해 공기팽창식 몸체(1)와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제 3 도에서 5도까지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실시예는 상술한 예시와 일반적인 구조는 완전히 동일하다. 이미 첫 번째 실시예에서 완벽하게 주어진 바 있는 활동상의 자유는 제한되지 않으면서 부력을 증가시키는 어느 정도의 수정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정의 내용은 양 경부루프(2)와 후방루프(3)가 목부위에서 가로로 팽창된 제 1 에어챔버부(2') 내지는 후방부위에서 가로로 팽창된 제 2 에어 챔버부(3')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성물은 미학적으로 다른 형태의 외관뿐만 아니라 신체부위에 상응하게 경부루프(2)와 후방루프(3)의 접착을 개선시킨다. 특히 부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평평한 형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슴부위에서도 공기팽창식 몸체(1)는 횡단면으로 팽창되는 흉부 에어 챔버부(10)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로 팽창은 수영 보조기구를 착용하는 사람의 몸체 주문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성에서 팔과 어깨 부위들도 역시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활동 자유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기서 잠금기계장치(4)는 외부로 짧게 연장된 고정띠(11)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띠는 팽창된 하나의 흉부 에어챔버부(10)를 가슴부위에서 모아주고 이러한 에어챔버부에 고정되어야 하며 두개의 팽창된 에어챔버부를 반대편에 모아 줄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된다. 양 팽창 흉부 에어 챔버부(10)는 3도에서 나타냈듯이 하나의 스냅단추(12)를 사용하거나 또는 5도에서 표시되었듯이 섬유용 접착 테이프인 벨크로(velcro)를 사용하여 가슴부위에서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 3 도에서 5도까지의 실시예에 따라 공기팽창식 몸체(1)의 구획부는 분리접합부(14)에 의해 곧장 고정띠(11)의 영역내에서 부분적인 공기 챔버부로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분리접합부(14)가 후방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기술된 잠금기계장치(4)의 형태와 더불어 상이한 다른 예시 형태도 역시 고려된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제 1 도에 따른 버클형태의 형성으로 잠금기계장치(4)는 공기팽창식 몸체(1)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공기팽창식 몸체(1)가 하나 또는 다중 에어챔버부의 연결 링요소로 구성되는 것과 가슴부위의 잠금기계 장치(4)를 사용함으로써만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다. 동시에 상술한 설계는 사용자의 몸형상과 일치하는 형태이나 사용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기술된 잠금기계장치(4)의 형태와 더불어 상이한 다른 예시 형태도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제 1 도에 따른 버클형태의 형성으로 잠금기계장치(4)는 공기팽창식 몸체(1)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공기팽창식 몸체(1)가 하나 또는 다중 에어챔버부의 연결링 요소로 구성되는 것과 가슴부위의 잠금 기계장치(4)를 사용함으로써만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동시에 상기 설계도 사용자의 몸형상과 일치하는 형태이나 사용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기술된 잠금수단의 형성형태가 오히려 성인에게 적합하고 완벽한 개봉이 가능한 반면, 제 6 도에서부터 11도에서는 이러한 잠금수단들을 사용하여 수영 보조기구의 크기조절과 이완이 가능하지만, 반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아동에게도 적합한 두 번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 6 도 내지 8 도에 따른 잠금수단(40)의 예시형태는 텅의 단부(41)와 버클부(42)를 형성하는 두 개의 잠금수단으로 구성된다. 텅의 단부(41)는 텅(4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대개의 모든 잠금수단의 부품처럼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초승달 모양의 걸쇠림(43)을 갖는다. 걸쇠림(rim)(43)의 하부에는 다중의 고정니플(nipple)(45)의 형태가 갖추어져 있다. 고정니플(45)은 공기팽창식 몸체(1)의, 챔버를 형성하는 용접부분의 외부에 있는 공기팽창식 몸체(1)의 윤곽영역을 통과한다. 하나의 똑같은 초승달 모양의 카운터 보드(46)는 아래쪽에서부터 고정니플(45) 위를 눌러줄 수 있다. 결국 걸쇠림(43)과 똑같은 카운터 보드(46)는공기팽창식 몸체의 윤곽과 함께 서로서로 결합된다. 버클부(42)는 공기팽창식(1)에 고정되는 것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기초한다. 아래 림에서 버클부(42)는 마찬가지로 고정니플(45)을 갖추고 있는 계단형상으로 층진요홈(47)을 사용한다. 이러한 층진요홈은 다시 공기팽창식 몸체의 림부분을 통과하고 계단모양의 카운터보드(46)는 고정니플(45) 위로 눌러지게 되고 그 다음에 결합된다. 버클부(42)가 형태적으로 형성되어 텅의 단부(41)의 계단식 고정림(43)과 함께 하나의 원판형태 잠금수단(40)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양은 제 6 도에서 잠겨진 상태로 알아볼 수 있다. 버클부(42)의 몸체는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생산 기술적인 기초에 근거하여 두 부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클부의 몸체는 중앙으로 나 있는 수용틈(4)을 사용한다. 수용틈은 규격이 정해져 있어 그 안으로 텅(44)이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하나의 프레스 나사(49)를 사용하여 텅(44)은 버클부(42)내의 어떤 부분에서도 마찰연결되어 채결될 수 있다. 형성되는 나사는 코인(coin)으로 활동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나사(49)는 오직 버클부(42)의 기본 보드 상의 텅을 누른다. 제 7 도에서 나타나듯이, 텅(44)은 그러나 잠금수단(40)의 최대 개봉을 한정하는 긴 구멍(44')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나사(49)는 수용틈(48)의 영역내 상부 보드와 기본 보드 사이에 놓여 있는 텅(44)을 집어넣는다. 기본 보드 내 코일(50)을 사용하여 나사가 단단히 죄어주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수용틈(48)의 영역내에 버클부(42)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텅(44)은 마찰연결과 마찬가지로 상호잠금이 달성되는 수단으로써 톱니(51)를 가질 수 있다.
제 9 도에서 11 도까지에서 하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나타난다. 잠금수단(60)은 다시 두개의 잠금수단 부분 즉, 하나의 회전부(61)와 죔쇠부(62)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끈(63)은 양 잠금수단부인 회전부와 죔쇠부(61, 62)를 연결한다. 끈(63)의 끝은 죔쇠부(62)안에 고정된다. 거기에서부터 끈(63)은 중간틈새의 다리역할로 하부(61)로 안내된다. 이 경우에 반원형으로 나 있는 회전넛트(64)가 설치되어 끈(63)은 수축되어 삽입될 수 있다. 다시금 중간틈새의 다리 역할로 끈(63)은 죔쇠부(62)로 되돌아간다. 미리 기술된 예에서와 같이 고정니플과 카운터 보드를 사용하여 공기팽창식 몸체(1)와 죔쇠부 뿐만 아니라 회전부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때 다시 하나의 용접결합이 실행될 수 있다.
죔쇠부(62)는 원래 C-형상의 횡단면을 가진다. 이때 상부 덮개면과 하부 기본면 사이의 수직 결합스틱이 회전부와 죔쇠부 사이의 공간에 놓인다.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언급된 양면이 서로서로 눌러줄 수 있고 출구(66)를 통과해 밖으로 나가는 그 사이로 나 있는 끈(63)은 각 상태에서 고정된다. 끝 단추(67)는 양 잠금 장치부 사이의 입구공간을 한정한다.

Claims (4)

  1. 수영보조기구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팽창노즐을 가지는 호스형상의 공기팽창식 몸체(1)와
    후방루프(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잠금기계장치를 가진 위치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이상의 공기챔버를 형성하는 경부루프(2)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팽창식 몸체(1)는 분리된 다수의 분리된 공기챔버들로 구획되고,
    상기 경부루프(2)는 수영보조기구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후방 목부분에 가로로 팽창된 단면부분을 가진 제 1 공기 챔버부(2')를 가지고,
    상기 후방루프(3)는 사용자의 후방 등 부분에 가로로 팽창된 단면부분을 가진 제 2 공기 챔버부(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팽창식 몸체(1)가 사용자의 가슴부위에서 각각 가로로 팽창되는 다수의 흉부 에어챔버부(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계장치가 제 1 공기 챔버부(2')와 제 2 공기챔버부(3')를 사용자의 가슴부위에서 눌러 결합시키는 잠금수단(4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공기팽창식 몸체(1)와 결합하는 두개의 독립된 합성수지부분인 텅의단부(41)와 버클부(42) 및 회전부(61)와 죔쇠부(62)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KR1019960702900A 1993-12-03 1994-11-11 수영보조기구 KR100356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61193A CH686706A8 (de) 1993-12-03 1993-12-03 Schwimmhilfe.
CH3611/93-6 199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427A KR960706427A (ko) 1996-12-09
KR100356380B1 true KR100356380B1 (ko) 2004-03-30

Family

ID=425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900A KR100356380B1 (ko) 1993-12-03 1994-11-11 수영보조기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692934A (ko)
EP (1) EP0730544B1 (ko)
JP (1) JPH09505783A (ko)
KR (1) KR100356380B1 (ko)
CN (1) CN1051519C (ko)
AT (1) ATE155416T1 (ko)
AU (1) AU680699B2 (ko)
CA (1) CA2177964A1 (ko)
CH (1) CH686706A8 (ko)
DE (1) DE59403411D1 (ko)
ES (1) ES2104428T3 (ko)
NO (1) NO303381B1 (ko)
PL (1) PL314606A1 (ko)
TW (1) TW256813B (ko)
WO (1) WO1995015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7720A1 (de) * 1996-05-03 1997-11-06 Bartosch Spichalski Gerät zur Erhaltung des menschlichen Körpers auf der Wasseroberfläche, insbesondere zur Rettung von ertrinkenden Personen
DE29809037U1 (de) * 1998-05-19 1998-08-06 Kluger Sonja Stütze für einen im Wasser befindlichen Schwimmer
DE10138316A1 (de) * 2001-08-10 2003-02-27 Thomas M A Lindhof Einrichtung, um einem Benutzer das Liegen im bzw. unter Wasser zu ermöglichen
DE20213049U1 (de) * 2002-08-20 2004-02-19 Baumer, Ludwig, Dipl.-Ing. (Fh) Schwimmhilfe
ITRM20060590A1 (it) * 2006-10-31 2008-05-01 Boumeester Michiel Dispositivo di galleggiamento gonfiabile
DE202007015424U1 (de) 2007-11-01 2009-03-12 Schreiber, Klaus G. Vorrichtung zur Therapie
FR3016334B1 (fr) * 2014-01-15 2017-05-05 Rene Damevin Kit individuel de flottaison
IT201700083715A1 (it) * 2017-07-21 2019-01-21 Nvk Design Di Natasha Calandrino Indumento gonfiabile di ausilio al galleggiament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8368C (de) * 1926-12-14 Franz Streit Aufblasbarer Schwimmschlauch
FR5543E (fr) * 1905-02-22 1906-05-02 Gustave Stroem Gilet de sauvetage
GB191421502A (en) * 1914-10-26 1915-08-05 John James Pritchard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Assisting Persons to Swim and for Saving Life.
CH98813A (de) * 1921-11-15 1923-04-16 Strehler Ernst Schwimmgurt.
GB379445A (en) * 1931-06-25 1932-09-01 Harold Lord Improvements in inflatable tubular life-saving or swimming and bathing appliances
GB1560786A (en) * 1975-08-08 1980-02-13 Secr Defence Flotation stoles
US4011614A (en) * 1975-10-21 1977-03-15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Adjustable floatation belt
DE2837497C2 (de) * 1978-08-28 1982-12-16 Mercado Trading Corp., Panama Sicherheitsbadeanzug mit aufblasbaren Auftriebskörpern
GB2150084B (en) * 1983-11-22 1987-06-24 John Maurice Pedlar An adjustable self-locking multi-purpose inflatable tube or ring buoyancy aid
US4654016A (en) * 1985-12-30 1987-03-31 The Safegard Corporation Buoyant ves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NL8900455A (nl) * 1989-02-23 1990-09-17 Marianne Geertruida Van Riel G Overlevingsjack.
GB9012620D0 (en) * 1990-06-06 1990-07-25 Gibbs David J A swimming buoyancy aid
US5060661A (en) * 1990-06-08 1991-10-29 Howard Thomas L Inflatable neck and head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03381B1 (no) 1998-07-06
JPH09505783A (ja) 1997-06-10
ATE155416T1 (de) 1997-08-15
TW256813B (ko) 1995-09-11
CN1051519C (zh) 2000-04-19
NO962171D0 (no) 1996-05-29
WO1995015281A1 (de) 1995-06-08
CA2177964A1 (en) 1995-06-08
AU8001994A (en) 1995-06-19
PL314606A1 (en) 1996-09-16
CH686706A8 (de) 1996-08-15
KR960706427A (ko) 1996-12-09
DE59403411D1 (de) 1997-08-21
CH686706A5 (de) 1996-06-14
EP0730544B1 (de) 1997-07-16
ES2104428T3 (es) 1997-10-01
NO962171L (no) 1996-05-29
AU680699B2 (en) 1997-08-07
US5692934A (en) 1997-12-02
CN1136795A (zh) 1996-11-27
EP0730544A1 (de) 199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205A (en) Waterproof swimming pouch
US7770765B2 (en) Multi-modal wearable baby carrier
US4149687A (en) Baby pouch
US6386944B2 (en) Breast support system
US5632425A (en) Infant carrier
US5379725A (en) Safety and restraining harness
US5119767A (en) Child safety devices
KR100356380B1 (ko) 수영보조기구
US4571000A (en) Vest type restraining garment
US7305715B2 (en) Bathing suit with flotation survival feature
US4668202A (en) Flotation garment
US5226195A (en) Combination tool and apparell belt
US20020046689A1 (en) Buoyancy aid
US4551107A (en) Flotation garment
US3050753A (en) Floatation vest
US4879766A (en) Brassiere and/or attachment
US4131974A (en) Flotation stoles
US6638126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WO1995016372A1 (en) Safety bag
US3626530A (en) Vest
US5105511A (en) Belt buckle
GB2261590A (en) A combined garment and swimming aid
CN218571447U (zh) 一种改进的婴幼儿吊带爬服
JPH09136691A (ja) 浮揚体
GB2250482A (en) Safety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