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750B1 -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750B1
KR100355750B1 KR1019990064038A KR19990064038A KR100355750B1 KR 100355750 B1 KR100355750 B1 KR 100355750B1 KR 1019990064038 A KR1019990064038 A KR 1019990064038A KR 19990064038 A KR19990064038 A KR 19990064038A KR 100355750 B1 KR100355750 B1 KR 10035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de
same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542A (ko
Inventor
허윤성
황윤석
Original Assignee
허윤성
황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윤성, 황윤석 filed Critical 허윤성
Priority to KR101999006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7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가변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신호발생수단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전원차단기능,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기능,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기능,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기능,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기능,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공공장소에서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특수한 지역, 예를 들면 병원이나 비행기 등과 같이 전자파에 민감한 정밀장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한 치명적일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The system for variable mod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신호발생수단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전원차단기능,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기능,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기능,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기능,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기능,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공공장소에서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특수한 지역, 예를 들면 병원이나 비행기 등과 같이 전자파에 민감한 정밀장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한 치명적일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쌍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의 등장은 우리 사회를 풍요롭고 윤택하게 하고, 또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송신과 수신을 겸할 수 있는 휴대폰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목소리나 문자로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대방에게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일반적으로 벨소리가 울리게 되고 통화로 설정되어야만 벨소리가 중지된다.
현재 휴대폰의 이용자수는 폭발적으로 증가되어 일반 성인남녀는 거의 휴대폰을 항시 소지하고 다니기 때문에 전화를 사용하는 빈도 또한 높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벨소리에 따른 소음공해도 점점 더 커져 일부에서는 법으로 규제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기에 이르렀으나, 아직은 개개인의 양심에 맡기는 형편이다.
물론, 벨소리 대신 진동으로 설정할 수는 있으나, 이것 또한 진동에 의한 울림소리로 소음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하므로, 회의실, 지하철, 학교 강의실, 극장, 공연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소음공해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병원, 비행기 등과 같은 특수지역에서는 전자파로 인해 장비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출입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신호발생수단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전원차단기능,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기능,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기능,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기능,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기능,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공공장소에서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특수한 지역, 예를 들면 병원이나 비행기 등과 같이 전자파에 민감한 정밀장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한 치명적일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신호발생수단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여러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신호발생수단은 단말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의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한편, 2개의 일정한 주파수를 각각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일정한 범위로 노출시키는 2개의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단계로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단계와,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단계와,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단계와,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2개의 주파수를 모두 검출하는 경우에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발생수단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신호발생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 전원차단의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의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의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의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의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의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 2 : 신호발생수단
3 : 신호검출수단 4 : 전원부
5 : 주파수 발생부 6 : 신호 발생부
7 : 제1도파관 8 : 제2도파관
9,10 : 슬릿 11 : 마이크로컴퓨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발생수단의 배치관계를 보여주고,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신호발생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며, 도 3a 내지 3f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가변 모드를 위한 여러 단계를 보여준다.본 발명은 출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항상 일정한 주파수를 출입구 방향으로 전파시키는 신호발생수단(2)과, 상기 신호발생수단(2)의 신호를 검출한 후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 및 판단하여 단말기의 모드를 진동모드 전화, 수동조작 차단, 단방향 통신, 수신음량 조절, 벨소리모드 증가, 발광모드 전환 등으로 가변시키는 신호검출수단(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발생수단(2)은 신호검출수단(3)과 동일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5)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5)에 신호를 부가하는 신호 발생부(6)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5)로부터 발생된 주파수를 손실없이 소정의 통로로 유도시키는 제1도파관(7)과 제2도파관(8)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신호발생수단(2)에는 전원부(4)가 구비되어 있는데, 구동을 위해서는 직류전원을 사용하지만 직류 및 교류 변환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직류 및 교류전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전이나 천재지변 등의 비상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자동 교류전원 전환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발생부(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주파수 발생부(5)에서 발생된 주파수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1.8GHz 또는 800MHz대역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파관은 상기 주파수 발생부(5)의 주파수를 출입구의 벽(1)까지 유도시켜주는 일종의 주파수 유도관으로서, 출입문을 기준으로 실외측에 주파수를 전파하는 제1도파관(7)과, 실내측에 주파수를 전파되는 제2도파관(8)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파관(7)으로는 1, 3, 5, 7, 9, 11, 13의 신호 중 하나가 공급되고, 반대로 제2도파관(8)으로는 0, 4, 6, 8, 10, 12의 신호 중 하나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도파관(7) 및 제2도파관(8)의 각 끝에는 신호가 담긴 주파수를 출입구의 일정부분 또는 일정범위로 전파되도록 조절 및 제어하는 슬릿(9,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9,10)은 주파수의 파장을 계산하여 적절하게 그 구멍을 조절하고, 또한 간격,크기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검출수단(3)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신호발생수단(2)의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절차를 거쳐 처리 및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검출수단(3)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PCS폰, 휴대폰, 미래의 화상 휴대폰 및 페이저(Pager)를 포함한 무선으로 수신하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신호검출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11)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에서는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 전원차단,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전환의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수단의 각 제어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어수단은 파워가 온(ON) 상태로 되었을 때만 동작하고, 개인이 수동모드로 조작시 처음상태에서 다시 시작된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이 때, 초기코드 또는 초기상태는 I(마이크로컴퓨터의 어드레스)에 저장된다(S100).
여기서, 초기코드는 발광, 진동, 벨소리 및 벨소리증가 모드가 있고, 초기상태로는 벨소리 및 음량의 크기 등이 있다.
그리고, E는 초기코드값들 중 하나를 코드에 정의한다(S120).
여기서, E와 후술하는 NE는 어느 특정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순서도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상징적인 것이다.
Ⅰ.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 전원차단의 단계
신호가 1인지 판단하여(S200) 1이면 단계 S210으로 가고, 1이 아니면 단계 S300으로 간다.
상기 단계 S210에서 신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270으로 가는 한편, 신호(예를 들어, 0 또는 1)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220), 다음 단계에서 S가 1인지를 판단한다(S230).
단계 S230에서 S가 1이면 단계 S210으로 다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0인지 판단하여(S240) 0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여(S250) 단계 S2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S210으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 S2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2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가 NE와 같지 않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와 NE가 같으면 I(초기코드)와 M(진동모드)이 같은 지를 비교하여(S280) 같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I와 M이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모드로 전환시키고(S290) 단계 S120으로 간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개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출입구안으로 들어온 경우의 제어단계에 관한 것이다.
한편, 개인이 출입구안에서 밖으로 나오게 될 때의 제어단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계 S200에서 신호가 1인지 판단하여 1이 아니면 단계 S300으로 가서 신호가 0인지 판단하여 신호가 0이면 신호의 검출유무를 판단하고(S310),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00으로 간다.
상기 단계 S310에서 신호(예를 들어, 0 또는 1)가 없으면 단계 S3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하는 동시에 E를 코드에 부여하고(S320), S가 0인지 판단하게 된다(S330).
단계 S330에서 신호가 0이면 다시 단계 S3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1인지 판단하여(S340) 1이 아니면 다시 단계 S310으로 가고, 1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350) 단계 S310으로 간다.
또한, 상기 단계 S310에서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3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NE와 같으면 I가 M과 같은 지를 비교하여(S380) I가 M과 같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I가 M과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코드로 전환시키고(S390) 단계 S120으로 간다.
여기서, 초기코드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처음에 있던 상태(예를 들면, 발광, 진동, 벨소리 및 벨소리증가 모드)를 의미한다.
다음에는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로 특수지역으로 진입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차단 제어단계에 대해 살펴보겠다.
이때에는 단계 S300에서 신호가 0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 단계 S400으로 가서 신호 3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3의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410으로 가서 신호(예를 들면, 0 또는 3)유무를 검출하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4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420), 다음 단계에서 S가 3인지 판단한다(S430).
단계 S430에서 S가 3인지 판단하게 되고, 3이 검출되면 다시 단계 S410으로 가고, 3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440으로 가서 S가 0인지 판단하여 0이 아니면 다시 단계 S410으로 가는 한편, S가 0이면 NE를 코드에 저장(S450)한 다음 단계 S410으로 가서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한다.
단계 S4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만일 신호가 없으면 단계 S4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게 되어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가 NE와 같으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시킨다(S480).
위와 같은 제어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상태를 진동모드로 전환, 초기코드로 복원 및 전원을 차단시켜 주는 것이므로, 정숙이 요구되는 실내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은 신호검출수단(3)에서 "0", "1" 또는 "3"의 신호를 계속 감지하여 출입구안으로 들어갈 때는 반드시 1 또는 3의 신호를 검출한 다음에야 0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밟게 되고, 반대로 출입구 밖으로 나올 때는 반드시 0의 신호를 검출한 다음에야 1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밟음으로써, 상기 동작의 명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는 다음에 후술하는 모든 제어에 적용이 가능하고 검출하는 신호만 다를 뿐이다.즉, 신호발생수단에서 전파되는 주파수는 출입구 외부 쪽과 내부 쪽의 신호가 각각 1-0, 3-0, 5-4, 7-6, 9-8, 11-10, 13-12로 짝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짝을 이룬 신호를 여러 번 검출하면서 지나가더라도 에러없이 모두 동일한 제어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Ⅱ.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의 단계
단계 S400에서 신호가 3이 아니라고 판단되어 단계 S500으로 가서 신호가 5인지를 판단한 후 5이면 단계 S510으로 가고, 신호가 5가 아니면 단계 S600으로 간다.
단계 S510에서 신호(예를 들면, 4 또는 5)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570으로 가는 한편,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520), 다음 단계에서 S가 5인지를 판단한다(S530).
단계 S530에서 S가 5이면 단계 S510으로 다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4인지를 판단하여(S540) 4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여(S550) 단계 S5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S510으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 S5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S570) 코드가 NE와 같지 않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와 NE가 같으면 I가 M인 지를 비교하여(S580) I와 M이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진동모드로 전환한 후(S590) 수동조작 차단으로 전환시키고(S595) 단계 S120으로 가는 한편, I와 M이 다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동조작 차단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S595로 직접 간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개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출입구안으로 들어온 경우의 제어단계에 관한 것이다.
한편, 개인이 출입구안에서 밖으로 나오게 될 때의 제어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계 S500에서 신호가 5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00으로 가서 신호 4인지 판단한다.
만일, 4의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610으로 가서 신호(예를 들면, 4 또는 5) 유무를 검출하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6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부여하고(S620), 다음 단계에서 S가 0인지 판단하게 된다(S630).
단계 S630에서 신호가 4이면 다시 단계 S6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5인지를 판단하여(S640) 5가 아니면 다시 단계 S610으로 가고, S가 5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650) 단계 S610으로 간다.
또한, 상기 단계 S6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6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NE와 같으면 I와 M이 같은 지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코드로 전환한 후(S690) 수동조작 복원으로 전환시키고(S695) 단계 S120으로 가는 한편, I와 M이 같으면 단계 S695로 간다.
상기 제어단계는 개인이 실내에서 수동으로 이동용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숙이 요구되는 실내에 적용이 가능하다.
Ⅲ.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의 단계
단계 S600에서 신호가 4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700으로 가서 신호가 7인지 판단하여 7이면 단계 S710으로 가고, 신호가 7이 아니면 단계 S800으로 간다.
단계 S710에서 신호(예를 들면, 6 또는 7)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770으로 가는 한편,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720), 다음 단계에서 S가 7인지를 판단한다(S730).
단계 S730에서 S가 7이면 단계 S710으로 다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6인지를 판단하여(S740) 6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750), 단계 S7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S710으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 S7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S770) 코드가 NE와 같지 않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와 NE가 같으면 I가 M인 지를 비교하여(S780) I가 M과 같지 않으면 이동용 단말기를 진동모드로 전환한 후(S790) 단방향통신으로 전환시키고(S795), I와 M이 같으면 바로 S795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단방향통신이란 상대방으로부터 문자나 이메일 등을 받을 수는 있지만, 상대방에게 보내지는 못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즉, 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상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개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출입구안으로 들어온 경우의 제어단계에 관한 것이다.
한편, 개인이 출입구안에서 밖으로 나오게 될 때의 제어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에는 단계 S700에서 신호가 7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800으로 가서 신호 6인지 판단한다.
만일, 6의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810으로 가서 신호(예를 들면, 6 또는 7)유무를 검출하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8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코드에 부여하고(S820), 다음 단계에서 S가 6인지 판단하게 된다(S830).
단계 S830에서 신호가 6이면 다시 단계 S8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7인지 판단하여(S840) 7가 아니면 다시 단계 S810으로 가고, 7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850), 단계 S810으로 간다.
또한, 상기 단계 S8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8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NE와 같으면 I가 M과 같은 지를 비교하여(S880) I가 M과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코드로 전환한 후(S890) 쌍방향통신으로 복원시키고(S895), 단계 S120으로 가는 한편, I가 M과 같으면 단계 S895로 간다.
상기 제어단계는 개인이 실내에서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신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지 상대방으로부터 오는 정보(예를 들면, 문자 또는 이메일)만 수신가능한 것으로, 병원과 같이 단말기의 전자기파가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Ⅳ.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의 단계
이때에는 단계 S800에서 6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900으로 가서 신호가 9인지 판단하여 9이면 단계 S910으로 가고, 신호가 9가 아니면 단계 S1000으로 간다.
단계 S910에서 신호(예를 들면, 8 또는 9)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970으로 가는 한편,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920), 다음 단계에서 S가 9인지를 판단한다(S930).
단계 S930에서 S가 9이면 단계 S910으로 다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8인지를 판단하여(S940) 8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여(S950) 단계 S9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S910으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 S9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S970) 코드가 NE와 같지 않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와 NE가 같으면 I가 M인지 비교하고(S980), I와 M이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변 소음과 비교하여 벨소리나 음량크기를 조절해 주고(S990), 다음 단계에서 신호가 검출되면(S995) 단계 S12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90로 넘어가서 다시 벨소리나 음량크기를 조절하여준다.
한편, 개인이 출입구안에서 밖으로 나오게 될 때의 제어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에는 단계 S900에서 신호가 9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00으로 가서 신호 8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8의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1010으로 가서 신호(예를 들면, 8 또는 9)유무를 검출하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10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코드에 부여하고(S1020), 다음 단계에서 S가 8인지 판단하게 된다(S1030).
단계 S1030에서 신호가 8이면 다시 단계 S10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9인지 판단하여(S1040), 9가 아니면 다시 단계 S1010으로 가고, 9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1050), 단계 S1010으로 간다.
또한, 상기 단계 S10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10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NE와 같으면 I가 M과 같은 지를 비교하여(S1080) I가 M과 같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I가 M과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코드 및 초기상태로 전환시키고(S1090), 단계 S120으로 간다.
상기 제어단계는 버스, 지하철, 시장 등과 같이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의 목소리가 주변의 소음 때문에 커져서 상대방에게 크게 들리므로 이를 제어하여 작게 하고, 반대로 소음이 거의 없는 장소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의 목소리가 주변 여건(예를 들어, 크게 이야기할 때는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공해를 줌)에 의해 작은 목소리로 이야기하므로 이를 크게 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해 주는 단계로서, 자동으로 주변환경에 따라 수신음량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Ⅴ.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의 단계
이때에는 단계 S1000에서 8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100으로 가서 신호가 11인지 판단하여 11이면 단계 S1110으로 가고, 신호가 11이 아니면 단계 S1200으로 간다.
단계 S1110에서 신호(예를 들면, 10 또는 11)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1170으로 가는 한편,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1120), 다음 단계에서 S가 11인지 판단한다(S1130).
단계 S1130에서 S가 11이면 단계 S1110으로 다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10인지 판단하여(S1140) 10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여(S1150) 단계 S11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S1110으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 S11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S1170) 코드가 NE와 같지 않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와 NE가 같으면 I가 R인지 비교하고(S1180), 다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벨소리 증가모드로 전환시키고(S1190), 다음 단계 S120으로 가고 I와 R이 같으면 단계 S120로 바로 가게 된다.
한편, 개인이 출입구안에서 밖으로 나오게 될 때의 제어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에는 단계 S1100에서 신호가 11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200으로 가서 신호 10인지 판단한다.
만일, 10의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1210으로 가서 신호(예를 들면, 10 또는 11)유무를 검출하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12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부여하고(S1220), 다음 단계에서 S가 10인지 판단하게 된다(S1230).
단계 S1230에서 신호가 10이면 다시 단계 S12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11인지 판단하여(S1240) 11이 아니면 다시 단계 S1210으로 가고, 11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1250), 단계 S1210으로 간다.
또한, 상기 단계 S12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12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NE와 같으면 I가 R과 같은 지를 비교하여(S1280) I가 R과 같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I가 R과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상태로 전환시키고(S1290), 단계 S120으로 간다.
상기 제어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처음에는 작게 하고 점점 크게 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전화가 온 것을 감지할 때까지 시간이 지날수록 벨소리를 점점 크게 하여 주는 것이다.(단, 설정된 최대크기까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있을 때는 처음에 작은 벨소리에도 이를 감지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고, 좀더 먼 거리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놓고 있을 때는 벨소리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를 감지하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상대방에게 온 전화를 받지 못하여 긴급을 요하는 전화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Ⅵ.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의 단계
이때에는 단계 S1200에서 신호가 10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300으로 가서 신호가 13인지 판단하여 13이면 단계 S1310으로 가고, 신호가 13이 아니면 단계 S1400으로 간다.
단계 S1310에서 신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1370으로 가는 한편,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저장하고(S1320), 다음 단계에서 S가 13인지 판단한다(S1330).
단계 S1330에서 S가 13이면 단계 S1310으로 다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12인지 판단하여(S1340) 12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여(S1350) 단계 S13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단계 S1310으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 S13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S1370) 코드가 NE와 같지 않으면 다시 단계 S120으로 가고, 코드와 NE가 같으면 I가 L과 같은 지를 비교하고(S1380), 다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발광모드로 전환시키고(S1390), 다음 단계 S120으로 가고 I와 L이 같으면 단계 S120로 바로 가게 된다.
한편, 개인이 출입구안에서 밖으로 나오게 될 때의 제어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에는 단계 S1300에서 신호가 13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400으로 가서 신호 12인지 판단한다.
만일, 12의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1410으로 가서 신호(예를 들면, 12 또는 13)유무를 검출하여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1470으로 가고, 신호가 검출되면 이 신호를 S에 저장함과 동시에 E를 코드에 코드에 부여하고(S1420), 다음 단계에서 S가 12인지 판단하게 된다(S1430).
단계 S1430에서 신호가 12이면 다시 단계 S1410으로 가고, 그렇지 않으면 S가 13인지 판단하여(S1440) 13이 아니면 다시 단계 S1410으로 가고, 13이면 NE를 코드에 저장하고(S1450), 단계 S1410으로 간다.
또한, 상기 단계 S1410에서 계속 신호를 검출하면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다가 신호가 없으면 단계 S1470으로 가서 코드와 NE가 같은 지를 비교하여 코드와 NE가 같지 않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NE와 같으면 I가 L과 같은 지를 비교하여(S1480) I가 L과 같으면 단계 S120으로 가고, I가 L과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코드로 전환시키고(S1490), 단계 S120으로 간다.
상기 제어수단은 정숙이 요구되는 도서관, 공공장소, 영화관 등에서 벨소리는 나지 않고 다만 발광다이오드만 깜빡거려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시각적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지금까지의 순서도 동작에서 NE를 코드로 저장한 다음 단계 S210, S310, S410, S510, S610, S710, S810, S910, S1010, S1110, S1210, S1310 및 S1410으로 가기 전에는 반드시 시간지연 단계(S260, S360, S460, S560, S660, S760, S860, S960, S1060, S1160, S1260, S1360 및 S1460)를 경유하게 되는데, 이는 혹시라도 개인이 출입구에서 신호발생수단(2)에서 송출된 신호가 없는 사각지대를 지나게 될 때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시간지연 단계에서 일정시간을 지연시켜 검출되는 신호가 계속 들어올 때에는 동일한 과정을 계속 반복 진행하게 되고,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수단의 오류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단계는 상술한 것에 국한되지 않고 출입구 중간에 계속 있다가 실내 또는 실외로 나갈 때, 실내와 실외를 수시로 왔다 갔다할 때, 또는 수신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 모든 상황에서도 동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신호발생수단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진동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전원차단기능,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기능,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기능,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기능,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기능, 발광모드 전환 및 초기코드 복원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공공장소에서 소음공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특수한 지역, 예를 들면 병원이나 비행기 등과 같이 전자파에 민감한 정밀장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한 치명적일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단말기를 소지하거나 일정장소에 두게 될 때 적절하게 대응하여 벨소리가 증가되어 긴급한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기능에 의해 청각적으로 전화가 왔는 지를 모르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지시켜 전화를 받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출입구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신호발생수단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여러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가변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단말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의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한편, 2개의 일정한 주파수를 각각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일정한 범위로 노출시키는 2개의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단계로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단계와,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단계와,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단계와,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2개의 주파수를 모두 검출하는 경우에 단말기 모드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 차단 및 수동조작 복원단계는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검출한 신호가 5인지 판단하고(S5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5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520), S가 5와 4를 검출하여(S530,S5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550), 단계 S5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5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가 M과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570,S580), I와 M이 다르면 단말기를 진동모드로 전환시켜준 후(S590), 수동조작 차단으로 전환시켜주고(S595), I와 M이 같으면 직접 단계 S595로 가는 단계;
    단계 S500에서 신호가 5가 아닐 때 신호가 4인지를 판단하고(S6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610) 이때의 시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620), S가 4와 5를 검출하여(S630,S6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650), 단계 S6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6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M이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670,S680), I와 M이 다르면 단말기를 초기코드로 전환시켜준 후(S690), 수동조작 복원으로 전환시켜주고(S695), I와 M이 같으면 직접 단계 S695로 가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통신 전환 및 쌍방향통신 복원단계는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검출한 신호가 7인지 판단하고(S700), 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여(S7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720), S가 7과 6을 검출하여(S730,S7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750), 단계 S7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7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M이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770,S780), I와 M이 다르면 단말기를 진동모드로 전환시켜준 후(S790), 단방향통신으로 전환시켜주고(S795), I와 M이 같으면 직접 단계 S795로 가는 단계;
    단계 S700에서 신호가 7이 아닐 때 신호가 6인지 판단하고(S8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8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820), S가 6과 7을 검출하여(S830,S8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850), 단계 S8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8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M이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870,S880), I와 M이 다르면 단말기를 초기코드로 전환시켜준 후(S890), 쌍방향통신으로 전환시켜주고(S895), I와 M이 같으면 직접 단계 S895로 가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음량 조절 및 수신음량 복원단계는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검출한 신호가 9인지 판단하고(S9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9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920), S가 9과 8을 검출하여(S930,S9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950), 단계 S9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9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M이 같은지를 비교한 다음(S970,S980), I와 M이 다르면 수신음량 크기조절로 전환시켜주고(S990), 단계 S995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초기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90으로 넘어가서 수신음량 크기조절로 전환시켜주고, I와 M이 같으면 초기단계로 진행시키는 단계;
    단계 S900에서 신호가 9이 아닐 때 신호가 8인지 판단하고(S10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10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1020), S가 8과 9를 검출하여(S1030,S10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1050), 단계 S10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10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M이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1070,S1080), I와 M이 다르면 초기 수신음량으로 복원시켜주고(S1090), I와 M이 같으면 초기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모드 증가 및 벨소리모드 복원단계는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검출한 신호가 11인지 판단하고(S11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11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1120), S가 11과 10을 검출하여(S1130,S11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1150), 단계 S11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11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R이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1170,S1180), I와 R이 다르면 벨소리모드 증가로 전환시켜주고(S1190), I와 R이 같으면 초기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단계 S1100에서 신호가 11이 아닐 때 신호가 10인지 판단하고(S1200), 신호가 있는 지를 검출하여(S1210) 이때의 신호와 E를 각각 S와 코드에 저장한 다음(S1220), S가 10과 11을 검출하여(S1230,S1240) NE를 코드에 저장한 다음(S1250), 단계 S1210으로 보내주는 동시에 이때의 단계 S1210에서 신호가 없을 때 코드와 NE가 같은 지와 I와 R이 같은 지를 비교한 다음(S1270,S1280), I와 R이 다르면 초기 벨소리모드로 복원시켜주고(S1290), I와 R이 같으면 초기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 가변을 위한 시스템.
  11. 삭제
KR1019990064038A 1999-12-28 1999-12-28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KR10035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38A KR100355750B1 (ko) 1999-12-28 1999-12-28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38A KR100355750B1 (ko) 1999-12-28 1999-12-28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542A KR20010061542A (ko) 2001-07-07
KR100355750B1 true KR100355750B1 (ko) 2002-10-19

Family

ID=1963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038A KR100355750B1 (ko) 1999-12-28 1999-12-28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37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증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00B1 (ko) * 2004-02-05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151A (ko) * 1998-01-08 1999-08-05 구본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온/오프 제어장치
KR19990064845A (ko) * 1999-05-14 1999-08-05 서민철 휴대폰 호출음 자동변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151A (ko) * 1998-01-08 1999-08-05 구본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온/오프 제어장치
KR19990064845A (ko) * 1999-05-14 1999-08-05 서민철 휴대폰 호출음 자동변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37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증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542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7443B2 (en) Wearing state based device operation
US20050107129A1 (en) Environment-aware call annunciator
KR20120018686A (ko) 주변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80556A1 (en) Handsfree system and incoming call answering method in handsfree system
JP5147115B2 (ja) 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H10200989A (ja) イヤホン
KR20060006019A (ko) 무소음으로 선택 가능한 가청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시스템 및 방법
US20050170849A1 (en) Silent mode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s with audible alarm
KR100355750B1 (ko) 이동용 단말기의 벨소리관련 자동기능 제어 시스템
US20080096587A1 (en) Telephone for Sending Voice and Text Messages
US4527014A (en) Loudspeaking telephone
JPH04175049A (ja) 音声応答装置
FR2800556A1 (fr) Telephone peluche portable
KR1007272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JPH1118709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WO2000013428A2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mode conversion property and mode conversion control system
JPH07203526A (ja) 携帯電話機
JPH0591016A (ja) カセツトプレーヤ一体型携帯電話機
JPH0870361A (ja) セキュリティーハンズフリーホン
JPH03283852A (ja) 電話装置
JP2000196710A (ja) 通信装置
KR20010008937A (ko) 호출음 출력레벨 자동조절 및 호출방식 자동전환방법
JPH02202255A (ja) 電話機
KR2004004203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모드 제어방법
WO2020245630A1 (en) Mobile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transcription of vocal fl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