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513B1 -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 Google Patents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513B1
KR100355513B1 KR1019990046254A KR19990046254A KR100355513B1 KR 100355513 B1 KR100355513 B1 KR 100355513B1 KR 1019990046254 A KR1019990046254 A KR 1019990046254A KR 19990046254 A KR19990046254 A KR 19990046254A KR 100355513 B1 KR100355513 B1 KR 10035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concrete segment
segment block
ground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314A (ko
Inventor
이창호
서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4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5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일(1)을 계획 심도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원 형태로 지반에 설치하는 1 단계와; 수직 방향의 강선통과구멍(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원형의 강재 프레임(3)을 파일(1)들의 상단에 연결 설치하는 2 단계와; 파일(1)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 안쪽 지반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이 갖는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굴착하는 3 단계와;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을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을 강재 프레임(3)과 강선(4)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4 단계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과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 사이에 콘크리트로 뒷채움 주입을 실시하는 5 단계와; 3 단계에서 5 단계까지 반복하여 계획한 심도까지 수직구를 축조하는 6 단계와; 수직구 바닥에 바닥판(30)을 타설하는 7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간단한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한 시공으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SHAFT CONSTRUCTION SYSTEM USING PC STEEL WIR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에 관한 것으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강선에 매달아 조립함으로써 수직구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정확한 시공에 의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현재, 통상적인 수직구 굴착 공사는 대부분 흙막이에 의한 개착공법(흙막이 Open cut 공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흙막이 개착공법은 지반을 일정한 깊이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고, 굴착된 지반의 안쪽으로 흙막이 벽체, 버팀목, 띠장 등의 지보공을 설치하여 지반이 이완되거나 붕괴하지 않도록 지지해 나가면서 계획한 심도까지 반복하여 굴착한 뒤, 바닥부터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구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현장타설공법은 작업절차가 복잡하고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게 됨으로써 장기간의 터널 시공 기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규격화가 어려워 균일한 시공 품질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은 위와 같은 현장타설공법의 단점을 개선하여,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수직구를 축조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시공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수직구 건설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이하, 콘크리트 블록이라 약칭함.)을 도시한 것으로,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지니면서 전체가 소정의 곡률로써 휘어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콘크리트 블록(10)의 중앙에는 수직구 건설 과정에서 뒷채움 주입을 위한 주입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및 좌우 단부에는 타 콘크리트 블록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체결부(12)를 구비한다.
체결부(12)는 콘크리트 블록(10)의 모서리에 요부(13)를 형성하고, 그 단부면에 볼트구멍(15)이 형성된 철재 체결판(14)을 콘크리트 블록(10)과 일체화시켜 구비한 것으로, 요부(13)를 통해 볼트 등을 끼워 타 콘크리트 블록의 체결판과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인접하여 여러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원통형의 수직구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를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수직구가 위치될 지반에 H파일을 계획 심도까지 설치한다. 파일은 수직구의 단면형상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지니도록 원 형태로 설치된다.
그런 다음 파일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 안쪽 지반을 콘크리트 블록이 갖는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단계적으로 굴착한다. 여기까지의 단계는 통상적인 현장타설공법 또는 흙막이 개착공법과 유사한 진행과정을 갖는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을 따라 콘크리트 블록(10)을 부착한다. 이때, 콘크리트 블록(10)의 부착 방법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용접판(2)을 이용하여 파일(1)에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용접에 의한 방법, 앵커(Anchor)를 이용한 부착 방법, 콘크리트 블록(10)의 뒤쪽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뒷채움 주입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콘크리트 블록(10)을 부착한 뒤, 각 콘크리트 블록(10)을 볼트로써 체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콘크리트 블록간의 체결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는 각 콘크리트 블록(10)의 체결판(14)들을 볼트로써 관통시킨 뒤,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다음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블록(10)의 주입구멍(11)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10)과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뒷채움 주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블록(10)을 파일(1)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콘크리트 주입에 의한 부착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본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지반을 단계적으로 굴착하면서 위와 같은 과정을 계획 심도까지 반복한 후, 바닥판을 타설함으로써 수직구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종래의 수직구 건설 방법에 있어, 용접 또는 앵커를 이용하는 종래의 조립 방법은 콘크리트 블록을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기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직구의 방수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국부적인 응력집중시 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을 강선을 이용하여 연결, 조립함으로써 수직구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정확한 시공으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수직구 건설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일을 계획 심도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원 형태로 지반에 설치하는 1 단계와; 수직 방향의 강선통과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원형의 강재 프레임을 파일들의 상단에 연결 설치하는 2 단계와; 파일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 안쪽 지반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이 갖는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굴착하는 3 단계와;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설치하고, 이를 강재 프레임과 강선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4 단계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과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로 뒷채움 주입을 실시하는 5 단계와; 3 단계에서 5 단계까지 반복하여 계획한 심도까지 수직구를 축조하는 6 단계와; 수직구 바닥에 바닥판을 타설하는 7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수직구 건설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종래의 수직구 벽체 시공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의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k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의 시공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H파일 3 ; 강재 프레임
4 ; 강선 5 ; 유압잭
20 ; 콘크리트 블록 21 ; 뒷채움 주입구멍
22 ; 강선통과구멍 23 ; 체결부
30 ; 바닥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철근과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구성되고,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지니면서 전체가 소정의 곡률로써 휘어진 형태로 되어 있다.
콘크리트 블록(20)의 중앙에는 수직구 건설 과정에서 뒷채움 주입을 위한 주입구멍(21)이 형성되며, 한쌍의 강선통과구멍(22)이 콘크리트 블록(20)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적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하 및 좌우 단부에는 타 콘크리트 블록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부(23)가 구비된다.
체결부(23)는 콘크리트 블록(20)의 모서리에 요부(24)를 형성하고, 그 단부면에는 볼트구멍(26)이 형성된 철재의 체결판(25)이 콘크리트 블록(20)과 일체화된 상태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요부(24)를 통해 볼트 등을 끼워 타 콘크리트 블록의 체결판과 체결한 뒤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20)을 서로 인접하여 여러개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게 되면 원통형을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의 시공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일설치→프레임 설치→굴착→콘크리트 블록 설치→뒷채움 주입→바닥판 시공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k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 진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에서, 수직구가 위치될 지반에 H파일(1)을 계획 심도까지 설치한다. 파일(1)은 수직구의 단면형상을 따라 원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지니도록 설치된다.(1 단계)
도 5b에서, 수직 방향의 강선통과구멍(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원형의 강재 프레임(3)을 파일(1)들의 상단에 연결 설치한다.(2 단계)
도 5c에서, H파일(1)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 안쪽 지반을 콘크리트 블록이 갖는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굴착한다.(3 단계)
도 5d 및 도 5e에서,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을 설치하고, 강선(4)을 강재 프레임(3)의 상부로부터 콘크리트 블록(20) 하부로 통과시켜 강재 프레임(3)의 상부와 콘크리트 블록(20) 하부에서 유압잭(5)으로 강선(4)을 고정하여 콘크리트 블록(20)을 강재 프레임(3)에 고정시킨 뒤, 각 콘크리트 블록(20)을 볼트로써 체결하여 일체화시킨다.(4 단계) 콘크리트 블록간의 체결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는 각 콘크리트 블록의 체결판들을 볼트로써 관통시킨 뒤,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콘크리트 블록(20)의 뒷채움 주입구멍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20)과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로 뒷채움 주입을 실시한다.(5 단계) 이때, 지반과 콘크리트 블록(20) 사이로 유입된 콘크리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경화되면서 콘크리트 블록(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수직구 벽체의 최 상단이 완성되면, 도 5f에서와 같이 그 하부 지반을 단계적으로 굴착한 뒤 다음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한다.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강선(4)중 서로 다른 콘크리트 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인접한 강선 두 개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잭(5)을 풀고, 이 두 개의 강선(4)에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20)을 4 단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옆의 콘크리트 블록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시킨 후 4 단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 콘크리트 블록을 볼트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키고, 5 단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뒷채움 주입을 실시한다.(6 단계) 이후에는 같은 방법으로 6 단계를 반복하여 계획한 심도까지 수직구를 축조한다.
마지막으로, 수직구 바닥에 바닥판(30)을 타설(7 단계)함으로써 수직구를 완성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또는 앵커를 이용한 종래의 시공 방법에 비해 간단한 시공으로 작업성 향상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을 정확한 위치로 시공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복수의 파일(1)을 계획 심도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원 형태로 지반에 설치하는 1 단계와;
    수직 방향의 강선통과구멍(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원형의 강재 프레임(3)을 상기 파일(1)들의 상단에 연결 설치하는 2 단계와;
    상기 파일(1)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 안쪽 지반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이 갖는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굴착하는 3 단계와;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을 설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을 상기 강재 프레임(3)과 강선(4)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4 단계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과 굴착된 지반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로 뒷채움 주입을 실시하는 5 단계와;
    상기 3 단계에서 5 단계까지 반복하여 계획한 심도까지 수직구를 축조하는 6 단계와;
    상기 수직구 바닥에 바닥판(30)을 타설하는 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은 강선(4)을 상기 강재 프레임(3)의 상부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하부로 통과시켜 상기 강재 프레임(3)의 상부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20)의 하부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강재 프레임(3)에 고정한 뒤, 인접한 측면을 서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4)을 유압잭(5)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KR1019990046254A 1999-10-25 1999-10-25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KR10035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254A KR100355513B1 (ko) 1999-10-25 1999-10-25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254A KR100355513B1 (ko) 1999-10-25 1999-10-25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314A KR20010038314A (ko) 2001-05-15
KR100355513B1 true KR100355513B1 (ko) 2002-10-09

Family

ID=1961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254A KR100355513B1 (ko) 1999-10-25 1999-10-25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12B1 (ko) 2018-12-06 2019-09-27 주식회사 네오시티 다양한 브라켓 연결수단을 갖는 수직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KR102215526B1 (ko) 2020-05-19 2021-02-15 브릿지테크놀러지(주) 세그먼트 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수직구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74B1 (ko) * 2020-12-29 2021-04-29 박진감 하향식 세그먼트 하강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12B1 (ko) 2018-12-06 2019-09-27 주식회사 네오시티 다양한 브라켓 연결수단을 갖는 수직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KR102215526B1 (ko) 2020-05-19 2021-02-15 브릿지테크놀러지(주) 세그먼트 연결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수직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314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100831332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0265484A (ja)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34910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0265458A (ja)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床版連結構造
KR100355513B1 (ko) 강선을 이용한 매달기식 수직구 건설 공법
KR101973566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시트를 볼트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100322623B1 (ko) 콘크리트 블록 부착용 보조장치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JP7112939B2 (ja) 杭と基礎コンクリート部との接合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及び施工方法
KR100349108B1 (ko) 콘크리트 블록 용접 부착용 보조장치
KR20190142492A (ko) 흙막이가 용이한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4146250B2 (ja) オープンケーソンの底盤築造方法
JP4314681B2 (ja) 逆打支柱の施工方法
JPH1029900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を用いた基礎工法
JP2536701B2 (ja) 大深度掘削に伴う土留め工法
JPH0517955A (ja) 直接基礎の施工法及び直接基礎用型枠パネル
JP3923463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固定金具
JPH11181807A (ja) 地下階の施工方法
JPH08302689A (ja) 地下外壁躯体の構築工法
JP2899669B2 (ja) 簡易山留め工法
JPH09184116A (ja) 雪崩・落石防護柵施工方法および雪崩・落石防護柵
JPH09279609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