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147B1 - 중합체블렌드 - Google Patents

중합체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147B1
KR100355147B1 KR1019940032600A KR19940032600A KR100355147B1 KR 100355147 B1 KR100355147 B1 KR 100355147B1 KR 1019940032600 A KR1019940032600 A KR 1019940032600A KR 19940032600 A KR19940032600 A KR 19940032600A KR 100355147 B1 KR100355147 B1 KR 10035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monovinylarene
copolymer
conjugated 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232A (ko
Inventor
마아크디이하네스
Original Assignee
휘립프스피트로오리암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립프스피트로오리암캄파니 filed Critical 휘립프스피트로오리암캄파니
Publication of KR95001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 (B) 중합 조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티렌계 중합체로 구성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물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중합체 블렌드
본 발명은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의 공중합체는 공지되어 있고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다. 양호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 무색의 투명한 물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 중합제가 특히 주목된다. 그러한 물품은 장난감, 창 부품, 음료 용기, 및 블리스터 포장과 같은 포장에 유용하다.
그러므로 양호한 투명성, 경도, 강도, 및 인성을 겸비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양호한 투명성, 강도 및 인성을 겸비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호한 투명성 및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A)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 (B)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스티렌계 중합체로 구성된 블렌드가 제공된다.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블렌드는 본질적으로 (A), (B) 및 (C)로 구성된다. 용어 "본질적으로 구성된"을 사용함으로써, 블렌드가 상기 표현에 열거된 성분에 의해 부여되는 바람직한 성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은 또한 블렌드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다룬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체는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 수단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많은 적합한 중합체들이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본 발명에 유효한 성분 (A)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1238, 조건 G에 따라 측정된 0.1 g/10분 이상, 바람직하게 약 0.1g/10분 내지 약 100g/10분 범위의 용융류(熔融流)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256에 따라 측정된 0.3ft 1bs/in. 이상의 노치트 아이조드(Notched Izod) 충격 강도를 가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최종 블록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5 중량%-약 95 중량%, 바람직하게 약 60 중량 %-약 95 중랑%, 및 보다 바람직하게 65 중량%-90 중량% 범위의 양으로 모노비닐아렌 단량체를 함유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역 디엔 단량체는 최종 블록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45 중랑%-약 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 약 40 중랑%-약 5 중랑% 범위, 및 보다 바람직하게 35 중량%-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최종 블록 공중합체내에 존재할 것이다.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적인 출발물질 및 중합 조건은 U.S. 특허 제 4,091,053 호; 4,584,346 호; 4,704,434 호; 4,704,435 호; 및 5,227,419 호에 공개된다.
상기 공개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에서, 공역 디엔 단량체 및 모노비닐아렌 단량체는 개시제의 존재하에 연속적으로 공중합된다. 임의적으로, 모노비닐아렌 단량체/공역 디엔 단량체 혼합물은 중합되어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개시제는 상기 목적을 위해 공지된 임의의 유기 모노알칼리 금속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시제는 적어도 3개의 장입물내에 제공된다. 소량의 극성 유기 화합물, 예컨대 에테르, 티오에테르, 및 삼차 아민이 탄화수소 희석액에 사용되어 개시제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혼합 단량체 장입물내 모노비닐아렌 단량체의 최소한 부분을 무작위화할 수 있다. 중합 방법은 반응 혼합물을 실질적으로 액상으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에서, 약 -100℃ 내지 약 150℃ 범위의 임의의 적합한 온도에서 탄화수소 희석액내에서 실행된다. 각 단량체 장입물 또는 단량체 혼합 장입물은 용액 중합 조건 하에서 중합되므로 각 단량체 장입물 또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은 후속 장입물을 장입시키기 전에 실질적으로 완료된다. 중합이 완료된 후, 커플링제가 첨가될 수 있다.
공중합체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공역 디엔은 분자당 4-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들을 포함하며, 4-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합한 화합물의 예는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엔은 13-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3-부타디엔이다.
공중합체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모노비닐아렌 화합물은 분자당 8-18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 8-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합한 화합물의 예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에틸스티렌, 3-에틸스티렌, 4-에틸스티렌, 4-n-프로필스티렌, 4-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4-시클로헥실스티렌, 4-데실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4-(4-페닐-n-부틸)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모노비닐아렌 화합물은 스티렌이다.
성분(B),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어떻게 제조되든지 간에, 에틸렌 글리콜을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공단량체 또는 개질제와 함께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올, 이산(diacids), 히드록시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개질제 또는 공단량체를 함유함으로써 개질된다. 일반적으로 공단량체 또는 개질제는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약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공단량체 또는 개질제는 각종 디올, 예컨대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가수분해된 폴리알킬렌 산화물, 네오펜틸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공단량체 또는 개질제는 각종 이산 예컨대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히드록시산 예컨대 p-히드록시 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구입 가능하다. 적합한 개질제 중에서, 디올이 바람직하다. 개질제가 에틸렌 글리콜 적어도 50 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0-50 몰%를 함유하는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이용된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에 의해 측정된 바 적어도 약 0.2, 바람직하게 약 0.2-약 10.0 범위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고유 점도는 30℃ 에서 3 : 1 부피비의 염화메틸렌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내에서 측정된다. 바람직하게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굴절률은 이용된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의 굴절률, 즉 ASTM 542에 따라 측정된 약 1.56 - 약 1.58 범위와 같다.
성분(C)는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스티렌계 중합체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스티렌 자체 또는 스티렌의 각종 유도체(이때 벤젠 고리 및 비닐기 중 하나 또는 둘다 치환될 수 있음)일 수 있는 스티렌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형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조성은 폭넓게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 50 중랑%, 바람직하게 5 중량% - 4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95 중량5 - 약 50 중랑%, 바람직하게 95 중량% - 6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ASTM 1238에 따라 측정된 약 0.2g/10분 - 약 100g/10분 범위의 용융유량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유사한, 즉 ASTM 542에 따라 측정된 약 1.56 - 약 1.58 범위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선택될 것이다.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SMMA)는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퍼옥시 또는 아조 촉매와 같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는 스티렌 및 메틸메타크릴산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조성은 폭넓게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랑% - 약 5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ASTM 1238에 따라 측정된 약 0.2g/10분 - 약 100g/10분 범위의 용융 유량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유사한, 즉 ASTM 542에 따라 측정된 약 1.56 - 약 1.58 범위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선택될 것이다.
중합체 블렌드의 조성은 폭넓게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분(A),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 약 90 중량%,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 - 약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0중량% - 6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랑% - 약 90 중량%,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 - 약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0 중량5 - 6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성분(C)는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약 90 중량%, 바람직하게 약 10 중량%-약 8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 10 중랑%-64 중랑%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술된 중합체 블렌드는 바람직한 특성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중합체 블렌드는 50 mil 두께의 시험 표본을 사용하여, ASTM 1003에 따른 가드너 헤이즈미터(Gardner Hazemeter)로 측정된 바 15% 이하, 바람직하게 10% 이하의 헤이즈(haze)를 나타낸다. 중합체 블렌드는 ASTM D-2240에 따라 측정된 바 70 이상의 쇼어 D 경도(Shore D Hardness)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ASTM D-648에 따라 측정된, 중합체 블렌드의 굽힘 탄성률(Flexural Modulus)은 제곱인치 당 200 킬로파운드(ksi) 이상일 것이다. 중합체 블렌드는 ASTM D-256 에 따라 측정된 0.5ft· 1bs/in이상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블렌딩은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합체는 벤버리 혼합기, 핫 로울 (hot roll), 또는 압출기와 같은 임의의 원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용융 블렌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중합체는 압출기 블렌딩 기술을 이용하여 용융 블렌딩된다. 단일 또는 상 스크루 압출기가 활용될 수 있다. 중합체는 용융 블렌딩 이전에 드라이 블렌딩될 수 있다.
블렌딩 조건은 이용된 블렌딩 기술 및 중합체에 따라 결정된다. 중합체의 초기 드라이 블렌딩이 이용된다면, 블렌딩 조건은 실온에서부터 중합체의 용융 온도 바로 아래까지의 온도, 및 몇초 - 몇 시간 즉 2초 - 3분 범위내의 블렌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용융 블렌딩 동안, 중합체가 블렌더 내에서 혼합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이용된 중합체의 최고 용융점과 상기 용융점보다 약 100℃ 높은 온도 사이의 범위내일 것이다.
용융 블렌딩에 요구되는 시간은 폭넓게 변할 수 있으며 이용된 블렌딩 방법에 따라 좌우된다. 요구된 시간은 성분들을 완전히 혼합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일반적으로, 개개의 중합체는 약 10초 - 약 15 분의 시간 동안 블렌딩된다.
중합체 블렌드는 첨가제, 예컨대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착방지제, 이형제, 염료, 및 안료, 난연제, 및 충전제 및 강화제, 예컨대 유리섬유를, 그들의 양 및 유형이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의 블렌드는 밀링 (milling),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물품의 생산에 유용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더 기술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 시 예
하기 실시예는 각종 중합체 블렌드의 투명성 및 기계적 성질의 조합을 증명한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SAN),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SMMA), 및 SAN 및 SMMA의 혼합물 군 중에서 선택된 세 번째 성분을 Warener & Pfleiderer ZSK-30 쌍 스크루 압출기를 이용하여 블렌딩하였다.
U.S. 4,584,346 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연속 용액 중합 및 3회의 개시제 장입을 이용하여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를 제조하였다. 중합을 각 단량체 장입 후 완료할 때까지 계속하였다. 스티렌 (S), 부타디엔 (B), 개시제 (i), 및 커를링제 (ca) 장입 순서는 하기와 같다 : S, i, i, S, B, i, S, B, ca, 중합 온도는 약 38℃ - 약110℃ 범위였고 압력은 약 2 psig - 약 60 psig 범위였다. 표 1 에서 KRO3으로 명시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내 스티렌 대 부타디엔의 중량비는 75/25 였다. 표 1 에서 KK38로 명시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내 스티렌/부타디엔 중량비는 70/30 이었다. 연속 중합의 완료 후에, Vikoflex 71710 (Viking Chemical Co. 에 의해 판매된 에폭시화 콩기름으로 구성된 커플링제)를 반응기에 장입하였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Irganox 1076 트리스 (노닐페닐)포스파이트로 안정화하였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1238, 조건 G에 따라 측정된 5g/10분 내지 15g/10분 범위의 용융류를 나타내었다. 스티렌/부타티엔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256 에 따라 측정된 0.3 ft.1bs/in. 이상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나타내었다. KRO3 은 ASTM 542 에 따라 측정된 1.571 의 굴절률을 나타내었다.
이용된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는 에틸렌-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탈레이트 공중합체인, Eastman Chemical로 부터의 Kodar 6763이었다. PETG 는 ASTM 542 에 따라 측정된, 1.567 의 굴절률, ASTM D-256에 따라 측정된 1.7 ft. 1bs/in. 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 및 ASTM 1003에 따라 측정된 0.5의 헤이즈를 나타내었다.
이용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는 Monsanto 로부터의 Lustran 31 이었고 아크릴로니트릴 23%를 함유하였다. SAN은 ASTM 542 에 따라 측정된 1.57의 굴절률, 0.45 ft. 1bs/in. 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 및 1.4%의 헤이즈를 나타내었다.
이용된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SMMA)는 Novacor Polymers로부터의 NAS 21 이었다. SMMA 공중합체는 0.36 ft. 1b/in. 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 및 ASTM 542 에 따라 측정된 1.57 의 굴절률을 나타내었다.
ARCO 로부터 구입가능한 Dylark 332 인 스티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SMA)를 표 1 에 지적된 바와 같이 비교용으로 이용하였다. SMA 공중합체는 ASTM 542 에 따라 측정된 1.581 의 굴절률 및 0.2 ft. 1b/in. 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나타내었다.
Novacor Plastics Division 으로부터 구입가능한 Polystyrene 555 인 폴리스티렌 (PS)를 표 1에 지적된 바와 같이 비교용으로 이용하였다.
PS 중합체는 ATMD 542 에 따라 측정된 1.59의 굴절률 및 0.35 ft. 1b/in. 의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1에 요약한다.
하기 표에서 :
헤이즈 (%)는 ASTM 1003에 따라 측정되었다.
경도 (쇼어 D)는 ASTM D-2240 에 따라 측정되었다.
굽힘 탄성률 (ksi)은 ASTM D-648에 따라 측정되었다.
노치트 아이조드 충격 강도 (ft·1b/in)는 ASTM D-256에 따라 측정되었다.
* 부분 파단 (Partial break)
** 힌지드 파단 (Hinged break)
표 1 은 SMA 또는 PS를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실행 103-104)에 비해, SB 공중합체, PETG, 및 SAN 또는 SMMA 또는 SAN 및 SMMA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중합체블렌드 (실행 105-112)는 양호한 투명성 및 기계적 성질의 조합을 갖는 조성물을 생산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Claims (8)

  1.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
    (A)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랑% 내지 9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로서, 상기 모노비닐아렌은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5 중량% 내지 95 중랑%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공역 디엔은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함;
    (B)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올, 이산, 히드록시산,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개질제를 사용하여 개질됨: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스티렌계 중합체로서, 스티렌계 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랑% 내지 9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개질제가 개질된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 내상기 모노비닐아렌이 스티렌이고, 상기 모노비닐아렌/공역 디엔 블록 공중합체내 상기 공역 디엔이 부타디엔인 블렌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내 상기 개질제가 디올이고, 상기 개질제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함유하는 블렌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랑% 내지 50 중량% 범위내 양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95 중랑% 내지 50 중랑% 범위내 양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블렌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50 중랑% 범위내 양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95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내 양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블렌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B) 및 (C)로 구성되는 블렌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B) 및 (C)를 용융 블렌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블렌드.
KR1019940032600A 1993-12-03 1994-12-02 중합체블렌드 KR100355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70193A 1993-12-03 1993-12-03
US08/161701 199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32A KR950018232A (ko) 1995-07-22
KR100355147B1 true KR100355147B1 (ko) 2002-12-16

Family

ID=2258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600A KR100355147B1 (ko) 1993-12-03 1994-12-02 중합체블렌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96870A (ko)
KR (1) KR1003551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96870A (ja) 1995-08-01
KR950018232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1704B1 (en) Conjugated diene/monovinylarene block copolymers
US6835778B2 (en) Conjugated diene/monovinylarene block copolymers blends
US4377647A (en) Polymer blend composition
CA2166637C (en) Blend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monovinyl/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s
US6040382A (en) Polymer blend clarity
EP1809700A2 (en) Polymer blends of a monovinylarene 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 and a monovinylarene acrylate copolymer
CA2655065A1 (en) Highly transparent and tough-stiff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mixtures
US4493919A (en) Polymer blend composition comprising two block polymers a vinyl aromatic copolymer and a polyester
US5777030A (en) Blends of a styrenic polymer and monovinylaren/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s
KR100355147B1 (ko) 중합체블렌드
US5391619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monovinylarene/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 blends
CN112334533B (zh) 超高流量苯乙烯丙烯腈共聚物组合物
JPS61215647A (ja) 耐熱耐衝撃性樹脂組成物
JPH07216163A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2179928A (ja) 感熱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332778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50016403A (ko) 공액된 디엔/모노비닐아렌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
JPH022484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