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865B1 -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865B1
KR100354865B1 KR1019990038634A KR19990038634A KR100354865B1 KR 100354865 B1 KR100354865 B1 KR 100354865B1 KR 1019990038634 A KR1019990038634 A KR 1019990038634A KR 19990038634 A KR19990038634 A KR 19990038634A KR 100354865 B1 KR100354865 B1 KR 100354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microphone
signal
audio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064A (ko
Inventor
박종국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박종국
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국, 박영순 filed Critical 박종국
Priority to KR101999003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8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디오를 이용한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1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스테레오증폭회로부(1)와, 마이크(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마이크(60)의 음량을 조절하는 마이크증폭회로부(2)와, 상기 마이크증폭회로부(2)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 및 음성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코를 조절하는 에코발생회로부(3)와, 상기 에코발생회로부(3)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증폭회로부(1)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로 분리시켜 출력하는 음성/반주분리회로부(4)와,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폰(50)으로 들리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증폭회로부(5)와,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반주신호와 상기 에코발생회로부로(3)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에코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반주혼합회로부(6)와, 상기 마이크/반주혼합회로부(6)로부터 혼합된 반주 신호와 마이크 에코신호를 증폭하여 트랜스듀서 팩(20)으로 출력하는 증폭회로부(7), 및 시가 잭(40)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안정화회로부(8),를 구비함으로써, 스테레오 테이프 내용 중에서 노래 반주와 가수의 노래 음성을 분리하여 가수의 노래 음성은 운전자 등의 노래하는 사람의 이어폰으로만 들리게 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가수의 음성을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따라 부르게 하고, 노래 부르는 사람의 음성과 노래 반주를 혼합하여 차량용 앰프를 통하여 차량 내부 스피커로 들릴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PORTABLE SONG ACCOMPANIER AND METHOD}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테레오 테이프 내용중에서 노래 반주와 가수의 노래 음성을 분리하여 가수의 노래 음성은 운전자 등의 노래하는 사람의 이어폰으로만 들리게 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가수의 음성을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따라 부르게 하고, 노래 부르는 사람의 음성과 노래 반주를 혼합하여 차량용 앰프를 통하여 차량 내부 스피커로 들릴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은 흥이 많은 민족으로서 회식이나 모임 등으로 여러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 노래와 춤을 곁들여 행사의 즐거움을 배가시키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특별한 행사가 아니더라도 즐겨 찾게 되는 곳으로 노래방 문화가 있다.
한편, 휴대용 노래 반주기는 산과 들 같은 야외에서의 야유회, 소풍, MT 등 각종 야유 행사나 가족모임, 집안 행사의 가정에서 또는 동창회, 계모임 및 생일 잔치와 같은 각종 모임에서 마이크를 사용하여 노래 반주와 함께 노래를 부를 때 그리고 장거리 여행시나 경음악의 음악 감상을 원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휴대용 노래 반주기는 라디오 및 오디오의 주파수변조(Frequency Modulation; 이하 FM이라 칭함)를 사용하여 라디오나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에 송신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노래 반주기는 기기 자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장소를 많이 차지하므로 휴대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승용차와 같은 소/중형 자동차에서는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노래 반주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1회 사용으로 폐기 처분해야 하므로, 배터리의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테레오 테이프 내용 중에서 노래반주와 가수의 노래 음성을 분리하여 가수의 노래 음성은 운전자 등의 노래하는 사람의 이어폰으로만 들리게 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가수의 음성을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따라 부르게 하고, 노래 부르는 사람의 음성과 노래 반주를 혼합하여 차량용 앰프를 통하여 차량 내부 스피커로 들릴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에 대한 내부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에 의한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의 전체 외장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트랜스듀서 팩
30 : 콘넥터 40 : 시가 잭
50 : 이어폰 60 : 마이크
70 : 전화기용 핸드셋트 80 : 오디오 기기
11 : 선택 스위치 12 : 녹음 버튼
13 : 오디오 출력단자 14 : 전원 입력단자
15 : 이어폰 입력단자 16 : 마이크 입력단자
17 : 모듈 잭 입력단자 18 : 오디오 기기 입력단자
1 : 스테레오 증폭 회로부 2 : 마이크 증폭 회로부
3 : 에코 발생 회로부 4 : 음성/반주 분리 회로부
5 : 음성 증폭 회로부 6 :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
7 : 증폭 회로부 8 : 전원 안정화 회로부
S1 : 외부 스테레오 입력신호 S2, S4 : 마이크 잭 감지신호
S3 : 음성 출력신호 S5 : 마이크 에코 출력신호
S6 : 반주 출력신호 VR1 : 마이크 음량 조절기
VR2 : 에코 조절기 VR3 : 이어폰 음량 조절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는, 카오디오를 이용한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1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스테레오증폭회로부(1) ; 마이크(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마이크(60)의 음량을 조절하는 마이크증폭회로부(2); 상기 마이크증폭회로부(2)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 및 음성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코를 조절하는 에코발생회로부(3) ; 상기 에코발생회로부(3)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증폭회로부(1)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로 분리시켜 출력하는 음성/반주분리회로부(4) ;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폰(50)으로 들리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증폭회로부(5);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반주신호와 상기 에코 발생회로부로(3)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에코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반주혼합회로부(6); 상기 마이크/반주혼합회로부(6)로부터 혼합된 반주 신호와 마이크 에코신호를 증폭하여 트랜스듀서 팩(20)으로 출력하는 증폭회로부(7); 및 시가 잭(40)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안정화회로부(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의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스테레오증폭회로부(1)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신호를 증폭하여 마이크의 음량을 조절하는 마이크 증폭 회로부(2)와, 상기 마이크 증폭 회로부(2)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 및 음성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코를 조절하는 에코 발생회로부(3)와, 상기 에코 발생 회로부(3)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 증폭 회로부(1)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로 분리시켜 출력하는 음성/반주분리회로부(4)와,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폰으로 들리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증폭회로부(5)와,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반주 출력신호와 상기 에코 발생 회로부로(3)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에코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6)와, 상기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6)로부터 혼합된 반주 출력신호와 마이크 에코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트랜스듀서 팩으로 출력하는 증폭 회로부(7), 및 시가 잭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안정화 회로부(8)로 구성한다.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래 반주 장치 본체(10)의 오디오 출력단자(13)를 콘넥터(30)에 의해 트랜스듀서 팩(20)과 연결시킨 후, 상기 트랜스듀서 팩(20)을 카오디오의 카세트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삽입시켜 카오디오의 앰프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시가 잭(40)을 본체(10)의 전원 입력단자(14)에 삽입하여 본체(10) 내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가 잭(40)을 통하여 본체(10)로 입력되는 전원은 전원 안정화 회로부(8)를 통하여 안정화된 전원으로 전체시스템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에 시가 잭(40)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래를 부르고자 원하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는 콤팩트디스크 또는 카세트 테이프를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기기(80)에 장착한다.
상기 오디오 기기(80)는 오디오 기기 입력단자(18)를 통하여 본체(10)에 연결한 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핸즈프리 마이크가 장착된 이어폰(50), 이어폰이 장착된 마이크(60), 전화기용 핸드셋트(7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어폰 입력단자(15),마이크 입력단자(16), 모듈 잭 입력단자(17) 중 하나를 통하여 본체(10)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1)를 누른 후, 오디오 기기(80)를 동작시켜 선택한 이어폰(50)을 통하여 들리는 노래의 가사 내용에 따라 노래를 부르면서, 노래 반주 장치 본체(10)에 부설된 마이크 음량 조절기(VR1)와 에코 조절기(VR2) 및 이어폰 음량 조절기(VR3)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상태로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선택 스위치(11)를 조절하여 내부/외부 전환 스위치(SW1)를 턴-온시키면, 상기 내부/외부 전환 스위치(SW1)의 턴-온 동작에 의해 오디오 기기(8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스테레오 입력신호(S1)는 스테레오 증폭 회로부(1)를 통하여 스테레오신호로 증폭된 후, 음성/반주 분리 회로부(4)로 입력된다.
상기 음성/반주 분리 회로부(4)로 스테레오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음성 소거 스위치(SW2)가 턴-온된 경우, 상기 음성/반주 분리 회로부(4)는 입력된 스테레오신호를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로 분리하여, 분리된 반주신호를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6)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분리된 음성신호는 음성 증폭 회로부(5)를 통하여 증폭시킨 후 이어폰(50)으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이어폰(50)을 통하여 사용자(노래 부르는 사람)의 귀에만 가수가 노래하는 음성이 들리게 된다.
반면에, 상기 음성 소거 스위치(SW2)가 턴-오프된 경우, 상기 음성/반주 분리 회로부(4)는 입력된 스테레오신호를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로 분리하지 않고, 혼합된 신호를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6)로 출력시킨다.
한편, 마이크 증폭 회로부(2)는 마이크(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증폭한 후, 에코 발생 회로부(3)로 입력하여 에코 음향을 발생시킨다.
상기 에코 발생 회로부(3)에서 발생된 마이크 에코 출력신호(S5)는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6)로 입력되어 상기 음성/반주 분리 회로부(4)에서 분리된 반주 출력신호(S6)와 혼합된다.
상기 마이크/반주 혼합 회로부(6)에서 혼합된 신호는 증폭 회로부(7)로 입력되어 증폭된 후, 상기 노래 반주 장치 본체(10)와 콘넥터(30)를 통하여 접속된 트랜스듀서 팩(20)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듀서 팩(20)을 삽입시킨 카세트 플레이어의 오디오 앰프(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의 반주가 들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어폰(50)을 통하여 노래 음성을 들으면서 카오디오를 통하여 들리는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노래 반주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외부 전환스위치가 턴-온되었는가를 판별하여 내부/외부 전환 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내부신호를 입력하고, 반면에 내부/외부 전환 스위치가 턴-온되지 않은 경우 외부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101)와, 상기 제 1 단계(101)에서 입력된 내부신호 또는 외부신호를 스테레오신호로 증폭시키는 제 2 단계(102)와, 상기 제 2 단계(102)에서 스테레오신호로 증폭시킨 후, 음성 소거 스위치가 턴-온되었는가를 판별하여 음성 소거 스위치가 턴-온되지 않은 경우 음성 신호와 반주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3 단계(103)와, 상기 제 3 단계(103)에서 음성 소거 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스테레오신호에서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를 분리하여 반주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4 단계(104)와, 상기 제 4 단계(104)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제 5 단계(105)와,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한 후, 에코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6 단계(106)와, 상기 제 6 단계(106)에서 발생된 에코 마이크 음성과 상기 제 4 단계(104)에서 출력되는 반주신호를 혼합하는 제 7 단계(107), 및 상기 제 7 단계(107)에서 혼합된 신호 또는 상기 제 3 단계(103)에서 혼합된 신호를 증폭시킨 후 트랜스듀서 팩을 이용하여 차량용 카세트 플레이어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 8 단계(108)로 순차 동작한다.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및 그 방법은, 스테레오 테이프 내용 중에서 노래 반주와 가수의 노래 음성을 분리하여 가수의 노래 음성은 운전자 등의 노래하는 사람의 이어폰으로만 들리게 하여 노래하는 사람이 가수의 음성을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따라 부르게 하고, 노래 부르는 사람의 음성과 노래 반주를 혼합하여 차량용 앰프를 통하여 차량 내부 스피커로 들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용차 등의 소형 차량으로 여러명이 장거리 여행을 할 경우에 노래 반주 기능으로 즐겁게 여행할 수 있으며, 또한 혼자서 장시간 여행할 경우 노래 연습을 하거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래를 부름으로서 즐겁고 안전하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사용자의 선곡에 따라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해주는 노래 반주 장치의 전원을 차량내의 시가 잭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카오디오를 이용한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1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스테레오증폭회로부(1);
    마이크(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마이크(60)의 음량을 조절하는 마이크증폭회로부(2);
    상기 마이크증폭회로부(2)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 및 음성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코를 조절하는 에코발생회로부(3);
    상기 에코발생회로부(3)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잭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증폭회로부(1)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 입력신호를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로 분리시켜 출력하는 음성/반주분리회로부(4);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폰(50)으로 들리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증폭회로부(5);
    상기 음성/반주분리회로부(4)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반주신호와 상기 에코발생회로부로(3)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에코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반주혼합회로부(6);
    상기 마이크/반주혼합회로부(6)로부터 혼합된 반주 신호와 마이크 에코신호를 증폭하여 트랜스듀서 팩(20)으로 출력하는 증폭회로부(7); 및
    시가 잭(40)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안정화회로부(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회로들이 내장된 노래 반주 장치의 본체는,
    상기 트랜스듀서 팩(20)과 연결시키기 위한 콘넥터(30)가 삽입되는 오디오출력단자(13);
    상기 본체(10) 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가 잭(40)이 삽입되는 전원입력단자(14);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 마이크가 장착된 이어폰(50)이 삽입되는 이어폰입력단자(15);
    이어폰이 장착된 마이크(60)가 삽입되는 마이크 입력단자(16);
    전화기용 핸드셋트(70)가 삽입되는 모듈 잭 입력단자(17); 및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는 콤팩트디스크 또는 카세트테이프를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기기(80)가 삽입되는 오디오 기기 입력단자(18)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19990038634A 1999-09-10 1999-09-10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KR10035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634A KR100354865B1 (ko) 1999-09-10 1999-09-10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634A KR100354865B1 (ko) 1999-09-10 1999-09-10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064A KR20010027064A (ko) 2001-04-06
KR100354865B1 true KR100354865B1 (ko) 2002-10-04

Family

ID=1961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634A KR100354865B1 (ko) 1999-09-10 1999-09-10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2712A (zh) * 2018-02-06 2018-07-13 北京唱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麦克风
CN109785819B (zh) * 2018-12-22 2023-03-07 深圳唐恩科技有限公司 多个麦克风的关联方法、存储介质、麦克风及唱歌系统
CN111754965B (zh) * 2019-03-29 2023-11-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载k歌装置、方法和车辆
CN110401900A (zh) * 2019-08-12 2019-11-01 深圳市探寻信息技术有限公司 耳机连接器
CN113066461A (zh) * 2021-03-13 2021-07-02 辛巴网络科技(南京)有限公司 基于5g结合avm技术的车载ktv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409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복합 장치의 육성 소거 장치
KR100285201B1 (ko) * 1991-04-30 2001-03-15 이데이 노부유끼 신호재생장치용 카셋트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201B1 (ko) * 1991-04-30 2001-03-15 이데이 노부유끼 신호재생장치용 카셋트 어댑터
KR19980050409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복합 장치의 육성 소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06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07B1 (ko) 에코기능을 구비한 리모컨
US7103393B2 (en) Sound output system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WO2009047968A1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US7262358B2 (en) Portable voice studio system and method
KR100354865B1 (ko)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JP2005252597A (ja) 複数音声再生装置
KR20110003770U (ko) 녹음용 음성증폭기를 내장한 노래용 마이크
JPH10274542A (ja) 車載用音響装置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100843722B1 (ko) 차량용 노래방기능을 위한 다기능 마이크로폰 장치
KR200384801Y1 (ko) 무선 음향중계장치
CN215868619U (zh) 一种车载k歌系统
JPH103292A (ja) カラオケ装置
KR19990038889U (ko) 핸즈프리의기능을구비한차량용오디오기기
KR200397506Y1 (ko) 스피커가 구성된 트랜스미터
JP3155879U (ja) 携帯用音声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音声制御装置
KR940003819Y1 (ko) 반주용 음향기기의 마이크 혼성(mixing)장치
KR200330458Y1 (ko) 휴대전화의 노래방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 가능한이어폰형 핸즈프리
JP2642806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346314B1 (ko) 음향재생기기용 유선리모콘장치
KR200379911Y1 (ko) Mp3 무선 송신/수신 시스템
KR20050117638A (ko) Mp3 무선 송신/수신 시스템
JP3051218U (ja) 吹替多重ダビング器
JPH10105181A (ja) カラオケ機器
KR0118001Y1 (ko) 배경음악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