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963B1 - 물품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963B1
KR100353963B1 KR1020000056953A KR20000056953A KR100353963B1 KR 100353963 B1 KR100353963 B1 KR 100353963B1 KR 1020000056953 A KR1020000056953 A KR 1020000056953A KR 20000056953 A KR20000056953 A KR 20000056953A KR 100353963 B1 KR100353963 B1 KR 10035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platform
support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294A (ko
Inventor
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102000005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9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화물자동차나 독(Dock)시설이 미비한 물류창고 그리고 도로를 끼고 있는 상가등과 같이 물품이 적재된 곳으로부터 운반해 주고자 하는 곳의 높낮이가 다른 먼 곳에 물품을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물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첩가능한 안내레일(2)과, 상기 안내레일로부터 회전또는 고정가능한 연결구(32)(34)를 통하여 연결되는 지지다리(4)(6)로 플렛포옴(8)을 구성하고, 상기 플렛포옴(8)에는 전후프레임(92)(94)이 절첩가능케 구성된 괘도차(10)를 활주가능케 설치하여 독 시설이 안된 곳은 물론 시설된 독과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높이가 상이한 경우 및 주차된 곳으로부터 먼 곳까지 이송시켜 줄수가 있고, 적재함의 측방향에서도 이용할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시에는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품이송장치{Products transferring device}
본 발명은 주로 화물자동차나 독(Dock)시설이 미비한 물류창고 그리고 도로를 끼고 있는 일반상가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이나 또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품을 이송시켜 주는데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자동차나 독 시설이 미비한 각종 물류창고 그리고 통상 바닥이 지면보다 높게 시공되는 각종 상가등에서는 옮겨주고자 하는 곳과의 높이차가 심할수록 더큰힘이 소요되는 바, 물품의 입,출고가 잦은 생산공장이나 대형물류창고 등에서는 출입구에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높이와 같은 높이의 독(Dock)시설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독 시설시에는 이용하고자 하는 화물자동차의 차종에 따라 적재함의 높낮이가 시설된 독의 높이와 상이할 경우에는 이용불가능하고, 설치시에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공간활용률이 매우 낮고 또 각 창고별 별도로 설치해 주어야 하므로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공간이 여의치 못한 소규모 창고나 도로를 끼고 있는 일반상가등에서는 독 시설을 전혀 할수가 없어 이제껏 작업인력이 원하는 곳으로 운반해 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에 리프트를 설치하여 화물자동차에 물품을 싣거나 내리고자 할 때 편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차량구입가격상승, 연비하락, 수명단축등의 문제점들을 차치하고라도 주차방향에 따라 가까운 적재함의 측방향으로는 이용할 수가 없고, 리프트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주차된 곳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창고나 상가등의 입구까지는 작업인력이 이송해 주어야 하는 바,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할뿐 아니라 매우 힘든일로서 작업인력을 구하기 힘든 현실정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에 시설된 독의 높이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높이와 상이하거나 독 시설이 안된 곳은 물론 차량진입이 가능한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도 물품을 이송시켜 줄 수가 있고 또 화물자동차가 이용될 경우 적재함의 측방향으로도 이용할 수가 있는 물품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사용후 보관을 위한 이동이 용이하고 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관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이송장치는 절첩가능한 긴 안내레일과, 연결구를 통하여 안내레일 중앙부에 연결되는 두개의 지지다리로 플렛포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렛포옴에는 절첩가능한 전후프레임을 갖는 괘도차를 활주가능케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 플렛포옴의 지지다리는 물품이 적재된 곳과 이송시켜 주고자 하는 곳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레일의 높낮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해 주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높낮이 조절수단으로서 연결구에 탄력설치된 맞물림 랙기어와 지지다리 측면의 랙기어가 이용되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면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종목적은 물품을 지면의 굴곡이나 턱, 높이차등에 관계없이 안내레일이 갖는 길이만큼 높거나 낮은 곳에서 먼곳까지 이송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나, 지지다리의 하부에 축봉을 돌출형성하여 이동시 바퀴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다만 안내레일은 물품이 적재된 곳과 물품을 이송시켜 주고자 하는 곳의 높이차가 있을 경우 지지다리로부터 경사지게 되므로 지지다리로부터 안내레일의 회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긴 안내봉을 연결형성하여 안내레일의 안내관에 끼워 설치하고, 지지다리의 바퀴를 이용한 이동시에는 지지다리와 안내레일의 직각상태에서 연결구가 안내레일의 결합편에 결합고정되게 하여 수레와 같이 밀거나 당겨서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플렛포옴의 안내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괘도차는 무거운 물품의 적재시에도 안내레일의 경사가 완만한 경우에는 큰힘 들이지 않고 밀고 다닐수가 있으나, 작업조건상 안내레일의 급경사가 예상될 경우 안내레일의 양측 저면에 윈치를 부설하여 상기 윈치의 와이어로프가 갖는 후크를 괘도차에 연결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괘도차는 바퀴가 플렛포옴의 안내레일에 마주보게 형성된 안내홈 내에 끼워져 활주토록 한 것으로서, 이대 전후프레임은 밑판으로부터 절첩가능한 구조이면 만족한다.
다만 괘도차의 밑판은 주로 적재되는 물품의 상태나 이송대차의 이용여부에 따라 그 형상변경 내지는 안내판을 형성해 줄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로 화물자동차의 물품적재 및 하차용으로 이용되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나 또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품을 이송시켜 주고자 하는 곳에는 모두 이용가능하며 그에 따른 견고한 연결수단만 구비해 주면 된다.
도 1 :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 플렛포옴의 요부일부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 플렛포옴을 구성하는 안내대의 일부사시도
도 5 : 본 발명 플렛포옴의 지지다리와 연결구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윈치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 안내레일의 일부사시도
도 8 : 본 발명 안내레일의 일측을 화물자동차에 연결한 상태도
도 9 : 본 발명 괘도차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안내레일 (4)(6)--지지다리
(8)--플렛포옴 (10)--괘도차
(12)(14)--안내홈 (16)(18)--힌지
(20)--받침편 (24)(26)--안내관
(28)--결합홈 (30)--결합편
(32)(34)--연결구 (36)--사각결합공
(38)--몸체 (40)--손잡이
(42)--맞물림랙기어 (44)--스프링
(46)--안내봉 (48)--안정판
(50)--사각관체 (52)--랙기어
(54)--지지편 (56)--축봉
(58)--바퀴 (60)(62)--윈치
(64)--감속모터 (66)--권취롤러
(68)--훅 (70)--와이어로프
(72)--안내롤러 (74)(76)--연결고리
(78)(80)--받침돌봉 (82)(84)--걸림편
(86)--적재함문짝 (88)--바퀴
(90)--밑판 (92)(94)--프레임
(96)(98)--연결편 (100)--안내장공
(102)--지지관 (104)--결합돌편
(106)--연결축핀 (108)(110)--안내판
(112)(114)--경사판 (116)--적재판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긴 안내레일(2)과 지지다리(4)(6)를 갖는 플렛포옴(8)과, 상기 플렛포옴(8)에 활주가능케 설치되는 괘도차(1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 플렛포옴의 요부사시도로서, 플렛포옴(8)의 안내레일(2)은 안내홈(12)(14)이 마주하는 구조로서, 좌우분리구성하여 그 상부를 힌지(16)(18)로 절첩가능케 연결하고, 상기 좌우안내레일(2) 중 어느 한 안내레일의 연결부 저면에는 타측으로 일부돌출되는 받침편(20)을 전후에 용접고정하여 안내레일(2)의 펼침시 타측 안내레일의 연결부를 받쳐서 직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전후받침편(20)의 저면에는 적정직경을 갖는 두개의 안내관(24)(26)을 전후로 나란히 용접형성하고, 받침편(20)의 외면에 하부로 개방된 결합홈(28)을 갖는 결합편(30)을 각각 다른 안내관(24)(26)이 노출되게 용접형성하여 상기 결합편 (30)의 결합홈에 지지다리(4)(6)를 연결하는 연결구(32)(34)가 결합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지지다리(4)(6)를 연결하는 연결구(32)(34)는 좌우폭이 결합편 (30)의 결합홈(28)에 약간 헐겁게 결합될 수 있는 폭으로서, 사각결합공(36)이 상하로 관통형성된 몸체(38) 일측에 손잡이(40)를 갖는 맞물림 랙기어(42)가 스프링(44)으로 탄력설치하고, 그 후면에는 안내레일(2)의 안내관(24)(26) 직경보다 작은 긴 안내봉(46)을 용접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구(32)(34)를 통하여 안내레일(2)에 연결설치되는 지지다리(4)(6) 는 안정판(48)을 갖는 긴 사각관체(50) 일측면에 랙기어(52)를 상하로 형성하고,그 하부 후면에는 단부에 지지편(54)을 갖는 축봉(56)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축봉(56)에 바퀴(58)를 분리가능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플렛포옴(8)은 안내레일(2)에 윈치(60)(62)를 부설할 경우 괘도차 (10)를 보다 편리하게 운용할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윈치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윈치(60)(62)는 감속모터(64)와, 상기 감속모터의 축봉에 연결된 권취롤러(66)에 훅(68)을 갖는 와이어로프 (70)를 권취하여 구성하며, 안내레일(2)의 양측 저면에 부설하고, 훅(68)은 각각 안내레일(2) 양측의 안내롤러(72)를 통하여 안내레일(2)을 따라 활주하는 괘도차(10)의 연결고리(74)(76)와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 안내레일의 일부사시도로서, 본 발명이 주로 화물자동차의 물품적재나 적재된 물품의 하차용으로 이용될 경우 안내레일(2) 일측의 전후단부에는 받침돌봉(78)(80)을 외측으로 일부돌출되게 용접형성하고, 그 저면중앙부에는 하향절곡된 두개의 걸림편(82)(84)을 용접형성하여 화물자동차의 적재함문짝(86)을 개방한 상태에서 그 단부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 괘도차의 사시도로서, 괘도차(10)는 네개의 바퀴(88)와 연결고리(74)(76)를 갖는 밑판(90)과, 상기 밑판(90)으로부터 절첩가능케 연결설치되는 전후프레임(92)(94)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결합공에 결합되는 연결대(96)(98)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바퀴(88)는 안내레일(2)의 안내홈(12)(14)내에 약간 헐겁게 결합될 수 있는 직경으로서, 밑판(90)의 양측 전후에 연결설치하고, 상기 밑판(90)의사방모서리부에는 각기 전후 마주하는 개방부와 일측면의 긴 안내장공(100) 그리고 타측면 상부의 요홈으로 구성된 사각지지관(102)을 적정길이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각 지지관(102) 내에는 각기 내측면에 결합돌편(104)을 갖는 프레임(92)(94)의 사각봉을 약간 헐겁게 삽입한 다음 지지관의 안내장공(100)을 통하여 사각봉의 하단부에 연결축핀(106)을 체결고정하여 밑판(90)으로부터 프레임(92)(94)의 절첩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프레임 상면 양측에는 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결합봉이 하향절곡된 연결대(96)(98)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토록 한다.
또한 괘도차(10)에 적재되는 물품은 전체 무게나 부피등에서만 제약될뿐 구분없이 적재가능하나, 물품이 물류창고 전용이동대차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는 밑판(90)의 바닥면에 이송대차가 주행할 수 있는 안내판(108)(110)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판의 양단부에는 경사판(112)(114)을 절첩가능케 연결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나, 본 발명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발명은 힌지(16)(18)를 이용하여 플렛포옴(8)의 안내레일(2)을 펼치고, 지지다리(4)(6)를 연결하는 연결구(32)(34)의 안내봉(46)을 안내관(24)(26)에 약간 헐겁게 삽입하고, 상기 연결구(32)(34)에 지지다리(4)(6)를 결합하고, 안내레일(2)의 마주하는 안내홈(12)(14) 사이에 괘도차(10)의 바퀴(88)를 결합하여 괘도차가 안내레일을 따라 활주가능토록 한다.
이때 안내레일(2)은 연결부 상부의 힌지(16)(18)를 이용한 펼침시 그 하부는 일측 안내레일에 용접고정된 받침편(20)이 받쳐주게 되므로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다리(4)(6)를 연결하는 연결구(32)(34)는 그 후면안내봉(46)이 결합편(30)의 결합홈(28)을 통하여 노출되는 각기 다른 안내관(24)(26)에 약간 헐겁게 삽입되며, 깊숙히 삽입할 경우 연결구(32)(34)의 몸체(38)는 결합편(30)의 결합홈(28)에 결합되어 지지다리(4)(6)를 안내레일(2)로부터 직각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32)(34)에 결합되는 지지다리(4)(6)는 사각관체(50)를 통하여 연결구(32)(34)의 사각결합공(36)저부로부터 결합하게 되면, 사각관체(50)일면에 형성된 랙기어(52)가 연결구(32)(34)일측에 설치된 맞물림 랙기어(42)과의 치합으로 해당높이로 고정된다.
이때 연결구(32)(34)의 맞물림 랙기어(42)는 도5에서와 같이 스프링(44)으로 탄력설치되는바, 손잡이(40)를 이용한 후퇴시 지지다리(4)(6)의 랙기어(52)와 분리되므로 지지다리(4)(6)로부터 안내레일(2)의 높낮이를 조정해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4)(6)는 이동시 그 하부측면에 돌출형성된 축봉(56)의 지지편(54)을 수평유지한 상태에서 바퀴(58)를 결합해주게 되면, 상기 바퀴(58)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플랫포옴(8)의 안내레일(2)에 활주가능케 결합된 괘도차(10)는 밑판(90)의 지지관(102)을 이용하여 전후프레임(92)(94)을 수직고정하고, 그 상면 양측에 형성된 수개의 결합공을 통하여 연결대(96)(98)를 연결해 주게 되면, 전후프레임(92)(94)이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괘도차(10)의 연결고리(74)(76)에는 윈치(60)(62)의 훅(68)을 연결해주게 되면 윈치(60)(62)의 작동으로 안내레일(2)을 따라 활주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한 물품이송시에는 도8에서와 같이 적재함문짝(86)을 개방한 상태에서 안내레일(2)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편(82)(84)을 문짝(86)과 적재판(116)사이에 갖는 홈에 결합해주게 되면 그 전후에 돌출형성된 받침돌봉(78) (80)은 적재판(116)상면과 접하여 지지해주게 되는바 자동차적재함 단부에 견고히 연결되므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한 물품이송시에는 주차된 화물자동차로부터 펼친 안내레일(2)이 갖는 길이만큼 먼곳의 지면상에 물품을 이송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안내레일(2)은 적재함문짝(86)을 개방한 상태에서 안내레일(2)일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걸림편(82)(84)을 문짝(86)과 적재판(116)사이에 갖는 틈에 결합해주게 되면, 그 전후에 돌출형성된 받침돌봉(78)(80)은 적재판(116)상면에 접하여 지지되므로 견고히 연결되고 또 통상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은 후방뿐 아니라 좌우후방에도 문짝을 갖게 되므로 주차된 화물자동차로부터 물품을 싣거나 내려주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후방은 물론 양방향으로도 아무런 불편없이 이용할 수가 있다.
이때 지지다리(4)(6)를 연결하는 연결구(32)(34)는 결합편(30)의 결합홈(28)으로부터 이탈시켜주어야만 수직고정되는 지지다리(4)(6)로부터 안내레일(2)의 경사조정이 가능하고 또 연결구(32)(34)의 맞물림 랙기어(42)의 손잡이(40)를 잡고 당겨서 후퇴시켜주게 되면, 지지다리(4)(6)측면의 랙기어(52)와 분리되므로 안내레일(2)이 적재함으로부터 물품을 싣거나 내리고자하는 곳과의 사이에 직선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당기고 있던 맞물림 랙기어(42)의 손잡이(40)를 놓아주게 되면 지지다리(4)(6)의 랙기어(52)와 치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지지다리(4)(6)가 긴 안내레일(2)의 중앙부를 받쳐주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후 다른 작업장이나 또는 보관장소로 이동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다리(4)(6)의 하부후면에 돌출형성된 축봉(56)에 바퀴(58)를 끼워 설치하고, 지지다리(4)(6)를 연결하는 연결구(32)(34)의 몸체(38)를 결합편(30)의 결합홈(28)에 깊숙히 삽입하여 지지다리(4)(6)로부터 안내레일(2)을 직각고정한 다음, 안내레일(2)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이동하면 된다.
또한 보관시에는 플렛포옴(8)로부터 괘도차(10)를 분리한 다음 플렛포옴(8)의 긴 안내레일(2)을 힌지(16)(18)를 이용하여 절첩하고, 지지다리(4)(6)는 연결구(32)(34)를 결합편(30)의 결합홈(28)으로부터 분리하여 안내봉(46)을 축으로 안내레일(2)과 나란하도록 회전시켜 주면 되며, 괘도차(10)는 전후프레임(92)(94)을 연결하는 연결대(96)(98)를 분리하고, 전후프레임(92)(94)을 밑판(90)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전후프레임(92)(94)의 사각봉이 갖는 결합돌편(104)을 각 지지관(102)의 요홈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연결축핀(106)을 축으로 회전시켜서 절첩해주게 되면 부피가 최소화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값싼 경비로 제작할 수가 있고 또 사용이 편리하며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절첩할 수 있으면서도 시설된 독(Dock)의 높낮이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이 갖는 높낮이와 상이한 물류창고는 물론 주차시설이 미비한 소형 물류창고와 도로를 끼고 있는 일반상가 등에도 주차가능한 곳으로부터 안내레일(2)이 갖는 길이범위내에서는 원하는 지점에서 물건을 싣거나 운반된 물품을 내려줄 수가 있고 또 적재함의 측문짝을 열고 측방향으로도 이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힌지(16)(18)로 연결되는 긴 안내레일(2)과, 상기 안내레일(2)을 받쳐주는 받침편(20)과, 상기 받침편(20)외측의 결합편(30)과, 저면에 전구로 나란히 형성된 안내관(24)(26)과, 상기 결합편(30)의 결합홈(28)에 결합되는 몸체(38)와, 안내관 (24)(26)에 삽입되는 안내봉(46)을 갖고, 그 일측에는 스프링(44)으로 탄력설치되는 맞물림 랙기어(42)를 갖는 연결구(32)(34)와, 상기 연결구(32)(34)의 사각 결합공(36)에 결합되고, 그 일면의 랙기어(52)가 연결구의 맞물림 랙기어(42)와 치합되는 지지다리(4)(6)로 플렛포옴(8)을 구성하고, 상기 플렛포옴(8)에는 바퀴(88)를 갖는 밑판(90)과, 상기 밑판(90)으로부터 절첩가능케 연결되는 전후프레임(92)(94)과, 상기 전후 프레임(92)(94)을 연결하는 연결대(96)(98)로 구성되는 괘도차(10)를 활주가능케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플렛포음(8)의 안내레일(2)에는 윈치(60)(62)를 갖도록 하여 상기 윈치(68)를 괘도차(10)의 연결고리(74)(76)에 연결하여 괘도차(10)를 이동수단으로 이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플렛포옴(8)이 갖는 지지다리(4)(6)의 하부후방에 축봉(56)을 돌출형성하여 바퀴(58)를 선택적으로 연결설치하여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플렛포옴(8)의 안내레일(2) 일측단부 중 전후에는 받침돌봉 (78)(80)을 갖도록 하고, 그 중앙부에는 하향절곡된 두개의 걸림편(92)(94)을 갖도록 하여 화물자동차의 개방된 적재함문짝(86)과 적재판(116)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연결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괘도차(10)의 밑판(90)은 일반적인 물품이송대차를 안내하는 안내판(108)(110)과, 상기 안내판 양단부에 연결설치되는 경사판(112)(114)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송장치.
KR1020000056953A 2000-09-28 2000-09-28 물품이송장치 KR10035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953A KR100353963B1 (ko) 2000-09-28 2000-09-28 물품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953A KR100353963B1 (ko) 2000-09-28 2000-09-28 물품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294A KR20020025294A (ko) 2002-04-04
KR100353963B1 true KR100353963B1 (ko) 2002-09-27

Family

ID=1969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953A KR100353963B1 (ko) 2000-09-28 2000-09-28 물품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9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2905A (en) * 1976-03-18 1977-09-21 Ube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luggage loaded on vehicle with cove r
JPS5943257B2 (ja) * 1978-10-27 1984-10-20 日本鋼管株式会社 ロ−ル状被加工物の放電加工装置
US4715769A (en) * 1986-04-17 1987-12-29 Kirtley Robert E Rail supported articulated climbing dolly
JPS6417154A (en) * 1987-07-10 1989-01-20 Toshiba Corp Medical picture storing/displaying device
JPH01120955A (ja) * 1987-11-05 1989-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画像複写装置
JPH0354457Y2 (ko) * 1985-05-11 1991-12-02
JPH0728134Y2 (ja) * 1989-03-10 1995-06-28 三菱樹脂株式会社 ロール状物の包装体
JPH09104534A (ja) * 1995-10-06 1997-04-22 Fukuda Eng Kk コンテナ・ローダ/アンローダのブーム揺れ止め機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2905A (en) * 1976-03-18 1977-09-21 Ube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luggage loaded on vehicle with cove r
JPS5943257B2 (ja) * 1978-10-27 1984-10-20 日本鋼管株式会社 ロ−ル状被加工物の放電加工装置
JPH0354457Y2 (ko) * 1985-05-11 1991-12-02
US4715769A (en) * 1986-04-17 1987-12-29 Kirtley Robert E Rail supported articulated climbing dolly
JPS6417154A (en) * 1987-07-10 1989-01-20 Toshiba Corp Medical picture storing/displaying device
JPH01120955A (ja) * 1987-11-05 1989-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画像複写装置
JPH0728134Y2 (ja) * 1989-03-10 1995-06-28 三菱樹脂株式会社 ロール状物の包装体
JPH09104534A (ja) * 1995-10-06 1997-04-22 Fukuda Eng Kk コンテナ・ローダ/アンローダのブーム揺れ止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294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831B2 (en) Low headroom telescoping bridge crane system
JP2610079B2 (ja) 細長い車輌支持フレーム
US9643666B2 (en) Removable supporting cross-member provided with an adjustable-height fifth wheel for supporting a semi-trailer during the loading, rail transport and unloading thereof
US10654396B2 (en) Motorcycle carrier with retractable wheels
US4740132A (en) Device for handling containers
US9428156B2 (en) Vehicle transportation, storage, and maintenance assemblies and methods
JPS60204598A (ja) 床面運搬機の載設法と床面運搬機の構成
US7195106B2 (en) Motorized platform for lifting objects
US53164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uling material objects
KR100353963B1 (ko) 물품이송장치
EP1218282B1 (en) Lift-truck
EP1732797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a swap body
CN112793608A (zh) 运输车
US2854158A (en)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ruck-trailers and railroad cars
CN219487480U (zh) 一种三合一推车
CN219523938U (zh) 一种四合一推车
JPS64242B2 (ko)
JP4482218B2 (ja) 荷物運搬装置
JP3240016U (ja) ケーブルドラムの搬送台車
RU186361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2003534216A (ja) 車載方法およびシステム
PL223301B1 (pl) Zestaw transportowy
PL241884B1 (pl) Wózek dostawczy lekki dla samochodów typu combi i van
JP3616747B2 (ja) 荷積み降ろし装置
JPH0271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