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572B1 - 연료압력진공반응식비귀환연료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압력진공반응식비귀환연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572B1
KR100351572B1 KR1019960706315A KR19960706315A KR100351572B1 KR 100351572 B1 KR100351572 B1 KR 100351572B1 KR 1019960706315 A KR1019960706315 A KR 1019960706315A KR 19960706315 A KR19960706315 A KR 19960706315A KR 100351572 B1 KR100351572 B1 KR 100351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ressure
sphere
check valv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965A (ko
Inventor
제이. 혼비 마이클
에스. 로빈슨 바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비디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비디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멘스 비디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70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레일(12)용의 연료압력 레귤레이터 밸브(16)는 탱크가 장착된 연료펌프와 연료레일 사이에 단일 도관만을 필요로 하므로 그 결과 과잉 연료를 탱크에 귀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추가 귀환도관의 필요성을 제거하게 한다. 이것은 레귤레이터의 연료챔버(52)에 맞추어서 유입구(92)내에서 스프링 가압식 체크밸브(74)에 의해 행해진다, 체크밸브(74)는 펌프로부터 레귤레이터의 연료챔버내로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가압되나 레일내의 압력이 일정한 레벨 밑으로 하강할 때 레귤레이터의 제어챔버(54)로부터 레귤레이터의 연료챔버(52)를 분리시키는 다이어프램(40) 상의 기둥은 펌프로 급송된 연료가 레귤레이터의 연료챔버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연료 인젝터에 맞추어 연료레일내로 넘어가도록 체크밸브내의 구형(球刑) 밸브구성요소(74)를 시트에서 이탈시킨다. 압력이 일정한 압력이상으로 조성되었을 때 구는 또다시 폐쇄된다. 과잉 압력은 구가 시트에서 이탈되게 하는 구(74)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경감되며 그 결과 과잉 연료가 압력 레귤레이터 유입구를 통해 나가게 한다.

Description

연료압력 진공반응식 비귀환 연료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는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를 수용하는 연료레일 조립체의 유입구 끝부분을 통해 본 길이방향의 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서 화살표(2-2) 방향에서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되며 예시적 목적만을 위해 일정한 부품이 생략된 완전 가로 단면도,
제 3도는 대체로 제 2도의 화살표(3-3) 방향에서 절단한 제 1도의 부분에 대한 확대도,
제 4도는 제 3도와 동일하나 하나의 상이한 작동조건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 5도는 제 3도와 동일하나 또다른 상이한 작동조건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 6도는 제 3도와 동일하나 아직도 또다른 상이한 작동조건을 도시하는 도면,
제 7도는 제 1도의 도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보이게 도시된 제 1도의 부품중의 하나에 대한 확대입면도,
제 8도는 제 7도의 바닥 끝에 대한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대체로 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하는 내연기관의 연료시스템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작동식 연료 인젝터를 수용하는 연료레일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신규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는 과잉 연료를 연료레일 조립체로부터 연료탱크까지 귀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귀환 도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귀환(끝이 막힌)연료레일 조립체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 및 개요
본 발명자가 1995년 7월 25일 특허발행된 동시 계류중 통상 양도한 미국특허 제 5,435,344호는 연료탱크내에 배치되어 있는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압력 레귤레이터가 과잉 연료를 연료탱크 내측 연료 공급선으로 넘쳐 흘리게 할지라도 압력 레귤레이터가 연료레일 조립체상에 있기 보다는 탱크 내측에 있으므로 이 종류의 시스템은 엔진으로부터 탱크까지의 별도의 귀환 도관의 사용을 피하게 한다. 귀환 도관을 제거함으로써 뜻있는 원가절감과 공간절약을 종종 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할 때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를 연료레일 조립체로부터 더 멀리 위치시키게 되어 이 원거리는 연료레일 조립체의 성능상에 원치않는 결과를 강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조처를 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욱이 탱크가 장착된 압력 레귤레이터는 통상 흡입 매니폴드의 진공을 직접 보상하기 위하여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엔진 매니폴드 진공이 압력 레귤레이터에 전하게 되어야 할지라도 엔진으로부터 연료 탱크까지의 진공 도관은 필요할 것이며 이에 따라 적어도 어느정도 까지는 연료 귀환 도관을 제거시키는 의도는 좌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이며 독특한 연료압력 레귤레이터 쌍방이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를, 연료 인젝터에 인접할 수 있으며 연료레일 조립체로부터 탱크까지의 별도의 연료 귀환 도관을 사용하지 않는 연료레일 조립체상에 장착가능하게 하는 신규의 독특한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는 흡입 매니폴드 진공이 엔진의 유도시스템상의 인접 진공 유입구로부터 짧은 도관을 통해 편리하게 전달될 수 있는 제어 챔버에 의해 흡입 매니폴드의 진공보상을 유지한다.
그 이상의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알게될 것이다. 청구범위와 도면은 설명을 동반하며, 도면과 설명은 이 시점에서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하여 의도된 최선의 모드를 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 1도는 통로의 길이를 따라 여러가지 위치에서 다수의 전기 작동식 연료 인젝터(1)에 연료를 공급하는 주 연료통로(13)를 갖춘 연료레일(12)로 구성되는 연료레일 조립체(10)를 도시한다. 연료 인젝터(1)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개략도로서만 표시되어 있다. 연료레일(12)은 함께 조립된 금속 부품으로부터 또는 도면에서 실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복합재료로부터 모든 종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료레일(12)은 축선이 이 연료레일의 길이에 대해 가로지르며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고 있는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가 O링 밀봉수단(17)의 도움으로 유체가 새지 않는 방식으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일체식 원통형 소켓(14)을 포함한다. 소켓(14)은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를 수용하며 그리고 제거가능한 포크식 지지클립(18)을 사용하여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분리가능한 지지를 위해 설치되도록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 연료 유입구 끝에서 연료레일(12)은 연료레일의 길이와 동축으로 되어 있는 제2 일체식 원통형 소켓(20)을 포함한다. 소켓(20)은 한쪽 축선 끝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 후자의 위치에서 소켓의 내경을 계속해서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향하는 축선 끝에 2개의 내부 숄더를 갖추고 있으나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에 통하는 짧은 통로(22)와의 연통을 위하여 끝이 개방되어 있다. 유입구 연결자 피팅필터 카트리지와 하우징 조립체(24)의 결합체는 연료공급도관으로부터 통로(22) 까지 연료를 운반하기 위하여 그리고 공정중에 연료를 여과하기 위하여 소켓(20)과 결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필터 카트리지와 조립체(24)의 하우징 부분은 소켓(20)내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이 조립체의 유입구 연결자 피팅부분은 원격으로 위치된 연료탱크(T)상에 장착된 펌프(P)로부터 연료레일 조립체에 가압된 연료를 송달시키는 연료공급도관상의 접합 연결자(도시안됨)를 연결하는데 이 피팅부분이 이용가능한 소켓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의 목적중의 하나는 물론 연료압력이 펌프압력을 따라가게 하기 보다는 상당히 잘 제어된 연료압력을 주 연료통로(13)내에서 유지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연료시스템은 펌프(P)와 연료레일 조립체 사이에 배치된 압력방출밸브(PRV)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 PRV는 펌프(P)의 유출구와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의 유입구 사이의 압력이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에 의해 주 연료통로(13)에 구비되어 있는 조절압력보다 어느 정도의 양이 높은 압력을 초과할 때 개방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예컨대 조절압력이 345 Kpa (50 psi)라고 하면 PRV는 413 Kpa(60 psi)에서 개방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또 연료를 탱크에 귀환시키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조립체(24)는 관형 필터 카트리지(26)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하우징(25)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은 유체가 새지 않는 방식으로 소켓(20)의 내부 끝에 보충으로 끼워지는 네크(27)를 갖추고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 벽은 연결자 퍼팅부분이 접합되는 입구와 네크(27)에 의해 형성된 출구를 제외하면 개구가 없다. 카트리지 하우징 부분이 소켓(20)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 클립(18)과 동일한 포크식 유지클립(28)은 연결자 피팅부분이 그 끝벽과 일체식으로 접합하는 양 측면에 있는 위치에서 카트리지 하우징의 끝벽과 맞물리므로써 적소에 조립체(24)를 지지하도록 소켓의 개구 끝에 가장 가까운 소켓 벽과 맞물려 있다. 유지 클립은 완전히 설치되었을 때 소켓의 가장자리 위에 자동지지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유지 클립(28)의 상세내용과 소켓 끝과의 결합상태는 본 출원의 발명자 중의 한 발명자가 1995년 7월 18일 특허발행된 동시계류중 통상 양도한 미국특허 제 5,433,241호의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연료필터 모들"에 표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 특허에는 유지 클립과 이 유지 클립의 소켓과의 기능상의 결합 그리고 소켓내에 유지 클립이 유지되는 장치에 대한 상세내용을 제시하는 목적이 여기에 참고로 개시되어 있다.
필터 카트리지(26)는 카트리지 하우징내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어 흐름경로(29)는 연료 유입구로부터 통로(22)까지 연장되어 있는 화살표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24)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필터 카트리지는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일정한 외부물질을 여과할 것이므로 이 물질은 연료압력 레귤레이터 또는 연료 인젝터에 도달되지 않는다. 소켓(14)의 바닥은 통로(22)를 가로지르는 구멍(30)을갖추고 있다. 소켓은, 도시되었으며 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멍의 벽과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관형부분 사이를 밀봉시키도록 구멍(30)내에 배치되어 있는 O링 밀봉수단(33)에 의해 구멍(30) 주위를 그러나 구멍(30)을 밀봉하여 배치되어 있는 환형벽(31)을 더 포함한다. 그결과 벽(31)은 주 연료탱크(13)로 통해 있다.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는 하우징(32)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끝 사이에서 대략 중간 쯤에 있는 하우징(32)의 외측 주위에 뻗어 있는 플랜지(38)를 형성하도록 직면하는 림에서 접합하여 밀봉되어 있는 2개의 프레스 성형된 금속 컵(34, 36)으로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 하우징(32)을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38)를 포함하는 밀봉된 조인트는 환형 외부부분(42)과 중실의 중앙부분(44)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식 벽(40)의 반경방향으로 외부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중실의 중앙부분(44)은 링(46)에 의해 부분(42)의 반경방향으로 내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밀봉되어 지지되어 있다. 중앙부분(44)은 반경방향으로 외부로 향한 플랜지(50)에 의해 한정된 대체로 원통형 몸체(48)를 포함한다. 플랜지(50)는 부분(42)의 한쪽 측면상에 반경방향으로 내부 가장자리를 향해 배치되어 있는 한편 링(46)은 부분(42)의 내부 가장자리를 밀봉 방식으로 플랜지(50)를 마주 대하여 끼우도록 대향 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부분(44)의 몸체(48)의 한 부분은, 링(46)이 모든 적합한 방식으로 몸체(48)에 체결되게 하여 그 결과 부분(44, 46, 42)이 일제히 이동되게 결합되는 한편 부분(42)의 반경방향으로 외부 가장자리가 플랜지(38)에서 고정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부분(42)의 개방중심을 통해 돌출한다.
이동식 벽(40)은 하우징(32)을 연료 챔버(52)와 제어 챔버(54)로 분류한다. 제어 챔버(54)는 컵(34)의 축방향의 끝벽(58)과 플랜지(50) 사이에 배치된 나선형 코일 압축 스프링(56)을 수용하며, 이 끝벽(58)은 스프링(56)의 한쪽 끝을 위한 적합한 시트(60)를 구비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져 있고 몸체(48)의 직경은 스프링의 다른 한쪽 끝을 위한 스프링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플랜지(50)에 맞추어 충분한 치수로 되어 있다. 스프링(56)은 연료챔버(52)의 크기를 동시에 감소시키는 비용으로 챔버(54)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식 벽(4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스프링 시트(60)의 중심에서, 끝벽(58)은 하우징(32)의 외부로 돌출되는 니플(62)을 형성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 컵(36)은 니플(62)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하우징(32)에서 멀리 뻗어 있는 원통형 네크(66)로 통하는 숄더(64)를 형성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 니플(62)과 네크(66)는 서로 동축으로 되어 있으며 하우징(32)의 길이방향의 주축선(68)과 일치한다. 숄더(64)는 연료챔버(52)와 벽(31) 사이에 유체의 연통을 구비하도록 원주주위의 특정위치에 분배된 몇개의 구멍(65)을 수용한다.
제 2도 내지 제 6도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체크 밸브 조립체(70)는 축선(68)과 동축인 컵(36)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대체로 관형인 몸체(72), 구(74), 및 나선형 코일 압축 스프링(76)으로 구성된다. 몸체(72)의 외경은 내부로 향한 원형 플랜지(7a) 및 원형 개구(77)를 그 말단 끝에 갖추고 있는 네크(80)를 몸체(72)에 발생시키는 숄더(78)를 포함한다. 네크(80)는, 연료챔버(52)내에 배치된몸체(72)의 약간 큰 직경부분인 잔여부분은 남겨 놓고 숄더(64)의 반경방향으로 내부 가장자리위에 착좌(着座)되어 있는 숄더(78)에, 유체가 새지 않는 방식으로 네크(66) 내측에서 끼워진다.
몸체(72)의 내경은 축방향으로 계속해서 3개의 특이한 절단부(82, 84, 86)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관통 통로(81)를 포함한다. 제1 절단부(82)는 원주로 분배되어 축선(68)에 평행하는 일련의 축방향의 홈(88)(제 2도)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절단부(82)의 내경은 절단부(82)의 원주로 분배된 일련의 리지(ridge)(90)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구(74)의 직경은 이 구가 절단부(82)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충족히 작으며 이동중 리지(90)에 의해 형성된 공칭 내경에 의해 안내되므로 반경방향의 모든 유극(遊隙)이 최소로 유지된다. 제2 절단부(84)는 본래 반경방향으로 내부 가장자리가 구(74)를 위한 원형 시트(85)를 형성하는 숄더이다. 절단부(86)는 시트(85)로부터 몸체(72)의 가장 가까운 축방향의 끝벽을 통해 있는 단지 작은 원형구멍이다.
스프링(76)은 밸브시트(85)와의 착좌 맞물림이 되도록 구(74)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플랜지(79)와 구(7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도 및 제 3도는 시트(85)로부터 약간 이탈되어 있는 구를 도시한다. 구(74)는 이 구가 통로(81)를 통하는 흐름을 차단하는 시트(85)상의 착좌위치로부터, 이 구가 스프링(76)에 대항하여 시트(81)로부터 점진적으로 변위되는 만큼 시트로부터의 이탈의 점진적인 증대정도를 표시하는 시트 이탈위치까지 뻗어 있는 위치범위에 걸치어 관통 통로(81)내에서 선택적으로 축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밸브 구성요소로서 작용한다. 제 4도는최대의 시트이탈위치를 도시하는 한편 제 5도 및 제 6도는 쌍방이 시트에 착좌된 구를 도시한다.
네크(66)의 단말 끝은 통로(22)내의 연료와의 유체의 연통이 될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용의 원형 유입 개구(92)의 경계를 정하는 반경방향 내부로 향한 짧은 플랜지(91)를 포함한다. 개구(92)는 개구(77)를 통해 체크 밸브 조립체(70)내로 유입되는 연료를 위해 구비된다.
짧은 기둥(94)은 구멍(86)과 정렬된 몸체(48)로부터 중심으로 매달려 있으며 이동식 벽(40)의 위치에 좌우되어 구(74)상에 작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 그 결과 구상에 작용하는 힘에 좌우된다. 챔버(52)와 챔버(54)내의 압력이 동등할 때 스프링(56)은 이동식 벽(40)을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기둥(94)의 팁 끝이 절단부(86)내의 포트(14)를 통과하게 하여 구(74)를 시트에서 이탈하게 하며, 구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이동중의 스프링(76)을 제 4도에 도시된 위치와 동일위치로 가압한다. 기둥(94)에 의해 구(74) 상에 가해진 힘이 제 4도에 표시된 구로부터 감소됨에 따라 이 구는 시트(85) 쪽으로 이동한다. 이 힘이 일정한 크기까지 감소될 때 구는 제 6도에서와 같이 시트상에 착좌될 것이며 이 힘이 그 이상으로 감소되면 기둥(94)은 제 5도에서와 같이 구(74)에서 상승될 것이다. 구(74)가 시트(85)에서 이탈될 때마다 통로(81)는 개방되어, 연료가 체크 밸브 조립체(70), 연료 챔버(52), 구멍(65), 벽(31), 및 주 연료통로(13)를 통과하여 연료 인젝터(1)로 흐르게 한다. 이것은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44)의 몸체(48)가, 절단부(86)내의 포트를 수용하는 몸체(72)의 끝벽 상에서 바닥에 이를지라도 마찬가지인데, 그 이유는 몸체(48)의 바닥이 절단부(86)내의 포트와 연료챔버(52)와의 연통을 유지하는 몇개의 반경방향의 채널(89)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압력 조절작용이 구(74)를 시트(85)에 맞추어서 위치시키도록 노력하므로 연료의 정확한 양은 연료 인젝터의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압력 레귤레이터를 통해 흐른다.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개방의 정도는 더 커질 것이다. 수요가 감소됨에 따라 개방의 정도는 더 적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든 수요 조건하에서는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는 주 연료통로(13)내에서 원하는 압력을 유지한다. 흡입 매니폴드 진공에 대한 제어 챔버(54)의 연통 효과로 인하여 흡입 매니폴드 진공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엔진 작동의 전형적인 변화는 원하는 압력이 흡입 매니폴드 진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든 연료 인젝터에서 유지되도록 보정된다.
과잉 연료를 탱크까지 귀환시키기 위한 단독 귀환 도관은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에 대한 본 발명의 구조로 인하여 필요하지 않다. 구(74)가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를 통하는 흐름을 차단하는 시트(85)상에 착좌할 때마다 주 연료통로(13)와 연료챔버(52)내의 압력이 체크 밸브 조립체(70)의 설계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압력을 넘어서 상승하면, 연료챔버(52)에 노출된 구(74)의 해당 부분에 작용하는 연료챔버(52)내의 압력은 압력 레귤레이터가 개방되기에 충분하게 구를 변위시킬 것이므로 통로(13)와 연료챔버(52) 내의 과잉 압력은 경감될 것이다. 이것은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고 온도가 상승될 때 발생된다. 과잉 연료는 구멍(30), 통로(22), 및 조립체(24)를 통과할 것이다. PRV가 연료레일과 펌프(P) 사이의 압력을 앞세어 설명한 이 413 Kpa (60 psi)의 세팅으로 제한한다 하더라도 연료압력 레귤레이터를개방시키게 하는 PRV 세팅 이상의 연료 레일벽내의 압력은 구(74)를 시트(85)상에 재차 착좌시킴으로써 연료압력 레귤레이터가 재차 폐쇄되기 전에 반드시 PRV 세팅으로 경감될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에 정통한 당해업자는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 내에서의 연료압력 조절작용은 연료압력이 엔진의 작동상태의 전형적인 범위에 걸치어 모든 인젝터에서 유지되도록 최소의 변동으로 발생되게 의도되어 있다. 모든 특정한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실제 설계는 조절압력, 연료 인젝터의 수량 동등의 여러가지 인자에 좌우될 것이며, 종래의 공학적 계산은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고 있는 소정의 모든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여러가지 부품의 치수와 특성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체크 밸브 조립체(70)는 연료챔버(52)내의 연료에 노출되어 있는 절단부(86)내의 제1 포트와 펌프압력에 노출되어 있는 제2 포트(77)를 갖추고 있는 평상상태에서는 폐쇄된 체크 밸브 수단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구(74)는 흐름이 상기 제1 포트로부터 상기 제2 포트까지 유리한 흐름방향(즉, 절단부(86)내의 포트로부터 개구(77)까지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그리고 흐름이 대향(즉, 불리한)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스프링(76)에 의해 가압된다. 구(74)는 개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연료챔버(52)내의 연료압력이 유입구에서의 연료압력을 초과할 때마다 유리한 방향으로 통로(81)를 통해 연료챔버(52)로부터 소정의 차이로 압력 레귤레이터까지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게다가 이동식 벽(40)에 의한 기둥(94)의 작동은 흐름이 연료 인젝터의 원하는 연료 조절압력 밑으로 하강하는 연료챔버(52)내의 연료압력에 연통하여 불리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시트(85)로부터 이탈되게 구(74)를 가압할 것이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는 한편 원리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와 관련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연료 인젝터(1)를 가진 연료레일(12), 연료펌프(P), 연료펌프의 압력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력방출밸브(PRV)로서 이 압력방출밸브의 출력은 연료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방출밸브를 갖추고 있는 연료분사식 내연기관용의 연료압력 진공반응식 비귀환 연료시스템에 있어서,
    연료레일의 주 연료통로(13)로부터 상류에 있는 연료레일(12)내에 몰딩성형되어 있으며, 연료레일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68)을 가지고 있는 제1 소켓(14);
    이 제1 소켓으로부터 상류에 있는 연료레일내에 몰딩성형되어 있으며, 연료레일의 축선에 평행하는 축선을 가지고 있는 제2 소켓(20);
    상기 제2 소켓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모든 오염물질을 여과해 내기 위한 압력방출밸브로부터 모든 연료를 수용하는 여과수단(24);
    상기 제1 소켓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압력방출밸브(PRV)의 압력 이하의 압력에서 연료레일(12)내의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엔진 흡입 매니폴드 압력에 연동하여 작동가능하고, 상기 여과수단으로부터 여과된 연료를 수용하며 연료챔버(52)를 갖추고 있는 연료압력 레귤레이터(16)를 통하는 흐름; 및
    상기 연료챔버(52)내의 연료에 노출되어 있는 제1 포트(86)와 상기 여과수단으로부터 연료를 수용하는 제2 포트(77)를 갖추고 있으며, 흐름이 상기 제1 포트(86)로부터 상기 제2 포트(77)까지 유리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며 흐름이 상기제2 포트로부터 상기 제1 포트까지 불리한 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수단(76)을 가압한 평상상태에서는 폐쇄된 체크밸브수단(70); 과
    흐름이 상기 여과수단으로부터 연료 인젝터의 원하는 연료조절압력 밑으로 하강하는 상기 연료챔버내의 연료압력에 연동하여 분리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상기 체크밸브 수단을 개방하는 가압수단(94);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귀환 연료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수단(70)의 상기 가압수단(76)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는 밸브 구성요소(74)를 포함하며, 또 상기 가압수단(94)은 상기 체크밸브수단의 몸체상의 밸브시트(85)로부터 상기 밸브 구성요소를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체크밸브수단을 개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귀환 연료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성요소(74)는 구이며, 상기 체크밸브수단의 상기 몸체는 상기 밸브시트를 수용하며 내부에 상기 구가 배치되어 있는 관통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상기 구를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구와 맞물리도록 상기 관통통로내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귀환 연료시스템.
KR1019960706315A 1994-05-09 1995-04-27 연료압력진공반응식비귀환연료시스템 KR100351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39,661 US5413077A (en) 1994-05-09 1994-05-09 Non-return fuel system with fuel pressure vacuum response
US08/239,661 1994-05-09
PCT/US1995/005203 WO1995030831A1 (en) 1994-05-09 1995-04-27 Non-return fuel system with fuel pressure vacuum respon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965A KR970702965A (ko) 1997-06-10
KR100351572B1 true KR100351572B1 (ko) 2002-12-18

Family

ID=2290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315A KR100351572B1 (ko) 1994-05-09 1995-04-27 연료압력진공반응식비귀환연료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13077A (ko)
EP (1) EP0759122B1 (ko)
KR (1) KR100351572B1 (ko)
CN (1) CN1061125C (ko)
DE (1) DE69508076T2 (ko)
WO (1) WO1995030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009A (en) * 1995-06-05 2000-05-02 Ford Motor Company Fluid pressure regulator
DE19523626A1 (de) * 1995-06-29 1997-01-02 Daimler Benz Ag Druckregelventil für in Verbrennungsmotoren einzuspritzenden Kraftstoff und Integration dieses Druckregelventils in ein Kraftstoffilter
JP3575124B2 (ja) * 1995-08-09 2004-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燃料供給装置
US5711275A (en) * 1995-09-01 1998-01-27 Nippondenso Co., Ltd. Fuel supply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601760B4 (de) * 1996-01-19 2005-04-21 Mahle Filtersysteme Gmbh Kraftstofffilter mit Druckregelventil
US5762047A (en) * 1996-02-14 1998-06-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supplying apparatus
US6014957A (en) 1996-11-27 2000-01-18 Siemens Automotive Corp. Fuel pump module for the fuel tank of an automotive vehicle
WO1998027333A1 (en) 1996-12-17 1998-06-2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supply system for a vehicle
US5934251A (en) * 1998-05-15 1999-08-1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system damper with vacuum bias
US5979409A (en) * 1998-09-22 1999-11-09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Integral returnless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injection system
US6296012B1 (en) * 1999-01-12 2001-10-02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pressure regulator with fuel temperature responsive shape memory calibration
JP2000265922A (ja) * 1999-03-16 2000-09-26 Honda Motor Co Ltd 燃料噴射装置
US6293259B1 (en) * 1999-05-14 2001-09-2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a pressure regulator without a movable diaphragm
US6155235A (en) 1999-05-14 2000-12-0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Pressure pulsation damper with integrated hot soak pressure control valve
US6325048B1 (en) * 1999-07-07 2001-12-04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Integrated mounting of a pressure regulator in an automotive fuel system
DE19933046B4 (de) 1999-07-15 2004-08-26 Siemens Ag In einem Kraftstoffbehälter anzuordnende Fördereinheit
KR20010048586A (ko) * 1999-11-27 2001-06-15 이계안 연료 공급 루트
DE60027846T2 (de) 1999-12-06 2006-11-30 Siemens Vdo Automotive Corp., Auburn Hills Filter für Druckregelungssystem
US6601565B2 (en) 2000-10-30 2003-08-05 Siemens Automotive Inc.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system
US6629543B2 (en) 2001-08-03 2003-10-07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system including a self-contained flow-through pressure regulator
US6748964B2 (en) 2001-08-03 2004-06-1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low-through pressure regulator self-contained valve assembly
KR20040054881A (ko) * 2002-12-18 200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
KR100692130B1 (ko) * 2004-09-09 2007-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의 인젝터 연료라인압 제거시스템
EP3421744B1 (en) * 2005-12-22 2022-05-04 Emitec Denmark A/S A fluid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7406954B2 (en) 2006-08-10 2008-08-05 Airtex Products Fuel pump check valve
US7481204B2 (en) * 2007-06-26 2009-01-27 Deere & Company Internal combustion engine flow regulating valve
DE102007052665A1 (de) * 2007-11-05 2009-05-07 Robert Bosch Gmbh Kraftstoffüberströmventil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und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mit Kraftstoffüberströmventil
US8302622B2 (en) * 2010-02-24 2012-11-0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Unbalanced inlet fuel tube for a fuel pressure regulator
CN103573499A (zh) * 2013-10-25 2014-02-12 安徽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燃油泵
US11754028B2 (en) * 2021-06-23 2023-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system diaphragm valv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960A (en) * 1982-05-14 1985-09-10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Fuel pressure regulator
US4660597A (en) * 1985-06-26 1987-04-28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Fuel pressure regulator
US5111793A (en) * 1989-03-30 1992-05-12 Mallory, Inc. Fuel pump regulator
US5133323A (en) * 1991-06-25 1992-07-28 Siemens Automotive L.P. Intake manifold pressure compensation for the closed-loop pressure regulation of a fuel pump
US5148792A (en) * 1992-01-03 1992-09-22 Walbro Corporation Pressure-responsive fuel delivery system
US5195494A (en) * 1992-02-27 1993-03-23 Walbro Corporation Fuel delivery system with outlet pressure regulation
US5265644A (en) * 1992-06-02 1993-11-30 Walbro Corporation Fuel pressure regulator
GB2268225B (en) * 1992-06-29 1995-07-05 Ford Motor Co A fuel supply arrangement
US5237975A (en) * 1992-10-27 1993-08-24 Ford Motor Company Returnless fuel deli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845A (zh) 1997-04-16
EP0759122A1 (en) 1997-02-26
DE69508076T2 (de) 1999-07-22
WO1995030831A1 (en) 1995-11-16
EP0759122B1 (en) 1999-03-03
CN1061125C (zh) 2001-01-24
DE69508076D1 (de) 1999-04-08
KR970702965A (ko) 1997-06-10
US5413077A (en) 199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572B1 (ko) 연료압력진공반응식비귀환연료시스템
US8459288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and regulator for gas
EP0553221B1 (en) Fuel rail mounted fuel pressure regulator
US6629544B2 (en) Gas pressure-reducing valve
US5613476A (en) Fuel supply device
KR100300740B1 (ko) 압력조절밸브및이를이용한연료공급장치
US4327767A (en) Pressure control valve
US6568375B2 (en) Vehicl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P0198381B1 (en) Fuel pressure regulator
WO2005031201A1 (en) Pressure regulator assembly
EP0307532A2 (en) Fuel pressure regulator
US7210460B2 (en) Bypass pressure regulator
US4774923A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US6293259B1 (en)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a pressure regulator without a movable diaphragm
CN100507257C (zh) 用于燃料供给系统的阀及过滤装置
JP4877845B2 (ja) 燃料供給装置
US6318405B1 (en) Fuel pressure regulator with fluidic assist
US6311673B1 (en) Fuel injection device
US6382183B1 (en) Fuel system pressure regulator
CN219974649U (zh) 燃气减压阀
WO2011094479A2 (en) Compact flow-through fuel pressure regulator
EP0524735A1 (en) Pressure regulator
JPH08334078A (ja) 流体圧力調整器
US3091926A (en) Oil burners
JP2625496B2 (ja) 圧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