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100B1 -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100B1
KR100351100B1 KR1019990039679A KR19990039679A KR100351100B1 KR 100351100 B1 KR100351100 B1 KR 100351100B1 KR 1019990039679 A KR1019990039679 A KR 1019990039679A KR 19990039679 A KR19990039679 A KR 19990039679A KR 100351100 B1 KR100351100 B1 KR 10035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rpm
injection amount
engine
increas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771A (ko
Inventor
이천효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1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회사나 판매 지역 또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연료의 사양 차이를 고려하여 시동시의 연료 분사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연료분사량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방법은, 엔진이 시동되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 1단계; 폭발 행정 중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 rpm)을 검출하는 제 2단계; 회전수 상승률( rpm)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3단계; 제 3단계에서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연료 분사량의 설정값을 소정치 증가시켜 제어하는 제 4단계; 제 3단계에서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연료 분사량의 설정값을 소정치 감소시켜 제어하는 제 5단계; 및 엔진의 회전수(rpm)가 시동 완료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시동 조건에 따른 연료분사량 제어를 끝내는 제 6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njecting amount of fuel when engine is started of an electronic controlled fuel injec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제조 회사나 판매 지역 또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연료의 사양 차이를 고려하여 시동시의 연료 분사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연료분사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은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된 연료를 흡기 매니폴드 내부에 분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며, 분사량의 제어는 전자식 분사밸브를 기관의 각 사이클마다 흡입 공기량에 따라 어느 시간 동안 개방시키는 간헐 분사방식이다. 즉, 분사량은 인젝터의 전기펄스의 시간으로 결정되므로 용이하면서도 고도로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기관의 운전 조건을 모두 전기 신호로 바꾸어 처리하므로, 적합성이 크고 수정 요소를 바로 추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은, 크게 연료 계통과, 흡기 계통과, 제어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 계통은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를 고압으로 만들어 인젝터로 압송함과 동시에 연료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인젝터에서 높은 정밀도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흡기 계통은 드로틀 밸브의 개도에 따른 공기를 실린더로 공급하는 계통으로 흡기량 검출장치, 드로틀 밸브를 가지는 드로틀 바디, 서지 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계통은 흡입공기량, 엔진 회전수, 드로틀 밸브 개도 등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만들어 컴퓨터로 보내는 외에 수온, 흡기온 등 각종 센서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연료분사시기 및 분사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흡기량 검출장치로부터 검출된 흡입 공기량에 따라 기본적인 연료분사량을 결정하고, 엔진의 회전수, 드로블 밸브의 개도, 수온, 흡기온 등, 각종 센서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연료분사량을 보정함으로써, 차량의 운전 조건에 가장 적합하도록 연료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의 시동시에는, 비록 별도의 스타터(starter)가 크랭크 축을 기동시키기는 하지만, 크랭크 축의 기동 토크가 크기 때문에 다른 운전 조건들에비하여 큰 출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은 엔진의 크랭크 축에 설치된 크랭크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치, 대략 대략 1000rpm이하인 경우, 시동 조건으로 판단하고 공연비가 농후하게 되도록 연료 분사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나서,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연료 분사량을 감소시킨다.
그런데, 연료는 제조 회사나 판매 지역의 기후 조건, 또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서 그 사양이 상당히 달라지게 되지만, 지금까지의 연료분사량 제어방법에서는 이러한 연료 사양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료의 사양 차이는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치 이상인 일반 주행시에는 엔진의 작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엔진의 회전수가 비교적 낮은 시동시에는 매우 큰 영향을 미쳐 연료의 사양 변화에 따라 엔진의 시동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사양 차이에 관계없이 엔진의 시동이 항상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상기의 목적은, 엔진이 시동되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 1단계; 폭발 행정 중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 rpm)을 검출하는 제 2단계; 상기 회전수 상승률( rpm)을 기준치(K)와 비교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K) 미만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연료 분사량의 설정값을 소정치 증가시켜 제어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K)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연료 분사량의 설정값을 소정치 감소시켜 제어하는 제 5단계; 엔진의 회전수(rpm)가 시동 완료 기준치(E)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시동 조건에 따른 연료분사량 제어를 끝내는 제 6단계; 및 상기 제 4단계 및 제 5단계 다음에 변화된 설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고, 다음번 시동시 상기 제 1단계의 미리 설정된 값은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르면, 폭발 행정에 의한 엔진 회전수 상승률을 감안하여 연료 분사량을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사양의 차이에 따른 시동 불량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엔진이 시동되면(S1)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은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메모리(memory)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 연료분사량을 제어한다(S2).
다음으로, 폭발 행정에 의한 엔진의 회전수 상승률( rpm)을 측정한다(S3). 이 회전수 상승률은 크랭크 축의 일측에 설치된 크랭크 각 센서로부터 측정된다.
그리고 나서, 측정된 엔진 회전수 상승률( rpm)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K)와 비교한다. 즉, 연료의 사양 차이에 따라 폭발 행정시 연소 가스의 팽창력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폭발 행정에 의한 엔진의 회전수 상승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엔진 회전수 상승률을 판단하여 연료의 사양 차이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엔진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K) 미만이라고 판단되면(S4), 다음 기통의 연료분사단계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이 증가되도록 연료분사량의 설정치를 소정치 증가시킨다(S5).
반대로, 측정된 엔진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K)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S6), 다음 기통의 연료분사단계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이 감소되도록 연료분사량의 설정치를 소정치 감소시킨다(S7). 만약, 엔진 회전수 상승률이 기준치(K)와 동일한 경우에는 설정값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S5 단계와 S7 단계에 의해 설정값이 변화될 경우, 이 설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S8).
다음으로, 엔진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된 시동 완료 기준치(E)와 비교하여(S9), 만약 엔진의 회전수가 시동 완료 기준치(E)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엔진의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시동시의 연료제어를 중단한다. 그러면,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은 자동으로 일반 주행 조건에 따른 연료분사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시동이 완료될 때까지 S3 단계에서 S9 단계를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최적의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설정값이 결정되어 S8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설정값은 다음의 엔진 시동시 S2단계에서 읽혀지는 설정값이 된다. 이에 따라, 연료 탱크에 다른 연료가 새로 주입되거나 기후가 크게 변화되는 것 등으로 인하여 연료의 사양이 변화되지 않는 한, 다음 시동시에는 연료의 사양에 최적으로 맞추어진 설정값에 의해 연료분사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폭발 행정에 의한 엔진 회전수 상승률을 감안하여 연료 분사량을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사양의 차이에 따른 시동 불량을 방지하고, 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엔진이 시동되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 1단계;
    폭발 행정 중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 rpm)을 검출하는 제 2단계;
    상기 회전수 상승률( rpm)을 기준치(K)와 비교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K) 미만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연료 분사량의 설정값을 소정치 증가시켜 제어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회전수 상승률( rpm)이 기준치(K)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연료 분사량의 설정값을 소정치 감소시켜 제어하는 제 5단계;
    엔진의 회전수(rpm)가 시동 완료 기준치(E)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시동 조건에 따른 연료분사량 제어를 끝내는 제 6단계; 및
    상기 제 4단계 및 제 5단계 다음에 변화된 설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고, 다음번 시동시 상기 제 1단계의 미리 설정된 값은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2. 삭제
KR1019990039679A 1999-09-15 1999-09-15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KR10035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79A KR100351100B1 (ko) 1999-09-15 1999-09-15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79A KR100351100B1 (ko) 1999-09-15 1999-09-15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71A KR20010027771A (ko) 2001-04-06
KR100351100B1 true KR100351100B1 (ko) 2002-09-09

Family

ID=1961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679A KR100351100B1 (ko) 1999-09-15 1999-09-15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3230A (zh) * 2019-04-23 2019-07-05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内燃机启动方法、装置、发动机控制设备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0360A1 (de) * 2001-06-23 2003-01-0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usgangsgröße einer Antriebseinheit in der Startphase
KR20030020116A (ko) * 2001-09-03 200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시동 시 연료 분사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166A (ja) * 1991-11-22 1993-06-15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アイドリング時燃料供給制御装置
JPH08284708A (ja) * 1995-04-14 1996-10-29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H10184431A (ja) * 1996-12-27 1998-07-14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制御方式
KR100223535B1 (ko) * 1995-12-07 1999-10-15 정몽규 차량의 회전수변동을 이용한 연료보정방법
KR100230927B1 (ko) * 1994-12-27 1999-12-01 류정열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166A (ja) * 1991-11-22 1993-06-15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アイドリング時燃料供給制御装置
KR100230927B1 (ko) * 1994-12-27 1999-12-01 류정열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JPH08284708A (ja) * 1995-04-14 1996-10-29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KR100223535B1 (ko) * 1995-12-07 1999-10-15 정몽규 차량의 회전수변동을 이용한 연료보정방법
JPH10184431A (ja) * 1996-12-27 1998-07-14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制御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3230A (zh) * 2019-04-23 2019-07-05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内燃机启动方法、装置、发动机控制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7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976A (en) Fuel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739741A (en) Fuel supply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t starting
JP2796419B2 (ja)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US5136997A (en) Idle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473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fuel injection on hot restart of engine
JP4062336B2 (ja) 燃料噴射量学習制御方法
JP2002130014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量制御装置
US4777924A (en) Fuel supply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fter starting
KR100351100B1 (ko)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 시동시 연료분사량 제어방법
JP3956455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6684153B2 (en) Fuel nature judg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100692A (ja) 内燃機関の始動時噴射量制御装置
US7478627B2 (en) Fuel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047983A (ja) 内燃機関の高圧燃料供給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5381747B2 (ja) 燃料噴射装置
JP2000097071A (ja) 筒内直噴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946355B2 (ja) 燃料性状検出装置
US6705288B2 (en) Start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02376B1 (ko) 차량용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엔진시동완료 판단방법
JPH0569992B2 (ko)
JP447756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584383B2 (ko)
JPS6240548B2 (ko)
JP3347653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0712031A (ja) 内燃機関の燃料圧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