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307B1 - 덧보 - Google Patents

덧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307B1
KR100350307B1 KR1020000016586A KR20000016586A KR100350307B1 KR 100350307 B1 KR100350307 B1 KR 100350307B1 KR 1020000016586 A KR1020000016586 A KR 1020000016586A KR 20000016586 A KR20000016586 A KR 20000016586A KR 100350307 B1 KR100350307 B1 KR 10035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ver
seawater
height
slud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371A (ko
Inventor
박원곤
Original Assignee
박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곤 filed Critical 박원곤
Priority to KR102000001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30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1덧보(10); 상기 제 1덧보(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측에 상기 제 1덧보(10) 보다 그 높이가 높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 유통로(21)가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된 제 2덧보(20); 및 상기 제 2덧보(20)의 일면에 구비되어 큰 이물질이 상기 유통로(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철책망(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류측에는 제 1덧보를 설치하고, 이 제 1덧보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측에는 제 1덧보 보다 그 높이가 높고, 하부에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제 2덧보를 설치함으로써 제 2덧보 내부에 해수와 담수가 혼합 저장되는 바닥의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수압에 의해 제 2덧보의 유통로와 제 1덧보를 넘어 해양쪽으로 계속 무동력으로 유출케 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덧보{A DOUBLE DAMMED POOL FOR IRRIGATION}
본 발명은 덧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류측에는 제 1덧보를 설치하고, 이 제 1덧보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측에는 제 1덧보 보다 그 높이가 높고, 하부에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제 2덧보를 설치함으로써 해수와 담수가 혼합 저장되는 제 2덧보 바닥의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수압에 의하여 제 2덧보의 유통로와 제 1덧보를 넘어 해양쪽으로 계속 무동력으로 유출케 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덧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보(水中洑)는 하천의 수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수중보를 물이 넘지 못하고, 차단되어 그 밑에 막힌 보에 부딪혀 좌우 강변으로 퇴적물 오니 등과 혼합 와류로 역류하여 침전 누적 됨으로써 수질오염을 심화시키고, 누적된 침전물을 수거 처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설비가 필요로 하여 비경제적이며, 수중보가 가두리가 되어 수온을 급속히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물속의 산소 결핍으로 물고기가 떼죽음 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하절기에는 물뒤짐힘 현상이 발생되어 오염물질이 포함된 침전물이 뒤집혀 올라옴으로서 정수작업에도 불구하고 상수도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수중보를 배수갑문식으로 개량하여 하천의 오염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이나 비가 많이올 때 배수갑문을 들어올려 침전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제안된 바가 있으나, 이것은 수중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축조해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갑문을 열어 일시적으로 하천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평상시에는 수중보의 상류에 정체층이 형성되어 하천 자체 정화력을 저하시키게 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수중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제 1,2덧보 내부의 수압차이에 의하여 제 2덧보 바닥의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제 1덧보를 넘어 해양쪽으로 유출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1덧보; 상기 제 1덧보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측에 상기 제 1덧보 보다 그 높이가 높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 유통로가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된 제 2덧보; 및 상기 제 2덧보의 일면에 구비되어 큰 이물질이 상기 유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철책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덧보 및 제 2덧보 사이에는 상기 제 2덧보의 유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침전물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기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덧보는 수중보임 특징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덧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덧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덧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제 1,2덧보 21 : 유통로
30 : 철책망 40 : 폭기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덧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덧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덧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덧보(1)는 해양쪽에 설치되는 제 1덧보(10)와, 제 1덧보(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제방호소쪽에 설치되는 제 2덧보(20)로 이루어진다.
제 1덧보(10)는 밀물 및 썰물의 차이를 감안하여 그 높이를 설정한 다음, 해양쪽에 설치하게 된다.
제 2덧보(20)는 제 1덧보(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제방호소쪽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유통로(21)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유통로(21)는 제 2덧보(2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고, 그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적정 경사각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덧보(20) 일면에는 철책망(30)이 구비되어 비교적 큰 이물질이 유통로(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비교적 큰 이물질이 철책망(30)에 걸려지게 되어 유통로(21)가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 2덧보(20)는 제 1덧보(10)보다 그 높이가 약 0.5m- 2m정도로 높게 설치되어 제 1덧보(10) 내부의 수압보다 제 2덧보(20) 내부의 수압이 높게 유지됨으로써 이 수압의 차이에 따라 제 2덧보(20) 내부 바닥의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유통로(21)를 통하여 제 1덧보(10)를 넘어 해양쪽으로 계속적으로 유출된다.
즉, 제 2덧보(20) 내부에는 해수와 담수가 혼합 저장되는 데, 이때 바닥으로 갈수롤 염도 비중이 높아지게 되고, 반대로 상부로 갈수록 염분 비중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바닥쪽에는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침전되어 수압 차이에 따라 제 2덧보(20)의 유통로(21)를 통하고 제 1덧보(10)를 넘어 해양쪽으로 유출된다.
한편, 제 1덧보(10)는 강 및 하천 등의 하류측에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제 2덧보(20)는 제 1덧보(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쪽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덧보(20)는 자체 만으로 수중보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 1,2덧보(10)(20) 사이에는 제 2덧보(20)의 유통로(21)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나 오니 등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기장치(40)가 구비된다.
폭기장치(40)는 제 1,2덧보(10)(20) 사이와 바닥에 안치되도록 격자로 상호 교차되게 연결된 파이프라인(41)과, 파이프라인(41)에 연결되어 외부의 압축공기를 파이프라인(41)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43)과, 공급라인(43)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컴프레셔(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이프라인(41)에는 다수의 분사공(42)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분출됨으로써 제 1,2덧보(10)(20) 사이의 물이 폭기되어 침전물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파이프라인(41)의 분출공(42)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분출됨으로써 기포가 발생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니 등의 침전물이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에어컴프레셔(44)에서 파이프라인(41) 내부로 압축공기와 동시에 광촉매,이산화염소제+오존(0₂),미생물 혼합제 등을 공급시키게 됨으로써 수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쪽에 제 1덧보(10)를 설치하고, 이 제 1덧보(10)보다 약 0.5m-2m정도의 높이로 제방호소쪽에 높게 제 2덧보(20)를 설치함으로써 제 1,2덧보(10)(20)의 높이에 따라 제 1,2덧보(10)(20) 내부에 비례하여 수압이 작용된다. 즉, 제 2덧보(20) 내부의 수압이 제 1덧보(10) 내부의 수압보다 높게 작용된다.
이때, 제 2덧보(20) 내부에는 해수와 담수가 동시에 혼합되어 저장되고, 담수와 해수의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바닥으로 침전된다.
따라서, 수압 차이에 의하여 제 2덧보(20) 바닥의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제 2덧보(20) 하부의 유통로(21)를 통과하게 되고, 제 1,2덧보(10)(20) 사이로 유입되어 제 1,2덧보(10)(20) 사이에서 부딪혀 와류가 발생되면서 제 1덧보(10)를 넘어 해양쪽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작용이 계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제 2덧보(20) 내부에 오니 등이 침전되어 퇴적되지 못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해수가 고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유출됨으로써 제 2덧보(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해양이 썰물로 해수면이 낮아지면 그 양많큼 제 2덧보(20) 내부의 해수나 오니 등이 유출된다.
이때, 비교적 큰 이물질은 제 2덧보(20) 일면에 구비된 철책망(30)에 걸리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2덧보(20)의 유통로(21)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나 오니 등이 완전하게 제 1덧보(10)를 넘어 해양쪽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이 과정에서 일부의 오니가 바닥으로 침전된다.
이때, 도 3b에서와 같이 폭기장치(40)를 동작시켜 오니 등의 침전물이 침전되지 않고 제 1덧보(10)를 넘어 해양쪽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즉, 에어컴프레셔(44)를 동작시켜 에어컴프레셔(44)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공급라인(43)을 통하여 격자로 이루어진 파이프라인(41)으로 공급시키게 된다.
그러면, 압축공기가 파이프라인(41)으로 공급되어 파이프라인(41)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분사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해수와 오니 등의 침전물이 폭기되어 내부에 침전되지 못하고 제 1덧보(10)를 넘어 해양쪽으로 유출된다.
이때, 압축공기와 동시에 광촉매,이산화염소제+오존(0₂),미생물 혼합제 등을 공급시키게 됨으로써 수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제 1덧보(10)는 강 및 하천 등의 하류쪽에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되고, 제 2덧보(20)는 제 1덧보(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쪽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덧보(20)가 수중보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제 2덧보(20) 내부에 담수되는 물이 고여있지 않게 되고, 오니 등이 침전되지 못하여 제 2덧보(20)의 유통로(21)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수질이 보호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하류측에는 제 1덧보를 설치하고, 이 제 1덧보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측에는 제 1덧보 보다 그 높이가 높고, 하부에 유통로가 관통 형성된 제 2덧보를 설치함으로써 해수나 담수가 혼합 담수되는 제 2덧보 내부 바닥의 비중이 무거운 해수나 오니 등이 수압에 의하여 제 2덧보의 유통로와 제 1덧보를 넘어 해양쪽으로 계속 무동력으로 유출케 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1덧보(10);
    상기 제 1덧보(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류측에 상기 제 1덧보(10) 보다 그 높이가 높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 유통로(21)가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된 제 2덧보(20); 및
    상기 제 2덧보(20)의 일면에 구비되어 큰 이물질이 상기 유통로(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철책망(3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덧보(10) 및 제 2덧보(20) 사이에는 상기 제 2덧보(20)의 유통로(21)를 통하여 유입되는 침전물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폭기장치(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덧보(20)는 수중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보.
KR1020000016586A 2000-03-30 2000-03-30 덧보 KR10035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86A KR100350307B1 (ko) 2000-03-30 2000-03-30 덧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86A KR100350307B1 (ko) 2000-03-30 2000-03-30 덧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71A KR20010094371A (ko) 2001-11-01
KR100350307B1 true KR100350307B1 (ko) 2002-08-24

Family

ID=1966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586A KR100350307B1 (ko) 2000-03-30 2000-03-30 덧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2B1 (ko) * 2017-04-11 2018-01-25 (주)청성하이텍 퇴적물 제거 구조를 갖는 전도식 가동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20251234A1 (ko) * 2019-06-10 2020-12-1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2B1 (ko) * 2017-04-11 2018-01-25 (주)청성하이텍 퇴적물 제거 구조를 갖는 전도식 가동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71A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6193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nd improving water quality in substantially enclosed bodies of water
US20140238924A1 (en) Cleaning apparatus for filtration layer in seawater infiltration intake
CN108867541A (zh) 一种黑臭河体生态综合修复治理系统
CN212292985U (zh) 一种水体流域面源污染的景观生态净化系统
CN111348741A (zh) 一种水体流域面源污染的景观生态净化系统
KR100350307B1 (ko) 덧보
KR100819548B1 (ko) 하천 퇴적물 제거시설
KR20110082704A (ko) 정화용 습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정화장치
CN101175699B (zh) 小河流水质净化装置
Baldwin Impact of elevated nutrients in the Great Barrier Reef
RU26093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очищенных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стоков в русловые водотоки
JPH07127041A (ja) ダム貯水池の流入水分離装置
KR200308775Y1 (ko) 차수막을 이용한 오염물질 침강장치
KR20200032998A (ko) 냉각수 거품 제거 장치
KR101127995B1 (ko) 정체수역 저면 정화장치
JP3272778B2 (ja) 水浄水システム
JPH0633437A (ja) 濁水浄化方法及び濁水浄化膜
JP2005058957A (ja) 浮体式水域浄化処理装置
JPS6291206A (ja) ダム濁水の浄化装置
KR20150091576A (ko) 일방향 해수 순환기능을 갖는 방파제
JPS6211591A (ja) ダム濁水の浄化装置
JP4385172B1 (ja) 河川浄化システム
KR200398979Y1 (ko) 호소 방류수질 개선장치
EP0159340A1 (en) METHOD FOR PROTECTING LAKES AGAINST EUTROPHICATION BY GROUNDWATER.
JPH03193192A (ja) 水域の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