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761B1 -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761B1
KR100349761B1 KR1019990067669A KR19990067669A KR100349761B1 KR 100349761 B1 KR100349761 B1 KR 100349761B1 KR 1019990067669 A KR1019990067669 A KR 1019990067669A KR 19990067669 A KR19990067669 A KR 19990067669A KR 100349761 B1 KR100349761 B1 KR 10034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
bracket
hinge pin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087A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7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등받이의 측면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힌지핀을 시트 등받이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시트 등받이 프레임과 연계적으로 구성하고, 또 이렇게 연장되는 힌지핀의 끝을 별도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새롭게 보강함으로써, 러기지 로드 시험 관련 강화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차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seat back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등받이의 측면 힌지핀을 시트 등받이의 프레임에 연계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 힌지핀의 끝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새롭게 보강함으로써, 러기지 로드시험과 관련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에 따른 차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일종의 트렁크 내의 화물로 인해 받는 시트 등받이의 지지강성, 특히 시트 등받이의 측면 마운팅 부위에 대한 지지강성을 시험하는 러기지 로드 시험(Luggage load test)과 관련한 각종 법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시트 등받이 측면 마운팅 구조는, 첨부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브라켓(10)과 시트 브라켓(11)이 힌지핀(12)으로 단순히 걸려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러기지 로드 시험시 브라켓(10),(11)이 변형되면서 시트 등받이 전체가 실내쪽으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러기지 로드 시험 관련 강화된 법규가 시행됨에 따라 현재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로는 위의 강화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 등받이의 측면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힌지핀을 시트 등받이의 내측으로 연장하여 시트 등받이 프레임과 연계적으로 구성하고, 또 이렇게 연장되는 힌지핀의 끝을 별도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새롭게 보강함으로써, 러기지 로드 시험 관련 강화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차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브라켓 11 : 시트 브라켓
12 : 힌지핀 13 : 등받이 프레임
14 : 보강 브라켓 15 : 부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체 브라켓(10) 및 시트 브라켓(11)과, 이것들을 걸어주는 힌지핀(12)을 이용하여 시트 등받이의 측면을 마운팅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12)의 한쪽 끝을 시트 등받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하면서 등받이 프레임(13)상에 관통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힌지핀(12)을 포함하는 차체 브라켓(10) 및 시트 브라켓(11) 전체가 등받이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등받이 프레임(13)을 관통하면서 시트 등받이 내측에 위치되는 힌지핀(12)의 끝에는 등받이 프레임(13)상에 융착 고정되는 보강 브라켓(14)이 관통 결합되어 힌지핀(12)을 2중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핀(12)이 관통되는 등받이 프레임(13) 부위와 보강 브라켓(14) 부위에는 부시(15)가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등받이 측면부위의 마운팅 구조는 시트 등받이의 내부에 있는 등받이 프레임(13)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보강 브라켓(14)을 먼저 융착 고정시키고, 일체형으로 조합되는 차체 브라켓(10) 및 시트 브라켓(11)과 그 사이의 힌지핀(12)을 시트 등받이측에 설치하면서 상기 힌지핀(12)의 한쪽 끝을 시트 등받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안쪽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상기 보강 브라켓(14)에 관통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강 브라켓(14)은 등받이 프레임(13)상에 양단 융착 고정되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등받이 프레임(13)의 측면부재와 나란한 면에는 힌지핀(12) 관통을 위한 소정의 구멍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보강 브라켓(14)은 등받이 프레임(13)과 대략 사각의 박스형 공간부를 조성하면서 소정의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체 브라켓(10)의 형상을 ㄷ자형상으로 성형하여 그 안쪽으로 힌지핀(12)의 머리부위가 위치되면서 바깥쪽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3는 상기 브라켓들과 힌지핀 간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시트 등받이(110)의 내측 등받이 프레임(13)상에 융착되는 보강 브라켓(14)은 소정의 박스형 단면을 구성하게 되고, 차체(100)측 차체 브라켓(10)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핀(12)의 한쪽 끝은 등받이 프레임(13)과 보강 브라켓(14)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2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볼 수 있다.
이때, 힌지핀(12)의 각 관통부위에는 부시(15)가 장착되어 있어서, 시트 등받이(110)의 폴딩시 힌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러기지 로드 시험시 시트 등받이 뒷쪽에서 소정의 충격, 예를 들면 약 18Kg 짜리의 블럭 2개로 약 20g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강 브라켓 내에 그 한쪽이 관통된 상태로 걸려져 있는 힌지핀에 의해 그 충격이 등받이 프레임으로 분산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핀이 실내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므로서, 종전과 같이 힌지핀의 이탈과 동시에 브라켓들이 변형되면서 시트 등받이 전체가 실내쪽으로 밀려 들어오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으며, 러기지 로드 시험과 관련하여 강화된 법규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량 후방 충돌시 트렁크 룸 내의 화물 등으로 인한 충격이 시트 등받이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등받이 프레임측의 보강 브라켓에 의해 각각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힌지핀 전체를 실내쪽에서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상해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 등받이의 측면 마운팅을 위한 브라켓 및 힌지핀을 실내쪽에서 받쳐줄 수 있고, 또 힌지핀의 이탈을 막아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러기지 로드 시험 관련 강화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차량 후방 충돌시 시트 등받이의 실내쪽 밀림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체 브라켓(10) 및 시트 브라켓(11)과, 이것들을 걸어주는 힌지핀(12)을 이용하여 시트 등받이의 측면을 차체에 마운팅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12)의 한쪽 끝을 시트 등받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하면서 등받이 프레임(13)상에 관통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등받이 프레임(13)에는 이것과 일체식으로 융착 고정되는 보강 브라켓(14)를 구비하면서 박스형 공간부를 조성하여 상기 힌지핀(12)이 등받이 프레임(13)과 보강 브라켓(14)이 조성하는 박스형 공간부에 가로 걸쳐지는 구조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12)이 지지되는 등받이 프레임(13)과 보강 브라켓(14)의 각 관통부위에는 부시(15)가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KR1019990067669A 1999-12-31 1999-12-31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KR10034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69A KR100349761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69A KR100349761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087A KR20010066087A (ko) 2001-07-11
KR100349761B1 true KR100349761B1 (ko) 2002-08-22

Family

ID=1963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669A KR100349761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7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087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693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US5954380A (en) Safety arrangement for a cargo space of a motor vehicle
KR20040053541A (ko) 커튼에어백 장치
US6688677B2 (en) Bodywork frame for a motor vehicle
JP2009090702A (ja) 車両用ブラケット
KR100349761B1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마운팅 구조
KR200158287Y1 (ko) 자동차의 후방측면 충격 흡수장치
KR100534938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시트백 마운팅구조
KR20010066199A (ko)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마운팅 구조
KR200143414Y1 (ko) 상용차의 시트벨트앵커 보강재
KR20090061895A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00377846B1 (ko) 승합차의 안전네트 설치구조
KR200142770Y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보강구조
KR19980043202U (ko) 자동차용 도어의 장착구조
JPS58116272A (ja) 自動車のフレ−ム構造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JP454818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KR013902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KR200156990Y1 (ko) 연료 탱크의 취부구조
KR200161669Y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 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enter pillar)
KR0126284Y1 (ko) 자동차용 알루미늄 프레임
JP3569407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アンカ取付構造
KR200149456Y1 (ko) 화물자동차의 캡과 섀시프레임의 결합강성 강화구조
KR19990065160A (ko) 차량용 임팩트빔과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