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232B1 -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 Google Patents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232B1
KR100349232B1 KR1019960704888A KR19960704888A KR100349232B1 KR 100349232 B1 KR100349232 B1 KR 100349232B1 KR 1019960704888 A KR1019960704888 A KR 1019960704888A KR 19960704888 A KR19960704888 A KR 19960704888A KR 100349232 B1 KR100349232 B1 KR 10034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structure
make
fi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르겐 라쎈
Original Assignee
조르겐 라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르겐 라쎈 filed Critical 조르겐 라쎈
Priority to KR101996070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232B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래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고, a)서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호 교차하는 강화로드(1, 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강화메시와 b)상기 하부메시(1, 2)의 유형에 대응하여 규칙적인 유형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메시(1, 2)와 연합하는 본래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다수의 사이진 충전체(3)를 포함하는 종류의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에서, 주요한 새로운 특징은 상기 충전체(3)가 강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메시(1, 2)와 결합된다(14)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방식에서, 정확성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작업과 전문화된 장비의 사용은 완결된 구조물에서 공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강화메시와 연합되는 사이진 충전체를 사용하는 이점을 유지하면서,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충전체(3)는 바람직하게는 중량 및 경제성을 이유로 하여 중공체이며, 하부 셔터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합되는 플랜지(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부 강화메시(1a, 2a)가 상기 요소의 강성을 증진시키면서 사용된다.

Description

공동을 가진 강화 콘트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PCT 국제출원 제 WO 92/06253호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요소를 소개하고 있다. 이 구조물의 공동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체는 폐쇄된 중공 구체, 난형체 또는 유사한 둥근 바디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충전체에는 하부 셔터링(shuttering)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그 충전체의 둥근 형태 때문에 콘크리트가 틀림없이 충전체와 하부 셔터링 사이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라우팅이나 케스팅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충전체를 위로 "뜨게" 하는 경향이 있어, 강화요소를 확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1항의 전문에 기술된 종류의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제와 셔터링이 결합된 요소의 한 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충전체가 그라우팅 또는 케스팅하려고 위치한 몇몇 스퀘어로부터 제거되는 요소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잘라서 셔터링이 제거된 후의 완성된 케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기 도 2와 도 3에 대응하여 다소 변경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확장된 규모로 도 4와 도 5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충전체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과 유사한 단면도이나 많은 상부 강화로드의 두배를 가지는 실시예를 보여는 도면.
[실시예]
도 1에 나타난 강화제와 셔터링이 결합된 요소의 부분은
-다수의 가로 하부 강화로드(1)와
-다수의 세로 하부 강화로드(2)와
-다수의 가로 상부 강화로드(1a)와
-다수의 세로 상부 강화로드(2a) 및
-로드(1, 2)에 의해 구성된 하부 강화메시에 의해 형성된 스퀘어내의 하부에 고정되며, 로드(1a, 2a)에 의해 구성된 상부메시의 천정에 고정되며, 그 고정은 이하에서 기술된 수단에 의해 성취되는 다수의 충전체로 이루어지는 강체이다.
그 부분이 도 1에서 보여지는 요소를 조립할 때, 바람직하게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용접되는 모든 가로 하부 강화로드(1)와 세로 하부 강화로드(2)로 구성되는 하부 강화메시는 적절한 기초위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홀로바디(hollow body)(3)가 메시에 의해 형성되는 "스퀘어" 내부에 위치하고, 그 메시는 체결리브(14)에 의해 결합되며, 플랜지(8)는 어떤 인접한 플랜지에 봉입된다. 가로하부 강화로드(1)와의 결합을 위하여 홀로바디(3)상에 놓이는 체결리브(14)의 노치(notch)는 세로 하부 강화로드(2)와의 결합을 위한 노치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 놓이게 되므로써, 그 한정된 두께에 의해 야기되는 강화로드들 사이의 수준상의 사소한 차이를 허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노치는 강화메시가 플랜지(8)와 관계하여 정확한 수준에 위치하는 것을 확실하게 해준다. 이와 더불어, 완성된 요소는 그라우팅 또는 케스팅되기 전에 적절한 원위치의 지지대에 놓일 것이다.
홀로바디(3)(또한 도 3 참조) 위로는 돔 모양의 천정면으로 연속되고 아래로는 상기 플랜지(8)로 연속되는(도 6 참조), 대략 절두-피라미드 모향의 측벽을 가지는 도 1-3에서 보여진 실시예에서 거꾸로 된 물통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최종적인 조립단계에서, 가로 상부 강화로드(1a)와 세로 상부 강화로드(2a)로 이루어지는 상부 강화메시가 천정면(7)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클램프 핑거(16)에 의해 지지되고 그 천정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돔 모양의 천정면(7)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요소는 아주 견고하여, 취급과 이송시 통상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응력을 부담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홀로바디(3)를 통하여 견고하게 연결된 하부의 강화메시(1, 2)와 상부의 강화메시(1a, 2a)를 사용하므로써, 그 요소는 서로 충분한 거리에서 지지대위에 놓이면서 콘크리트로 채워질 때 부담되는 것과 같은 상당한 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이다.
강화메시(1, 2 및 1a, 2a), 및 또한 최종 구조물의 부분들 및 그것에 고정된 어떤 필수적인 셔터링의 부분들을 형성하는 파이프,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성된 어셈블리는 공장 또는 작업장으로부터 빌딩 사이트로 이송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후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 및 세팅하고 셔터링을 제거하는 과정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도 2에서 보이는 어셈블리상에서 그라우팅이 행해져 콘크리트가 세팅될 때, 도 3의 종단면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구조물이 산출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은 물론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부분들 및 상부면(10)과 하부면(11)을 가지는 일체 콘크리트 바디(9)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부면(10)은 오직 상부 강화로드(1a, 2a)에 의해 강화된 연속적인 콘크리트 바디로 이루어지는 데 비해, 하부면(11)은 하부 강화로드(1, 2)에 의해 강화된 홀로바디(3)의 아래로 향해서 열려 있는 면들(12)을 묶는 다수의 상호 교차하는 리브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보여질 바와 같이, 속이 빈 바디(3)는 그것을 통하여 컬럼(4)이 연장되는 하나의 사각형을 에워싸는 사각형들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필요한 것으로만들어진 셔터(5)는 이러한 "빈" 사각형을 통하여 보여질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 보여지는 요소의 어셈블리와 구조는 각기 원리적으로 도 1과 도 3에서 보여진 것에 대응한다. 단지 다른 점은
-도 2의 칼럼(4)과 같은 아무런 칼럼도 없고 그 대신에 지지벽(13)이 있다는 것과
-각 홀로바디의 측벽 면(6)은 도 1-3에서와 같이 절두-피라미드 대신에 절두-원주이다.
명백히, 도 1-3에 의거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기능이 적용된다.
도 6은 그 확장된 규모로 인하여 상기의 열린 면(12)과 체결 리브(14)를 둘러싸는 플랜지(8)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홀로바디(3)의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실시예에 나타난 결합수단은 측벽면의 외부로부터 돌출하는 지느러미 같은 다수의 체결 리브(14)로 이루어진다. 각 체결 리브(14)는 강화로드(1 또는 2)와 연합되도록 적응된 노치(15)를 가지고 있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세로 강화로드(2)의 하나와 연합되도록 적응된 노치를 가진다. 가로 강화로드(1)가 확연히 세로 강화로드(2)의 수준과는 상이한 수준에 있게 될 때, 가로 강화로드(1)와 연합하도록 적응되는 홀로바디(3) 측면상의 체결 리브(14)의 노치(15)는 세로 강화로드(2)와 연합하도록 적응되는 도 6의 노치(15)의 수준과는 상이한 수준에 있게 될 것이다. 강화로드(1, 2)로 이루어지는 강화메시와 홀로바디(3)가 고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체결 리브(14)가 각 홀로바디(3)의 각 측면에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총 여덟 개의 리브가 각 홀로바디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하 다른 해결책들도 가능하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상부 강화메시는 가로 상부 강화로드(1b)와 세로 상부 강화로드(2b)로 이루어진다. 이 상부 강화로드들은 가로 하부 강화로드(1)와 세로 하부 강화로드(2) 사이의 간격에 비해서 그 절반의 간격을 가진다. 상부 강화메시는 바람직하게 스냅-끼워맞춤 방식으로 측벽면(6)과 천정면(7) 사이의 이행영역에서 일체로 형성된 체결귀(17)에 의해 홀로바디(3)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방식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요소의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고 게다가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면의 포인트식 적제와 관련하여 좀더 균일한 강화효과를 산출한다.
사실상 선호되는 것과 같이, 홀로바디(3)가 성형에 적합한 PVC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주입하므로써 산출된다면, 측벽면(6)의 외부에 있는 체결 리브(14)와 천정면(7)위의 클램프 핑거(16) 또는 체결귀(17) 양자는 나머지의 홀로바디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된 바처럼, 플랜지(8)는 로드(1, 2)를 포함하여 리브의 하부면을 위한 지엽적인 셔터링으로서 작용하여 상호 봉입되거나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확장될 수 있다. 홀로바디가 "영구적인 셔터링"으로서 남을 수 있으려면, 이러한 배열은 또한, 하부공간을 위한 천장과 좀더 유쾌한 외관을 구성하여 동시에 공격적인 미디어에 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면서, 그 구조물의 아래로 향한 면을 제공할 것이다.
하나씩 제조되는 대신에, 홀로바디(3)는 정수의 홀로바디 총 폭과 길이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진 웨브(web)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플랜지(8)는 두 인접하는 바디에 공통적일 것이며, 물론 굳지 않은 콘크리트와 관련하여 완전하게 누출보장(leak-proof)이 될 것이다. 그러한 웨브는 어떤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플래스틱 시트 물질과 같은 것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되고 도면에서 보여진 실시예에서, 충전체(3)는 중공체인 것으로 기술되고 보여진다. 그러나 밀집한 충전체, 바람직하게는 발포 플라스틱 물질 또는 사실상 기술되고 보여진 바와 같이 홀로 바디지만 발포 플라스틱 물질로 채워진 바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기술되고 도면에 보여진 실시예에서, 모든 강화로드는 각기 하나의 로드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의 로드 대신에 둘, 셋, 넷 또는 그 이상의 평행한 로드를 서로 간격을 띠어 사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안에 있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어 두 개의 로드가 서로의 천정에 위치할 수 있는 완결된 구조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리브에 장력을 제공하면서 하부 강화로드(1, 2)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불리한 점을 갖지 않는 상기와 같은 요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1항에 명시된 특성을 드러내는 본 발명에 따른 요소를 가지고 달성된다.
이러한 배열방식에서는 콘크리트가 충전체의 하부를 전혀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써 최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는 하부 강화메시의 로드를 즉시 에워싸는 만큼의 콘크리트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충전체상의 플랜지는 또한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충전체의 하부를 통과하여 충전체를 "뜨게" 만듬과 동시에 하부 셔터링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여, 통상적인 하부 셔터링을 요구치 않을 수 있게 된다.
DE-A-2.633.526은 철근 콘크리트의 리브붙이 또는 크로스-리브붙이 구조물을 위한 유리섬유 강화 콘크리트의 물통 모양의 셔터링 바디 또는 요소를 소개하고 있다. 도 2-2c와 7 페이지 두 번째 관련 텍스트에서, 이 문헌은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지만 그 사이에 틈새(4)를 남기는 모서리 플랜지(2)를 가진 거꾸로된 물통 모양을 한 다수의 셔터링 바디(1)의 사용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틈새는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오리목과 같은 부리된 수단에 의하여 폐쇄될 필요가 있다. 상기 셔터링 바디(1)는 그 적절한 상대적 위치에서 강화 콘크리트 그리드(3, 6)에 의해 지지된다. 이 문헌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1항에 제시된 방식으로 충전체와 공조하여 작용하는 상하부 강화메시의 사용은 소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명에 따른 강화요소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충전체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충전제는 청구범위 11항에 기술된 특징을 가지고 구성된다.
끝으로, 본 발명은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청구범위 18항의 전문에 제시된 종류의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동항에 기술된 기술된 특징을 포함한다.
상기 요소와 그것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충전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 2-10항과 12-17항에 각기 기술된다.
본 발명은 원위치상의 케스팅으로 성취되는 가로 강화의 적응성 및 가능성과 더불어, 조립된 콘크리트 요소와 관련한 일군의 또는 일련의 생산상의 이점을 원위치상의 케스팅으로 성취되는 가로 강화의 적응성 및 가능성과 결합하고 동시에 건축재료의 무거운 부분, 즉 콘크리트 자체와 관련한 이송비용을 감축할 필요에 의해 시도되었다.
셔터링, 강화제 및 중량-감축 리세스의 동시적인 공급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따른 요소들의 사용은 중량을 감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콘크리트 데크의 원위치상의 케스팅에 가장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데크의 하부면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박스 또는 돔을 일체화함에 의해 종래의 가로 방향으로 강화된 콘크리트 슬라브의 중량을 감축하기 위한, 제초상의 측면과 관련하여 단순한 기술을 가르친다.
공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요소들을 조립할 때, 요소들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대략 2.5m의 폭과 10-14m의 길이를 가진 이용될 수 있는 이송설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요소의 크기는 완성된 데크가 연속적인 하중-지지 데크로서 기능할 때 원위치의 지지대 또는 스팬 조건들에 밀접하게 연관되지 않는다.
빌딩 사이트에서 남겨진 유일한 작업은 본래 요소들을 위치시킨 다음,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하여 그라우팅 또는 케스팅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본래 평면의 형태를 가지는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강화요소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a)서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호 교차하는 강화로드(1, 2)로 이루어지는 하부 강화메시와 b)서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호 교차하는 강화로드(1a, 1b, 2a, 2b)로 이루어지는 상부 강화메시와 c)상기 메시의 유형에 대응하여 규칙적인 유형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메시와 연합하는 본래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다수의 따로 사이진 독립된 공간을 가지는 충전체(3)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체(3)는 강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메시(1, 1a, 1b, 2, 2a, 2b)와 결합되는 결합수단(14,16,17)을 구비하고,
    d)상기 충전체(3)는 각기 상기 구조물의 하부면(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 있는 주요면(12)을 가지며,
    e)상기 충전체(3)는 상기 주요면(12) 주위에서 상기 바디의 모서리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8)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8)는 하부 셔터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충전체상의 유사한 플랜지(8)와 공조하여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3)중의 적어도 하나는 중공체이며, 상기 주요면(12)은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3)는 각기 상기 하부 강화메시(1, 2)와 결합하여 상기 충전체를 지지하는 첫 번째의 결합수단(14,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3)는 각기 상기 상부 강화메시(1a, 1b, 2a, 2b)와 결합하여 상기 충전체(3)를 지지하는 두 번째의 결합수단(16, 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3)는 각기 a)상기 주요면(12)의 주변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위로 연장되는 측벽 면(6)과 b)상기 측벽 면(6)과 인접하여 충전체(3)의 반대면을 폐쇄하는 천정면(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7)은 상기 측벽 면(6)으로부터의 유연한 전이와 더불어 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면(6)은 상기 요소의 전체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의 횡단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래 정방형이거나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면(6)은 상기 요소의 전체 평면에 평행한 평면내의 횡단면에서 보여지는 바처럼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들(3)은 밀집한 발포 플라스틱 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들(3)은 밀도가 덜 높은 발포 플라스틱 물질이 채워진 밀도가 높은 물질의 셀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을 가진 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을만드는 데 사용되는 요소.
  11. 제 1, 2, 6, 7, 8, 9,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강화요소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충전체(3)에 있어서,
    a)주요면(12)과 b)그 주요면(12)의 주변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8)와 c)상기 주요면(12)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연장되는 측벽 면(6)과 d)상기 측벽 면(6)과 인접한 천정면(7)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7)은 상기 측벽 면(6)으로부터 유연한 이행과 더불어 돔 모양으로 형성되는 충전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강화메시(1, 2)를 결합시키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된 결합수단(14, 15)을 포함하는 충전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강화메시(1a, 1b, 2a, 2b)를 결합시키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된 결합수단(16, 17)을 포함하는 충전체.
  15. 상기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위로 향해 있는 탄성 클램프 핑거(16)에 의해 구성되는 충전체.
  16. 상기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위로 및/또는 측면으로 향해 있는 탄성 체결 리브(17)에 의해 구성되는 충전체.
  17. 상기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요면(12)은 열려 있는 충전체.
KR1019960704888A 1996-09-04 1994-03-10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KR10034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704888A KR100349232B1 (ko) 1996-09-04 1994-03-10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704888A KR100349232B1 (ko) 1996-09-04 1994-03-10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232B1 true KR100349232B1 (ko) 2003-01-06

Family

ID=4938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888A KR100349232B1 (ko) 1996-09-04 1994-03-10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047A (zh) * 2016-06-01 2016-09-21 丁艳涛 一种拼装式钢网箱填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047A (zh) * 2016-06-01 2016-09-21 丁艳涛 一种拼装式钢网箱填充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7230A (en) Element for use in mak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cavities, filler body for making such an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cavities
RU2242360C2 (ru) Закладной форм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оски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PL173230B1 (pl) Element budowlany
KR20200048596A (ko)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IE65519B1 (en) Reinforced structural elements
US10301833B1 (en) Highly durable textile reinforcing panel used as concrete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349232B1 (ko) 공동을가진강화콘크리트구조물을만드는데사용되는요소
KR100489383B1 (ko) 요철형 데크플레이트와 아이형 빔의 복합형 합성 바닥판및 그 시공방법
WO1995016835A1 (en) Insulated construction form element, and reinforcement therefor, and wall construction
KR100209016B1 (ko)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2393088B1 (ko) 상부돌출 리브를 갖는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3841531B2 (ja) 捨て型枠
WO2021019315A1 (en) A novel set of concave framework to be utilised as light concrete slabs
JP3833791B2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型枠
WO2000053858A1 (en) Construction element
JP2004270313A (ja) 橋梁、橋梁構造体及び橋梁の施工方法
JP2007245739A (ja) 浮体構造物用複合材、浮体構造物および浮体構造物の製造方法
CA2497362A1 (en) Connecting and plugging element for modular floor construction
JP2943111B1 (ja) 橋桁及び橋桁構成体及び橋桁の施工方法
JP375172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コンクリートスラブおよび構築物
JPH07331614A (ja) 橋げた用の埋込用型枠体
JP381371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コンクリートスラブおよび構築物
JPH0418289A (ja) Pcタンク施工方法およびパネル材
JPH02158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