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977B1 -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977B1
KR100348977B1 KR1019997007112A KR19997007112A KR100348977B1 KR 100348977 B1 KR100348977 B1 KR 100348977B1 KR 1019997007112 A KR1019997007112 A KR 1019997007112A KR 19997007112 A KR19997007112 A KR 19997007112A KR 100348977 B1 KR100348977 B1 KR 100348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ter
protector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847A (ko
Inventor
가나마루시게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9700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9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7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977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탱크(1)내에 배치된 인젝터에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4)와 연료탱크 (1)내에 배치되고, 연료펌프(4)로부터의 연료의 잉여분을 인젝터로의 유료로부터 잉여연료로서 연료탱크(1)내에 배출해서 연료의 압력을 조정하는 프레셔 레귤레이터(6)와, 연료펌프(4)와 프레셔 레귤레이터(6)을 연결하는 유로의 프레셔레귤레이터(6)보다 상류측에, 연료펌프(4)로부터 토출된 연료를 여과하는 여과엘레멘트(12) 및 이것을 넣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을 갖는 연료필터(5)를 구비한 연료공급장치에서, 여과 엘레멘트(12)에 어스를 취하기 위해 도전성 프로텍터(24)나 도전부재(25)를 갖는 접지장치를 구비하고 연료가 여과엘레멘트를 통과할때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확실하게 방산시키며 안정되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

Description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APPARATUS}
도 7 및 도 8 은, 국제공개번호 WO96/23967 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7 은 측단면도, 도 8 은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연료탱크(1)의 개구부(2)를 막는 뚜껑(3)에, 연료공급계의 기능부품으로서의 연료펌프(4), 연료필터(5),프레셔 레귤레이터(6), 연료액면계(7), 전기커넥터(8), 토출배관(9)이 일체적으로 조립되고 유닛화되어 있다.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의 연료탱크(1)에는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를 막아버리도록 전기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뚜껑(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뚜껑(3)과 연료탱크(1)과의 사이에는 실용(seal)의 가스켓(10)이 개장되어 있다.
연료필터(5)는, 하우징(11)내에 종이료 만든 여과엘레멘트(1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뚜껑(3)을 하우징(11)의 일부가 되어 있고, 뚜껑(3)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하우징(11)은 뚜껑(3)과 하 하우징(13)으로 되어 있고, 하 하우징(13)은 합성수지재료에 탄소섬유 또는 탄소분말 등의 도전재료를 함유시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성을 갖고 있다.
이 뚜껑(3)과 하 하우징(13)과는 경계부(14)에서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서 서로 용착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여과 엘레멘트(12)가 삽입되어 있다.
연료필터(5)의 하우징(11)의 내주측 위쪽에는 연료입구로서의 입구판(15)이 설치되어 있고, 연료펌프(4)의 토출관(16)과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11)의 2개의 연료출구중의 제1의 연료출구를 형성하는 배관(17)(1점쇄선으로 표시함)은 하 하우징(13)의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에 따라 상방향으로 뻗고 있다.
배관(17)은 뚜껑(3)에 설치된 토출배관(9)에 연통해 있고, 연료필터(5)에 의해서 여과된 연료를, 엔진에 분사하는 인젝터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통로(18)를 형성하고 있다.
제2의 연료출구를 형성하는 리턴관(19)은, 하 하우징(13)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프레셔레귤레이터(6)과 접속되어 있다.
도 8 에 표시하는 전기커넥터(8)은, 뚜껑(3)의 절연성 수지재료중에 다수의 터미널핀(8a)를 직접 인서트형성해서, 뚜껑(3)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전기커넥터(8)의 터미널핀(8a)는, 연료탱크(1)외에서는 전원 및제어장치(도시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7 에 표시하는 연료탱크(1)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서 연료펌프(4)의 전기커넥터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연료펌프(4)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서 연료액면계(7)(도 8 에 표시함)에 접속되어 액면높이를 표시하는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연료펌프(4)에 전기커넥터(8)및 전기커넥터부(20)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연료펌프(4)는 필터(21)를 통해서 연료를 흡입하고, 토출관(16)에서 토출한다.
연료는, 하 하우징(13)과 뚜껑(3)사이의 통로(2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
이 연료는 하우징(11)속을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그 도중에서 여과 엘레멘트(12)를 통해서 연료중의 먼지등이 여과된다.
여과 엘레멘트(12)를 통과해서 하우징(11)의 하부공간(23)에 도달한 연료는, 그 일부가 연료압력의 조정을 위해 프레셔 레귤레이터(6)에 의해, 재차,연료탱크(1)내로 되돌려지고, 나머지 대부분이 배관(17)으로부터 토출배관(9)을 통해서 엔진에 장착된 연료분자장치의 인젝터(도시않음)에 공급된다.
여기서, 연료가 종이로 만든 여과 앨레멘트(12)를 통과할때에는 연료가 여과 엘레멘트(12)와 격렬하게 말찰되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정전기는, 도전성 수지에 의해 성형된 하 하우징(13)으로부터 연료중의 물을 통해서 연료탱크(1)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종이로 만든 여과 엘레멘트(12)를 연료가 통과할때에, 연료와 여과 엘레멘트(12)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는, 도전성 수지제의 하 하우징(13)에서 방산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런 구성으로 하면 예를들어 연료필터(5)를 제거할때에, 하 하우징(13)과 연료탱크(1)와의 접촉등에 의해 그 사이에 불꽃방전을 일으킬때도 있다.
그리고 이 불꽃방전에 의해 하 하우징(13)이 열화되고 하 하우징(13)내부로부터 연료탱크(1)의 내부로 그 열화부분은 통해서 연료누설이 발생하고, 연료필터(5)의 여과성능이 저하하거나, 연료압력이 저하해서, 연료를 압송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그 목적은 여과 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확실하게 방산시키고, 연료필터가 열화되는 일이 없고, 안정해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여과 엘레멘트로부터 접지어스를 취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 여과 엘레멘트에 도전재료제의 프로텍터를 밀접시키고, 프로텍터와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을 도전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또, 여과엘레멘트에 도전재료를 혼합시킴으로써,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이 여과 엘레멘트와 전기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을 도전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또, 연료필터의 하우징에 고착된 중계단자를 설치하고 이 중계단자의 일단을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맞대고 타단을 전기커넥터의 접지 터미널에 접속한 것이다.
또, 연로필터의 하우징에 고착된 중계단자를 설치해서, 이 중계 단자의 일단을 접지스프링을 통해서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타단을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에 접속한 것이다.
또 연료필터의 하우징의 내벽부에 고착된 중계단자와, 연료필터의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형성되고, 중계단자의 일단에 접촉하는 접촉폴(contact pawl)과, 연료필터의 마이러스측 터미널에 접속되고 중계단자의 타단에 접촉하는 접촉편을 구비하고 이 접촉편을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에 접속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연료를 분사하는 이젝터에, 연료를 가압해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7 은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도 8 은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1 은 측단면도, 도 2 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연료탱크(1)의 개구부(2)를 막는 뚜껑(3)에, 연료공급계의 기능부품으로서의 연료펌프(4), 연료필터(5), 프레셔레귤레이터(6), 연료액면계(7), (도 2 ), 전기커넥터(8), 토출배관(9)이 일체적으로 조립되고 유닛화되어 있다.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의 연료탱크(1)에는,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를 막도록 전기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뚜껑(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뚜껑(3)과 연료탱크(1)과의 사이에는 실(seal)용 가스켓(10)이 장착되어 있다.
연료필터(5)는 하우징(11)내에 종이로 만든 여과 엘레멘트(1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뚜껑(3)을 하우징(11)의 일부로 하고 있으며, 뚜껑(3)에서 매달려 있다.
여과 엘레멘트(12)에는 금속 또는 도전성 수지등의 도전재료제의 프로텍터 (24)를 밀접시켜 프로텍터(24)가 후기하는 전기커넥터(8)내의 접지터미널 (8b)(도 2 에 표시함)를 도전부재(25)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또 프로텍터(24)및 도전부재(25)에 의해 접지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상 하우징으로서의 절연성 수지제의 뚜껑(3)과 합성수지제의 하 하우징(13)으로 되어 있다.
이 뚜껑(3)과 하 하우징(13)과는 경계부(14)에서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서 서로 용착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에 여과 엘레멘트(12)가 삽입되어 있다.
연료필터(5)의 하우징(11)의 내주측 위쪽에는 연료입구로서의 입구관(15)이 설치되어 있고 연료펌프(4)의 토출관(16)과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11)의 2개의 연료출구중 제1의 연료출구를 형성하는 배관(17)은(1점쇄선으로 표시함)은 하 하우징(13)의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뻗어 있다.
배관(17)은 뚜껑(3)에 설치된 토출배관(9)에 연통되어 있고, 연료필터(5)에 의해 여과된 연료를 엔진에 분사하는 인젝터에 공급하는 연료통로(18)를 형상하고 있다.
제2의 연료출구를 형성하는 리턴관(19)은 하 하우징(13)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프레셔레귤레이터(6)과 접속되어 있다.
도 2 에 표시하는 전기커넥터(8)는 뚜껑(3)의 절연성수지재료중에 다수의 터미널핀 예를들면 플러스측 전원터미널(8a), 마이너스측접지(8b)를 직접 인서트성형해서, 뚜껑(3)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8)의 터미널 핀(8a),(8b)은 연료탱크(1)외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를 통해서 전원 및 제어장치(도시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연료탱크(1)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서 연료펌프(4)의 전기커넥터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료펌프(4)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서 연료액면계(7)(도 2 에 표시함)에 접속되어 액면고를 표시하는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연료펌프(4)에 전기커넥터(8)및 전기커넥터부(20)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연료펌프(4)는 필터(21)를 통해서 연료를 흡입하고, 토출관(16)에서 토출한다.
연료는 하 하우징(13)과 뚜껑(3)사이의 통로(22)를 화살표 A방향으로 흐른다.
이 연료는 도 1 에서 하우징(11)의 내부를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그 도중에서 여과 엘레멘트(12)를 통해서 연료중의 먼지등이 여과된다.
여과 엘레멘트(12)를 통과해서 하우징(11)의 하부공간(23)에 도달한 연료는, 그 일부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흐르고 연료압력의 조정을 위해 프레셔 레귤레이터 (6)에 의해 다시 연료탱크(1)내로 되돌려지고, 나머지가 화살표 C방향으로 흐르고, 다시 배관(17)및 토출배관(9)를 통해서 화살표 D방향으로 흘러 엔진에 장착된 연료분사 장치의 인젝터에 공급된다.
여기서 여과 엘레멘트(12)를 연료가 통과할때에 연료와 여과엘레멘트(12)가 격렬하게 마찰함으로써, 발생한 정전기는 여과 엘레멘트(12)에 밀접된 금속 또는 도전성 수지등의 도전재료제 프로텍터(24)및 도전부재(25)를 통해서 전기커넥터(8)의 접지터미널(8b)로 흩어져 없어진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여과 엘레멘트(12)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접지장치로서의 프로텍터(24)및 도전부재(25)를 통해서 전기커넥터(8)내의 접지터미널(8b)로 방산되고 하 하우징(13)의 열화가 적어지는 동시에, 열화에 의한 연료탱크(1)내로의 연료누설을 야기시키지 않고, 연료를 인젝터에 안정되게 공급할수가 있다.
도3 에 표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종이로 만든 재료중에 금속분말, 금속섬유,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 등의 도전재료를 혼합시켜서 도전성을 부여한 여과 엘레멘트(12A)를 사용하고 있다.
도전성을 갖는 여과 엘레멘트(12A)는 접지장치인 도전부재(25)에 의해 전기커넥터(8)의 접지터미널(8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프로텍터(2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기타의 구성은 도 1및 도 2 와 같고, 이런 구성에 의해서도 같은 우수한 접지효과가 얻어진다.
도 4 는,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26 은 도전재료로 형성된 중계단자이고, 큰 직경의 두부(head portion)(26a)와 작은 직경의 단자 접속부(26b)을 갖고, 단자 접속부(26b)가 하 하우징(13)의 저부(13a)에 일체로 액체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되고, 단자 접속부(26b)의 선단부에는 수나사(26c)가 형성되어 있다.
두부(26a)의 상단면은 프로텍터(24)의 하단면(24a)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27 은 단자판이고, 어스선(28)의 일단에 접속되고 수나사(26c)에 삽입되어 넛(29)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어스선(28)의 타단은, 연료펌프(4)의 전기커넥터부(20)의 마이너측에 분기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여과 엘레멘트(12)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프로텍터(24)→중계단자(26)→단자판(27)→리드선(28)→연료펌프(4)의 전기커넥터부(20)의 마이너측을 통해서, 전기커넥터(8)내의 접지터미널(8b)로 방산되고, 하하우징(13)내에 정전기기가 축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료필터(5)의 제거시에 하 하우징(13)과 연료탱크(1)가 접촉해도 불꽃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하 하우징(13)의 열화가 적어지는 동시에 열화에 의한 연료탱크(1)내로의 연료누설을 야기하는 일도 없어지고 안정해서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 인 연료공급장치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31 은 도전재료로 형성된 중계단자이고, 하 하우징(13)의 저부 (13a)에 일체로 액체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되는 큰 직경부(31a)와, 하 하우징(13)의 하단면(13b)에 맞닿는 플랜지부(31b)와, 일단에 스프링접촉부(31c)와, 타단에 수나사(31d)가 형성되어 있다.
32 는 프로텍터(24)의 하단면(24a)과 중계단자(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지스프링이다.
플랜지부(31b)는 하 하우징(13)의 하단면(13b)에 형성된 돌기(13c)의 선단부를 열코킹 등에 의해 녹여서 넓힘으로써 하우징(13)에 고착되어 잇다.
27 은 단자판이고, 도 4 의 실시형태와 같이, 어스선(28)의 일단이 접속되고, 수나사(31d)에 삽입하며 넛(29)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어스선(28)의 타단은 연료펌프(4)의 전기커넥터부(20)(도 4 에 표시함)의 마이너스측으로 분기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여과 엘레멘트(12)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프로텍터(24)→접지스프링(32)→중계단자(31)→리드선(28)→단자판(27)→연료펌프(4)의 전기커넥터부(20)의 마이너스측을 통해서 전기커넥터(8)내의 접지터미널(8b)에 방산되어, 하 하우징(13)내의 정전기가 축적하지 않게 되므로, 도 4 의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수 있으며, 중계단자(31)와 프로텍터(24)와의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접지스프링(32)의 작용에 의해 안정된 양호한 것이 되고, 치수오차의 허용범위가 넓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41 은 도전재료로 형성된 중계단자이고 하 하우징(13)의 내벽부 (13d)에 일체로 액체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되며 큰 직경부(41a)와, 작은 직경부(41b)를 갖고 있다.
42 는 연료펌프(4)에 전력을 공급하는 마이너측 펌프터미널이고, 그 일단부에 숫나사(42a)가 형성되어 있다.
43 은 단자판이고, 숫나사(41a)에 삽입되어 넛(29)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체결부(43a)와, 체결부(43a)로부터 하방에 L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접촉편(43b)를 갖고 접촉편(43b)는 중계단자(41)의 큰 직경부(41a)에 탄력성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45 는 프로텍터(24)의 내주부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접촉폴(contact pawl)이고, 중계단자(41)의 작은 직경부(41b)에 탄력성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여과 엘레멘트(12)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프로텍터 (24) →접촉폴(45) →중계단자(41) →단자판(43)의 접촉편(43b) →연료펌프(4)의 마이너스측 펌프터미널(42)를 통해서 전기커넥터(8)내의 접지 터미널(8b)로 방산되고, 하 하우징(13)내에 정전기가 축적하지 않게 되므로, 먼저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여과엘레멘트로부터 어스를 취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여과 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의 마찰에 의한 정전지를 불꽃방전을 야기하지 않고 확실하게 방전시키며 연료필터를 열화시키지 않고 안정되게 인젝터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또, 여과엘레멘트에 도전재료제의 프로텍터를 밀접시켜 프로텍터와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을 도전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여과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 연료와 여과 엘레멘트가 격렬하게 마찰함으로써 발생한 정전기를 불꽃방전을 야기하지 않고 확실하게 방산시키며 연료필터를 열화시키지 않고 안정되게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또, 여과엘레멘트에 도전재료를 혼합시킴으로써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이 도전성 여과엘레멘트와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을 도전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여과 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 격렬하게 마찰함으로써 발생한 정전기를 불꽃방전을 야기하지 않고 확실하게 방산시키며 연료필터를 열화시키지 않고 안정되게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또, 연료필터의 하우징에 고착된 중계단자를 설치하고, 이 중계단자의 일단을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맞닿게 하며, 타단을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에 접속함으로서, 여과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 격렬하게 마찰함으로써 발생한 정전기를 불꽃방전을 야기하지 않고 확실하게 방산시키며 연료필터를 열화시키지 않고 안정되게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또 연표필터의 하우징에 고착된 중계단자를 설치하고 이 중계단자의 일단을 접지스프링을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타단을 전기커넥터의 접지 터미널에 접속함으로써, 여과 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 격렬하게 마찰함으로써 발생한 정전기를,불꽃 방전을 야기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방산시키며, 연료필터를 열화시키지 않고 안정되게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또, 연료필터의 하우징내벽부에 고착된 중계단자와, 연료필터의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형성되고, 중계단자의 일단에 접촉하는 접촉폴과 연료펌프의 마이너스측 터미널에 접속되고 중계단자의 타단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구비하며, 이 접촉편을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에 접속함으로써, 여과 엘레멘트를 연료가 통과할때, 격렬하게 마찰함으로써 발생한 정전기를, 불꽃방전을 야기하지 않고 확실하게 방산시키며, 연료필터를 열화시키는 일없이 안정되게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할수가 있다.

Claims (6)

  1. 연료탱크내에 배치되어 내연기관의 인젝터에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와 상기 연료탱크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중의 잉여분을 연료유로로부터 잉여연료로서 상기 연료탱크내로 배출하며, 연료의 압력을 조정하는 프레셔 레귤레이터와, 상기 연료펌프와 상기 프레셔 레귤레이터를 연결하는 연료유로의 상기 프레셔 레귤레이터보다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를 여과하는 여과 엘레멘트 및 이것을 넣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을 갖는 연료필터와, 상기 여과 엘레멘트로부터 어스를 취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에서, 상기 여과엘레멘트에 전기적으로 접촉한 도전재료제의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와 전기 커넥터의 접지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엘레멘트가 혼합된 도전재료에 의한 도전성을 갖고 상기 접지장치가, 상기 도전성을 갖는 여과 엘레멘트와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가, 상기 연료필터의 하우징에 지지되고, 일단에서 상기 여과 엘레멘트의 상기 프로텍터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타단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접지터미널에 접속된 중계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가, 상기 연료필터의 하우징에 지지되고, 일단에서 상기 여과 엘레멘트의 상기 프로텍터에 접지스프링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타단에서 상기 전기커넥터의 접지터미널에 접속된 중계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가, 상기 연료필터의 여과 엘레멘트의 프로텍터에 형성된 접촉폴(contact pawl)과 상기 연료필터의 하우징의 내측주벽에 지지되고 일단에서 상기 접촉폴에 접촉하는 중계단자와, 상기 중계단자의 타단에 접촉하고, 상기 연료펌프의 마이너스측 터미널에 고정접속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에 접속된 접촉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KR1019997007112A 1999-08-06 1997-12-08 연료공급장치 KR100348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7112A KR100348977B1 (ko) 1999-08-06 1997-12-08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7112A KR100348977B1 (ko) 1999-08-06 1997-12-08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847A KR20000070847A (ko) 2000-11-25
KR100348977B1 true KR100348977B1 (ko) 2002-08-17

Family

ID=5477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112A KR100348977B1 (ko) 1999-08-06 1997-12-08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38B1 (ko) * 2013-09-30 2014-11-28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38B1 (ko) * 2013-09-30 2014-11-28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847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9881B2 (ja) 燃料供給装置
US5785032A (en) Fuel supply system
US8297260B2 (en) Fuel supply system
JP2839861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3758274B2 (ja) 燃料フィルタ
US5649514A (en) Fuel supply apparatus
US6220227B1 (en) Fuel supply device
US6923208B2 (en) Fluid supply device
JP2004156588A (ja) 燃料供給装置
JPH08261086A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
US6156201A (en) Fuel filter with return path for reducing electrical charge buildup
JP3956533B2 (ja) 燃料濾過装置
KR100348977B1 (ko) 연료공급장치
JP2001271718A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KR101465820B1 (ko) 펌프 유닛
EP1452725B1 (en) Fuel supplying apparatus
JPH0932674A (ja) 燃料ポンプ用通電部品
KR101466038B1 (ko) 연료펌프모듈
JP3693141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2006200545A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装置
JP2003201932A (ja) 燃料供給装置
JP2003193926A (ja) 燃料供給装置
JP2005299448A (ja) 燃料供給装置
JPH1182212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