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896B1 -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896B1
KR100348896B1 KR1019990028867A KR19990028867A KR100348896B1 KR 100348896 B1 KR100348896 B1 KR 100348896B1 KR 1019990028867 A KR1019990028867 A KR 1019990028867A KR 19990028867 A KR19990028867 A KR 19990028867A KR 100348896 B1 KR100348896 B1 KR 10034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construction
dus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146A (ko
Inventor
춘 수 오
영 준 문
정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춘 수 오
영 준 문
정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춘 수 오, 영 준 문, 정찬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1999002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8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건설 공사 현장에서 부로 비산하여 낙하되는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을 차단하고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공기가 지연되는 일이 없게 할 수 있는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 본 발명은 소정의 규격으로 조립되는 앵글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건축 골조를 향한 면에서 층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는 위치로 훅크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양 외측변 소정 개소마다 롤러가 다수 장착된 방진 프레임과, 건물 골조의 슬래브 모서리 또는 코너부에 수직으로 장착 고정되고 상기 롤러가 삽입 위치하는 채널을 갖춘 가이드와, 상기 훅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수링을 보유하고 건축 골조의 각 층을 이루는 슬래브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훅크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 배치되는 행거부재로 구성된다.
효과 :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외측 모서리 및 코너부에 가이드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하고, 이 가이드를 타고 방진 프레임이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적당한 크기로 조립하여 가설한 다음, 공사 진척에 맞춰 통상의 타워 크레인으로 상기 방진 프레임을 인양시키면서 건축 골조의 외부를 차단하게 하여 상기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내장 공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Dust protecto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 공사 중에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되는 먼지나 건자재 파편 등을 막아 주고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사를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축조, 특히 10층 이상의 고층 건물 건설은 ‘H’형강 등을 골조로 하여 슬래브를 형성하고 외부는 미리 만들어진 미장벽체 등으로 조립 시공하는 공법이 최근에 보편화되고 있다. 이 공법은 건축물의 기초 공사와 함께 적당한 위치로 타워 크레인을 배치하여 놓고 상기 골조용 자재나 조립용 벽체 등을 인양시켜 행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공기가 짧아지게 된다.
그렇지만 고층 건물의 건설은 축조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도 중요하나 공조 설비, 전기, 미장 등의 내부 설비에 소요되는 기간도 공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건축 골조를 축조한 후에 행하는 내부 설비 공사에서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은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하여 낙하되는 먼지나 건자재 파편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예방책을 들 수 있고, 또 한편으로 공기를 단축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강풍, 강우, 강설과 같은 기후 변화의 대비책을 들 수 있다.
종래에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되는 먼지나 건자재 파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진막, 네트 등을 임시로 외부에 가설하고 있으나, 이것은 설치와 해체가 복잡하여 그 자체의 설치, 해체 작업이 공기를 연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뿐만 아니라 건물의 상층부에서는 강풍에 견디지 못하고 쉽게 훼손되는 한편 강우, 강설, 강풍 등의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주지 못하여 장마나 동절기에는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공사를 진행하기가 곤란하여 공기 단축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하여 낙하되는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을 완벽하게 막아 줌과 동시에 설치 및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고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 된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규격으로 조립되는 앵글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건축 골조를 향한 면에서 층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는 위치로 훅크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양 외측변 소정 개소마다 롤러가 다수 장착된 방진 프레임과, 건물 골조의 슬래브 모서리 또는 코너부에 수직으로 장착 고정되고 상기 롤러가 삽입 위치하는 채널을 갖춘 가이드와, 상기 훅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수링을 보유하고 건축 골조의 각 층을 이루는 슬래브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훅크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 배치되는 행거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방진 프레임의 외측에는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막과 네트가 쳐진다.
또, 방진 프레임의 훅크는 현수링이 끼워져 걸리도록 고리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은 층간 거리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수가 수직으로 연속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또한 현수링과의 결합을 유지시켜 주는 체결봉을 보유할 수 있다.
그리고 행거부재는 각 층을 이루는 슬래브의 바닥면으로 앵커 등의 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여기에 설치된 현수링은 스톱퍼에 의해 하측이 받쳐져서 단지 상방으로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외측 모서리 및 코너부에 가이드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하고, 이 가이드를 타고 방진 프레임이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적당한 크기로 조립하여 가설한 다음, 공사 진척에 맞춰 통상의 타워 크레인으로 상기 방진 프레임을 인양시키면서 건축 골조의 외부를 차단하게 하여 상기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내장 공사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진 프레임이 승강되게 하는 가이드의 배치 예를 보여 주는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진 프레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방진 프레임의 상승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도 5는 방진 프레임의 위치 고정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건축 골조 4 : 슬래브
6 : 가이드 8 : 방진 프레임
10 : 타워 크레인 12 : 방진막
14 : 네트 18 : 채널
20 : 롤러 22 : 앵글부재
24 : 훅크 26 : 돌기
28 : 홈 30 : 체결봉
32 : 행거부재 34 : 현수링
36 : 스톱퍼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로 건물 축조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예를 묘사하는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건물 골조(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H’형강을 소재로 하여 기둥과 보가 구축되고, 각 층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슬래브(4)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4)가 완성되면 그 외측 가장자리의 모서리나 코너부에는 가이드(6)가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된다. 가이드(6)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형태와 코너부에 부착되는 형태가 다르게 되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형태로 된 통로를 보유하고 있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같은 것이다.
상기 가이드(6)에는 방진 프레임(8)이 조립되어서 통상의 타워 크레인(10)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방진 프레임(8)의 외측에는 방진막(12)과 네트(14) 등이 장설 됨으로써 상기 건축 골조(2)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도 2는 상기 가이드(6)와 방진 프레임(8)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6)는 슬래브(4)의 코너부에서 적당한 블래킷(16) 등에 의존하여 견고하게 장착 고정되는 것이며, 이것은 방진 프레임(8)의 승강 이동을 허용하여 주는 채널(1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채널(18)에는 방진 프레임(8)의 양측변에 다수 배치된 롤러(20)가 수납되어서 전동하게 되는 것이므로 그 단면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 형태로 하여 상기 롤러(20)의 자연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 좋다.
방진 프레임(8)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적당한 규격과 형상을 가진 앵글부재(22)를 격자상으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유니트를 복수개로 연속 연결하여 되는 것이며, 그 크기와 넓이는 임의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진 프레임(8)의 각 유니트에서 중간을 가로지르는 앵글부재(22)의 상측방에는 훅크(24)가 일체로 부착 고정된다.
훅크(24)는 도 4에 잘 묘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입구 상측에 돌기(26)를 갖춘 홈(28)이 다수가 일렬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 한편으로 상기 훅크(24)의 상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나삽되는 체결봉(3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훅크(24)에 대하여 상기 슬래브(4)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행거부재(32)가 고정 배치된다. 행거부재(32)는 앵커 등에 의해 슬래브(4)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여기에는 상기 홈(28)에 끼워질 수 있는 현수링(3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수링(34)은 하측부가 스톱퍼(36)에 의해 받쳐져서 오직 상방으로만 회동될 수 있을 뿐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조립 전개되는 건축 골조(2)에 슬래브(4)가 콘크리트 타설되어 각 층을 이루기 시작할 때에 상기 슬래브(4)의 주변 모서리 및 코너부에 각각 가이드(6)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고, 도 3에 묘사한 방진 프레임(8)을 조립하여 양측변의 롤러(20)가 상기 가이드(6)의 채널(18)을 타고 승강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통상의 타워 크레인(10)으로 인양시키면서 설치하여 놓고, 또 외측방에는 방진막(12)과 네트(14) 등을 장설한 다음 공사 진척에 맞추어 상기 방진 프레임(8)을 상승 이동시켜 해당 층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준다.
한편, 타워 크레인(10)에 의해 방진 프레임(8)이 인양될 때, 도 4를 통해 과정별로 도시하고 있듯이 상기 방진 프레임(8)의 훅크(24)는 슬래브(4)의 외측방을 경유하는 도중에 먼저 상측의 체결링(30)이 현수링(34)과 접촉하면서 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통과함에 따라 상기 현수링(34)은 비스듬히 자세 변경되었다가 체결링(30)과 엇갈리게 되면 자중의 작용으로 낙하되면서 홈(28)의 입구에 걸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방진 프레임(8)을 약간 하강시키면 홈(28)의 돌기(26)가 상기 현수링(34)에 맞물려지면서 상기 방진 프레임(8)은 행거부재(32)에 의해 현수된다. 이렇게 현수된 상태에서 체결봉(30)을 나삽하여 현수링(34)을 빗장 걸어 놓게 되면 상기 방진 프레임(8)은 안전하게 건축 골조(2)의 외부로 배치된다. 또한, 방진 프레임(8)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각 층의 슬래브(4)에 고정 배치된 행거부재(32) 마다 대응하는 훅크(24)가 걸려져 현수되기 때문에 그 고정 상태는 지극히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건축 골조(2)의 외부에 방진 프레임(8)을 가설하여 놓으면 공사 중에 상기 건축 골조(2)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이 비산되어 주변으로 낙하되는 일이 없게 되고, 또한 강풍, 강우, 강설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완벽하게 건축 골조(2)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이렇게 건축 골조(2)의 외부에 가설된 방진 프레임(8)은 건축물이 완공되어 필요가 없어졌을 때에는 작업자가 각 층에 대응하는 훅크(24)의 체결봉(30)을 풀어서 현수링(34)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게 한 다음, 상기 방진 프레임(8)을 타워 크레인(8)으로 약간 들어 올려 홈(28)으로부터 현수링(34)이 이탈되게 하고, 다음에 상기 현수링을 반대쪽으로 회동시켜서 상기훅크(24)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로 놓이게 해놓고 타워 크레인(10)으로 방진 프레임(8)을 하강시켜 조립을 분해하는 순서로 장치의 해체를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고층 건물의 축조에 있어서, 특히 ‘H’형강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중에 건축 골조의 외부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줌에 따라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이 비산되어 주변으로 낙하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안전 사고를 철저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와, 기후 변화에도 건축 골조의 내부가 영향을 받지 아니하므로 장마, 동절기 등에도 건축 골조의 내부 공사를 실시할 수 있어서 공기를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 및 해체는 물론 사용도 간편한 효과를 갖추고 있다.

Claims (3)

  1. 소정의 규격으로 조립되는 앵글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건축 골조를 향한 면에서 층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는 위치로 훅크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양 외측변 소정 개소마다 롤러가 다수 장착된 방진 프레임과, 건물 골조의 슬래브 모서리 또는 코너부에 수직으로 장착 고정되고 상기 롤러가 삽입 위치하는 채널을 갖춘 가이드와, 상기 훅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수링을 보유하고 건축 골조의 각 층을 이루는 슬래브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훅크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 배치되는 행거부재로 구성된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프레임의 훅크는 현수링이 끼워져 걸리도록 고리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은 층간 거리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수가 수직으로 연속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또한 현수링과의 결합을 유지시켜 주는 체결봉을 보유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는 각 층을 이루는 슬래브의 바닥면으로 앵커 등의 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고, 여기에 설치된 현수링은 스톱퍼에 의해 하측이 받쳐져서 단지 상방으로만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장치.
KR1019990028867A 1999-07-16 1999-07-16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KR10034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67A KR100348896B1 (ko) 1999-07-16 1999-07-16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67A KR100348896B1 (ko) 1999-07-16 1999-07-16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46A KR20010010146A (ko) 2001-02-05
KR100348896B1 true KR100348896B1 (ko) 2002-08-14

Family

ID=1960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867A KR100348896B1 (ko) 1999-07-16 1999-07-16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8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46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US8714306B2 (en)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KR100832000B1 (ko) 갱폼 장치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JP4651857B2 (ja) 建物の解体工法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100348896B1 (ko)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CN113216587A (zh) 一种高层建筑外墙施工操作平台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51819B1 (ko) 이동식 가설펜스
KR200198526Y1 (ko) 건축 공사에 있어서 방진프레임 현수장치
CN112302326A (zh) 自爬升安全硬防护及吊装集成平台及其施工方法
JP6884373B2 (ja) 高層ビルの解体工法
JP2004003186A (ja) 軌道ガイドを配設した建築構造物
JP2004232366A (ja) つり足場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JP2001303774A (ja) 建物の解体工法
KR20090103560A (ko) 갱폼 일체형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2272030B1 (ko) 통기형 실외용 승강기 프레임 구조물
CN214885358U (zh) 一种用于超高层建筑外墙施工的操作平台结构
JP2004052455A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JP6099377B2 (ja) 建物養生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