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354B1 -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354B1
KR100348354B1 KR1019980050764A KR19980050764A KR100348354B1 KR 100348354 B1 KR100348354 B1 KR 100348354B1 KR 1019980050764 A KR1019980050764 A KR 1019980050764A KR 19980050764 A KR19980050764 A KR 19980050764A KR 100348354 B1 KR100348354 B1 KR 10034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weight
polyolefin resin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761A (ko
Inventor
김석원
김영원
채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0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3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밀도 폴리에틸렌 40∼60중량%, 저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20∼40중량% 및 고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및 내충격 특성이 균형을 이루고 내약품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자동차 펜더프로텍터(Fender Protector)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품의 강성 및 내충격 특성이 균형을 이루고 내약품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는, 사출성형용 자동차 펜더프로텍터 수지재료로서 유용한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수지조성물은 그 제품의 구조 및 요구물성에 따라 자동차 주행시 돌 등이 튀었을 때 외부충격으로부터 차체 및 엔진룸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펜더프로텍터 제품의 전장 길이가 1.5m∼2m로 부품의 운반과 보관 및 차체에 장착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충격강도와 강성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또한, 각종 오일등에 오염되지 않는 내약품성 및 자동차의 고속주행시에 차체와의 체결부위가 찢어지지 않도록 우수한 인장강도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는 가격대비 성능과 작업성이 우수하고, 재생이 용이하여 각종 용기류와 가전제품 하우징(housing) 및 자동차 부품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폴리올레핀계 수지중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시 강성이 너무 강하여 곡선형의 차체에 제품을 조립하기가 어렵고 충격강도가 제품의 요구물성에 부족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시 재질의 강성이 부족하여 차체에 조립 후 자동차의 주행을 계속하면 제품이 처지거나 인장강도가 제품의 요구물성에 부족하여 자동차 고속주행시 제품과 차체와의 체결부위가 찢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멜트블렌딩(melt blending)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사출성형시엔 두 공중합체간의 상용성이 떨어져 층분리 현상이 발생, 제품의 외관이 나빠지고 뒤틀림 현상 등이 발생할 소지가 많다. 또한, 적정 충격강도와 강성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러버(Ethylene Propylene Rubber, EPR)를 니딩(Kneading)하는 방법(일본 특개소 54-41950호)과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 EPR, 고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탈크(Talc)를 컴파운딩하는 방법(일본 특개소 55-139445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 EPR,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컴파운딩하는 방법(일본 특개소 58-42643호, 일본 특개소 58-80335호)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EPR의 높은 용융 점성으로 인해 원재료의 흐름성이 나빠져 사출성형등의 작업시 작업성이 떨어지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며 인장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우수 특성인 내약품성 및 재생용이성을 가지며,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에 EPR을 첨가한 제품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제조방법이 간단한 제품을 발명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 Ethylene, MDPE)에 고분자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 Ethylene, HDPE)과 저분자량의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용융혼련하여 수지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작업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중밀도 폴리에틸렌 40∼60중량%, 저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20∼40중량% 및 고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약품성, 강성,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3∼0.94g/cm3이며, 저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10g/10min이하이고 밀도가 0.95g/cm3이상이며, 고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20g/10min이상이고, 밀도가 0.95g/cm3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저하되며, 60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강성과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서 저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떨어지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강성이 적정치보다 강하게 되어 곡선형의 차체에의 장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흐름성 및 강성이 저하되며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성분을 모두 동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종의 수지를 용융혼련시 일어날 수 있는 상용성 저하에 기인한 층분리 현상과 이로 인한 물성저하 및 제품외관 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에 따라 각 원료를 드라이 블랜딩 후 트윈스크류 압출기로 용융혼련하여 각 조성물을 펠렛상으로 제조하고, 각 조성물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테스트 시편을 제조한 다음 규정의 방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물성시험방법>
1. 인장강도 : ISO R527
2. 굴곡탄성율 : ISO R178
3. 아이조드 충격강도(노치부) : ISO R180
<판정결과표시>
인장강도 19 이상 : ○, 19 미만 : ×
굴곡탄성율 500 이상 또는 700 이하 : ○, 500 미만 또는 700 초과 : ×
아이조드 충격강도 10 이상 : ○, 10 미만 : ×
(○ 적합, × 부적합)
표 1
구 분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4 5 6 1 2 3 4 5 6 7 8 9 10 11
중밀도 폴리에틸렌1)저유동성 고밀도폴리에틸렌2)고유동성 고밀도폴리에틸렌3)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러버 404020 553015 553510 504010 454015 404020 100 100 100 7030 9010 8020 60355 701020 502030 702010 305020
인장강도(MPa) 19 21 21 22 22 23 13 25 24 12 24 20 16 15 22 15 22
× × × × ×
굴곡탄성율(MPa) 630 550 580 610 600 650 350 1000 900 340 1200 1000 480 430 600 450 750
× × × × × × × × × ×
아이조드 충격강도(kg. cm/cm) 10 11 12 12 10 10 20 8 2 30 6 11 16 12 6 15 10
× × × ×
(주)1)삼성종합화학 (주) 제품(Grade : R902S)
2)삼성종합화학 (주) 제품(Grade : J82OU)3)
삼성종합화학 (주) 제품(Grade : J720AT2)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동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므로 층분리현상 등이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외관불량현상이 없으며, 우수한 인장강도, 강성 및 내충격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2)

  1. 중밀도 폴리에틸렌 40∼60중량%, 저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20∼40중량% 및 고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중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3∼0.94g/cm3이며, 저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10g/10min이하이고 밀도가 0.95g/cm3이상이며, 고유동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20g/10min이상이고 밀도가 0.95g/cm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1019980050764A 1998-11-25 1998-11-25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10034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64A KR100348354B1 (ko) 1998-11-25 1998-11-25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64A KR100348354B1 (ko) 1998-11-25 1998-11-25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61A KR20000033761A (ko) 2000-06-15
KR100348354B1 true KR100348354B1 (ko) 2002-09-18

Family

ID=1955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64A KR100348354B1 (ko) 1998-11-25 1998-11-25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3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41A (en) * 1979-06-19 1981-01-07 Mitsubishi Chem Ind Ltd Polyethylene composition
US4598128A (en) * 1983-03-14 1986-07-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m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JPS6239647A (ja) * 1985-08-14 1987-02-20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チレン系フイルム
KR950003772A (ko) * 1993-07-31 1995-02-17 배순훈 냉장고의 냉장실 약냉방지 제어방법
US5648424A (en) * 1993-04-30 1997-07-1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41A (en) * 1979-06-19 1981-01-07 Mitsubishi Chem Ind Ltd Polyethylene composition
US4598128A (en) * 1983-03-14 1986-07-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m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JPS6239647A (ja) * 1985-08-14 1987-02-20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チレン系フイルム
US5648424A (en) * 1993-04-30 1997-07-1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950003772A (ko) * 1993-07-31 1995-02-17 배순훈 냉장고의 냉장실 약냉방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61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1583B (zh) 一种抗低温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51263B1 (ko) 내스크래치 개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A2391896A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KR20110076341A (ko)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EP1160281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KR10147603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715762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040110881A1 (en) Impact modified polyolefin compositions
KR100348354B1 (ko) 자동차 펜더프로텍터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0302256B1 (ko) 자동차 타이밍 벨트 커버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0204658B1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KR20020050460A (ko)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118664A (ko) 플로우마크 억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40008806A (ko) 자동차 씬월 범퍼 커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246138B1 (ko)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49147B1 (ko) 저광택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435328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76038B1 (ko) 저비중 및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47888A (ko)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US20090088530A1 (en) Novel polymer compound and uses thereof
KR100533542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