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963B1 -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963B1
KR100347963B1 KR1020000007876A KR20000007876A KR100347963B1 KR 100347963 B1 KR100347963 B1 KR 100347963B1 KR 1020000007876 A KR1020000007876 A KR 1020000007876A KR 20000007876 A KR20000007876 A KR 20000007876A KR 100347963 B1 KR100347963 B1 KR 10034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roller
stirring
fine particles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772A (ko
Inventor
정수화
Original Assignee
정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화 filed Critical 정수화
Priority to KR102000000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9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목적 : 옻나무에서 추출한 생옻을 전통의 전래되어오는 정도의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의 옻칠을 대량으로 정제,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을 교반기에 의하여 저온에서 잘 저어 뭉쳐진 입자를 고르게한 뒤, 동일한 장비에 의하여 일정온도로 가열을 하면서 교반을 하는 가운데 생옻에 함유된 큰 입자를 잘게 부숴 고르게 하며, 입자내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굵은 입자를 걸러낸 뒤, 로울러로 된 분쇄기에 의하여 고운 입자를 고르게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효과 : 대량생산이 어려운 옻칠을,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의 고품질 옻칠을 대량으로 생산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A 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lacque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통의 전래되어오는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의 옻칠을 대량으로 정제하여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품질이 뛰어난 인공도료가 범람하고 있지만 그 자리를 도저히 넘겨다 볼 수 없는 것이 옻칠이라는 천연도료이다.
옻은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만 널리 이용되어 온 진귀한 천연도료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함경북도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남한지역에서는 강원도 치악산을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치악산 일대의 횡성, 원주지역은 일교차가 심해 최상품의 옻 생산지로 이름을 떨치는 곳이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칠전(식기방, 사칠공이라고도 불렀음)이란 관직을 두어 옻의 채취와 기물의 칠에 관한 업무를 맡아왔을 정도로 옻을 국가의 주요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재배 규모는 세종 14년(1432년)에는 355개의 고을 중 옻 세금을 바치는 고을이 182개에 이르렀다는 내용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 후 조선시대 후기에 접어들어서는 옻나무의 재배가 크게 쇠퇴하였다.
옻칠은 주로 나무에 가장 많이 사용하며, 종이,금속,자기,가죽,베 등에도 사용하기도 한다.
표면에 옻칠을 하면 견고한 막을 형성해 광택이 나고 항상 일정한 습도를 유지시켜 오래 사용하여도 변하기 않는다.
일반 인공도료로 칠을 하면 수년이 경과하면 칠이 들뜨는데 비하여 자연산 옻은 그 침투력이 강해 목기 속으로 파고 들어가 절대로 벗겨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리하여 옻칠한 전통목기들은 뛰어난 광택과 은근한 촉감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왔다.
우리나라에서의 옻칠의 역사는 기원전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2세기경 유적인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는 흑칠과 주칠한 제기류, 문방구류, 무기류 등이 출토되었다. 가야지방에서 출토된 나전단화금수문경(국보 제 140호)은 동 거울의 뒷면에 나전을 붙이고 옻칠을 한 것이다.
옻칠에는 흑칠, 주칠, 건칠 등이 있으며, 흑칠은 검은색 안료를, 주칠은 붉은색 안료를 섞은 것이고, 건칠은 삼베나 모시(불상에는 종이를 많이 썼다)를 옻칠과 함께 발라 일정 두께를 올려서 형태를 만들어 완성한 것을 말한다.
주칠을 백제시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용 두침과 족좌에서, 신라시대에는 안압지와 여러 분묘에서 출토된 귀족들의 생활용품에서 보여지듯 사용 초기 부터 귀족계급이상의 왕가 소유물인 듯 싶다. 이 후, 주칠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일반 민가에서는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흑칠과 주칠을 사용하였다는 근거는 선조들께서도 옻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리의 우수한 전통인 옻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에서 함유된 이물질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한 생옻을 고운 입자만을 걸러낸 뒤, 다시 이를 분쇄하여 고운 입자가 고르게 배열되도록 하여야만, 고 순도, 고광택, 고 투명도의 옻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생옻 자체의 특성은 점도가 높고, 수분의 함유량이 높아, 생옻에서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고운 입자만을 걸러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고운입자가 고르게 배열되도록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출토된 유물 등에서 살표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옻칠을 한 제품은 왕가, 귀족 등의 유물에서나 출토되고 있으며, 서민계층에서는 흔히 사용하였다는 문헌은 발견되고 있지 않다.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을 정제하여 옻칠을 하기 위한 옻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조들께서 사용해온 방법은 솜이나 고운 천으로 바쳐서 고운 입자만을 걸러낸 뒤, 나무 또는 유리 등으로 된 봉상의 막대기 등을 손으로 수 시간 내지는 수십시간 반죽하듯이 생옻위를 문질러 입자가 고르게 배열될 때까지 작업자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 자체는 점도가 높으며, 함유된 수분이 많아, 솜이나 고운 천 위에 생옻을 올려놓고 자연상태에서 정제하기 위해서는 수일이라는 시간이 소요되며, 걸러낸 옻의 입자를 고르게 배열하기 위하여 나무 또는 유리 등으로 된 봉상의 막대기로 생옻을 문지르는 과정 또한 수시간 내지는 수십시간의 작업시간을 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작업도 초보자 보다는 많은 경험에 의한 기능이 숙련된 사람에 의하여야만 양질의 옻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옻나무를 많이 재배하여도 이에서 우수한 옻칠을 얻기 위해서는우수한 기능의 소유자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만 소량의 옻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대량의 옻칠을 얻기가 어려워, 옻칠의 우수성을 인식하면서도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며, 더욱이,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의 고품질의 옻칠을 얻기란 용이하지가 않아, 현재로서는 대한민국 문화재 관리청에서 이의 전통 계승을 위하여 상기한 기능을 보유한 자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노동부에서는 그 분야에서 최고의 기능자를 명장으로 선정하여 그 전통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량생산이 어려운 옻칠의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고순도, 고광택, 고두명도의 고품질을 가진 옻칠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우리전통의 옻칠을 널리 전파, 계승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옻칠의 제조방법.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기의 저액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속도 변환기의 변환기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교반기 110 : 내통
120 : 교반봉 130 : 구멍
200 : 원심분리기 220 : 저액조
230 : 원심분리통 232 : 걸름망
300 : 분쇄기 312~316 : 제1~제3 로울러
330 : 가이드 350 : 회전속도 변환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을 교반기에 의하여 저온에서 잘 저어 뭉쳐진 입자를 고르게한 뒤, 동일한 장비에 의하여 일정온도로 가열을 하면서 교반을 하는 가운데 생옻에 함유된 큰 입자를 잘게 부숴 고르게 하며, 입자내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굵은 입자를 걸러낸 뒤, 로울러로 된 분쇄기에 의하여 고운 입자를 고르게 만듦으로써, 고순도, 고투명도, 고품질의 옻칠을 대량으로 제작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한 옻칠을 제작하기 위한 장비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교반기로서, 생옻을 저온에서 잘 저어 생옻에 뭉쳐진 입자를 고르게 한 뒤, 다시 가열기에 의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 작업을 함으로써, 입자의 교반 및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비이고,
둘째로는 원심분리기로서, 가열 교반된 옻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고속회전시켜 원심분리에 의하여 고운 입자만을 걸러내도록 하는 장비이며,
셋째로는 분쇄기로서, 스테인리스스틸제 등의 재질로 형성된 로울러를 다수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인입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하여, 최초의 로울러상에 옻액을 흘리면 마지막 로울러에서 로울러의 회전 속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고운 입자의 옻칠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옻칠의 제작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기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이다.
옻 나무에서 추출한 생옻을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를 가진 고품질의 옻칠을 대량으로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먼저, 교반기(100)에 생옻을 넣고,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부(140)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모터(미도시)를 가동하면 다수의 구멍(130)이 형성된 교반봉(120)이 회전하면서 생옻의 덩어리 입자를 고르게 해주는 이게 단계(S1 단계);를 거쳐,
다시 동일한 교반기(100)에서 가열기(미도시)를 통하여 내통(110)내의 옻이 일정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교반봉(120)을 회전시켜 옻을 교반하며, 교반봉(120)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30)에 의하여 생옻에 함유된 수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분을 제거해주는 가열교반 단계(S2 단계);
상기 가열교반 단계(S2 단계)를 거친 옻을 미도시된 입자가 고운 천 등으로 감싼 뒤, 원심분리통(230)에 삽입하고, 커버(210)를 덮은 뒤, 제어부(240)에 의하여 원심분리통(230)을 고속회전하여, 옻을 싸고 있는 천의 미세한 구멍 및 원심분리통의 걸름망(232)을 통하여 옻의 고운 입자만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원심분리 단계(S3 단계);
상기 원심분리 단계(S3 단계)에서 걸러낸 고운 입자의 옻을 인입부(322)에서 조금씩 흘려 제 1로울러(312)의 상부에 흘려보내면, 제 1로울러(312), 제 2 로울러(314), 제 3 로울러(316)가 회전하면서 옻의 입자가 분쇄되어 고운 입자의 고품질의 옻으로 만들어주는 분쇄 단계(S4 단계)를 거쳐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를 갖는 고품질의 옻칠을 대량으로 정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작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각 단계별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교반기(100)는 옻을 담을 수 있는 내통(110)과;
내통(110)내에 담겨진 옻의 교반을 위한 교반봉(120);
완료된 옻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0);
교반을 제어하기 모터 및 제어수단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40);
으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봉(120)에는 수개의 구멍(130)을 형성함으로써, 교반시 수분 증발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다.
교반봉(120)의 숫자는 1개만 도시되어있으나, 2개 또는 그 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반봉(120)에 형성된 구멍(130)은 필요에 따라 그 크기 및 갯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반기(100)에 의하여 옻을 정제하여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옻을 교반기(100)에 넣고, 제어부(140)의 스위치를 켜면, 제어부(140) 내부에 구성된 모터에 의하여 교반기(100)내의 교반봉(120)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교반봉(120)이 회전하면서 내통(110)내에 있는 옻을 잘 저어주면서 큰 덩어리를 작은 덩어리로 만들어준다.
이 후, 내통(110)의 외부 또는 상부에서 전기 히터, 가스 히터 등에 의하여 내통의 옻이 일정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가열하면서, 교반봉(120)을 회전시켜 저어주면, 옻의 입자가 고르게 되며 옻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이 때, 교반봉(120)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30)은 교반봉(120)에 의하여 교반되는 옻이 닿는 면적을 크게함으로써 옻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내통(110)의 가열수단은 내통(110)의 외부에 전기 히터로 구성된 가열판을 부착하여 가열할 수 있으며, 또는 가스에 의하여 내통(110)을 가열함으로써 내통(110)의 내부에 있는 옻을 일정온도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통(110)의 상부에서 전기, 가스 기타의 방법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내통(110) 내부의 옻을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정시간 가열교반이 완료된 옻은 배출구(1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반기(100)에 의하여 교반된 옻은 원심분리기(200)에 의하여 옻의 미세한 입자만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원심분리기(200)는 상부에 저액조(220)를 덮을 수 있는 커버(210)와,
원심분리되어 나오는 옻을 받아낼 수 있는 저액조(220),
걸름망(232)이 형성된 원심분리통(230),
걸러낸 옻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구(250) 및
원심분리통(2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저액조(220)의 내벽온도 제어 등을 위한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이 때, 저액조(220)는 내통(226)과 외통(222)으로 구성하여 그 사이에 전열기로 구성된 가열판(224)을 삽입함으로써 저액조(22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200)에서는 교반기(100)에 의하여 교반된 옻에서 미세한 입자의 옻만을 걸러내는 것으로서,
먼저, 제어부(240)에 의하여 가열판(224)을 가동시켜 저액조(220)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설정한 뒤, 교반기(100)에 의하여 교반된 옻을 미도시된 고운 천으로 감싼 뒤, 원심분리통(230)내부에 삽입하고, 커버(210)를 덮은 뒤, 제어부(240)에 의하여 모터(미도시)를 켜면, 미도시된 모터가 고속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의 축에 연동된 원심분리통(230)이 고속 회전하게되어 원심분리통(230) 내부에 있던 옻이, 옻을 감싸고 있던 고운 천 및 걸름망(232)을 통과하여 저액조(230)의 내통(226)으로 분사된다. 분사된 옻은 가열판(224)에 의하여 설정 온도로 유지된 내통(226)에 의하여 하부로 흘러내려 배출구(2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가운데 옻의 굵은 입자는 고운 천 및 걸름망에 걸리고 미세한 입자만이 배출구(25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옻을 분쇄기(300)에 의하여 분쇄함으로써 수분의 함유량을 없애고, 입자를 고르게 분쇄 및 펴줌으로써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의 고품질의 옻칠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분쇄기(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옻을 분쇄하기 위한 제 1 로울러(312), 제 2 로울러(314), 제 3 로울러(316);
상기 제 1 로울러(312)의 상부에서 옻을 흘려주기 위한 인입부(322);
제 3 로울러(316)에 부착된 옻을 긁어내기 위한 주걱 형상의 배출기(324);
배출기(324)에 의해 흘러내리는 옻을 받아내기 위한 배출받침(326);
각각의 로울러(312,314,316)에서 옻이 옆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330);
로울러(312, 314, 316)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가 포함된 제어부(340);
각각의 로울러(312, 314, 316)의 회전속도를 제 1 로울러(312), 제 2 로울러(314), 제 3 로울러(316)로 갈수록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증가하도록 회전속도를 변환시켜주는 회전속도 변환기(350);
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370은 손잡이로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을 완료한 뒤 각 로울러(312, 314, 316)를 청소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손잡이를 좌우측으로 돌리면 좌측의 손잡이(370)는 제 1 로울러(312)를 움직여 제 2 로울러(314)와의 간격을 벌릴 수 있으며, 우측에 구성된 손잡이(370)에 의해서는 제 3 로울러(316)를 움직여 제 2 로울러(314)와의 간격을 벌려, 각각의 로울러(312, 314, 316)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한편, 로울러는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로울러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2 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회전속도 변환기(350)의 기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기어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로울러(312, 314, 316)의 회전 속도에 있어서, 제 1 로울러(312)와 제 2 로울러(314)와의 회전 속도차이는 대략 2-3배 정도의 회전속도를 갖으며, 마찬가지로 제 2 로울러(314)와 제 3 로울러(316)의 회전 속도 차이 역시 대략 2-3배 정도의 회전 속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 1 로울러(312)의 회전 속도가 분당 10회전이라 가정하며, 제 2 로울러(314)의 회전 속도는 대략 분당 20~30회전하며, 제 3 로울러(316)의 회전 속도는 분당 40~90회전 정도가 되는 것이다.
상기 각 로울러의 회전 속도 차이가 크게 되면, 앞의 로울러에서 뒤 로울러로 이송되는 옻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게 되나, 고 품질의 옻칠을 얻기는 어려워지게 되며, 앞,뒤 로울러의 회전 속도의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앞의 로울러에서 뒤 로울러로 이송되는 옻의 양이 적어 일정 분량의 옻을 분쇄하기 위해서는 회전 속도 차이가 큰 경우에 비하여 장 시간을 요하게 됨으로써 대량 생산시에는 다소 불리하나, 고품질의 옻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로울러에 의하여 옻의 분쇄시, 로울러(312, 314, 316)상부에서 원적외선 등에 의한 가열을 해 줌으로써, 로울러에 의한 분쇄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쇄기(300)에 의하여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를 가진 고품질의 옻칠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원심분리기(200)에서 받아낸 옻을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인입부(322) 상부에서 흘려주면, 떨어진 옻이 제 1로울러(312)의 표면에 부착되어회전되고, 제 1 로울러(312)의 회전 도중, 제 2 로울러(314)와 맞닫는 순간 제 1 로울러(312)에 부착된 옻이 분쇄되면서, 양 로울러(312, 314)의 회전 속도차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조금씩 제 2 로울러(314)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 2 로울러(314)에 부착된 옻은 제 3 로울러(316)와 맞닫는 순간 분쇄되어, 양 로울러(314, 316)의 회전속도차이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제 3 로울러(316)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된다.
제 3 로울러(316)의 출구측에 부착된 배출기(324)에 의하여 제 3 로울러(316)의 표면상에 부착된 옻을 긁어 내어 배출받침(326)으로 흘려 주게된다.이에 따라, 배출받침(316)에서는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을 갖는 고품질의 옻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고점도, 고함수성의 생옻을 정제, 제작함으로써 선조들이 수 많은 시간에 걸쳐 조금씩 완성하며, 현재에는 전통 계승자에 의해서만 많은 시간을 통하여 조금씩 얻을 수있는 고품질의 옻칠을 손쉽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를 갖는 고품질의 옻칠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 고품질의 옻칠을 대량으로 생산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고품질의 전통 옻칠의 전파 및 계승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옻나무에서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를 갖는 옻칠을 대량으로 얻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교반기에 의하여 생옻의 큰 덩어리 입자를 작은 덩어리로 만드는 이게 단계;
    상기 교반기에 열을 가하여 가열 교반시키는 가열교반 단계;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미세입자만을 걸러내는 원심분리단계;
    로울러에 의하여 옻을 분쇄하여 주는 분쇄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제조방법.
  2. 옻나무에서 추출한 생옻을 이게 및 가열교반시키는 교반기;
    가열교반된 옻에서 미세입자만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원심분리기;
    미세입자만을 걸러낸 옻을 로울러에 의하여 분쇄하는 분쇄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부에 생옻을 담을 수 있는 원통형의 내통과;
    상기 내통에는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옻을 교반시키며,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교반봉과;
    상기 교반봉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부에 설치한 모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기는,
    원심분리를 위한 원심분리통과;
    원심분리된 옻을 저장할 수 있는 저액조와;
    저액조의 외벽을 이중으로 하여 그 중간에 삽입하여 저액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판;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제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로울러와;
    로울러의 좌우측에 설치하여 로울러에 부착된 옻이 좌우측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로울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옻이 인입되는 인입부측의 로울러의 회전속도보다 출구측으로 갈수록 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회전속도 변환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에 가열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가열기에 의하여 가열을 함으로써, 옻의 온도가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제조장치.
KR1020000007876A 2000-02-18 2000-02-18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34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76A KR100347963B1 (ko) 2000-02-18 2000-02-18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876A KR100347963B1 (ko) 2000-02-18 2000-02-18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72A KR20010081772A (ko) 2001-08-29
KR100347963B1 true KR100347963B1 (ko) 2002-08-09

Family

ID=1964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876A KR100347963B1 (ko) 2000-02-18 2000-02-18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10B1 (ko) * 2009-12-26 2012-03-28 이현경 금속분과 유제를 이용한 옻칠 표면처리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95B1 (ko) * 2018-06-20 2020-02-04 옥승호 정제 옻칠 제조 장치
KR102382654B1 (ko) * 2020-01-15 2022-04-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옻칠 제조 장치 및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옻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508A (ja) * 1991-11-25 1993-06-08 Atsushi Yamamoto 精製漆の製造方法
JPH06256722A (ja) * 1992-11-25 1994-09-13 Iwate Pref Gov 漆液の精製装置
KR20000038692A (ko) * 1998-12-08 2000-07-05 송홍근 옻칠 정제기
KR20010025908A (ko) * 1999-09-01 2001-04-06 정우양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508A (ja) * 1991-11-25 1993-06-08 Atsushi Yamamoto 精製漆の製造方法
JPH06256722A (ja) * 1992-11-25 1994-09-13 Iwate Pref Gov 漆液の精製装置
KR20000038692A (ko) * 1998-12-08 2000-07-05 송홍근 옻칠 정제기
KR20010025908A (ko) * 1999-09-01 2001-04-06 정우양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10B1 (ko) * 2009-12-26 2012-03-28 이현경 금속분과 유제를 이용한 옻칠 표면처리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772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76042A (zh) 一种从甜叶菊中提取甜叶菊糖苷的装置及其提取方法
KR100347963B1 (ko)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211610788U (zh) 一种治疗风湿骨病的中草药提取罐
CN107684855A (zh) 一种用于有机复合微生物菌肥高效搅拌装置及使用方法
CN108714316A (zh) 一种新型茶多酚提取装置
CN103804964A (zh) 黄土液制造装置及利用该装置制造黄土液的方法
CN111780525B (zh) 黄精采收加工生产线
CN212820307U (zh) 一种油漆加工用精磨装置
CN109569019A (zh) 一种淀粉类中药的自动化提取分离方法
CN209702615U (zh) 一种乳化炸药废药过滤装置
CN108714315A (zh) 一种集粉碎功能的茶多酚提取装置
CN215427418U (zh) 一种化妆品生产用萃取装置
CN109569018A (zh) 一种种子类药材的自动化提取分离方法
CN113855618A (zh) 一种中药面膜加工工艺
CN209378582U (zh) 一种煮熟海藻的筛选过滤装置
CN207613152U (zh) 一种芒果打浆机
CN102658053B (zh) 一种高塔复合肥料浆乳化器
CN207933324U (zh) 一种从新鲜绿藻中提取绿藻蛋白多糖的生产线
CN214132094U (zh) 一种中药渣制备有机肥无害化处理装置
CN208786591U (zh) 一种工业固体废物粉碎设备
KR100854737B1 (ko) 옻칠 정제장치
CN109499094A (zh) 一种粉末饮片中药的自动化提取分离方法
CN108938484A (zh) 红葡萄酒酒泥多酚唇膏及其制作方法
CN219482473U (zh) 一种用于辊涂施工的硅酸钙板用柔性陶瓷涂料生产设备
CN217088592U (zh) 一种杂交水稻制种包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