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908A -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 Google Patents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908A
KR20010025908A KR1019990036968A KR19990036968A KR20010025908A KR 20010025908 A KR20010025908 A KR 20010025908A KR 1019990036968 A KR1019990036968 A KR 1019990036968A KR 19990036968 A KR19990036968 A KR 19990036968A KR 20010025908 A KR20010025908 A KR 2001002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layer
coating
coat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양
정균
Original Assignee
정우양
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양, 정균 filed Critical 정우양
Priority to KR101999003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908A/ko
Publication of KR2001002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액을 고유의 전통도장기법을 이용하여 현악기의 표면에 도장함으로써, 현악기 고유의 음색을 유지하면서 옻칠도막만이 갖는 우수한 특징을 갖는 옻칠도장된 현악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색제 및 옻액이 현악기의 소지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도록 알코올에 정제셀락이 용해된 용액이 코팅된 정제셀락층과, 원하는 색상의 수성 또는 알코올성 천연 착색제가 코팅된 착색층 및,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로 형성된 옻액이 다수회 코팅된 옻칠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착색층의 하부면에는 비극성 용매에 희석한 초칠, 성칠 그리고 말칠과 유연제 및 생옻을 배합하여 숙성정제한 투명정제옻칠 용액에 의해 제1옻칠층이 형성되어 있고, 착색층의 상부면에는 성칠과 말칠을 숙성정제한 정제옻칠 용액에 의해 제2옻칠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옻칠층의 상부면에는 성칠을 채취하여 2 ∼ 3년간 숙성시킨 후 다수의 수지를 배합한 정제숙성옻칠 용액에 의해 제3옻칠층이 형성되어 있고, 제3옻칠층의 상부면에는 도장면 또는 표면연출을 위하여 생칠 또는 정제칠 용액에 의해 제4옻칠층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Violin-Type Stringed Instrument Coated with Korea Rhus Lacquer and Method for Coating Korea Rhus Lacquer}
본 발명은 현악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액을 현악기의 표면에 도장한(생칠, 숙성칠, 정제칠)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악기의 표면에 옻칠을 하는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바이올린계 현악기의 기본소재는 목재이다. 이러한 목재소재로된 몸통위에 음향악기의 고유음향 및 음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분이나 땀, 기타 피지와 같은 지용성물질과 먼지 등이 달라붙지 못하게 하고, 외부마찰 및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및 외관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표면에 투명도장을 행하고 있다. 이런 투명도장재로서, 유럽전통의 대표적인 현악기인 명품바이올린(Stradivarius, Amati, Guarnerius 등)의 도장재는 극성(알코올)용액에 곤충의 분비물인 셀락(shellac) 등 수종의 천연물질을 용해한 것으로 그 자체가 하나의 비전기술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300여년이 경과하면서 음색이 노쇠화되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전문 연주가용 고급수제품 바이올린의 제조에는 스피리트 바니시(spirit varnish)를 사용하고, 음악학생용 중저가형(대량생산) 제품용으로는 니트로-셀룰로스 래커(nitro-cellulose lacquer)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도료는 작업성이 우수하고 도료의 작업성(塗膜肉持效果)이 좋은 반면, 지나친 광택 및 인공적 색감 등 외관품질이 저급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현악기의 표면도장(varnishing)은 연주자의 땀이나 물 그리고 체내 유지분 등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직접적으로 침입을 차단하는 데 그 기본 목적이 있었다. 특히, 연주자의 손이 직접 닿는 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하게 마모되고, 땀과 같은 염분에 도료가 녹아 버려 현악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그래서, 현악기의 평균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2 ∼ 3년을 주기로 수리보완 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관리상의 제반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현악기 도료는 설탕과 같이 비결정구조를 갖는 도료재를 사용한 것으로서, 외부온도 및 습도에 전혀 적응을 못하여 여름에는 물먹은 소리를 내고, 겨울에는 마른 장작 소리가 나는 등, 같은 현악기에서도 그 음질의 보존유지가 연주자에게는 매우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장재가 도장된 바이올린 및 그 도장방법에 관한 기술은 미국특허 제4,789,603호 및 미국특허 제4,822,690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 기술내용을 도 1를 참조로 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겠다.
도 1에 보이듯이, 바이올린(10)의 목재(20)의 내부면(22)에는 화이트 셀락코팅층(white shellac coats ; 32, 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화이트 셀락코팅층(32, 34)은 대기습기변화에 따른 목재(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목재(20)의 외부면(24)에는 화이트 셀락코팅층(white shellac coats ; 42 ∼ 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화이트 셀락은 알코올용액에 셀락(shellac) 을 용해한 것으로서, 붓이나 다른 코팅기술을 이용하여 외부면(24)에 도장된다.
그리고, 화이트 셀락코팅층(48)의 상부에는 테레빈유(turpentine oil)에 알리자린(alizarin) 등과 같은 염료가 혼합된 용액이 도장된 색조코팅층(colar coat ; 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색조코팅층(50)의 상부에는 화이트 셀락이 붓이나 다른 코팅기술에 의해 도장된 상부코팅층(top coats ; 60 ∼ 6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부코팅층(60 ∼ 66)의 작업은 색조코팅층(50)과 반응하지 않도록 충분한 시간을 갖고 행해져야 한다.
그리고, 상부코팅층(66)의 상부에는 비등된 아마인유(boiled linseed oil)와 같은 건조오일(drying oil)이 도장된 미세 플라스팅 코팅층(microscopic plasticizing coat ; 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바이올린은 앞서 설명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옻나무에서 채취된 현악기 도장용 도료를 고유의 전통도장기법을 이용하여 현악기의 표면에 도장함으로써, 현악기 고유의 음색을 유지하면서 옻칠도막만이 갖는 우수한 특징을 갖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면이 도장된 바이올린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옻칠도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색상 및 광택도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4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일광노출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5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세척에 따른 광택도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7은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열적변화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8은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내수성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색제 및 옻액이 현악기의 소지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도록 알코올에 정제셀락이 용해된 용액이 코팅된 정제셀락층과, 원하는 색상의 수성 또는 알코올성 천연 착색제가 코팅된 착색층 및,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로 형성된 옻액이 다수회 코팅된 옻칠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제셀락층의 상부면에는 균일한 착색 및 평활한 표면보장을 위해 알코올을 정제셀락에 용해한 농축용액에 천연염료 및 화산재 등 로스터드 클레이(roasted clay)분말 등을 섞은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색층의 하부면에는 비극성 용매에 희석한 초칠, 성칠 그리고 말칠과 유연제 및 생옻을 배합하여 숙성정제한 투명정제옻칠 용액에 의해 제1옻칠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색층의 상부면에는 성칠과 말칠을 숙성정제한 정제옻칠 용액에 의해 제2옻칠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옻칠층의 상부면에는 성칠을 채취하여 2 ∼ 3년간 숙성시킨 후 다수의 수지를 배합한 정제숙성옻칠 용액에 의해 제3옻칠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옻칠층은 3 ∼ 15회의 붓칠 또는 댐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옻칠층의 상부면에는 도장면 또는 표면연출을 위하여 생칠 또는 정제칠 용액에 의해 제4옻칠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제 및 옻액이 현악기의 소지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도록 알코올에 정제셀락이 용해된 용액으로 현악기의 표면을 코팅하여 정제셀락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원하는 색상의 수성 또는 알코올성 천연 착색제로 상기 정제셀락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착색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로 형성된 옻액으로 상기 착색층의 표면을 다수회 코팅하여 옻칠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옻은 옻나무에서 채취된 유백색의 수액으로, 옻나무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고원지대로 알려져 있다. 이런 옻은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내구성이 요구되는 기물에 사용하면 장기간 이용이 가능하며, 산, 알칼리, 알코올, 염분 등의 약품에도 강한 특징이 있다. 또한, 옻을 사용하면 견고성이 뛰어나 잘 벗겨지지 않고, 방수성 및 방열성이 강하여 여러 나라에서 옻을 매우 소중하게 다루고 있다.
이런 옻의 주성분은 각국의 산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옻산(Urushiol) 50 ∼ 70%, 고무질 10%, 수분 20 ∼ 30%, 함실소물(含室素物) 20% 및 기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조성된 옻은 '옻산'이라고 하는 액체에서 수분이 분산되어 있는 것인 데, 이것을 '유중수상형의 에멀젼'이라고 하며, 화학적으로는 '유화중합체'라고 일컫는 데, 경화메카니즘은 이런 에멀젼 중에 존재하는 효소가 공기 중의 수분으로부터 산소를 거두어 중합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옻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25℃ 전후의 온도와 85% 이상의 습도에서 행해져야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옻칠도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에 보이듯이, 먼저, 바이올린 동체를 조립한다(S1). 이 때에는 규정에 의해 엄선된 소재를 이용하여 부재가공 및 조립공정 그리고 이와 병행한 엄격한 표준에 의한 품질관리를 통해 완벽한 바이올린 동체를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여 동체가 조립되면, 도장을 위한 연마공정에 앞서 각 부위별 가공정밀도 및 적정 함수율유지 여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1차 소지연마를 실시하는 데(S2), 이 때에는 기계 또는 수작업 등에 의해 가공된 소지에 존재하는 비교적 큰 소지결함, 기계자국, 접착제 등을 제거하기 위해 AA급 #400 연마지를 이용하여, 목리(나이테)에 45。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수작업 연마(hand sanding)를 실시한다.
그리고, 2차 소지연마를 실시한다(S3). 이 때에는 AA급 #600 연마지를 이용하여 1차 소지연마시의 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수작업 연마를 실시한다.
그런 다음, 3차 소지연마를 실시하는 데(S4), 이 때에는 AA급 #800 연마지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하면서 목리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행한다. 이 때부터는 세밀한 수연마(手硏磨)를 실시한다.
그리고, 4차 소지연마를 실시한다(S5). 이 때에는 AA급 #1200 연마지를 이용하여 각 부재의 목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수연마(手硏磨)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소지연마작업이 완료되면, 소지의 기초착색 작업을 실시한다(S6). 이런 기초착색 작업은 자연물인 목재 소지의 형태별 표면 문양에 따른 이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하는 균일한 표면색상처리인 것이다.
그런 다음, 정제셀락 하도를 실시한다(S7). 이런 정제셀락 하도는 착색제 및 옻칠의 악기소지 내부로의 침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알코올에 정제셀락을 용해한 용액을 천이나 붓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 음지인 실온에서 건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눈메움을 실시한다(S8). 이런 눈메움은 균일한 착색 및 악기제품의 평활한 표면보장을 위해 정제셀락을 알코올에 용해한 농축용액에 천연염료 및 화산재 등 로스터드 클레이(roasted clay)분말 등을 섞은 혼합물을 천과 붓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 마른 천을 이용하여 목리에 직교 또는 회전방향으로 교호하게 닦아내는 것이다.
이렇게 눈메움 작업이 끝나면, 1차 투명정제옻칠을 실시하는 데(S9), 이런 1차 투명정제옻칠은 테레빈유(turpentine oil) 등 비극성 용매에 희석한 초칠(대한민국 7월 20일 이전에 채취된 옻액), 성칠(대한민국 7월 20일 ∼ 8월 20일 채취된 옻액) 그리고 말칠(대한민국 8월 21일 ∼ 10월 20일 채취된 옻액)과 유연제 및 특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생옻을 배합하여 숙성 정제한 투명정제옻칠 용액을 고급 유화붓을 이용하여 가볍게 1회 도장하여 눈메움재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착색작업을 실시한다(S10). 이런 착색작업은 원하는 색상의 수성 또는 알코올성 천연 착색제(water or alcoholic natural stain)를 적정농도로 희석한 후 천이나 부드러운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2차 투명정제옻칠을 실시하는 데(S11), 이런 2차 투명정제옻칠은 착색제의 완전건조 후 실시하는 것으로, 성칠과 말칠을 숙성정제한 정제옻칠 용액을 테레빈유로 희석한 후, 붓 또는 댐칠(천에 옻액을 적셔서 닦는 것)로 작업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감숙성 정제옻칠을 실시한다(S12). 이런 마감숙성 정제옻칠은 성칠을 채취하여 2 ∼ 3년간 숙성시킨 후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수지를 배합한 정제숙성옻칠 용액을 이용하여, 붓 또는 댐칠로 3 ∼ 15회 실시하여 소정의 도막두께(100㎛ 내외)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연마 및 광내기 작업을 실시한다(S13). 이런 연마 및 광내기 작업은 도장면 또는 표면연출을 위한 세밀한 연마 및 광내기(생칠 또는 정제칠, 댐칠) 등의 공정을 통하여 내약품성, 내마모성, 피지나 땀 등에 대한 내염성, 연주시 조명 등에 의한 고온에서도 일정한 음질을 유지하는 내열성, 외부의 습도변화에 따른 적정수분의 유지 등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도장된 시편과 종래기술에 의해 도장된 시편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실험을 행한 결과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실험에 사용될 본 발명의 도료로는 옻칠(생칠, 숙성칠 및 정제칠)이 사용되고, 종래기술의 도료로는 니트로-셀룰로스 래커가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생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천연 칠액 중에서, 채취 중에 혼합된 나뭇잎, 껍질, 벌레 따위의 이물질을 여과기에 넣어 제거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숙성칠은 생칠을 3년간 숙성시킨 것을 의미하고, 정제칠은 천연 칠액을 교반기에 넣고 가열, 탈수시켜 다시 원심분리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는 유럽산 가문비나무(Picea abies)시편을 250(㎜)x20(㎜)x10(㎜) 크기로 제작하여 표 1과 같은 도장방법으로 도장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도 3에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색상 및 광택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색상은 도쿄 덴슈쿠(Model : TC-3600)사의 Colar & Colar Difference Meter를 사용하여 랩(Lap)값을 측정하였고, 광택도는 도쿄 덴슈쿠(Model : TC-3600)사의 Gloss Meter로 광택도값을 측정하였다.
도 3에 보이듯이, 명도(L)에 있어서는 생칠의 도막이 가장 낮고, 래커의 도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색도(a)와 황색도(b)에 있어서도 래커의 도막이 가장 높았고, 적색도(a)에서는 정제칠, 숙성칠, 생칠순으로, 그리고 황색도(b)에서는 숙성칠, 정제칠, 생칠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택도(G)에 있어서는 3종의 옻칠의 도막에 비하여 래커의 도막이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즉, 광택도는 래커가 3종의 옻칠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 고품격 현악기의 제작에는 옻칠이 적합하며, 색상은 3종의 옻칠의 경우 정제정도에 따라 적색도(a)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4에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일광노출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보이듯이, 4종의 도료 색상을 표시하는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값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택도(G)에 있어서, 3종의 옻칠의 도막은 거의 변화가 없지만, 래커의 도막은 일광노출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광택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보이듯이, 자외선 노출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는 그 변화가 매우 적어 4종의 도료 모두 자외선에 대한 도막 저항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세척에 따른 광택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보이듯이, 세척전 광택도가 가장 높았던 래커의 도막이 세척후 광택도가 크게 감소함으로써, 오염물질에 대한 세척성이 가장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옻칠의 경우 3종의 옻칠도막은 세척에 따른 광택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세척성의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7에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열적변화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보이듯이, 온도상승에 따른 색상 및 광택도의 변화가 가장 큰 것은 래커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값은 4종의 도막 모두 100℃까지는 큰 변화가 없으나, 100 ∼ 120℃의 사이에서는 크게 떨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올린의 연주시나 보관 또는 취급시에 고온에서의 노출이 예상되므로 래커 대신 옻칠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도 8에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 의해 각각 도장된 시편의 내수성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보이듯이, 총 7차례의 도장으로 도막의 두께가 가장 두꺼웠던 래커가 내수성이 가장 뛰어났으며, 4회 도포에 불과한 3종의 옻칠들도 래커의 내수성에 비해 그다지 떨어지지 않아 옻칠의 우수한 내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표 2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도료별 도막경도값이 나타나 있다.
표 2에 보이듯이, 상온에서의 도막의 경도는 래커칠이 가장 낮았고, 생칠, 숙성칠, 정제칠순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온도가 120℃까지 올라감에 따라 도막의 경도는 4종 모두 점차적으로 떨어져 생칠은 그 경도값이 3B로 래커의 상온에서의 경도수준까지 연화됨을 알 수 있고, 숙성칠은 2B, 정제칠은 4B로 연화되었으나 여전히 래커의 도막경도 6B보다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옻칠도장된 현악기는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를 갖도록 표면이 옻칠처리되어 있으므로, 내구성, 내염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내열성, 보습성 및 외관미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옻칠도장된 현악기는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를 갖도록 표면이 옻칠처리되어 있으므로, 악기 내부로의 수분 유입 및 발산을 차단하여 목재의 치수변화 및 재질변화를 방지하고 악기소재의 고유물성을 유지하여 고유의 음향적 특성을 보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8)

  1. 착색제 및 옻액이 현악기의 소지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도록 알코올에 정제셀락이 용해된 용액이 코팅된 정제셀락층과,
    원하는 색상의 수성 또는 알코올성 천연 착색제가 코팅된 착색층 및,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로 형성된 옻액이 다수회 코팅된 옻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셀락층의 상부면에는 균일한 착색 및 평활한 표면보장을 위해 알코올을 정제셀락에 용해한 농축용액에 천연염료 및 화산재 등 로스터드 클레이(roasted clay)분말 등을 섞은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하부면에는 비극성 용매에 희석한 초칠(대한민국 7월 20일 이전에 채취된 옻액), 성칠(대한민국 7월 20일 ∼ 8월 20일 채취된 옻액) 그리고 말칠(대한민국 8월 21일 ∼ 10월 20일 채취된 옻액)과 유연제 및 생옻을 배합하여 숙성정제한 투명정제옻칠 용액에 의해 제1옻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상부면에는 성칠과 말칠을 숙성정제한 정제옻칠 용액에 의해 제2옻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옻칠층의 상부면에는 성칠을 채취하여 2 ∼ 3년간 숙성시킨 후 다수의 수지를 배합한 정제숙성옻칠 용액에 의해 제3옻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옻칠층은 3 ∼ 15회의 붓칠 또는 댐칠(천에 옻액을 적셔서 닦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옻칠층의 상부면에는 도장면 또는 표면연출을 위하여 생칠(천연칠액 중 이물질을 여과기로 제거한 옻액) 또는 정제칠(천연칠액을 교반기에 넣고 가열, 탈수시켜 원심분리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옻액) 용액에 의해 제4옻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8. 착색제 및 옻액이 현악기의 소지 내부로 균일하게 침투되도록 알코올에 정제셀락이 용해된 용액으로 현악기의 표면을 코팅하여 정제셀락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원하는 색상의 수성 또는 알코올성 천연 착색제로 상기 정제셀락층의 표면을 코팅하여 착색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섬유조직과 같은 망사구조로 형성된 옻액으로 상기 착색층의 표면을 다수회 코팅하여 옻칠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도장된 현악기.
KR1019990036968A 1999-09-01 1999-09-01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KR20010025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968A KR20010025908A (ko) 1999-09-01 1999-09-01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968A KR20010025908A (ko) 1999-09-01 1999-09-01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908A true KR20010025908A (ko) 2001-04-06

Family

ID=1960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968A KR20010025908A (ko) 1999-09-01 1999-09-01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90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963B1 (ko) * 2000-02-18 2002-08-09 정수화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477076B1 (ko) * 2002-07-12 2005-03-17 김복곤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WO2005054379A1 (en) * 2003-12-08 2005-06-16 Chang-Ho Lim Composition for coating inside of string instrument
KR100853997B1 (ko) * 2007-09-13 2008-08-25 서영수 옻의 염색방법
KR100966589B1 (ko) * 2009-12-31 2010-06-29 (주)태백산업 식용색소를 이용한 목재가구 셀락 도장방법
KR20190018861A (ko) * 2017-08-16 2019-02-26 안용학 친환경 채색 코팅을 갖는 도기 오카리나
KR20210026286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비노스트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악기 및 악기케이스 관리시스템
KR20220058204A (ko) * 2020-10-30 2022-05-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옻칠 소재 평가 프로토콜 및 정보 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963B1 (ko) * 2000-02-18 2002-08-09 정수화 옻칠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477076B1 (ko) * 2002-07-12 2005-03-17 김복곤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WO2005054379A1 (en) * 2003-12-08 2005-06-16 Chang-Ho Lim Composition for coating inside of string instrument
KR100853997B1 (ko) * 2007-09-13 2008-08-25 서영수 옻의 염색방법
KR100966589B1 (ko) * 2009-12-31 2010-06-29 (주)태백산업 식용색소를 이용한 목재가구 셀락 도장방법
KR20190018861A (ko) * 2017-08-16 2019-02-26 안용학 친환경 채색 코팅을 갖는 도기 오카리나
KR20210026286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비노스트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악기 및 악기케이스 관리시스템
KR20220058204A (ko) * 2020-10-30 2022-05-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옻칠 소재 평가 프로토콜 및 정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Williams Effect of grafted UV stabilizers on wood surface erosion and clear coating performance
KR20010025908A (ko)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US1971067A (en) Grained wood and method of graining same
US2658836A (en) Preserving plant and animal tissues
Phenix et al. A brief survey of historical varnishes
CN104626318B (zh) 木制工艺品的制作方法
KR20010011478A (ko) 옻칠 도막처리제
Laurie The Painter's Methods and Materials: The Handling of Pigments in Oil, Tempera, Water-Colour and in Mural Painting, the Preparation of Grounds and Canvas, and the Prevention of Discolouration-With Many Illustrations
JPH01123294A (ja) ヴアイオリン及びその仕上げ方法
KR101638590B1 (ko) 프리저브드 플라워 또는 드라이 플라워 코팅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제
WN et al. A MICROSCOPIC EXAMINATION TO MONITOR THE HISTORICAL PAPER DYEING TECHNIQUES.
KR102403236B1 (ko) 백색광 펄스를 이용한 옻칠된 도막의 투명화 방법
Abdel-Maksoud et al. ANALYTICAL AND CONSERVATION TECHNIQUES FOR GENERAL ARRANGEMENT PLAN-SCREW YACHT" SAFA-EL-BAHRE" ON TRACING PAPER
CN108620301A (zh) 一种环保铅笔表面涂漆工艺
RU2201874C2 (ru) Способ декорир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древесины
KR102512737B1 (ko) 옻칠 방법 및 옻칠 조성물
Yusupova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anuscripts and bindings on parchment
CN108942420A (zh) 一种棺椁木材表面处理方法
Alawneh et al. The Conservation of the Byzantine icon from Georgios church, Jordan
KR101343542B1 (ko) 목기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목기
Sansonetti et 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Water-Based Ecological Paint for Protection of Wood Materials Coated Using Dipping Technique
RU2188238C1 (ru) Способ отделки натуральной кожи
Andés The Treatment of Paper for Special Purposes: A Practical Introduction to the Preparation of Paper Products for a Great Variety of Purposes...
SU1369924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декоративных изделий с покрытием,имитирующим старин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