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695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695B1
KR100346695B1 KR1019990009829A KR19990009829A KR100346695B1 KR 100346695 B1 KR100346695 B1 KR 100346695B1 KR 1019990009829 A KR1019990009829 A KR 1019990009829A KR 19990009829 A KR19990009829 A KR 19990009829A KR 100346695 B1 KR100346695 B1 KR 10034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rying
solvent
heating
dr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052A (ko
Inventor
노광호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6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66Heating or dry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은, 건조롤러에 흡수된 용매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으로서 그 건조롤러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복사형 히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롤러를 종래보다 장시간 가열할 수 있게 되므로 흡수된 용매를 충분히 증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Drying unit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롤러에 흡수된 용매의 증발수단이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0)에 레이저를 주사하여 현상할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50)과, 액상의 용매와 분말상의 토너가 혼합된 현상액을 사용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소정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유닛(20)과, 현상 후 상기 화상내에 잔존하는 액상의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하는 건조유닛(30)과, 상기 감광벨트(10)에 현상된 이미지를 용지(S)에 인쇄하는 인쇄유닛(4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유닛(30)은 상기 감광벨트(10)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용매를 흡수해내는 건조롤러(31)와, 상기 건조롤러(31)를 가열하여 흡수된 용매를 증발시키는 히팅롤러(3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롤러(31)가 감광벨트(10)에 현상된 화상으로부터 액상의 용매를 흡수해내면, 상기 히팅롤러(32)가 이 건조롤러(31)를 가열하여 흡수된 용매를 기체상으로 증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증발된 용매는 소정의 루트를 통해 유도되어 포집된 후 다시 회수된다. 참조부호 33은 상기 건조롤러(31) 및 히팅롤러(32)를 둘러싸는 매니폴드를 나타낸다.
그런데 인쇄작업이 반복되다 보면 상기 건조롤러(31)에 흡수되는 용매의 양이 점차 증가하게 되어 그 흡수능력이 포화상태에 이를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팅롤러(32)가 상기 건조롤러(31)를 계속 가열하면서 흡수된 용매를 증발시키고는 있지만, 이 히팅롤러(32)는 상기 건조롤러(31)와 거의 선접촉된 상태에서 그 접촉부위만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용매의 흡수량이 많아질 때 그 접촉부위에서순간적으로 충분히 증발시키지 못하면 건조롤러(31)가 점차 포화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조롤러(31)가 포화되어 용매를 제대로 흡수할 수 없게 되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화상이 용지(S)에 찍히게 되어, 결국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건조롤러에 흡수된 용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 중 복사형 히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감광벨트 200...건조유닛
210...건조롤러 220...히팅롤러
230...복사형 히터 231...세라믹부재
232...단열재 233...열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화상이 현상된 감광벨트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그 화상에 함유된 액상의 용매를 흡수해내는 건조롤러와, 상기 건조롤러를 가열하여 상기 흡수된 액상의 용매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단이 상기 건조롤러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복사형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을 나타낸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유닛(200)에는, 감광벨트(100)에 현상된 화상에 함유된 용매를 흡수해내는 건조롤러(210)가 구비된다. 그리고이 건조롤러(210)에 흡수된 용매를 기체상으로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수단으로서, 상기 건조롤러(210)와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흡수된 용매를 가열하는 히팅롤러(220) 및, 상기 건조롤러(2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열을 가하는 복사형 히터(23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히팅롤러(220)가 먼저 상기 건조롤러(210)와 직접 접촉하여 가열함으로써 용매를 증발시키고, 이어서 상기 복사형 히터(230)가 비접촉식으로 건조롤러(210)를 가열하여 잔량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사형 히터(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단열재(232)가 부착된 세라믹부재(231)의 내부에 열선(233)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복사형 히터(230)가 상기 건조롤러(2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을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있어서, 선접촉 상태로 가열하는 상기 히팅롤러(220)에 비해 같은 부위를 상대적으로 장시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참조부호 240은 상기 히팅롤러(220)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50은 매니폴드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쇄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건조롤러(210)가 상기 감광벨트(100)에 현상된 화상 중 액상의 용매를 흡수해내게 되고, 이와 같이 흡수된 용매는 상기 히팅롤러(220)와 복사형 히터(230)에 의해 가열되어 기체상으로 증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롤러(220)는 상기 건조롤러(210)와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가열을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열효과가 좋아서 순간적으로 다량의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사형 히터(230)는 직접접촉되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같은 부위를 가열하기 때문에 남아있는 용매 잔량분을 충분히 증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증발수단을 상기 히팅롤러(220)를 배제하고 상기 복사형 히터(23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사형 히터(230)를 히티롤러(220)가 있던 자리까지 건조롤러(210)를 둘러싸도록 설치하여 비접촉식 복사열에 의해서만 용매가 증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용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히팅롤러(220)와 복사형 히터(230)를 같이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은, 용매를 흡수한 건조롤러를 종래보다 장시간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흡수된 용매를 충분히 증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소정 화상이 현상된 감광벨트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그 화상에 함유된 액상의 용매를 흡수해내는 건조롤러와, 상기 건조롤러를 가열하여 상기 흡수된 액상의 용매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단은,
    상기 건조롤러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복사형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단은,
    상기 건조롤러와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그 건조롤러를 가열하는 히팅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KR1019990009829A 1999-03-23 1999-03-23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KR10034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29A KR100346695B1 (ko) 1999-03-23 1999-03-23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29A KR100346695B1 (ko) 1999-03-23 1999-03-23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052A KR20000061052A (ko) 2000-10-16
KR100346695B1 true KR100346695B1 (ko) 2002-08-01

Family

ID=1957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829A KR100346695B1 (ko) 1999-03-23 1999-03-23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6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052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792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2011033650A (ja) 電子写真印刷機
KR1003466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US4593480A (en) Paper deflection roller for a printer or copier means functioning on the principle of electrophotography
KR10023432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3202726B2 (ja) 画像乾燥装置
KR100343177B1 (ko) 습식인쇄기용캐리어건조장치
JP3557412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イメージ定着ユニット
JP3028950B1 (ja) 画像形成装置
KR10041368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장치
US5996975A (en) Condenser for carrier recovery apparatus of liquid imaging system
KR10020773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캐리어 건조장치
KR10024315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캐리어건조장치
KR100544169B1 (ko)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KR1002383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304632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3032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200701081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34670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KR100538206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H064361Y2 (ja) 画像形成装置
US7330687B2 (en) Image fixing unit having preheating mean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ix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230330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H11327336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7020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캐리어 건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